KR20160112535A -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535A
KR20160112535A KR1020150038426A KR20150038426A KR20160112535A KR 20160112535 A KR20160112535 A KR 20160112535A KR 1020150038426 A KR1020150038426 A KR 1020150038426A KR 20150038426 A KR20150038426 A KR 20150038426A KR 20160112535 A KR20160112535 A KR 2016011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drill guide
air gun
holder
guid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렬
Original Assignee
삼흥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흥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흥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535A/ko
Publication of KR2016011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4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fluid-pressure or pneumat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04Aircraft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에 홀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에어의 공급에 의하여 전방의 척에 설치된 드릴이 회전하면서, 항공기에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에어건(10)과; 상기 에어건의 드릴이 전방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드릴안내부시(16)가 구비되는 드릴안내홀더(50); 그리고 상기 에어건(10)이 전진하면서 드릴이 대상물에 접촉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드릴안내부시(16) 또는 드릴안내홀더(50)가 대상물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드릴안내홀더의 후방 이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완충수단은, 가스쇼바(30)와 스프링(44)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Drilling device for outer surface of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의 기체에 홀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힘으로 드릴링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같이 드릴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항공기의 기체 표면에 홀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기체에는 리벳팅 등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의 홀이 가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항공기 기체는 예를 들면 티타늄과 알미늄 소재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유리섬유가 강화된 복합소재인 GFRP(Glass FiBaer Reinforced Plastic)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복합소재인 GFRP와 같은 복합 소재로 항공기의 기체가 만들어지는 경우, 기체에 홀을 가공하기 위하여 드릴링을 수행하게 되면, 구멍의 가공 과정에서 소재에 기인하는 분진이 생성된다. 이러한 분진은 작업 환경 등에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드릴링 작업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상물의 소재에 따라서 여러 가지 가공상의 어려움이 뒤따른다. 소재의 강도에 비하여 작업자가 가하는 힘이 큰 경우에는 홀이 만들어질 때 순간적으로 가공양이 많게 되어 정밀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합소재인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이 더욱 우려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단점은 현재 널리 사용되는 드릴링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가하는 힘에 대하여, 가공물이 받을 수 있는 힘을 원하는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드릴링 작업을 가능한 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홀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별도의 통로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작업 환경이 보다 좋은 항공기용 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홀 가공장치는, 에어의 공급에 의하여 전방의 척에 설치된 드릴이 회전하면서, 항공기에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에어건과; 상기 에어건의 드릴이 전방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드릴안내부시가 구비되는 드릴안내홀더; 그리고 상기 에어건이 전진하면서 드릴이 대상물에 접촉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드릴안내부시 또는 드릴안내홀더가 대상물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드릴안내홀더의 후방 이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완충수단에 대한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건을 지지하는 에어건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스쇼바와, 선단부가 상기 드릴안내홀더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가스쇼바의 내부에 결합되는 샤프트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드릴안내홀더의 후방 이동은 상기 가스쇼바에 의하여 완화된다.
그리고 완충수단에 대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기 에어건홀더와 드릴안내홀더 사이에서 지지되는 안내샤프트와, 상기 안내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안내홀더 또는 샤프트지지대와 에어건홀더 사이에서 압축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드릴안내홀더의 후방 이동은 가스쇼바의 사양 및 스프링의 탄성력 등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드릴안내홀더 내부에 위치하는 드릴과 연통되는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는 분진 배출통로와, 상기 분진 배출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분진을 공기와 같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에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의 과도한 힘 또는 빠른 전진 속도가 발생하더라도, 가스쇼바 그리고/또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에 의하여, 바람직한 속도 범위 내에서 드릴이 전진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속도가 완충된다는 것은 항상 일정한 범위 내의 속도로 드릴링 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뢰도 및 정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의 드릴링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좋은 작업 환경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정밀한 홀 작업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공기 홀 가공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분진 배출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홀 가공장치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서 드릴(14)을 클램핑하고 있는 척(12)을 회전시키는 에어건(1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에어건(10)은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에어를 공급받아서 그 힘에 의하여 척(1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에어드릴이라고도 하는 것이고, 그 자체의 구조는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건(10)은, 에어건홀더(20)에 의하여, 가스쇼바(30) 및 안내샤프트(40)와 같이 지지된다. 즉, 상기 에어건홀더(20)는, 에어건(10)을 지지함과 같이, 안내샤프트(40)도 지지하고 있으며, 가스쇼바(30)도 같이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쇼바(30)는, 그 자체의 내부 구성은 공지된 것이고, 내부에 내장된 가스의 유동을 이용하여 외부에서의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에어건홀더(20)가 가스쇼바(30)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다양할 수 있으나,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에어건홀더(20)가 에어건(10)을 감싸도록 두 개의 아암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두 개의 아암을 볼트(Bb)에 의하여 조임으로써, 에어건(10)이 에어건홀더(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지 구조는 명백히 예시적인 구성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쇼바(3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샤프트 지지대(32)는, 도 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스크로크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샤프트 지지대(32)의 이동 시에는 가스쇼바(30) 내부의 가스의 유동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샤프트 지지대(32)의 좌우 이동 시 급격한 이동은 방지되고 보다 원활하면서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쇼바(30)는 에어건홀더(2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샤프트지지대(32)의 선단에는 드릴안내홀더(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드릴안내홀더(50)가 후방을 향하는 힘(반력)을 받게 되면, 이러한 힘은 샤프트지지대(32)를 통하여 가스쇼바(30)로 전달된다. 여기서 가스쇼바(30)는 샤프트지지대(32)가 급격하게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완만한 속도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드릴(14)이 빠른 속도로 전진하는 경우, 대상체(항공기)는 상기 드릴안내홀더(50)에 접촉하게 되고 그 반력이 드릴안내홀더(50)에 작용하게 된다. 이 때, 드릴안내홀더(50)와 연결된 샤프트지지대(32)가 가스쇼바(30)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지지대(32)는 급격하게 이동하지 않고, 완만한 속도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릴안내홀더(50) 및 샤프트지지대(32)가 완만한 속도로 후방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드릴(14)의 급격한 전진(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한 빠른 이동)에 대하여, 드릴안내홀더(50)가 대상체와 접촉하면서 드릴(14)의 빠른 이동을 방지하면서 정해진 속도범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가스쇼바(30)의 기능에 의하여, 드릴(14)이 아주 빠른 속도로 대상체(항공기)를 가공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가스쇼바(30)에 의하여 완충되는 속도로 드릴링 가공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릴안내홀더(50)에는 안내샤프트(40)의 선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샤프트(40)의 후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건홀더(20)를 관통한 상태에서 스토퍼(42)에 의하여 고정된다. 즉 상기 안내샤프트(40)의 후단부는, 예를 들면 볼트 등에 의하여, 에어건홀더(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4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샤프트(40)에는 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44)은 드릴안내홀더(50)[또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샤프트지지대(32)]와 에어건홀더(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44)은, 상술한 가스쇼바(30)와 같이 동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릴안내홀더(5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가스쇼바(30)는 드릴안내홀더(50)의 급격한 후방이동을 완충하면서 정해진 속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는데, 여기서 상기 스프링(44)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가스쇼버(3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 때 사익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이 이러한 원위치 복귀를 돕게 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2)는 볼트(Ba)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안내샤프트(40)와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42)의 위치에 따라서 드릴안내홀더(50) 또는 샤프트 지지대(32)와 에어건홀더(2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4)의 압축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44)의 압축 정도가 결정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의 에어건홀더(20)에 대하여 드릴안내홀더(50) 또는 샤프트지지대(32)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프링(44)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은, 드릴안내홀더(5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대한 반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스토퍼(42)와 안내샤프트(40)를 서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볼트(Ba)를 풀어서, 스토퍼(42)를 더 후방의 안내샤프트(40)에 위치시킨 후 볼트(Ba)를 조이게 되면, 실질적으로 스프링(44)의 탄성력은 약해질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상기 스프링(44)이 드릴안내홀더(50) 또는 샤프트 지지대(32)에 가하는 탄성력이 약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44)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가스쇼바(30)의 사양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드릴안내홀더(5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드릴안내홀더(50)에 작용하는 반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드릴안내홀더(50)의 하단부에는 드릴안내부시(16)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상의 드릴안내부시(16)의 내부에는, 드릴(14)이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드릴안내부시(16)에 의하여, 척(12)에 고정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드릴(14)이 진원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안내부시(16)는 드릴안내홀더(5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척(12)에 물려 회전하는 드릴(14)은 상기 드릴안내부시(16)를 관통하고 있으며, 드릴(14)의 선단부는 상기 드릴안내부시(16) 보다 약간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상물(항공기)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드릴링 과정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에어건(10)을 들고 항공기의 표면에 홀을 가공하는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드릴안내부시(16) 보다 전방으로 돌출한 드릴(14)의 선단이 대상체에 접촉하면서, 드릴링 작업이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에어건(10)을 통하여 전방으로 미는 힘이 원하는 정도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 좋으나, 실제 요구되는 힘 보다 큰 힘을 가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에어건(10)을 미는 힘이 큰 경우, 드릴(14)의 선단부는 대상체(항공기)의 표면을 빨리 파고 들어가고 일정한 깊이[드릴(14)이 드릴안내부시(16)의 전방에서 돌출한 돌출량]까지 들어가면, 드릴안내부시(16)가 대상체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드릴안내부시(16)가 대상체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받는 반력은, 드릴안내홀더(50)를 통하여 샤프트지지대(32)로 전달되어 샤프트지지대(32)가 가스쇼바(3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가스쇼바(30)의 특성 상 상기 샤프트지지대(32)가 급하게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완만한 속도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44)의 탄성력도 샤프트 지지대(32)[또는 드릴안내홀더(50)]를 전방으로 밀게 되어, 일정한 반력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아무리 급한 속도로 드릴(14)을 전진시키더라도, 실질적으로는 드릴안내홀더(50) 및 샤프트지지대(32)를 통하여 빠른 속도를 완만하게 낮출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드릴안내홀더(50)에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 등에 의하여 샤프트지지대(32)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에어건(10)를 미는 힘에 무관하게, 일정한 속도로 항공기에 홀을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가스쇼바(30)의 완충력과 스프링(44)의 탄성력 및 복원력 등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바람직한 가공 속도를 가지고 드릴(14)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홀의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드릴(14)이 항공기에 홀을 가공하는 과정이 진행되면, 천공되는 부분에서는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가공 과정 중에 발생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도 1에서 도면 부호 60은, 본 발명의 홀 가공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배출하는 분진배출장치가 연결되는 부분을 표시한다. 즉, 드릴안내홀더(50)에서, 드릴(14)이 위치하는 부분에 분진배출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6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진 배출장치는, 드릴안내홀더(50)에서 드릴안내부시(16)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로(Pa)와 연결되어, 드릴(14)의 날 사이에 있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분진배출장치는, 상기 통로(Pa)와 연결되도록 드릴안내홀더(50)에 결합되는 엘보우(72)와, 상기 엘보우(72)와 연결되는 배출관(74)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엘보우(72) 및 배출관(74)은 실질적으로 드릴안내부시(16)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분진 배출통로(7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74)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배기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장치(80)는 상기 드릴안내홀더(50) 내부의 통로(Pa)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관(74)의 외측단부(76)를 통하여 분진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고, 다양한 형태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엘보우(72)는, 드릴안내홀더(50) 내부를 관통하면서 회전하는 드릴(14)이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하는 통로(Pa)과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엘보우(72)는 조립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피팅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편리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엘보우(72)에는 배출관(74)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74)의 외측에는 배기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장치(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릴(14) 및 그 부근에 있는 분진을 배출관(74)의 외측단부(76)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장치(8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플로를 형성하여 분진을 같이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배기장치(80)는, 고압의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부(82)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부(82)를 통하여 바디(84)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배출관의 외측단부(76)로 흐르도록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84)의 내부에서 외측단부(76)로 공기가 흐르게 되면, 배출관(74) 내부에 압력이 낮아져서 결국은 배출관(74)의 공기가 외측단부(76)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기장치(80)는 현재 다양한 형태의 것이 판매 중에 있고, 실질적으로 다양한 것이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로(Pa)에서 엘보우(72), 그리고 배출관(74)을 통하여 공기와 같이 분진을 배출시키는 장치에 대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어떠한 형태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분진배출장치는 상기 드릴안내홀더(50)의 양측면에서 한 쌍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일측의 분진배출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임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릴이 바람직한 속도 범위 내에서 전진하면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드릴링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착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에어건
12 ..... 척
14 ..... 드릴
16 ..... 드릴안내부시
20 ..... 에어건홀더
30 ..... 가스쇼바
32 ..... 샤프트지지대
40 ..... 안내샤프트
42 ..... 스토퍼
44 ..... 스프링
50 ..... 드릴안내홀더
70 ..... 분진배출통로
72 ..... 엘보우
74 ..... 배출관
76 ..... 배출관의 외측단부
80 ..... 배기장치

Claims (4)

  1. 에어의 공급에 의하여 전방의 척에 설치된 드릴이 회전하면서, 항공기에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에어건(10)과;
    상기 에어건의 드릴이 전방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드릴안내부시(16)가 구비되는 드릴안내홀더(50); 그리고
    상기 에어건(10)이 전진하면서 드릴이 대상물에 접촉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드릴안내부시(16) 또는 드릴안내홀더(50)가 대상물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드릴안내홀더의 후방 이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홀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에어건(10)을 지지하는 에어건홀더(20)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스쇼바(30)와, 선단부가 상기 드릴안내홀더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가스쇼바(30)의 내부에 결합되는 샤프트지지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드릴안내홀더의 후방 이동은 상기 가스쇼바에 의하여 완화되는 항공기 홀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에어건홀더와 드릴안내홀더 사이에서 지지되는 안내샤프트와, 상기 안내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안내홀더 또는 샤프트지지대와 에어건홀더 사이에서 압축된 스프링(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공기 홀 가공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안내홀더 내부에 위치하는 드릴과 연통되는 공간(Pa)을 외부와 연결하는 분진 배출통로(70)와, 상기 분진 배출통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한 분진을 공기와 같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공기 홀 가공장치.


KR1020150038426A 2015-03-19 2015-03-19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 KR20160112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26A KR20160112535A (ko) 2015-03-19 2015-03-19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26A KR20160112535A (ko) 2015-03-19 2015-03-19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35A true KR20160112535A (ko) 2016-09-28

Family

ID=5710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426A KR20160112535A (ko) 2015-03-19 2015-03-19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5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1281A (zh) * 2022-05-16 2022-07-26 中测(浙江)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载激光雷达的高速公路横断面测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1281A (zh) * 2022-05-16 2022-07-26 中测(浙江)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载激光雷达的高速公路横断面测量装置
CN114791281B (zh) * 2022-05-16 2023-11-21 中测(浙江)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载激光雷达的高速公路横断面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3022B1 (en) Vacuum clamp device
US5375754A (en) Automatic riveting machine
US2935905A (en) Collet foot attachment for pneumatic power drill
US10486275B2 (en) Processing mechanism
CN209867425U (zh) 一种管材钻孔结构
US3599958A (en) Actuator for expansive collet sleeve device adapted for securing machine tool to workpiece or anchorage member
EP2647463A1 (en) Ultrasonic welding device with a pick member and/or a press pad,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device
KR20160112535A (ko) 항공기 기체 홀 가공장치
US6722447B2 (en) Concentric pneumatic/hydraulic power feed apparatus
US6231280B1 (en) Vibration-absorbing end effector of an automated drill and countersink machine
CN108025390A (zh) 用于设定定位元件的手持式设备以及使用该设备的方法
JP2015036171A (ja) 工作機械
TW202026090A (zh) 用於切削工件的裝置
JP2011062754A (ja) クランプ装置
CN109877619A (zh) 一种带有方管钻孔夹具装置的机床
CN108687443A (zh) 一种激光拼焊夹持定位装置
JPS5834770A (ja) 振動減衰ポ−タブル衝撃工具
KR20160034069A (ko) 드릴용 집진기
CN109385761A (zh) 一种自动上料装置
CN107350553B (zh) 电动往复锯的可调式工件夹持装置及电动往复锯
CN205817027U (zh) 一种钻孔用工装夹具
KR101949465B1 (ko) 드릴링 장치
US2531395A (en) Round nut feeding fixture
KR20150072931A (ko) 공작기계
KR101609466B1 (ko) 마찰용접 잉여부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0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5

Effective date: 201712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