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087A -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087A
KR20160112087A KR1020150036965A KR20150036965A KR20160112087A KR 20160112087 A KR20160112087 A KR 20160112087A KR 1020150036965 A KR1020150036965 A KR 1020150036965A KR 20150036965 A KR20150036965 A KR 20150036965A KR 20160112087 A KR20160112087 A KR 2016011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data process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김현빈
류성원
박수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087A/ko
Publication of KR2016011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241
    • G06F17/30654
    • G06F17/30663
    • G06F17/3087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정보에서 공간적 표현을 검색하는 입력자료처리부; 상기 공간적 표현과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을 매핑해 공간자료를 생성하는 공간자료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가시화하는 공간정보가시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Device for visualizing 3D spa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자연어로 표현된 공간정보를 분석해 3차원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이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빅데이터(Bigdata)와 딥-러닝(Deep-learning) 기술로 인해 영상 인식 분야에서 정확도가 많이 향상되고 있고, 구조 광이나 레이저 스캐너 등으로 얻어낸 3차원 정보와 같은 공간에 대해 디지털화된 자료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자료들은 차량용 네비게이션이나 로드뷰(road view) 등과 같이 단순한 형태의 활용에 머무르고 있다.
보다 진보된 형태의 활용을 위해서는 의미적인 부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데 지금까지의 자연어로 표현된 공간정보를 보면 각 작성 주체들마다 각자의 생각에 맞도록 기술되어 있어 개략적인 수준의 정보만이 유효하고 별도의 그림이나 도면 등을 첨부하여 보완/설명하는 형태의 방법에 머물러 왔다. 이러한 활용 형태는 공간을 표현하는 자연어 기반 정보와 시각화된 정보들을 의미가 아닌 단순 연결로 함께 연결하여 세부적인 상호 연관성 표현이 어려워 부분적인 재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공간정보의 획득 측면에서 획득된 3차원 데이터는 양이 너무나 방대하며 관리 및 분석 처리에 어려움이 많아 본격적인 활용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연어를 기반으로 한 공간정보와 3차원 공간정보 검색 및 가시화를 위해 자연어로 기술된 공간 시각화 정보의 분석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 공간정보와 상호 매핑하며 검색된 결과로부터 자연어 기반 공간적 표현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정보에서 공간적 표현을 검색하는 입력자료처리부; 상기 공간적 표현과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을 매핑해 공간자료를 생성하는 공간자료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가시화하는 공간정보가시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연어를 기반으로 한 공간 위치 조회를 위한 서비스 형태로 활용되어 기존의 영상 기반의 위치 조회나 단순 키워드 방식의 방식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의미적으로 적절한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검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간적 특징 정보와 연계한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조회가 가능하며 텍스트 형태로 쿼리(query)를 전송하면 보다 적은 량의 데이터 통신으로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도 있고, 검색이 빈번한 공간정보의 표현은 템플릿화를 통한 검색식의 재사용이 가능해져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쿼리(query)는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특정한 조건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공간의 의미적 정보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1인칭 시점에서의 검색 결과를 제시하여 검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를 설명하거나 상대방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검색된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공간 가시화 정보를 넣어 기존에 존재하는 장소에 임의의 객체를 추가하거나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공간적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제시된 발명을 통해 검색된 공간정보들은 랜더링(rendering)을 통한 가시화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광고, 여행, 게임, 시뮬레이션, 사전 가시화)등에서 재사용이 가능해져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자료처리부의 자연어 처리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자료처리부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가시화부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자연어로 표현된 공간 정보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 할 수 있고, 이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단순 키워드 기반의 공간정보 검색을 공간의 의미적 속성을 고려한 자연어 기반 검색으로 확장하고 이를 가시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입력 정보와 공간적 표현 자원들을 연결하여 3차원 공간을 검색하고, 체계적인 관리 및 활용을 극대화하여 일반인 및 산업적 수요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스탠드얼론(stand-alone)의 형태의 실시예로 자연어 기반의 공간적 표현 가시화에 적합한 형태의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10), 입력자료처리부(120), 공간자료처리부(130), 공간정보가시화부(140) 및 자료관리DB(150)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와 관련된 주변 정보 및 자연어에 기반한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입력부(110)는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자가 음성/텍스트의 입력, 카메라의 영상 입력 또는 GUI의 조작 등을 통해 자연어 기반으로 공간과 연계된 표현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중인 디바이스가 카메라와 위치 정보(GPS)를 지원한다면, 추가로 영상 및 GPS 정보를 입력 받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공간과 연계된 표현 정보를 입력자료처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자료처리부(120)는 입력 받은 정보를 자연어 처리할 수 있다. 입력자료처리부(120)는 자연어 처리된 정보로부터 공간적 표현을 검색하고, 공간적 표현 중 의미적 역할을 하는 정보를 공간자료처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는 인간이 발화하는 언어 현상을 기계적으로 분석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입력자료처리부(120)의 자연어 처리 과정은 도 3을 참조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공간자료처리부(130)는 검색된 공간적 표현의 의미적인 역할과 자료관리DB(150)에 저장되어 있는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을 매핑해 공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공간자료처리부(130)에서는 제공된 공간적 표현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입력부(110)에 추가적인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 공간자료처리부(13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공간정보가시화부(140)는 매핑된 공간자료를 활용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특히 검색된 정보중 POI에 대한 공간자료를 가시화할 수 있다. 여기서 POI(point of interest)는 관심장소나 중요한 지역으로 공간좌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세트를 의미한다. 또한, 입력자료처리부(120)는 공간정보가시화부(140)와 POI를 공유할 수 있다. 공간정보가시화부(140)는 외부장치로의 출력을 통해 가시화 할 수 있다. 이하 공간정보가시화부(140)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자료관리DB(150)는 자연어 분석 결과와 공간자료를 연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자료관리DB(150)는 자연어 분석 결과와 공간자료를 공간자료처리부(130)와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료관리DB(150)는 공간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시멘틱 온톨로지(semantic ontology) 정보, 지형 정보, 지형 속성 정보, 주소 정보 및 위치에 따른 영상 정보 등을 포함하여 공간을 데이터 베이스로 하여 공간 자원 정보 및 분석된 공간 객체들의 특징 등을 연계하여 관리하며 조회할 수 있다.
여기서 시멘틱 온톨로지는 해당 검색어가 속해있는 문장의 의미 및 상기 의미를 고려한 분석과 이들의 관계를 정의하는 설명을 컴퓨터 등 디바이스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모델을 말한다.
공간적 특징을 분류하기 위해 활용되는 시멘틱 온톨로지는 공간적인 포함관계 및 상호간의 공간적 의미 관계들을 체계화하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에 따른 영상 정보들은 다양한 해상도로 표현되는 지도상의 각 위치에서의 특징을 사전에 처리하여 자료관리DB(150)에 저장하여 활용될 수 있다. 상기의 특징은 각 지점에서 관찰되는 색상 및 구조적 특징, 건축물 및 구조물의 특징, 자연물의 특징 등과 더불어 도로나 하천의 연결 형태와 같은 공간을 표현하는 다양한 위상 정보를 들 수 있다.
상기 위상 정보들은 기존에 네비게이션을 위해 활용되던 정보나 공공 오픈API(OPENAPI) 및 지도상에 정보를 입력하여 자료관리DB(15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픈API(OPENAPI)는 일정한 형식으로 정보를 공개해서 다른 사람이나 기관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각 위치 정보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이미지 정보 및 3차원적 모델링 정보 등은 영상을 분석하여 얻어 내거나 구조 광 혹은 레이저 스캐너 등으로 얻어내어, 자료관리DB(150)상에 시각적 특징 분석 및 가시화를 위한 자료로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 광(structured light)은 3차원 물체를 인식하기 위하여 물체에 투영하기 위한 특정한 패턴을 가진 광원을 말한다.
자료관리DB(150)는 수집된 3차원 모델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곡률 값의 분산도나 평균값 등을 분석한 수치를 이용하여 유사한 분류들을 모아서 관리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가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단말의 형태로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입력부(201) 및 공간정보가시화부(202)는 클라이언트(200)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입력자료처리부(211), 공간자료처리부(212) 및 자료관리DB(213)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듈들의 기능이 서버에서 구동되는 형태인 경우,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시스템은 입력 받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서버에서 요청하는 입력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자료처리부의 자연어 처리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자료처리부는 자연어 처리 모듈을 통해 형태소 및 구문 분석 결과, 자료관리DB에 저장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입력된 어휘들에서 공간적 표현을 위한 의미적 역할들을 찾아내며, 도 3과 같이 분석된 공간적 표현을 공간자료처리부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입력자료처리부는 고유한 장소명과 앞에 에서 정도 떨어진 인근등과 같은 언어적 특징, 형태소 분석 정보, 구문 분석 결과, 의미적 분석들이 공간적 특징들을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형태소 분석(pos tagging)은 대상 어절의 모든 가능한 분석 결과를 구하는 것이며, 구문 분석(parsing)은 문장을 구성 성분으로 분해하고 그들 사이의 위계 관계를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결정 짓는 것이다.
공간적 표현 정보에서 제시된 표현에 의해 거리나 크기 정도 등의 표현은 개인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정량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입력자료처리부는 통계적인 방법에 기초하여 룰 기반으로 생성한 값을 활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도 3과 같은 원문을 입력하면 자연어 분석 결과에 의해 보다 정교한 검색을 실시하게 되며, 서울역과 가까이 존재 평균 크기 이상의 도로의 속성을 가진 곳에서 가까운 장소들 가게의 특징을 가진 곳 및 이미지 상에 초록색 색상의 비율이 높은 장소로 검색을 실시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자료처리부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공간자료처리부(400)는 입력자료처리부(410)로부터 전송 받은 분석된 의미적 역할들과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들을 매핑하며,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매핑을 변경하며 반복 실시를 수행할 수 있다.
결과를 도출하기에 특징이 부족한 경우, 공간자료처리부(400)는 사용자에게 후보 군에서 가장 큰 변별력을 가진 특징을 찾아 다시 선택하도록 하는 반복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공간자료처리부(400)는 사용자의 1인칭 관점을 고려해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치상 관찰이 어려운 음영, 시야 각 제한 등과 같은 기하학적 계산 결과를 함께 고려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 가장 적절한 해답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계산 결과를 구하기 위하여 공간자료처리부(400)는 실제로 이동 중에 수집한 취득 영상을 활용하거나 다양한 사용자 시나리오에서 길 찾기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공간 정보와 연계한 사용자 주 시선 방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등을 사전에 자료관리DB(420)에 계산해놓고 활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간적 표현을 위한 의미적 역할로 '서울역', '인근', '있는', '큰', '길가', '초록색', '간판' 및 '가게'가 검색되었다면 이들을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들과 매핑 시킬 수 있다.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들로는 '공간 객체의 명칭', '공간 객체의 위치', '공간 객체의 크기', '공간 객체의 형태', '공간 객체의 색상', '공간 객체의 인접 객체 종류', '공간 객체의 종류' 및 '공간 객체의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공간자료처리부(400)는 매핑된 공간적 표현과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들을 이용하여 구문 분석을 통해 계층적으로 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연결된 공간 자료를 공간정보가시화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가시화부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간정보가시화부(500)는 얻어진 매핑 자료들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가 의도한 관심영역(POI, point of interest)에 대한 랜더링 가시화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가시화부(500)는 장면구성모듈(501) 및 시점결정모듈(502)를 포함할 수 있다.
장면구성모듈(501)은 공간자료처리부로부터 전송 받은 매핑된 자료를 이용해 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장면구성모듈(501)은 관심영역 내에 충분한 분량의 3차원 모델 정보가 있다면 장면은 3차원으로 구성하고, 부족하다면 로드맵 상에 공간자료처리부(510)으로부터 분석된 계층적 공간 연결에서 가장 하단에 분석된 공간을 볼 수 있도록 시점을 잡아준다. 상기와 같은 모든 자료가 없는 경우라면 장면구성모듈(501)은 Top뷰로 지도에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점결정모듈(502)은 모델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카메라 시점을 고려하여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공간정보가시화부(500)는 가시화를 위해 자료관리DB(520)로부터 각 공간 정보에 연계한 등록된 모델 데이터 및 지도 정보를 얻어내어 가시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료관리DB(520)는 고유번호, 그룹, 공간 객체의 명칭, 공간 위치 정보, 3D 모델 정보 등 공간 모델의 시각화 자원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10)에서 자연어에 기반한 공간적 표현이 입력된다.
단계(S620)에서, 공간적 표현의 의미적인 역할을 분석한다.
단계(S630)에서, 공간적 표현과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을 매핑한다.
단계(S640)에서, 결과의 개수가 임계치 이내인지 판단한다. 결과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S650)에서, 결과의 개수가 임계치 이내일 경우 사용자 POI를 가시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긴급전화(112,119)나 긴급출동 등의 콜센터 위치 추적에 활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연어 기반의 공간적 표현에 기반한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를 활용함에 있어 도 3과 같은 공간적 표현을 콜센터 작업자나 신고자가 음성 또는 키보드를 통하여 단말에 있는 사용자입력부에 입력하게 된다. 입력상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콜센터 매뉴얼과 연동하여 적절한 공간적 표현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하다.
입력자료처리부는 입력된 정보를 자연어 처리를 통해 입력된 어휘들의 공간적 표현을 위한 의미적 역할들을 찾아내며, 공간적 표현만을 공간자료처리부에 전달한다.
공간자료처리부는 의미적 역할들에 대해 시멘틱 온톨로지 상의 규칙에 의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상의 탐색을 실시하고 자료관리DB에 있는 동일한 특징을 가진 공간 자원들과 매핑을 실시한다.
상기 탐색 결과가 복수로 나오는 경우 이들을 최대한 구분하기 위한 특징 찾아내고 도 6과 같이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반복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위치 추적을 실시한다.
공간정보가시부는 자료관리DB로부터 얻어진 탐색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공간 모델과 지도에 대한 랜더링 가시화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착용형 단말의 공간 연계 인터페이스로의 활용 방법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착용형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통해 음성이나 텍스트 입력을 사용자입력부에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와 단말에 내장된 GPS 위치 정보 및 카메라로부터 얻어낸 현장 영상을 취득하여 입력자료처리부에 전송한다.
입력자료처리부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입력된 정보 내에 어휘들의 공간적 표현을 위한 의미적 역할들을 찾아내며, GPS 위치 정보를 받은 경우 탐색 영역을 줄여 분석된 공간적 표현을 공간자료처리부에 전달한다.
공간자료처리부는 분석된 의미적 역할들에 대해 시멘틱 온톨로지 상의 규칙에 의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상의 탐색을 실시하고, 자료관리DB에 있는 동일한 특징을 가진 공간 자원들과 매핑을 실시한다.
공간자료처리부는 카메라로부터 현장 영상을 입력 받은 경우에는 유사한 영상 특징을 가진 자료를 자료관리DB에서 탐색하여 추가적으로 검색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가 복수로 나오는 경우 이들을 최대한 구분하기 위한 특징을 찾아내고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반복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정확도를 높인다.
공간정보가시부는 얻어진 탐색 정보를 해당 공간 모델과 지도를 자료 관리 DB로부터 전달받아 랜더링 가시화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자연어 기반의 공간 저작 도구로서의 활용 방법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통해 구성하고자 하는 새로운 공간을 음성이나 텍스트로 사용자입력부에 입력하는 것을 반복한다.
입력된 정보는 입력자료처리부에서 자연어 처리를 통해 입력된 정보 내에 입력된 어휘들의 공간적 표현을 위한 의미적 역할들을 찾아내며, 공간자료처리부는 분석된 의미적 역할들에 대해 시멘틱 온톨로지 상의 규칙에 의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상의 탐색을 실시하고 자료관리DB에 있는 동일한 특징을 가진 공간 자원들과 매핑을 실시하여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자원들을 추가한다.
영상에 활용되기 위한 공간 자원 후보들은 저작도구에 매칭하며, 정확도 순으로 리스트 업 되어 사용자가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후보 리스트가 지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간자료처리부는 이들을 최대한 구분하기 위한 특징을 찾아내고 사용자에게 추가 정보를 문의하여 반복적인 처리를 통해 후보군을 좁혀 나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을 저작하여 활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분야(광고, 여행, 게임, 시뮬레이션, 사전 가시화)에서 공간적 표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정보에서 공간적 표현을 검색하는 입력자료처리부;
    상기 공간적 표현과 공간을 구성하는 자원을 매핑해 공간자료를 생성하는 공간자료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가시화하는 공간정보가시화부
    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KR1020150036965A 2015-03-17 2015-03-17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KR20160112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965A KR20160112087A (ko) 2015-03-17 2015-03-17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965A KR20160112087A (ko) 2015-03-17 2015-03-17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087A true KR20160112087A (ko) 2016-09-28

Family

ID=5710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965A KR20160112087A (ko) 2015-03-17 2015-03-17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0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10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target
KR102124673B1 (ko) 스케치로부터의 픽처 생성 기법
CN110226186B (zh) 表示地图元素的方法和装置以及定位的方法和装置
CN102867057B (zh) 一种基于视觉定位的虚拟向导构建方法
KR20230005408A (ko) 멀티 모달 poi 특징의 추출 방법 및 장치
WO2020098252A1 (zh) 一种路径规划方法、服务器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203526B (zh) 一种查询串语义需求分析方法及装置
US20210325203A1 (en) High-precision map-based human-machine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947147B (zh) 目标地图模型的训练方法、定位方法及相关装置
US11915478B2 (en) Bayesian methodology for geospatial object/characteristic detection
US20230184564A1 (en) High-precision map construc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100643A (zh) 融合三维场景语义的单目视觉定位增强方法和设备
CN111859002A (zh) 兴趣点名称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08491387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CN114186007A (zh) 高精地图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40137254A (ko) 문자 인식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단말, 서버, 시스템 및 방법
CN116578712A (zh) 一种基于知识图谱领域知识库的检索和图谱分析方法
CN114111813A (zh) 高精地图元素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60112087A (ko)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장치
Boyko Efficient interfaces for accurate annotation of 3D point clouds
KR20230086044A (ko) 고해상도 및 대규모 도시 공간 분석을 위한 도시 공간 데이터 기반 도시 환경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797183A (zh) 挖掘信息点的道路属性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Aburizaiza et al. Geospatial footprint library of geoparsed text from geocrowdsourcing
Araujo et al. Digital Heritage: Academic Research in Brazil in the Last Five Years
JP737300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