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076A -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076A
KR20160111076A KR1020150035738A KR20150035738A KR20160111076A KR 20160111076 A KR20160111076 A KR 20160111076A KR 1020150035738 A KR1020150035738 A KR 1020150035738A KR 20150035738 A KR20150035738 A KR 20150035738A KR 20160111076 A KR20160111076 A KR 20160111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le
space
jaw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규
Original Assignee
강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규 filed Critical 강대규
Priority to KR102015003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1076A/ko
Publication of KR2016011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Y2201/6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은 도어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 뚫린 고정 축구멍이 형성되는 고정 결합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 뚫린 회전 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단과 상하 방향으로 이어져서 상기 고정 축구멍 및 상기 회전 축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길게 뻗은 하나의 영역인 힌지공간을 형성하는 회전 결합단과, 상기 힌지공간의 내주면 중 상기 힌지공간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는 상부 걸림턱과, 상기 힌지공간의 내주면 중 상기 힌지공간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떨어지고 상기 상부 걸림턱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는 하부 걸림턱과, 상기 힌지공간의 상단 구멍을 통해 들어와서 하단이 상기 상부 걸림턱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일부는 상기 고정 축구멍 내부에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회전 축구멍 내부에 있도록 설치되는 상부 힌지축과, 상기 힌지공간의 하단 구멍을 통해 들어와서 상단이 상기 하부 걸림턱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일부는 상기 고정 축구멍 내부에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회전 축구멍 내부에 있도록 설치되는 하부 힌지축과, 상기 상부 걸림턱과 상기 하부 걸림턱 사이 공간인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고정 결합단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1 전선 출입구멍과, 상기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회전 결합단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2 전선 출입구멍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제1 전선 출입구멍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되는 제1 전선 인입홈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제2 전선 출입구멍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되는 제2 전선 인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DOOR HINGE FOR WIRING}
본 발명은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높아가면서 실내에 설치되는 문 내부에 조명등을 넣고 문짝의 겉면을 반투명하게 하여 문에서 은은한 조명 빛이 나오게 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내고자 하는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존 여닫이문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경첩은 좌측 판(1)과 우측 판(2), 좌측 판과 우측 판을 연결하고 회전하게끔 하여 경첩의 기능을 하게 하는 핀(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여닫이문의 경첩을 사용하는 경우, 배관배선을 노출시키지 않고 문으로 전원 공급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여닫이 도어에 배관배선에 따른 전선 등의 노출로 인한 미관 저해 없이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없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닫이 형식의 문에 배관 배선을 노출시키지 않고 문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은 도어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 뚫린 고정 축구멍이 형성되는 고정 결합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 뚫린 회전 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단과 상하 방향으로 이어져서 상기 고정 축구멍 및 상기 회전 축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길게 뻗은 하나의 영역인 힌지공간을 형성하는 회전 결합단과, 상기 힌지공간의 내주면 중 상기 힌지공간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는 상부 걸림턱과, 상기 힌지공간의 내주면 중 상기 힌지공간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떨어지고 상기 상부 걸림턱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는 하부 걸림턱과, 상기 힌지공간의 상단 구멍을 통해 들어와서 하단이 상기 상부 걸림턱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일부는 상기 고정 축구멍 내부에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회전 축구멍 내부에 있도록 설치되는 상부 힌지축과, 상기 힌지공간의 하단 구멍을 통해 들어와서 상단이 상기 하부 걸림턱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일부는 상기 고정 축구멍 내부에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회전 축구멍 내부에 있도록 설치되는 하부 힌지축과, 상기 상부 걸림턱과 상기 하부 걸림턱 사이 공간인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고정 결합단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1 전선 출입구멍과, 상기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회전 결합단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2 전선 출입구멍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제1 전선 출입구멍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되는 제1 전선 인입홈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제2 전선 출입구멍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되는 제2 전선 인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전선 인입홈을 덮어씌우도록 상기 제1 전선 인입홈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선 출입구멍이 형성된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전선 인입홈을 덮어씌우도록 상기 제2 전선 인입홈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선 출입구멍이 형성되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고무를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결합단 및 상기 회전 결합단 각각은 두 개씩이 상하 간격을 두고 요철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상기 요철의 들어간 부분과 나온 부분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에 의하면 경첩을 이용하여 여닫이 형식의 문에 배관 배선을 노출시키지 않고 문으로 전원 공급할 수 있고, 경첩의 회전축이 되는 부분에 공간을 만들어 전선을 배선하거나 관련부속을 위치시킴으로써 경첩이 작동하여도 전기배선을 안전하게 배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은 고정 플레이트(101), 회전 플레이트(102), 고정 결합단(200), 회전 결합단(210), 상부 걸림턱(111), 하부 걸림턱(112), 상부 힌지축(113), 하부 힌지축(114), 제1 커버(124) 및 제2 커버(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플레이트(101)는 도어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금속제 판이고, 회전 플레이트(102)는 도어에 결합되어 힌지축(113,114)을 중심으로 도어와 함께 회전되는 금속제 판이다.
고정 플레이트(101)의 우측 말단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고정 결합단(200)이 올록볼록한 요철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회전 플레이트(102)의 좌측 말단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회전 결합단이 올록볼록한 요철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고정 결합단(200)이 결합되어 볼록한 부분은 회전 결합단(210)들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고, 회전 결합단(210)이 결합되어 볼록한 부분은 고정 결합단(200)들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양쪽의 요철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이룬다.
고정 결합단(200)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 축구멍이 형성되고, 회전 결합단(210)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 축구멍이 형성된다.
두 개의 고정 축구멍과 두 개의 회전 축구멍이 서로 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힌지공간(115)이 형성된다.
힌지공간(115)의 내주면 중 힌지공간(115)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는 상부 걸림턱(111)이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힌지공간(115)의 내주면 중 상기 힌지공간(115)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떨어지고 상부 걸림턱(111)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는 하부 걸림턱(112)이 구비된다.
상부 힌지축(1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은 원형 봉 형태의 부재로서 힌지공간(115)의 상단구멍에 끼워지는 상부 덮개(103)와 상부 걸림턱(111) 사이에 들어가서 설치되고, 하부 힌지축(11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은 원형 봉 형태의 부재로서 힌지공간(115)의 하단구멍에 끼워지는 하부 덮개(104)와 하부 걸림턱(112) 사이에 들어가서 설치된다.
상부 힌지축(113)은 맨 윗쪽에 있는 회전 결합단(210) 전체에 의해 둘러싸이고 고정 결합단(200) 중 위쪽에 위치하는 고정 결합단(200)의 상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하부 힌지축(114)은 맨 아래쪽에 있는 고정 결합단(200) 전체에 의해 둘러싸이고 회전 결합단(210)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고정 결합단(200)의 하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본 명세서에서 힌지공간(115) 중에서 상부 걸림턱(111)과 하부 걸림턱(112) 사이 공간은 설치공간이라 칭하기로 하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공간은 전선(121)이 통과하고 별도의 커넥터장치 등 관련부속이 설치되는 공간이다.
제1 전선 출입구멍(201)은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설치공간을 둘러싸는 고정 결합단(200)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제2 전선 출입구멍(211)은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설치공간을 둘러싸는 회전 결합단(210)의 측면부에 형성된다.
제1 전선 인입홈(122)은 고정 플레이트(101)의 배면에 상기 제1 전선 출입구멍(201)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되고, 제2 전선 인입홈(132)은 회전 플레이트(102)의 배면에 상기 제1 전선 출입구멍(201)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된다.
제1 커버(124)는 제1 전선 인입홈(122)을 덮어씌우도록 제1 전선 인입홈(122)과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진 부재로서 제1 전선 인입홈(122)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선 출입구멍(123)이 형성된 것이며, 제2 커버(125)는 제2 전선 인입홈(132)을 덮어씌우도록 제2 전선 인입홈(132)과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진 부재로서 제2 전선 인입홈(132)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선 출입구멍(133)이 형성된 것이다. 제1 커버(124) 및 제2 커버(125)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 커버(124)와 제2 커버(125)를 장착함으로써 배선을 보호하고 유지 보수 시 경첩을 문과 문틀에서 분리 후 제1 커버(124)와 제2 커버(125)를 열고 작업할 수 있다. 제1 커버(124)와 제2 커버(125)에는 전선(121)이 나올 수 있는 구멍인 전선 출입구멍(123,133)이 타공되어 제1 커버(124)의 전선 출입구멍(123)으로 들어가서 제1 전선 인입홈(122)을 지나 설치공간을 지난 후 제2 전선 인입홈(132)을 지나서 제2 커버(125)의 전선 출입구멍(133)으로 빠져나옴으로써 문과 문틀 사이에 전기 배선을 할 수 있다.
상부 힌지축(113)은 상부 걸림턱(111)에 걸려서 밑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하부 힌지축(114)은 하부 걸림턱(112)에 의해 위로 올라오지 못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안전하게 확보된 상태로 있어서 경첩이 작동해도 전기배선을 안전하게 배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1: 고정 플레이트 102: 회전 플레이트
103: 상부 덮개 104: 하부 덮개
111: 상부 걸림턱 112: 하부 걸림턱
113: 상부 힌지축 114: 하부 힌지축
115: 힌지공간 121: 전선
122: 제1 전선 인입홈 132: 제2 전선 인입홈
124: 제1 커버 125: 제2 커버
123, 133: 전선 출입구멍 200: 고정 결합단
201: 제1 전선 출입구멍 210: 회전 결합단
211: 제2 전선 출입구멍

Claims (4)

  1. 도어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 뚫린 고정 축구멍이 형성되는 고정 결합단;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 뚫린 회전 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단과 상하 방향으로 이어져서 상기 고정 축구멍 및 상기 회전 축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길게 뻗은 하나의 영역인 힌지공간을 형성하는 회전 결합단;
    상기 힌지공간의 내주면 중 상기 힌지공간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는 상부 걸림턱;
    상기 힌지공간의 내주면 중 상기 힌지공간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떨어지고 상기 상부 걸림턱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하방으로 떨어진 부위에 구비되는 하부 걸림턱;
    상기 힌지공간의 상단 구멍을 통해 들어와서 하단이 상기 상부 걸림턱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일부는 상기 고정 축구멍 내부에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회전 축구멍 내부에 있도록 설치되는 상부 힌지축;
    상기 힌지공간의 하단 구멍을 통해 들어와서 상단이 상기 하부 걸림턱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일부는 상기 고정 축구멍 내부에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회전 축구멍 내부에 있도록 설치되는 하부 힌지축;
    상기 상부 걸림턱과 상기 하부 걸림턱 사이 공간인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고정 결합단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1 전선 출입구멍;
    상기 설치공간과 통하도록 상기 회전 결합단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2 전선 출입구멍;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제1 전선 출입구멍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되는 제1 전선 인입홈;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제2 전선 출입구멍과 통하도록 패여서 형성되는 제2 전선 인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인입홈을 덮어씌우도록 상기 제1 전선 인입홈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선 출입구멍이 형성된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전선 인입홈을 덮어씌우도록 상기 제2 전선 인입홈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선 출입구멍이 형성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고무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결합단 및 상기 회전 결합단 각각은 두 개씩이 상하 간격을 두고 요철을 이루도록 돌출되고, 상기 요철의 들어간 부분과 나온 부분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KR1020150035738A 2015-03-16 2015-03-16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KR20160111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38A KR20160111076A (ko) 2015-03-16 2015-03-16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38A KR20160111076A (ko) 2015-03-16 2015-03-16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076A true KR20160111076A (ko) 2016-09-26

Family

ID=5706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738A KR20160111076A (ko) 2015-03-16 2015-03-16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10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5155A (zh) * 2017-09-05 2017-11-17 邹红 三合一智能门合页
CN108150040A (zh) * 2018-02-08 2018-06-12 曹大双 一种通水铰链
US20220065013A1 (en) * 2018-12-21 2022-03-03 Safran Electrical & Power Door hinge for an electrical cabin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5155A (zh) * 2017-09-05 2017-11-17 邹红 三合一智能门合页
CN108150040A (zh) * 2018-02-08 2018-06-12 曹大双 一种通水铰链
US20220065013A1 (en) * 2018-12-21 2022-03-03 Safran Electrical & Power Door hinge for an electrical cabinet
US11993966B2 (en) * 2018-12-21 2024-05-28 Safran Electrical & Power Door hinge for an electrical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3224T3 (es) Aparato de instalación eléctrica
CA2688044C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RU2401400C2 (ru) Шарнир с полой осью
CA2592830C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KR20160111076A (ko) 배관·배선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경첩
CN110042630B (zh) 门铰链及具有所述门铰链的衣物处理装置
US20100124849A1 (en) Electrical Box
BR102015020169B1 (pt) Máquina elétrica
JP5886570B2 (ja) コンセント
US20170224103A1 (en) Desktop receptacle with hinged cover
KR20070065139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개폐방향 변경구조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TWI428502B (zh) 鉸鏈裝置
KR101099006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ES2364533T3 (es) Casete para montaje en el suelo para aparatos de instalación eléctricos.
KR101028139B1 (ko)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102521489B1 (ko) 세탁기
JP2009036456A (ja) 冷蔵庫
KR200476291Y1 (ko) 욕실장용 멀티콘센트박스
ES2257174B1 (es) Base de enchufe con obturador de seguridad y bastidor multifuncional.
KR101278922B1 (ko) 코너 벽면용 공동주택 안전 콘센트 박스구조
JP2014009881A (ja) 配線カバーの装着構造
EP2680383A1 (en) Housing device for electric contact blocks
KR200449265Y1 (ko) 전기 콘트롤박스
CN210053688U (zh) 路面机械电气控制箱ii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