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084A -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 Google Patents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2084A KR20160112084A KR1020150036947A KR20150036947A KR20160112084A KR 20160112084 A KR20160112084 A KR 20160112084A KR 1020150036947 A KR1020150036947 A KR 1020150036947A KR 20150036947 A KR20150036947 A KR 20150036947A KR 20160112084 A KR20160112084 A KR 201601120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package
- shape
- wearer
- 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독가스 발생시 골든타임 기간 내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키지에 의하면, 부피가 작고 형상이 슬림하여 평상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포장지를 개봉시 착용자의 얼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복원되어 착용자의 입 주변을 밀봉함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마스크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키지에 의하면, 부피가 작고 형상이 슬림하여 평상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포장지를 개봉시 착용자의 얼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복원되어 착용자의 입 주변을 밀봉함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마스크 패키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독가스 발생시 골든타임 기간 내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골든타임(Golden Time)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사고의 상황에 따라 다르며, 이 시간 동안에 구조 또는 탈출에 성공하였는지에 따라서 인명의 구조 여부가 결정된다.
지하철, 백화점, 대형 할인마트, 학교 등의 공공장소에서 화재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연기 기타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이 사망의 주된 원인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질식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 공간 등의 경우 큰 비용을 들여 환풍 시설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다량으로 발생되는 유독가스 처리가 불가하고, 관리가 쉽지 않으며, 화재 발생시 오히려 환풍 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어 더욱 큰 인명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명 구조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근자에는 휴대용 마스크가 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휴대용 마스크는 평상시에는 작은 공간에 대량 비치가 가능해야 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신속하게 착용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화재가 발생시 정전되어 앞을 분간하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리적 상황에 익숙하지 못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장기간 유독가스에 노출되는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마스크를 통한 연기차단의 효율성이 저하되어 결국 질식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가 작고 형상이 슬림하여 평상시 휴대가 간편한 유독가스 방지용 마스크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포장지를 개봉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착용될 수 있어서 유독가스 속에서 장기간 머물더라도 연기차단의 정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고, 착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마스크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포장체와 상기 포장체 내부에 내장되는 마스크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의 양측 테두리에는 착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가 부착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의 상기 양측 테두리의 사이에는 유독가스를 정화하는 정화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마스크는, 상기 포장체의 미개봉시에는, 상기 포장체 내부가 진공 압축상태를 유지함에 의하여, 상기 포장체와 상기 마스크가 함께 평면의 형상인 제1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포장체의 개봉시에는, 상기 진공 압축상태가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가 상기 얼굴의 형상과 대응하는 제2 형태로 복원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형태는 곡면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사각형의 형태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의 상기 착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면적은 상기 접촉면의 반대면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마스크의 중앙에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체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테두리를 따라서 접착되는 제2 면을 가지되, 상기 진공 압축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마스크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곡선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마스크가 상기 제1 형태를 유지하도록 평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마스크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키지에 의하면, 부피가 작고 형상이 슬림하여 평상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포장지를 개봉시 착용자의 얼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복원되어 착용자의 입 주변을 밀봉함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마스크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키지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포장지를 개봉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마스크 착용자가 유독가스 속에서 장기간 머물더라도 착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키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마스크가 포장된 상태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마스크 패키지의 포장이 개봉된 후의 마스크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4는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마스크가 포장된 상태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마스크 패키지의 포장이 개봉된 후의 마스크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4는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키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마스크가 포장된 상태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마스크 패키지의 포장이 개봉된 후의 마스크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4는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키지(10)는 포장체(20)와 상기 포장체(20) 내부에 내장되는 마스크(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30)의 양측 테두리에는 착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3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영역(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30)의 상기 양측 테두리의 사이에는 유독가스를 정화하는 정화수단(32)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30)는, 상기 포장체(20)의 미개봉시에는, 상기 포장체(20) 내부가 진공 압축상태를 유지함에 의하여, 상기 포장체(20)와 상기 마스크(30)가 함께 평면의 형상인 제1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30)는, 상기 포장체(20)의 개봉시에는, 상기 진공 압축상태가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30)가 상기 얼굴의 형상과 대응하는 제2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마스크(30)는 실시예에 따라서 직사각형, 타원, 원형의 형상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착용자의 코와 입 및 입 부위를 감싸는 구조를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30)의 형상이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경우는 직사각형의 형태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마스크(30)가 후술할 접착영역(31)을 통하여 착용자의 입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유독가스 속에서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스크(30)은 일면과 일면의 반대면을 가진다. 마스크(30)의 일면은 착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접촉면(33)이고, 일면의 반대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34)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접촉면(33)의 면적은 접촉면(33)의 반대면인 노출면(34)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스크(30)의 측면을 바라볼 때, 노출면(34)으로부터 접촉면(33)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전술한 라운드 처리된 부분과 마찬가지로 마스크(30)가 후술할 접착영역(31)을 통하여 착용자의 입 부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유독가스 속에서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스크(30)는 형상을 기억하는 재질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스크(30)는 제2 형태를 유지되도록 제조된 뒤에는 포장체(20)에 제1 형태로 유지되도록 포장되며, 포장체(20)가 개봉됨과 동시에 제2 형태로 복원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서 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크(3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상을 기억하는 재질 또는 탄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정화수단(32)은 유독가스를 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마스크(30)의 양측 테두리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마스크(30)의 양측 테두리에는 접착영역(31)이 형성되는데, 이 접착영역(31) 사이에 정화수단(32)이 설치됨으로써 접착영역(31)을 통하여 정화수단(32)은 착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정화수단(32)이 유독가스를 정화한다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크(30) 착용자가 유독가스가 충진된 곳에서 호흡시, 즉 숨을 들이쉴때 유독가스가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호흠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나아가 마스크(30) 착용자가 호흡시 마스크(30) 외부의 유독가스를 정화하여 프레쉬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까지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30) 또는 정화수단(32)에는 마스크(30) 착용자가 내쉰 숨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마스크(30) 또는 정화수단(32)에는 공기가 정화영역을 통해서 마스크(30)내로 유입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에는 신속하게 마스크(30) 밖으로 배출하는 체크밸브식의 제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구조는 넓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정화수단(32)은 예컨대 방독제, 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활성탄소와 물을 혼합한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정화수단(32)에 물이 포함되므로 정화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물 성분이 포함된 정화수단이 설치되므로 적절한 습기가 유지되어, 유독가스가 발생한 상황에서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유독가스를 호흡할 때와 마찬가지로 건식인 경우보다 일정 시간 이상(예컨대 약 10분 이상) 호흡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정화수단(32)은 마스크(30)에 설치되어 진공 포장되므로 마스크 패키지(10)에서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건조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정화수단(32)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화수단(32)은 마스크(30)의 양측 테두리의 사이에는 이러한 정화수단(32)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수납부에 정화수단(32)이 수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정화수단(32)은 마스크(30)에 형성된 수납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납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크(30)의 정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조를 통하여 정화수단(32)은 착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영역(31)은 착용자의 얼굴에 마스크(3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마스크(30)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스트렙이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스트렙 대신에 마스크(30)의 양측 테두리에 접착영역(31)을 형성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전원차단, 정전 등으로 인하여 앞을 분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신속하게 마스크(30)를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접착영역(31)은 착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어 마스크(30)와 입 주위를 밀봉시킴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영역(31)은 마스크(30)의 양측 테두리에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스크(30)의 테두리를 따라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접착영역(31)은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영역(31)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30)의 테두리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포장체(20)는 마스크(30)를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수행한다. 포장체(20)의 재질은 실시예에 따라서 연질 PVC일 수 있다.
포장체(20)는 제1 면(21)과 제2 면(22)을 가질 수 있다. 제2 면(22)은 제1 면(21)과 테두리를 따라서 접착될 수 있다. 포장체(20)가 미개봉된 상태 즉, 진공 압축상태에서 제1 면(21)은 마스크(3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곡선부(21a)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면(22)은 마스크(30)가 제1 형태를 유지하도록 평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포장체(20)의 제1 면(21)과 제2 면(22)은 마스크(30)가 진공 압축상태에서 평면을 유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제1 면(21)과 제2 면(22)은 마스크(30)의 제2 형태에서 볼록한 노출면(34)과 오목한 접촉면(33)이 마스크의 패키징 과정에서 제2 면(22)측으로 당겨져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포장체(20)의 제2 면(22)의 내측에는 마스크(30)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가이드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a)는 마스크(30)의 양 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마스크(30)를 포장체(20) 내부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부(22a)는 제2 면(22)의 내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마스크(30)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부(22a)는 서로 평행하게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30)는 사용자가 포장체(20)를 개봉하면 자연스럽게 가이드부(22a)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스크 패키지(10)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가이드부(22a)와 마스크(30)의 양 측면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포장체(20)를 찢어서 개봉하고 가이드부(22a)에서 마스크(30)를 분리한 뒤에 착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포장체(20)가 미개봉된 경우와 개봉된 경우의 마스크(30)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은 마스크(30)가 직사각형의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4는 마스크(30)가 원 형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포장체(20)가 미개봉된 상태에서는 마스크(30)는 평면의 형상인 제1 형태를 유지하고 포장체(20)가 개봉시 마스크(30)는 착용자의 얼굴의 형상과 대응하는 제2 형태로 복원한다. 여기서 제2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서 곡면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30)의 제2 형태는 포장체(20)가 개봉된 상태에서 마스크(30)의 접촉면(33)이 착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면을 이루며, 마스크(30)의 노출면(34)은 접촉면(33)과 대응하도록 볼록한 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포장체(20)가 미개봉된 상태에서는 포장체(20) 내부는 진공 압축상태를 유지하고, 개봉시 진공 압축상태가 해제된다. 진공 압축상태에서는 포장체(20)와 마스크(30)는 함께 평면 형상을 유지한다. 진공 압축상태에서는 마스크(30)의 노출면(34)과 접촉면(33)이 각각 진공에 의하여 압축 또는 인장되어 마스크(30)를 평면 형상이 유지된다.
특히, 마스크 패키지(10)의 생산과정에서 제2 형태를 이루는 마스크(30)의 오목한 접촉면(33)은 그 오목한 내부가 진공에 의하여 포장체(20)의 제2 면(22)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평면 형상을 이룬다.
그러나 화재발생 등 긴급상황에서 사용자가 포장체(20)를 개봉하면, 진공 압축상태가 해제되며 마스크(30)는 제2 형태로 복원한다. 제2 형태로 복원은 진공 압축상태가 해제되면서 마스크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스크는 제2 형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제2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곡면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곡면의 형상은 원기둥 곡면(도 3을 참조), 일측은 좁고 타측으로 가면서 볼록하게 넓어지는 사발 형상의 곡면(도 4를 참조) 또는 원추형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곡면의 곡률은 착용자의 얼굴의 곡면과 유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착용자의 얼굴 사이즈를 고려하여 곡률을 대, 중, 소 등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마스크(30)가 제2 형태를 가지는 구조는 착용자의 얼굴에 마스크(30)의 접촉면(33)이 밀착되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밀착력을 높여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마스크 패키지
20: 포장체
21: 제1 면
21a: 곡선부
22: 제2 면
22a: 가이드부
30: 마스크
31: 접착영역
32: 정화수단
33: 접촉면
34: 노출면
20: 포장체
21: 제1 면
21a: 곡선부
22: 제2 면
22a: 가이드부
30: 마스크
31: 접착영역
32: 정화수단
33: 접촉면
34: 노출면
Claims (10)
- 포장체와 상기 포장체 내부에 내장되는 마스크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크의 양측 테두리에는 착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가 부착될 수 있도록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의 상기 양측 테두리의 사이에는 유독가스를 정화하는 정화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마스크는,
상기 포장체의 미개봉시에는, 상기 포장체 내부가 진공 압축상태를 유지함에 의하여, 상기 포장체와 상기 마스크가 함께 평면의 형상인 제1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포장체의 개봉시에는, 상기 진공 압축상태가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가 상기 얼굴의 형상과 대응하는 제2 형태로 복원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직사각형, 타원형 및 원형의 형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의 형태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상기 착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면적은 상기 접촉면의 반대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마스크의 중앙에 별도의 피스(Piec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태는 곡면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테두리를 따라서 접착되는 제2 면을 가지되, 상기 진공 압축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마스크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곡선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마스크가 상기 제1 형태를 유지하도록 평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마스크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패키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947A KR101738639B1 (ko) | 2015-03-17 | 2015-03-17 |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
PCT/KR2015/011323 WO2016148366A1 (ko) | 2015-03-17 | 2015-10-26 |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947A KR101738639B1 (ko) | 2015-03-17 | 2015-03-17 |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084A true KR20160112084A (ko) | 2016-09-28 |
KR101738639B1 KR101738639B1 (ko) | 2017-06-21 |
Family
ID=5691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6947A KR101738639B1 (ko) | 2015-03-17 | 2015-03-17 |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8639B1 (ko) |
WO (1) | WO2016148366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6150B1 (ko) * | 2017-12-12 | 2018-07-06 | 김영구 |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
KR102347033B1 (ko) * | 2020-07-07 | 2022-01-04 | 주식회사 엘립 | 보편적 형태의 긴급 재난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8938B1 (ko) * | 2018-10-22 | 2020-03-13 | 조세호 | 긴급 재난용 필터 마스크 |
KR20210025382A (ko) | 2019-08-27 | 2021-03-09 | (주)피노스토리 | 다층 여과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
KR102683508B1 (ko) | 2019-08-27 | 2024-07-10 | (주)피노스토리 | 습식 가변형 다층 여과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64857Y (zh) * | 1993-07-28 | 1994-05-18 | 三航国际发展股份有限公司 | 火灾逃生用口面罩 |
JP4574437B2 (ja) * | 2005-05-20 | 2010-11-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簡易マスク包装体 |
KR200431568Y1 (ko) * | 2006-09-07 | 2006-11-23 | 이상춘 | 진공포장 팩으로 포장된 포켓용 습식 구명 마스크 |
KR101026491B1 (ko) * | 2008-07-25 | 2011-04-01 | 여창권 | 휴대형 방연 마스크 |
KR20100009628U (ko) * | 2009-03-23 | 2010-10-01 | 김형태 | 접이식 마스크 |
-
2015
- 2015-03-17 KR KR1020150036947A patent/KR1017386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0-26 WO PCT/KR2015/011323 patent/WO201614836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6150B1 (ko) * | 2017-12-12 | 2018-07-06 | 김영구 |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
KR102347033B1 (ko) * | 2020-07-07 | 2022-01-04 | 주식회사 엘립 | 보편적 형태의 긴급 재난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8639B1 (ko) | 2017-06-21 |
WO2016148366A1 (ko) | 2016-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8639B1 (ko) | 골든타임 마스크 패키지 | |
KR20170111132A (ko) | 강제 흡배기 마스크 | |
US7819117B2 (en) | Emergency oxygen mask | |
KR101876150B1 (ko) |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 |
KR101161848B1 (ko) | 외기 차단형 마스크 | |
KR102193221B1 (ko) | 대피용 방연마스크 | |
KR20120001812U (ko) | 일회용 마스크 | |
JP3921295B2 (ja) | 呼吸保護具 | |
KR101547601B1 (ko) |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 |
KR200431561Y1 (ko) | 산소호흡기용 후드 | |
US1930399A (en) | Helmet for divers, miners, firemen, and the like | |
US7107990B2 (en) | Portable face protector for protecting human being from poisonous gas and securing visibility | |
KR102031764B1 (ko) | 방연 마스크세트 | |
KR101982489B1 (ko) | 휴대용 호흡기 | |
KR101026491B1 (ko) | 휴대형 방연 마스크 | |
KR20220043269A (ko) |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한 투명마스크 | |
KR20130115534A (ko) |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 |
RU148461U1 (ru) | Сред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человека | |
CN112351823B (zh) | 口罩用过滤器保持件及包括其的口罩 | |
JP3245013U (ja) | 災害時 防煙,防毒マスク | |
JP2010099138A (ja) | 簡易呼吸装置 | |
KR20200053280A (ko) | 질식 방지용 마스크 | |
KR20130003916U (ko) | 에어가 자동 흡입되는 비상용 에어백 | |
WO2011010811A3 (ko) | 일회용 구명의 | |
KR20110008685A (ko) | 비상용 안전 마스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