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451A - 음료 분말 - Google Patents

음료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451A
KR20160111451A KR1020167022501A KR20167022501A KR20160111451A KR 20160111451 A KR20160111451 A KR 20160111451A KR 1020167022501 A KR1020167022501 A KR 1020167022501A KR 20167022501 A KR20167022501 A KR 20167022501A KR 20160111451 A KR20160111451 A KR 2016011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powder
temperature
gas
beverag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와즈 슐레만지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6011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6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making liquid products, e.g. for making chocolate milk drinks and the products for their preparation, pastes for spreading, milk crum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 Confectione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Dairy Product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음료 분말을 제공하고; 다공성 음료 분말을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고;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초과의 온도로 상승시키고; 이어서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감소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강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거품발생 음료 분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분말 {BEVERAGE POWDER}
본 개시내용은 거품발생(foaming) 음료 분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재구성 시에 음료에서 깊고 진한 풍미 및 풍부한 거품을 갖는 인스턴트 커피 분말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음료 성분은 소비자의 편의에 따라 쉽게 음료를 재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인기가 있다. 이러한 성분 중에서도 인스턴트 커피 분말을 제조하는 것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커피 콩으로부터 신선하게 제조된 음료의 경험을 모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존재하는 수많은 방식에서는 재구성된 음료가 신선한 제품에 필적하게 되는 것에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종종 신선하게 제조된 추출물의 진정한 풍미가 부족하다. 소량의 볶은 분쇄 커피 (때때로 "마이크로분쇄"라고 일컬어짐)를 함유하는 액체 커피 추출물로부터 형성되는, 분무 건조 및 동결 건조 양쪽 모두의 다수의 최근 인스턴트 커피 제품이 존재한다. 이러한 볶은 분쇄 커피의 포함이 더욱 깊은 풍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실상, 마이크로분쇄 원두를 함유하는 가용성 커피 음료는 소비자에게 개선된 관능 성질, 예컨대 개선된 입안 느낌을 제공하고, 시장에서 '프로퍼 커피(proper coffee)', 즉 신선하게 끓인 볶은 분쇄 커피에 더욱 관련된 것으로 긍정적으로 인지되고 있다.
또한 가용성 커피 제품은 진정한 표면 거품이 부족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피의 세공에 포획된 기체를 함유하는 다수의 제품이 또한 존재한다. 커피 분말의 재구성 시에, 포획된 기체는 음료의 윗 표면에 크레마 또는 거품을 제공한다. 이것은 제조된 음료의 외관 및 입안 느낌을 개선한다. 이러한 커피에 거품을 도입하기 위한 몇 가지 접근법이 존재한다. EP2194795는 포획된 기체를 갖는 분무 건조 커피를 얻기 위하여 분무 건조 전에 액체 커피 추출물에 기체를 주입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US7534461은 커피의 세공에 기체를 포획하기 위해 밀봉된 예비가압된 용기에서 다공성 커피 분말을 가열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서류 양쪽 모두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US20060040033은 비-탄수화물 형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따라서, 개선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제공하고/거나 선행 기술과 관련된 문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거나 또는 적어도 통상적으로 유용한 그의 대체물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첫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개시내용은
다공성 음료 분말을 제공하고;
다공성 음료 분말을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고;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초과의 온도로 상승시키고;
이어서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감소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강하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거품발생 음료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하기 단락에서,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들을 더욱 상세히 정의한다. 명백히 반대로 표시되지 않는 한, 이렇게 정의된 각각의 측면을 임의의 기타 측면 또는 측면들과 조합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표시된 임의의 특징을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표시된 임의의 기타 특징 또는 특징들과 조합할 수도 있다.
"음료 분말"이란, 음료 또는 음료의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수성 음료 매질로 재구성하기에 적합한 인스턴트 분말을 의미한다. 즉, 음료 분말은 단독으로 최종 음료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가용성 커피 분말일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용어는 또한 배합 음료 조성물에 포함시키기에 적합한 분말화 성분, 예컨대 핫 초콜릿 배합물의 우유 성분, 카푸치노에 사용하기 위한 크리머 등을 포함한다.
음료 "분말"이란, 건조 음료 성분의 임의의 입상 형태, 예컨대 음료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과립 또는 분말를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의 음료, 예컨대 핫 초콜릿 음료 믹스, 분무 건조된 우유 분말 또는 동결 건조된 커피 과립을 제공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적합한 분말은 10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최장 직경을 가질 것이다.
"거품발생" 음료 분말이란, 그의 표면에 거품을 갖는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성 음료 매질로 재구성하기에 적합한 음료 분말 (단독 또는 배합물)을 의미한다. 거품은 재구성 시에 방출되는 거품발생 분말에 포획된 기체에 의해 생성된다. 기체는 대기압을 초과한 압력에서 적어도 일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폐쇄 세공에 포획된다.
다공성 음료 분말이란, 하나 이상의 개방 또는 폐쇄 세공을 포함하여 팽창된 구조를 갖는 음료 분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료 분말은 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WO2009/059938에서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모두 적합하다. 바람직한 음료 분말은 적어도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의 "거품발생" 다공도 (수은 다공성 측정 또는 X-선 단층촬영으로 측정됨)를 갖는다.
거품발생 다공도는 거품발생에 기여하고 분말의 잠재적인 거품발생 능력을 특징화하는 다공도의 측정이다. 2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개방 직경을 갖는 세공은, 이 세공 내의 모세관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높고 이것이 거품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거품에 기여할 수도 있다. 거품발생 다공도는 폐쇄 세공 및 2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개방 직경을 갖는 개방 세공을 포함함으로써 수득된다.
유리-액체 전이 (또는 간단히 유리 전이), Tg는 경질 및 비교적 깨지기 쉬운 상태로부터 용융 또는 고무-유사 상태로 무정형 물질의 가역적 전이이다. Tg 값의 결정은 음료 산업에서 잘 알려져 있고, 주어진 분말을 위해 간단한 실험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분말이 2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 이들은 상이한 Tg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음료 분말의 하나 이상의 성분이 그의 Tg 초과로 상승되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것은 존재하는 임의의 기타 음료 성분을 함유하기 위한 기질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원에서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 US753446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무 건조된 커피 분말의 세공에 기체를 포획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분말을 적합한 기체로 가압한 다음 분말을 그의 Tg 초과로 가열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체가 커피 분말의 세공에 포획될 수도 있다. 가열 전에 가압을 수행하고, 가압 커피 용기 주위의 가열된 오일 자켓으로 가열을 수행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커피를 위한 종래의 방법에 다수의 단점이 존재함을 알아내었다. 예를 들어, 방법은 입자의 심각한 응집을 유도하고, 따라서 이것을 경감시키기 위해 자유 유동제 (예컨대 이산화규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된 오일 자켓의 사용으로부터 비롯되는 느린 가열 변화로 인하여, 커피를 원하는 것보다 더 오랫동안 승온으로 유지시키고; 이것은 응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커피 풍미 성분 (예컨대 커피 방향 성분)의 열화를 일으킨다. 커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더욱 강력한 가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대량의 커피를 더 빨리 가열/냉각시키는 것은 엄청나게 고비용이 든다.
그 대신에, 본 발명자들은 공정 챔버 내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음료 분말 벌크 전체에 걸쳐 온도의 빠른 증가 및 감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온도 변화는 가파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챔버 전체에 걸쳐 고르게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단순히 압력을 미리 결정된 수준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그의 유리 전이 온도 (Tg)에 근접하게 다공성 분말을 가열함으로써, 조절된 양의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온도로 벌크 분말의 온도를 Tg 초과로 상승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어서, Tg 미만으로의 벌크 분말 온도의 급작스런 조절된 강하를 일으키도록 압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다.
승온에서 요구되는 감소된 시간으로 인하여, 음료 분말 중의 풍미 성분의 열화가 적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것은 특히, 마이야르(maillard) 반응이 풍미를 해칠 수 있는 온도 민감성 인스턴트 커피 제제 및 우유 분말에 대해서 그렇다. 또한, 분말이 그의 Tg 초과에서의 시간을 여전히 감소시키면서, 기체 포획을 위해 충분한 온도가 더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증가된 거품발생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참조).
방법은 증가된 압력으로 인해 공정 챔버에서 증가된 기체 온도를 거쳐 온도가 증가됨을 의미하는 용적식 가열(volumetric heating)에 좌우된다 (냉각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방법은 처리 챔버의 벽을 통한 대류 및 전도에 덜 좌우된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서도 구속되기를 원하지는 않지만, 가열은 용적식으로 행해지고 음료 분말에 고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응력이 감소되고 세공이 파괴되는 경향이 적기 때문에 더 많은 부피의 기체가 포획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 결과, 분말의 과도한 케이킹(caking) 및 응집이 적게 존재할 수도 있다. 열점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이 덜 고른 경우에 케이킹이 더욱 일어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케이킹-방지제로서 공지된, 자유-유동제(free-flow agent)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방법을 수행한다. 이들은 덩어리의 형성을 방지하고 포장, 운반 및 소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말화 또는 입상화 물질에 존재하는 첨가제이고, 분말을 가열할 때 응집을 감소시키기 위해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자유-유동제 및 케이킹-방지제는 이산화규소, 인산삼칼슘, 분말화 셀룰로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중탄산나트륨, 소듐 페로시아나이드, 포타슘 페로시아나이드, 칼슘 페로시아나이드, 골질 포스페이트, 규산나트륨, 규산칼슘,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탈컴 분말, 소듐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포타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스테아르산,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추가의 성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더 간단하고 덜 복잡한 방법에 의해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자유-유동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피로서의 제품을 참조할 때 규제 문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 요구되는 첨가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음료 분말은 다공성 구조를 갖고 그의 세공에 가압 기체를 포획할 수 있는 임의의 탄수화물 및/또는 단백질 조성물일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하게는, 대부분의 표준 음료 성분에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그 결과 기체를 포획하기 위해 임의의 추가의 기질이 분말에 존재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음료 분말은 가용성 커피, 핫 초콜릿, 말토덱스트린, 차, 크리머 및 우유 분말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다공성 음료 분말은 인스턴트 커피 분말, 특히 분무 건조된 커피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 건조된 커피 분말이 또한 이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의도될 수 있지만, 분무 건조된 커피에 비해 더욱 큰 개방 세공으로 인해 덜 바람직하다.
가용성 커피 음료 성분은 미세 분쇄된 볶은 분쇄 커피, 예컨대 5 내지 8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마이크로미터의 입자 크기를 갖는 커피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커피는 다공성 음료 분말 내에서 바람직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자유-유동제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존재할 때,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가용성 커피의 5 내지 20 wt%이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음료 분말을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의 20℃, 바람직하게는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내로 상승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가열은 유리 전이 온도보다 1℃ 넘게 낮은 온도까지이다. 압력이 증가되기 전에 분말이 Tg에 근접할수록, 온도를 Tg 초과로 상승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 증가는 적어진다. 분말을 가열하는 것은 추가적 승압을 이용하는 것보다 비용-효과적이고, 그에 따라 근접 예열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말에 존재하는 풍미의 일반적인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온도가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체-함유 분위기를 공기, 질소 및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한다. 질소 및/또는 이산화탄소가 음료 분말의 임의의 산화 또는 부패를 경감시키기 때문에 이것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다공성 분말을 10 내지 200 Bar,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Bar,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Bar의 압력으로 예비가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해되는 것과 같이, 기체를 다공성 분말의 세공 내에 도입하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최종 압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가열 단계 전에 예비상승된 압력의 사용은, 온도를 증가시키고 기체-세공 침윤을 위해 충분한 압력을 얻기 위하여 요구되는 압력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을 챔버에서 수행하고, 여기서 챔버 내의 기체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및/또는 챔버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기술 중에서, 기체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쉽게 조절가능하면서 압축 및 과다한 응집의 위험을 피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을 1 내지 100 Bar,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Bar 증가시킨다 (이어서 감소시킨다). 이러한 압력 변화는 분말의 Tg에 비해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충분하다. 처리 후에 압력이 감소할 때, 온도가 매우 빠르게 강하하고, 내부에 포획된 가압 기체로 구조물이 효과적으로 "급냉"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을 증가된 압력에서 1초 내지 15분,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5분 동안 유지한다. 기체가 다공성 분말의 세공을 충분히 침윤하기 위하여 이러한 양의 시간이 요구된다. 반대로, US7534461에 개시된 바람직한 시간 범위는 10 내지 150분, 전형적으로 대략 30분 내지 1시간의 범위이다. 이것은 생성물을 처리 온도로 상승시키고 그 후에 이것을 냉각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생성물의 더욱 빠른 처리 및 더 적은 열화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음료 분말은 1분 후에 적어도 2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분 후에 3 내지 6 ml의 거품발생 수준을 제공한다. 음료 분말이 거품발생되는 정도는 정량적 컵-내 거품발생 시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 시험은 재-구성 시에 조성물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의 양을 측정한다. 이 방법에서, 시험되는 조성물 1.8 g을 20℃에서 25 mm 직경 및 250 mm 높이의 100 cm3 실린더형 유리 측정 실린더 내에 측량해 넣은 다음, 80℃에서 70 cm3의 물을 약 5초의 기간에 걸쳐 측정 실린더의 꼭대기에 깔때기를 통해 비커로부터 그 위에 붓는다. 사용된 깔때기는 내부 직경 5 mm 및 길이 50 mm의 관형 구역에 연결된 바닥 직경 50 mm 및 높이 40 mm의 원뿔 구역으로 구성된다. 깔때기는 조성물을 재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의 첨가를 조절한다. 재구성 시에 조성물에 의해 발생된 거품 부피를 1 및 10분 시간 간격으로 기록한다. 모든 측정을 이중으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것을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포장은 종래의 대량 인스턴트 커피 포장, 예컨대 병 또는 포트 또는 재충전 주머니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포장은 음료 제조 기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음료 제조 캡슐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기계는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타시모(Tassimo)TM 기계를 포함한다.
또한, 공정 후 및 임의의 포장 전에 분말의 크기 또는 표면 성질을 적응시키기 위하여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밀링, 분쇄 또는 추가의 처리로 처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추가의 처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세공 크기 및 포획된 기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피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음료, 예컨대 카푸치노, 백차, 화이트 커피 또는 핫 초콜릿 음료 믹스의 제조를 위해 적합한 복합 음료 분말을 형성하기 위해 분말을 추가의 성분과 배합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이 제공된다. 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은, 분말이 종래의 분말과 관련된 풍미 열화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고압 포획된 기체로 인해 종래의 거품발생 분말로부터 구별될 수도 있다.
세 번째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개시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수성 매질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성 매질은 우유 또는 물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성 매질이 제공된다.
네 번째 측면에 따르면, 수성 음료 매질을 위한 입구, 음료를 위한 출구 및 그들 사이의 유동경로를 포함하고, 추가로 유동경로에 본원에 개시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이 제공된다.
다섯 번째 측면에 따르면, 수성 음료 매질을 본원에 개시된 캡슐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이제 하기 비-제한적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a는 선행 기술의 기술을 나타내는 일례의 플롯을 나타낸다. 윗쪽 각진 선은 용기 압력을 나타낸다. 아래쪽 곡선은 공정 챔버의 가열/냉각에 의해 조절된 온도 변화를 나타낸다. Tg는 플롯을 가로지른 밴드로서 표시된다.
도 1b는 본원에 개시된 기술을 나타내는 일례의 플롯을 나타낸다. 윗쪽 각진 선은 용기 압력을 나타낸다.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온도 플롯에서의 상응하는 증가). 아래쪽 선은 공정 챔버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다. Tg는 플롯을 가로지른 밴드로서 표시된다.
도 1a 및 1b는 주어진 샘플의 예상된 온도 및 압력만을 표시한 것임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제공되는 축적은 없다. Tg 밴드의 상대 높이 및 폭이 도면에서 상이함을 주지한다. 그러나, 주어진 물질의 Tg는 일정하다.
도 2a는 본원에 개시된 인스턴트 커피 조성물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용기(1)를 나타낸다.
도 2b는 커피 음료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공정의 주요 단계의 흐름도이다. 단계 A에서, 다공성 음료 분말이 제공된다. 단계 B에서, 이 분말을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한다. 단계 C에서, 압력을 증가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초과의 온도로 상승시킨다. 단계 D에서, 압력을 감소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강하시킨다.
본 발명을 이제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3.5%의 수분 함량 및 8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1 kg의 분무 건조된 커피 분말을 외부에 오일 가열 자켓을 갖는 텀블링 고압 용기에 넣었다. 용기를 질소로 60 Bar로 가압한 다음, 오일 자켓을 75℃로 설정하였다. 3.5℃/min의 속도로 텀블링 압력 용기의 벽을 통한 오일 자켓의 전도를 통해 분말을 가열하였다. 내용물이 75℃의 온도일 때까지 용기를 가열하였다.
이어서, 용기를 90 Bar로 추가로 가압하였다. 이러한 급속 가압은 분말 온도를 75℃로부터 85℃로 즉시 변화되도록 하였다. 이것은 이 특정한 분말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분무 건조된 입자의 세공 내에 고압 기체가 침투하는 데 필요한 컨디셔닝을 이룬다. 분말을 이 온도에서 5분 동안 유지시킨 다음, 압력을 용기에서 40 Bar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급속 감압은 분말 온도를 85℃로부터 그의 유리 전이 미만의 온도인 70℃로 즉시 강하시켰다.
이어서, 오일 히터를 20℃로 설정하고, 30℃에 도달할 때까지 1℃/min의 속도로 분말을 냉각시켰다. 이어서, 용기를 대기압으로 감압하고 용기를 비웠다. 얻어진 분무 건조된 분말을 용기에서 꺼냈고, 이것은 그의 기밀 공극 내부에 포획된 고압 기체를 가졌다.
기본 분무 건조된 분말과 비교할 때, 이것은 열수로 만들어질 때의 기체 방출보다 8배 더 많은 기체 방출을 제공하였다. 또한 분말은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85% 자유 유동 분말로 나왔다. 남아있는 응집물은 연질 응집물이었고, 그의 거품발생 잠재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분말로 분쇄될 수 있었다. 이러한 우수 공정의 최적화는 자유 유동 분말을 제공하였고, 양호한 기체 포획은 분말을 오로지 그의 유리 전이 온도 초과의 온도에 노출시키는 기간을 조절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본원에서 상세히 기재하였으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 또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에 변형을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6)

  1. 다공성 음료 분말을 제공하고;
    다공성 음료 분말을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고;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초과의 온도로 상승시키고;
    이어서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감소시켜 다공성 음료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강하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거품발생 음료 분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음료 분말이 가용성 커피, 핫 초콜릿, 말토덱스트린, 차, 크리머 및 우유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공성 음료 분말이 분무 건조된 커피 분말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공성 음료 분말을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그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분말의 온도를 그의 유리 전이 온도의 20℃, 바람직하게는 10℃ 이내로 상승시키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함유 분위기가 공기, 질소 및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함유 분위기에서 다공성 분말을 10 내지 100 Bar의 압력으로 예비가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을 챔버에서 수행하고, 챔버에서 기체의 양을 증가시키고/거나 챔버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체-함유 분위기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을 1 내지 100 Bar,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Bar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을 증가된 압력에서 10초 내지 1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공성 음료 분말이 1분 후에 적어도 2 ml의 거품발생 수준을 제공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유-유동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것을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거품발생 음료 분말.
  14. 제12항의 거품발생 음료 분말 또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수성 매질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15. 수성 음료 매질을 위한 입구, 음료를 위한 출구 및 그들 사이의 유동경로를 포함하고, 추가로 유동경로에 제13항의 거품발생 음료 분말 또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거품발생 음료 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
  16. 제15항의 캡슐에 수성 음료 매질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14항에 따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0167022501A 2014-02-26 2015-01-29 음료 분말 KR20160111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03345.0 2014-02-26
GB1403345.0A GB2523739A (en) 2014-02-26 2014-02-26 Beverage powder
PCT/IB2015/000116 WO2015128710A1 (en) 2014-02-26 2015-01-29 Beverage pow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451A true KR20160111451A (ko) 2016-09-26

Family

ID=5048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501A KR20160111451A (ko) 2014-02-26 2015-01-29 음료 분말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60255856A1 (ko)
EP (1) EP3110258A1 (ko)
JP (1) JP2017512053A (ko)
KR (1) KR20160111451A (ko)
CN (1) CN106102470A (ko)
AR (1) AR099530A1 (ko)
AU (1) AU2015221892A1 (ko)
CA (1) CA2895295A1 (ko)
EA (1) EA201691464A1 (ko)
GB (1) GB2523739A (ko)
IL (1) IL247163A0 (ko)
MX (1) MX2016011101A (ko)
PH (1) PH12016501520A1 (ko)
WO (1) WO2015128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09353A2 (pt) * 2017-12-20 2020-10-27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recipiente de café otimizado para preparação de bebida
JP2019140952A (ja) * 2018-02-19 2019-08-29 株式会社コンプ 経口摂取用栄養調整食品
AU2020267803A1 (en) * 2019-05-07 2021-11-04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owdered beverage or food composition
CN113853119A (zh) * 2019-06-05 2021-12-28 雀巢产品有限公司 速溶咖啡粉末
JP2022547834A (ja) * 2019-09-04 2022-11-16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圧縮果実粉末及び飲料粉末
WO2023203445A1 (en) * 2022-04-22 2023-10-26 The Live Green Group, Inc., Plant-only leavening agent replacement system in food produc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4181A1 (en) * 1999-08-03 2001-02-0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Foaming creamer ingredient and powders containing it
ATE373963T1 (de) * 2002-08-30 2007-10-15 Campina Bv Schäumender bestandteil und diesen bestandteil enthaltende produkte
US20060040033A1 (en) * 2004-08-17 2006-02-23 Zeller Bary L Non-carbohydrate foa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713565B2 (en) * 2004-08-17 2010-05-11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of preparing a foaming soluble coffee powder
US7534461B2 (en) * 2004-08-17 2009-05-19 Kraft Foods Holdings, Inc. Non-protein foa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736683B2 (en) * 2004-08-17 2010-06-15 Kraft Food Global Brands Llc Method to increase the foaming capacity of spray-dried powders
US8486477B2 (en) * 2008-10-24 2013-07-16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Gas-effu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691464A1 (ru) 2017-01-30
WO2015128710A1 (en) 2015-09-03
MX2016011101A (es) 2017-02-28
AU2015221892A1 (en) 2016-08-25
GB201403345D0 (en) 2014-04-09
IL247163A0 (en) 2016-09-29
EP3110258A1 (en) 2017-01-04
GB2523739A (en) 2015-09-09
US20160255856A1 (en) 2016-09-08
JP2017512053A (ja) 2017-05-18
CA2895295A1 (en) 2015-08-26
CN106102470A (zh) 2016-11-09
PH12016501520A1 (en) 2017-02-06
AR099530A1 (es)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508B1 (ko) 인스턴트 음료 제품
KR101560852B1 (ko) 즉석 음료 제품
KR20160111451A (ko) 음료 분말
CA2755827C (en) Instant beverage product
CA2755826C (en) Instant beverage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