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347A -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347A
KR20160111347A KR1020160114224A KR20160114224A KR20160111347A KR 20160111347 A KR20160111347 A KR 20160111347A KR 1020160114224 A KR1020160114224 A KR 1020160114224A KR 20160114224 A KR20160114224 A KR 20160114224A KR 20160111347 A KR20160111347 A KR 2016011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 set
panel
shielding film
external pane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876B1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8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장 패널 코너부분에서 발생 되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외장패널의 변색 및 탈색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건물에 확대될 수 있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장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음 연결이 되도록 하는 외장패널 장착용 브라켓(170)을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단계(S100)와,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 고정 설치 후, 평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 직각구조를 갖는 차단막(120)이 외장 패널의 코너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차단막(120)이 하나만 구성되는 단일형(130)과, 차단막(120)이 2개로 구성되는 더블형(140), 차단막(120)이 4개로 구성되는 교차형(150)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차단막(120)은 직각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제1차단막(121)과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막(122)으로 구성되며, 제2차단막(122)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1, 2 차단막(121,122)이 동시에 구성되는 한편, 상기 차단막(120)의 내측에는 방수 부재 세트(100)가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 또는 철구조물(160)과 용이한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장착공(111)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111)은 상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외장 패널 설치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차단막(120)의 높이 비해 낮게 형성된 방수 부재 세트(100)를 순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수 부재 세트 고정단계(S200)와,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를 각각 고정 후 외장 패널(1)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 고정하고, 동시에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반복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Description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External panel using waterproof subsidiary materials set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its water subsidiary materials set corner of the external panels for buildings}
본 발명은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건물의 외장 패널 코너부분에서 발생 되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외장패널의 변색 및 탈색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건물에 확대될 수 있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외벽 마감 시공은 석재, 유리, 타일 등의 마감자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시공하고 있으며, 각각의 마감자재가 갖는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장소 역시 천차만별인데, 그 중 타일은 형상과 크기 및 디자인이 다양해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작게는 주택 크게는 학교, 오피스텔, 공공단체, 아파트 등의 외벽 마감 시공자재로 활용되어 왔다.
그리고 석재와 유리는 변색 및 탈색으로 진행되는 시간이 길어 호응이 좋으나, 상당한 중량으로 인해 적용할 수 있는 건축물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시공과정이 난해하여 경제적인 비용이 부담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외장 패널(1)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석재와 유리에 비해 가볍고 시공이 간편한 반면,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여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열팽창계수가 최대가 되어 외관이 불룩하게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외장패널이 시공된 코너 및 교차부위에는 장시간의 사용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계절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외장 패널의 시공방법으로는 특허출원 제10-2014-0014482호(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가 제시되고 있으나, 누수를 보완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시공방법은 현재 확인되지 않고 있다.
누수의 원인은 시공상의 문제도 있을 수 있겠으나, 근본적으로는 외장패널이 갖는 코너의 취약점 때문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외장패널(1)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방면으로 1회 이상 절곡 가공되어 절곡면(2)이 형성되며, 절곡면(2)이 형성되는 사이에는 절곡에 의한 틈새(3)가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외장 패널의 코너에 형성된 틈새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외장패널이 시공된 후 형성되는 줄 눈(5)의 교차지점(4) 역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가 발생 되는 것이다.
물론, 시공 후 곧바로 누수가 발생 되는 것은 아니지만, 계절의 변화와 열팽창 등에 의해 실리콘 등의 마감재가 제 기능을 상실하면서 누수가 천천히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누수로 인해 외장 패널의 탈색 및 변색 그리고 콘크리트 건물로 누수가 확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건축용 외장 패널의 시공과 관련된 선행기술 자료로는 특허출원 제10-2008-0065393호(발명의 명칭 : 건축용 외장 판넬 및 그 시공방법),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24478호(고안의 명칭 : 외장 단열 판넬 고정용 프레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건물의 외장 패널 코너부분에서 발생 되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외장패널의 변색 및 탈색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건물에 확대될 수 있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100)는,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 또는 철구조물(160)과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하는 장착공(111)이 형성된 평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직각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제1차단막(121)과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막(122)을 포함하는 차단막(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120)은 외장패널의 코너 위치에 따라 하나만 구성되는 'ㄱ' 자 형태의 단일형(130)과, 차단막(120)이 2개로 구성되는 'T'자 형태의 더블형(140)과, 차단막(120)이 4개로 구성되는 '+' 자 형태의 교차형(150)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T' 자 형태의 더블형(140)과, '+' 자 형태의 교차형(150)의 경우 차단막(120) 사이로 외장패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120)이 이격 되게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공(111)은 상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외장 패널 설치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차단막(120)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방법은,
외장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음 연결이 되도록 하는 외장패널 장착용 브라켓(170)을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단계(S100)와,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 고정 설치 후, 방수 부재 세트(100)를 순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수 부재 세트 고정단계(S200) 및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를 각각 고정 후 외장 패널(1)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 고정하고, 동시에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반복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은 건물의 외장 패널 코너부분에서 발생 되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외장패널의 변색 및 탈색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건물에 확대될 수 있는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깔끔한 외관의 제공은 물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외장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외장 패널 설치 후 줄 눈이 교차 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외장 패널 장착용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외장 패널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교차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외장 패널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시공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100)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 또는 철구조물(160)과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하는 장착공(111)이 형성된 평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직각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제1차단막(121)과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막(122)을 포함하는 차단막(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120)은 외장패널의 코너 위치에 따라 하나만 구성되는 'ㄱ' 자 형태의 단일형(130)과, 차단막(120)이 2개로 구성되는 'T'자 형태의 더블형(140)과, 차단막(120)이 4개로 구성되는 '+' 자 형태의 교차형(150)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T' 자 형태의 더블형(140)과, '+' 자 형태의 교차형(150)의 경우 차단막(120) 사이로 외장패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120)이 이격 되게 배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일형(130) 이라 함은 차단막(120)이 하나만 구성된 것으로, 도 6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단일형(130)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패널 시공과정에서 좌측 또는 우측 끝단에 배치되는 외장패널 중에서도 좌측 또는 우측 하단에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더블형(140)은 차단막(120)이 상, 하 또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된 것으로, 도 6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더블형(140)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패널이 시공되는 전체 면 중 가장자리 면에 배치되는 외장패널의 사이에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차형(150)은 차단막(120)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된 것으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교차형(150)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패널이 시공되는 전체 면 중 교차가 발생 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막(120)은 직각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제1차단막(121)과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막(1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차단막(122)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1, 2 차단막(121,122)이 동시에 구성될 수 있다.
즉, 일정강도 이상의 고무라면 제2차단막(122) 단독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이며, 연질의 고무인 경우 강도향상을 위해 금속재질의 제1차단막(121)을 동시에 구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막(120)의 내측에는 방수 부재 세트(100)가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 또는 철구조물(160)과 용이한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장착공(111)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111)은 상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외장 패널 설치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차단막(120)의 높이 비해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외장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음 연결이 되도록 하는 외장패널 장착용 브라켓(170)을 고정시킨다(S100).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은 도 3에서 도시된 것 이외에도 외장 패널을 설치 하는데 사용 및 응용되는 장착 브라켓을 통칭한다고 할 수 있으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를 작업 조건에 알맞게 적용하여 설치하면 된다.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을 설치 고정한 후에는 평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 직각구조를 갖는 차단막(120)이 외장 패널의 코너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차단막(120)이 하나만 구성되는 단일형(130)과, 차단막(120)이 2개로 구성되는 더블형(140), 차단막(120)이 4개로 구성되는 교차형(150)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차단막(120)은 직각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제1차단막(121)과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막(122)으로 구성되며, 제2차단막(122)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1, 2 차단막(121,122)이 동시에 구성되는 한편, 상기 차단막(120)의 내측에는 방수 부재 세트(100)가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 또는 철구조물(160)과 용이한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장착공(111)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공(111)은 상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외장 패널 설치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차단막(120)의 높이 비해 낮게 형성된 방수 부재 세트(100)를 순차적으로 고정시킨다(S200).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를 각각 고정 후 외장 패널(1)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 고정하고, 동시에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반복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 설치 과정은 완료되며, 줄 눈(5)이 형성되는 지점에는 부분적으로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마감처리를 하면 외장패널 설치작업은 종료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방수 부재 세트(100)가 외장 패널의 코너부분에 형성되는 틈새(3)를 완벽하게 봉인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벽면에 발생 될 수 있는 2차 누수까지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1: 외장 패널 2:절곡면
3:틈새 4:교차지점
5:줄눈 100:방수 부재 세트
110:베이스플레이트 111:장착공
120:차단막 121:제1차단막
122:제2차단막 130:단일형
140:더블형 150:교차형
160:철구조물 170:장착용 브라켓
S100:브라켓 고정단계
S200:방수 부재 세트 고정단계

Claims (2)

  1.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 또는 철구조물(160)과 견고한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장착공(111)이 형성된 평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직각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제1차단막(121)과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2차단막(122)을 포함하는 차단막(120)이 구성되되,
    상기 차단막(120)은 외장패널의 코너 위치에 따라 하나만 구성되는 'ㄱ' 자 형태의 단일형(130)과, 차단막(120)이 2개로 구성되는 'T'자 형태의 더블형(140)과, 차단막(120)이 4개로 구성되는 '+' 자 형태의 교차형(150)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T' 자 형태의 더블형(140)과, '+' 자 형태의 교차형(150)의 경우 차단막(120) 사이로 외장패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120)이 이격 되게 배치 구성되는 한편,
    상기 장착공(111)은 상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외장 패널 설치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차단막(120)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2. 제1항의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외장 패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음 연결이 되도록 하는 외장패널 장착용 브라켓(170)을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단계(S100):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 고정 설치 후, 방수 부재 세트(100)를 순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수 부재 세트 고정단계(S200); 및
    상기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를 각각 고정 후 외장 패널(1)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 고정하고, 동시에 장착용 브라켓(170)과 방수 부재 세트(100)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반복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20160114224A 2016-09-06 2016-09-06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170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24A KR101707876B1 (ko) 2016-09-06 2016-09-06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24A KR101707876B1 (ko) 2016-09-06 2016-09-06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961A Division KR20160000880A (ko) 2015-12-15 2015-12-15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347A true KR20160111347A (ko) 2016-09-26
KR101707876B1 KR101707876B1 (ko) 2017-02-17

Family

ID=5706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224A KR101707876B1 (ko) 2016-09-06 2016-09-06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939A (ko) * 2017-07-14 2019-01-23 성기인 내외장재용 흡음판넬의 고정장치
KR102152847B1 (ko) * 2020-04-10 2020-09-07 김영석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KR102436483B1 (ko) * 2021-07-22 2022-09-28 주식회사 연합스틸 방수 패널 시공방법 및 방수 패널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852U (ja) * 1992-11-30 1994-06-14 三菱化成株式会社 壁面用パネル
KR20140022946A (ko) * 2014-02-05 2014-02-25 오경순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20150083431A (ko) * 2014-01-09 2015-07-17 신원수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신축줄눈 설치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852U (ja) * 1992-11-30 1994-06-14 三菱化成株式会社 壁面用パネル
KR20150083431A (ko) * 2014-01-09 2015-07-17 신원수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신축줄눈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22946A (ko) * 2014-02-05 2014-02-25 오경순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939A (ko) * 2017-07-14 2019-01-23 성기인 내외장재용 흡음판넬의 고정장치
KR102152847B1 (ko) * 2020-04-10 2020-09-07 김영석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KR102436483B1 (ko) * 2021-07-22 2022-09-28 주식회사 연합스틸 방수 패널 시공방법 및 방수 패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876B1 (ko) 201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370B1 (ko)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1707876B1 (ko)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CN104343201A (zh) 一种双曲面单元式幕墙系统及其安装方法
KR20160000880A (ko)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및 그 방수 부재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US10066383B1 (e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20210070242A (ko)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592466B1 (ko)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4225A (ko) 패시브 하우스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패시브 하우스 시공 방법
KR101681848B1 (ko) 고효율 모듈러 하우스용 조립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시공 방법
JP2016089517A (ja) 浴室ユニット
KR20220116659A (ko) 밀폐형 도어 문틀구조
EP1726728B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KR102117407B1 (ko) 건물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91502A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200361541Y1 (ko)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RU118660U1 (ru)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CN212641845U (zh) 现浇筑墙体及墙体装饰板安装组件
KR102103928B1 (ko) 건축용 외장재 결합구조
BRPI0804170A2 (pt) sistema modular de construções industrializadas bipartidas longitudinalmente
JP3016805U (ja) Alc外壁面の表面仕上げ構造、及びこれに利用される表装シート材
KR20220063398A (ko) 벽체 및 창틀 주변 누수 방지를 위한 외벽 마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52749B1 (ko) 커튼월 타입의 라운드 코너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