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175A -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175A
KR20160112175A KR1020150037389A KR20150037389A KR20160112175A KR 20160112175 A KR20160112175 A KR 20160112175A KR 1020150037389 A KR1020150037389 A KR 1020150037389A KR 20150037389 A KR20150037389 A KR 20150037389A KR 20160112175 A KR20160112175 A KR 20160112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zipper
pillow top
pillow
faste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구
Original Assignee
정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구 filed Critical 정선구
Priority to KR102015003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175A/ko
Priority to PCT/KR2016/002758 priority patent/WO2016148536A1/ko
Publication of KR2016011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와, 필로우탑이나 커버 등의 적층부재에 지퍼를 복수 개 형성하여 탈부착하되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부착시 매트리스와 적층부재를 방향 구분없이 위치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는,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하는 적층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하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에 대응되게 적층부재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상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와 상부지퍼를 각각 맞물려 밀폐하거나 분리하여 개방하는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of Mattress Stacked Member}
본 발명은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와, 필로우탑이나 커버 등의 적층부재에 지퍼를 복수 개 형성하여 탈부착하되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부착시 매트리스와 적층부재를 방향 구분없이 위치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침대틀의 상부측에 탑재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된 쿠션부재로서, 종횡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설치된 스프링 또는 폼으로 만들어진 하부 틀과, 하부 틀의 상하면에 각각의 쿠션재를 통해 설치된 상하부커버 및, 하부 틀의 둘레면에 설치된 측면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에 적층되는 적층부재의 예로, 필로우탑은 상기한 공지의 매트리스에 별도의 메모리폼, 스폰지, 견면, 양모, 라텍스, 에어매트 등의 쿠션부재를 더 적층하여 편안함 및 안락함을 배가한 매트리스의 한 종류로서, 공지 매트리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필로우탑을 더 적층하고 높이를 증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필로우탑 사용시 단순하게 매트리스의 상부 또는 하부에 필로우탑을 적층시키기 때문에, 필로우탑이 유동하거나 벌어지거나 또는 밀리게 되어 잠자리가 불편한 문제점으로 쿠션력을 증대하거나 또는 안락함을 제공하기에는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트리스(1)와 필로우탑(2)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전체면에 걸쳐 탈부착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제적인 측면으로 인해 대개 부분적으로 벨크로 테이프(3a,3b)가 부착되므로 그 벨크로 테이프(3a,3b)가 부착되는 부위가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수면시 안락감이 저하되어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로우탑(2)을 분리해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벨크로 테이프(3a,3b)에 이물질이 묻거나 끼게 되고, 이불 등에서 떨어지는 먼지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접착성이 저하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특허문헌 등록번호 제10-1046760호에는 4면지퍼로 탈부착 가능한 필로우탑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는 매트리스(11)와 4면지퍼로 탈부착 가능한 필로우탑(12)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리스(11)의 상부에 추가로 필로우탑(12)이 위치하면서 이를 고정하기 위한 4면 지퍼를 사용하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매트리스(11)의 상부에 안착된 필로우탑(12)의 상면을 연장커버(13)로 덮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커버(13)는 매트리스(11) 상면에 안착된 필로우탑(12)를 덮으면서 지퍼부(14)에 의해 매트리스(11)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퍼부(14)는 커버시트(11a)와 연장커버(13) 사면으로 이루어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 상기 지퍼부(14)의 구조는 매트리스(11)를 포장한 커버시트(11a)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하부지퍼(14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시트(11a)에 대응되는 연장커버(13)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상부지퍼(14b)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하부지퍼(14a)와 상부지퍼(14b)가 슬라이드 파스너(14c)에 의해 맞물리거나 분리되어 매트리스(11)에 필로우탑(12)이 부착되거나 탈착된다.
또한, 상기 연장커버없이 매트리스와 필로우탑에 직접 하부지퍼와 상부지퍼를 형성하여 슬라이드 파스너에 의해 매트리스에 필로우탑를 탈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지퍼를 이용한 탈부착 방식은 슬라이드 파스너가 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맞물리거나 분리하게 되어 있어, 탈부착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부착시 매트리스와 필로우탑 또는 매트리스와 연장커버를 항상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1046760호(등록일자 2011년06월29일) 등록번호 제10-1199502호(등록일자 2012년11월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매트리스와, 필로우탑이나 커버 등의 적층부재에 지퍼를 복수개 형성하여 탈부착하되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탈부착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부착시 매트리스와 적층부재를 방향 구분없이 위치시킬 수 있어 편리한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는,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하는 적층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하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에 대응되게 적층부재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상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와 상부지퍼를 각각 맞물려 밀폐하거나 분리하여 개방하는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층부재는 쿠션부재를 구비하는 필로우탑이거나,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부재는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하고 쿠션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필로우탑과, 상기 필로우탑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지퍼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로우탑은 전기난방이나 온수난방 기능 또는 마사지 기능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퍼부는 짝수개로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그리고 상기 각 지퍼부는 투웨이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는,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매트리스 하부에 위치하는 적층부재; 및
상기 적층부재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하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에 대응되게 매트리스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상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와 상부지퍼를 각각 맞물려 밀폐하거나 분리하여 개방하는 파스너를 구비하는 복수의 지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매트리스와, 필로우탑이나 커버 등의 적층부재에 지퍼를 복수개 형성하여 탈부착하되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탈부착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부착시 매트리스와 적층부재를 방향 구분없이 위치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필로우탑 탈부착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필로우탑 탈부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와 적층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와 적층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와 적층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와 적층부재의 분해 사시도이ㄱ고,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로서, 적층부재로서 필로우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 및 복수의 지퍼부(130,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매트리스(110) 상부에 필로우탑(120)이 적층되고, 4면으로 구성된 매트리스(110)의 상면 외각 테두리와 필로우탑(120)의 하면 외각 테두리를 따라 열림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136,146)를 구비하는 지퍼부(130,140)가 각각 분리 구성되어 2단으로 분리와 결합되는 적층 매트리스(100)를 이룬다.
상기 매트리스(110)는 공지된 것으로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며 내부에 스프링을 복수로 구성되면서 쿠션재를 통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매트리스(110)의 상부측에 적층되어 메모리폼, 스폰지, 견면, 양모, 라텍스 등과 같은 별도의 쿠션부재를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필로우탑(120)은 쿠션력이나 완충력 및 제공성을 다양화시킨다.
또한, 상기 필로우탑(120)은 온수난방이나 전기난방 기능 또는 마사지 기능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기능을 가지는 스프링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을 복수의 지퍼부(130,14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면서 분리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퍼부(130,140)는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의 사면의 반을 차지하여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퍼부(130,140)는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에 각각 4면의 반을 차지하여 각각 반씩 개방되면서 완전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퍼부(130,140)의 구조는 매트리스(110)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하부지퍼(132,142)가 각각 반씩 분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110)에 대응되는 필로우탑(120)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상부지퍼(134,144)가 각각 반씩 분리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매트리스(110) 상부에 필로우탑(120)을 안착하고, 상기 매트리스(110)의 하부지퍼(132,142)와 필로우탑(120)의 상부지퍼(134,144)를 슬라이드 파스너(136,146)를 이용해 맞물려 각각 약 180°도 회전하면 매트리스(110)에 필로우탑(120)의 완전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지퍼(132,142)와 상부지퍼(134,144)가 사각형태 매트리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면, 매트리스(110)의 놓인 방향에 관계없이 그 상부에 필로우탑(120)을 적층시키더라도 하부지퍼(132,142)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이 상부지퍼(134,144)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에 일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필로우탑(120)을 180°도 회전시켜 위치시키더라도, 하부지퍼(132)의 파스너 시작점(도면에서 화살표 표시부위)과 끝점은 상부지퍼(144)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에 일치하고, 하부지퍼(142)의 파스너 시작점(도면에서 화살표 표시부위)과 끝점은 상부지퍼(134)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에 일치한다.
따라서 파스너(146)를 이용해 하부지퍼(132)와 상부지퍼(144)를 결합할 수 있고, 파스너(136)를 이용해 하부지퍼(142)와 상부지퍼(134)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매트리스(110)에 적층된 필로우탑(120)은 상부지퍼(134,144)와 하부지퍼(132,142)를 매개로 파스너(136,146)에 의해 결합되어, 이들 지퍼부(130,140)를 두 사람이 각각 개방하면 매트리스(110)로부터 필로우탑(120)을 빠르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와 적층부재의 분해 사시도로서, 적층부재로서 필로우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 및 복수의 지퍼부(130,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매트리스(110) 상부에 필로우탑(120)이 적층되고, 4면으로 구성된 매트리스(110)의 상면 외각 테두리와 필로우탑(120)의 하면 외각 테두리를 따라 열림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136a,136b),(146a,146b))를 구비하는 지퍼부(130,140)가 각각 분리 구성되어 2단으로 분리와 결합되는 적층 매트리스(100)를 이룬다.
즉, 여기서 상기 지퍼부(130,140)는 지퍼 하나에 파스너가 두 개여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어느 하나의 파스너에 의해 맞물리고 다른 하나의 파스너에 의해 개방되며,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며 그와 반대로 어느 하나의 파스너에 의해 개방되고 다른 하나의 파스너에 의해 맞물리는 투웨이 지퍼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지퍼부(130)에서 파스너(136a)는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하부 지퍼(134,132)가 맞물리고 파스너(136b)는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맞물린 상하부 지퍼(134,142)가 분리되며, 파스너(136b)는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맞물린 상하부 지퍼(134,132)가 분리되고, 파스너(136b)는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하부 지퍼(134,132)가 맞물린다.
따라서 두 사람이 파스너(136a)는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파스너(136b)는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빠르게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110)는 공지된 것으로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며 내부에 스프링을 복수로 구성되면서 쿠션재를 통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매트리스(110)의 상부측에 적층되어 메모리폼, 스폰지, 견면, 양모, 라텍스 등과 같은 별도의 쿠션부재를 부가적으로 구성하는 필로우탑(120)은 쿠션력이나 완충력 및 제공성을 다양화시킨다.
또한, 상기 필로우탑(120)은 온수난방이나 전기난방 기능 또는 마사지 기능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기능을 가지는 스프링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을 복수의 지퍼부(130,14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면서 분리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퍼부(130,140)는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의 사면의 반을 차지하여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퍼부(130,140)는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에 각각 4면의 반을 차지하여 각각 반씩 개방되면서 완전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퍼부(130,140)의 구조는 매트리스(110)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하부지퍼(132,142)가 각각 반씩 분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110)에 대응되는 필로우탑(120)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상부지퍼(134,144)가 각각 반씩 분리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매트리스(110) 상부에 필로우탑(120)을 안착하고, 상기 매트리스(110)의 하부지퍼(132,142)와 필로우탑(120)의 상부지퍼(134,144)를 슬라이드 파스터((136a,136b),(146a,146b))를 이용해 맞물려 시계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매트리스(110)에 필로우탑(120)의 완전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지퍼(132,142)와 상부지퍼(134,144)가 사각형태 매트리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면, 매트리스(110)의 놓인 방향에 관계없이 그 상부에 필로우탑(120)을 적층시키더라도 하부지퍼(132,142) 양단의 파스너 시작점과 상부지퍼(134,144) 양단의 파스너 시작점이 일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필로우탑(120)을 180°도 회전시켜 위치시키더라도 하부지퍼(132) 양단의 파스너 시작점(도면에서 화살표 표시부위)은 상부지퍼(144) 양단의 파스너 시작점에 일치하고, 하부지퍼(142) 양단의 파스너 시작점(도면에서 화살표 표시부위)은 상부지퍼(134) 양단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에 일치한다.
따라서 파스너(146a,146b)를 이용해 하부지퍼(132)와 상부지퍼(144)를 결합할 수 있고, 파스너(136a,136b)를 이용해 하부지퍼(142)와 상부지퍼(134)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매트리스(110)에 적층된 필로우탑(120)은 상부지퍼(134,144)와 하부지퍼(132,142)를 매개로 파스너((136a,136b),(146a,146b))에 의해 결합되어, 이들 지퍼부(130,140)를 두 사람 이상이 각각 개방하면 매트리스(110)로부터 필로우탑(120)을 빠르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와 적층부재의 분해 사시도로서, 적층부재로서 필로우탑과 커버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 복수의 지퍼부(130,140) 및 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매트리스(110) 상부에 필로우탑(120)이 적층되고, 4면으로 구성된 매트리스(110)의 상면 외각 테두리와 커버(150)의 하면 외각 테두리를 따라 열림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136,146)를 구비하는 지퍼부(130,140)가 각각 분리 구성되어 3단으로 분리와 결합되는 적층 매트리스(100)를 이룬다.
상기 매트리스(110)는 공지된 것으로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며 내부에 스프링을 복수로 구성되면서 쿠션재를 통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매트리스(110)의 상부측에 적층되어 메모리폼, 스폰지, 견면, 양모, 라텍스 등과 같은 별도의 쿠션부재를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필로우탑(120)은 쿠션력이나 완충력 및 제공성을 다양화시킨다.
또한, 상기 필로우탑(120)은 온수난방이나 전기난방 기능 또는 마사지 기능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커버(150)는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을 일체로 형성시키면서 필요에 따라 3단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세라믹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기능을 가지는 스프링 매트리스(110)와 필로우탑(120) 및 커버(150)를 복수의 지퍼부(130,14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면서 분리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퍼부(130,140)는 매트리스(110)와 커버(150)의 사면의 반을 차지하여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퍼부(130,140)는 매트리스(110)와 커버(120)에 각각 4면의 반을 차지하여 각각 반씩 개방되면서 완전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퍼부(130,140)의 구조는 매트리스(110)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하부지퍼(132,142)가 각각 반씩 분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110)에 대응되는 커버(150)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상부지퍼(134,144)가 각각 반씩 분리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매트리스(110) 상부에 필로우탑(120)과 커버(150)를 차례로 안착하고, 상기 매트리스(110)의 하부지퍼(132,142)와 커버(150)의 상부지퍼(134,144)를 슬라이드 파스너(136,146)를 이용해 맞물려 각각 약 180°도 회전하면 매트리스(110)에 필로우탑(120) 및 커버(150)의 완전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지퍼(132,142)와 상부지퍼(134,144)가 사각형태 매트리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면, 매트리스(110)의 놓인 방향에 관계없이 그 상부에 커버(120)를 적층시키더라도 하부지퍼(132,142)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이 상부지퍼(134,144)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에 일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필로우탑(120)을 180°도 회전시켜 위치시키더라도, 하부지퍼(132)의 파스너 시작점(도면에서 화살표 표시부위)과 끝점은 상부지퍼(144)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에 일치하고, 하부지퍼(142)의 파스너 시작점(도면에서 화살표 표시부위)과 끝점은 상부지퍼(134)의 파스너 시작점과 끝점에 일치한다.
따라서 파스너(146)를 이용해 하부지퍼(132)와 상부지퍼(144)를 결합할 수 있고, 파스너(136)를 이용해 하부지퍼(142)와 상부지퍼(134)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매트리스(110)에 적층된 필로우탑(120)과 커버(150)는 상부지퍼(134,144)와 하부지퍼(132,142)를 매개로 파스너(136,146)에 의해 결합되어, 이들 지퍼부(130,140)를 두 사람이 각각 개방하면 매트리스(110)로부터 필로우탑(120)과 커버(150)를 빠르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는 지퍼부가 2개인 것을 예를 들었으나, 지퍼부를 그 이상 구성하여 필로우탑을 매트리스에 탈부착할 수 있고, 또 매트리스 상부에 필로우탑을 적층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매트리스 하부에 필로우탑을 위치시켜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매트리스와 커버 사이에 필로우탑이 하나 개재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다수를 개재할 수도 있으며, 커버를 세탁 용도로만 사용하는 경우 필로우탑을 개재하지 않고 매트리스와 커버에 2개 이상의 지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100: 적층 매트리스 110: 매트리스
120: 필로우탑 130,140: 지퍼부
132,142: 하부지퍼 134,144: 상부지퍼
136,146: 파스너 136a,136b,146a,146b: 파스너
150: 커버

Claims (7)

  1.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하는 적층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하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에 대응되게 적층부재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상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와 상부지퍼를 각각 맞물려 밀폐하거나 분리하여 개방하는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퍼부;
    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재는 쿠션부재를 구비하는 필로우탑이거나,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재는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하고 쿠션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필로우탑과, 상기 필로우탑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지퍼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은 전기난방이나 온수난방 기능 또는 마사지 기능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퍼부는 짝수개로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퍼부는 투웨이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7. 사각형태로 쿠션력을 제공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매트리스 하부에 위치하는 적층부재; 및
    상기 적층부재의 상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하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에 대응되게 매트리스의 하부 사면 가장자리에 분리되게 형성되는 상부지퍼와, 상기 하부지퍼와 상부지퍼를 각각 맞물려 밀폐하거나 분리하여 개방하는 파스너를 구비하는 복수의 지퍼부;
    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KR1020150037389A 2015-03-18 2015-03-18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KR20160112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89A KR20160112175A (ko) 2015-03-18 2015-03-18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PCT/KR2016/002758 WO2016148536A1 (ko) 2015-03-18 2016-03-18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389A KR20160112175A (ko) 2015-03-18 2015-03-18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75A true KR20160112175A (ko) 2016-09-28

Family

ID=5691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389A KR20160112175A (ko) 2015-03-18 2015-03-18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12175A (ko)
WO (1) WO20161485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338A (ko) * 2019-08-27 2021-03-09 이미선 파운데이션 일체형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60B1 (ko) 2010-02-05 2011-07-06 (주)금성토탈퍼니처 4면지퍼로 탈부착 가능한 필로우탑
KR101199502B1 (ko) 2012-03-06 2012-11-09 주식회사 금성침대 기능성 필로우탑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4957B2 (en) * 2003-05-01 2005-10-18 The Coleman Company, Inc. Air mattress with pillow top
KR101285059B1 (ko) * 2004-07-16 2013-07-15 드림웰, 리미티드 착탈식 상부를 구비하는 매트리스
KR20110036970A (ko) * 2009-10-05 2011-04-13 최효성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KR20130095358A (ko) * 2012-02-20 2013-08-28 조귀태 내장쿠션층의 삽입 탈착이 용이하고, 옆면 견고성이 향상된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60B1 (ko) 2010-02-05 2011-07-06 (주)금성토탈퍼니처 4면지퍼로 탈부착 가능한 필로우탑
KR101199502B1 (ko) 2012-03-06 2012-11-09 주식회사 금성침대 기능성 필로우탑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338A (ko) * 2019-08-27 2021-03-09 이미선 파운데이션 일체형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8536A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5799A1 (en) Pillow with gusset of open cell construction
US10368654B2 (en) Bed sheet system
US8032959B2 (en) Bed sheet attachment system and methods
JP4689551B2 (ja) マット、このマットに連結可能な枕及び寝袋、これらを連結した寝具
CA2645694A1 (en) Mattress cover
US20120246828A1 (en) Ascetically and size customizable sheet/blanket/spread/comforter for a bed
US9907418B2 (en) Unitized bed covering assembly
US11259642B2 (en) System for securing a bed covering to a bed
CN104968242A (zh) 具有打开和闭合机构的配套床上用品
US20070240262A1 (en) Fitted blanket
US7849532B1 (en) Movement assisting bed covering system
US20130269107A1 (en) Bed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mattress, and method
KR20160112175A (ko) 매트리스 적층부재의 탈부착 구조
KR20090000743U (ko) 매트리스 쿠션본체의 커버
US7600279B1 (en) Bedspread system
US20170238734A1 (en) Partitioned Modular Bedding
GB2522687A (en) Bedding system
JP3139918U (ja) 敷布
KR200409951Y1 (ko) 조합형 매트세트
KR101060565B1 (ko) 방석
JP3146928U (ja) 道具畳積載立礼式茶礼卓
JP3161806U (ja) 毛布用の保温布及びこれを用いた掛け寝具
WO2014001578A1 (en) Bedding
KR20160086139A (ko) 탈착식 베개가 구비된 돗자리 세트
CN202820567U (zh) 组合式保暖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