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219A -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 Google Patents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219A
KR20160110219A KR1020160028794A KR20160028794A KR20160110219A KR 20160110219 A KR20160110219 A KR 20160110219A KR 1020160028794 A KR1020160028794 A KR 1020160028794A KR 20160028794 A KR20160028794 A KR 20160028794A KR 20160110219 A KR20160110219 A KR 2016011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wireless power
antenna
power transmission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544B1 (ko
Inventor
노승윤
최원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6011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H01M2/1022
    • H02J7/0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가방 본체; 및 상기 가방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무선방식 및 유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한다.

Description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bag having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나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비상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단말기는 그 크기가 소형화되고 슬림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 자체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용량이 제한적이다. 일례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은 기본적인 통화기능에 더하여 검색, 금융,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기능이 내재되어 있어 사용시간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단말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하루를 넘기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하루에 적어도 한 번 이상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케이블을 통한 지속적인 충전이 요구된다.
그러나, 충전케이블을 통한 휴대단말기의 충전이 어려운 경우, 일례로 장거리 출장이나 여행시 이동중에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모두 소진되어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은 배터리의 교체가 불가능한 배터리 일체형(내장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비상시 충전이 가능한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구입하여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충전케이블을 통한 충전은 주변 환경에 따라 불가능할 수 있으며, 종래의 충전용 보조배터리는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는, 태블릿, PMP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실정이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10-2000-005108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가방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종래와 같은 별도의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휴대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로 공급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가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갖는 박형의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현됨으로써 가방 자체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변형에 따른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여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나의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가 사용 목적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모드 또는 무선전력 수신모드로 사용됨으로써 박형화와 함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가방 본체; 및 상기 가방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무선방식 및 유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는 일정면적을 갖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및 바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소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는 상기 후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후면부 및 덮개부에 모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의 구동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충전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접속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기기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을 송출하는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로 사용되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의 역할과 더불어,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외부 충전기기에 구비되는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인덕턴스가 변화되고 상기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동력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 중 일부가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 무선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거나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무선방식으로 송출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무선 방식으로 송출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송신모드로 작동되고,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감지시 상기 회로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신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감지하기 위한 동력신호(power signal)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동력신호(power signal)가 감지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의 인덕턴스가 변화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수신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유선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방 본체에 형성되는 접속포트;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의 일측에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차폐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시트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는, 가요성을 갖는 플렉서블 배터리이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는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구비되고,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의 패턴은 서로 일치하는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은 상기 배터리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류나 소지품을 보관하는 가방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유,무선 방식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로 공급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가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현되는 경우 가방 자체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플렉서블 배터리에 구비됨으로써 가방 자체의 변형에 따른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여 배터리의 파손 및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터리,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및 차폐시트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에 적용되는 회로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에 적용되는 차폐시트의 일형태를 나타낸 세부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사용상태도로서, 도 5는 유선 충전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무선 충전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에 덮개부가 구비되는 경우 배터리의 일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에 적용될 수 있는 가방 본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에 적용되는 배터리가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현되는 일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형성되는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도 11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품수용체에 적용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밴딩 전후 배터리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접힌 부분에 순간적인 외력을 가했을 경우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 본체(110) 및 배터리(120)를 포함한다.
상기 가방 본체(110)는 서류나 화장품, 휴대단말기 등과 같은 각종 소지품이나 휴대품을 포함하는 물품을 보관하여 휴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방 본체(110)는 가방의 외관을 이루는 전면부(111)와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111)와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에 의해 상기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부(S)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S)는 상기 물품을 수납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부(111)와 후면부(112)가 바닥부(113)를 매개로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된 하나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이 칸막이를 통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방 본체(110)를 구성하는 전면부(111),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내피와 외피가 합지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110)를 구성하는 전면부(111),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는 통상적으로 가방의 재질로 사용되는 가죽, 직물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S)는 상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일 형태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면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가방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서류가방이나 책가방일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백, 크로스백, 클러치 백, 토트백 등을 포함하는 핸드백(210)의 형태일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10)의 형태일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산용 가방이나 백팩(410)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112) 또는 전면부(111), 바람직하게는 후면부(11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S)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전면부(11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덮개부(114)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방 본체(110)는 유선 충전 방식 및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20)가 내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상기 가방 본체(110)에 배터리(120)가 내장되어 유사시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가방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가방 본체(110)에 내장된 배터리(120)의 전원을 이용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20)는 공지의 배터리가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전체적인 무게를 경감하고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120)가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가방 본체(110)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과정 중에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가방 본체(110)의 변형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음으로써 파손이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120)는 일정면적을 갖는 전면부(111),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소에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120)는 상기 전면부(111),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어 고용량의 배터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20)가 상기 가방 본체(110)의 전면부(111),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 중 복수 개의 개소에 내장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개소에 개별적으로 내장될 수도 있고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가방 본체(110')가 덮개부(11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상기 덮개부(114) 측에도 내장될 수도 있다(도 7 참조).
일례로, 상기 배터리(120)는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현되어 상기 전면부(111), 후면부(112) 및 바닥부(113)에 모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후면부(112) 및 덮개부(114)에 동시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가방 본체(110)에 내장된 배터리(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 유선 충전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무선 충전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유선 충전과 무선 충전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접속포트(140)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포트(140) 및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회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포트(140)는 공지의 USB 포트 타입일 수 있으며, 상기 접속포트(140)는 상기 수용부(S)에 보관된 휴대용 전자기기(10)와 충전 케이블을 매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S)의 내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상기 접속포트(140)를 통하여 유선 방식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이용하여 무선 방식으로 휴대단말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배터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 충전용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유선 충전용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130)는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유선 충전 회로 및/또는 무선 충전 회로를 위한 다양한 회로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칩셋이나 다이오드 및 다양한 수동소자가 실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제공된 출력 전압을 유선 충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하강시킨 후 휴대용 전자기기(10) 측으로 하강된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강하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상기 배터리(120)의 전원을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방식이 유선방식과 무선방식이 모두 적용되는 경우, 상기 회로부(130)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17)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위치(117)는 상기 가방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회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회로부(130)를 유선충전모드와 무선충전모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비충전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17)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수신모드와 송신모드로 모두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수신모드 또는 송신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유선방식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117)를 조작하여 회로부(130)를 유선충전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접속포트(140)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공급되는 배터리(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117)를 조작하여 회로부(130)를 무선충전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무선전력으로 공급되는 배터리(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117)를 통해 비충전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가방 본체(110)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방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상기 스위치(117)의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충전모드와 비충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을 휴대용 보조배터리로 사용하거나 물품을 휴대하기 위한 가방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충전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가 없는 경우에는 유선충전 모드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선충전모드와 무선충전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스위치(117)가 버튼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드 방식이나 회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형태라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배터리(120)는 접속포트(140)가 충전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상호 연결되는 경우 별다른 조작 없이 상기 배터리(120)의 전원이 휴대용 전자기기(10) 측으로 공급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17)를 조작하여 회로부(130)를 유선충전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만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1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에 무선전력을 송출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가방 본체(110)에 상기 배터리(120)와 함께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나선형 또는 사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의 평판형 코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동박 등과 같은 금속박을 에칭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회로기판에 패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회로기판은 회로부(13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에 구비되는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 측으로 무선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회로부(13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130)의 구동전원은 상기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원 중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스위치(117)의 조작을 통해 상기 회로부(130)가 무선충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2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 대역의 자기장을 송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로부(130)측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120)에서 제공되는 전원은 변환부(132)를 통해 일정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되고, 인버터부(133)를 통해 배터리(12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13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에서 송출되는 동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신호는 충전대상인 휴대단말기의 전력량 정보, 충전상태 정보, 충전대상이 요구하는 부하에 적합한 전력정보 및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에 구비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에서 송출되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이용한 전력 송수신의 원리는 코일을 이용해서 전자기장을 만들고 이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공지의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유도 방식 및 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가방 본체(110)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부(S)에 수용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기기수납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러한 기기수납부(116)는 상기 가방 본체(110)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기기수납부(116)는 휴대용 전자기기, 일례로 휴대단말기의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전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를 상기 기기수납부(116)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내장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는 상기 가방 본체(110)에 내장된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기기수납부(116)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와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18)가 정렬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S)에 수용된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일례로서, 포켓 형태의 기기수납부(116)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밴드 타입, 접착층, 클립 및 벨크로 타입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부(S) 내에 가고정하거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배터리(120)는 가방 본체(110)에 내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배터리(120)는 강성을 갖는 공지의 배터리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전체적인 무게를 경감하고 박형화를 구현하면서도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가방 본체(110)가 사용과정 중에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이나 성능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비될 수 있다(도 11 참조).
이와 같은 플렉서블 배터리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121)는 전해액과 함께 외장재(127,128)의 내부에 봉지된다.
이때,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는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29)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29)은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재(127,128)에 형성되는 제1패턴(129)과 상기 전극조립체(121)에 형성되는 제2패턴(126)이 서로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이와 같은 패턴(126,129)은 사용과정 중에 상기 가방 본체(110)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변형시 곡률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량을 상쇄하여 줌으로써 기재 자체가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가방 본체(110)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 과정에서 가방 본체(11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변형으로부터 상기 가방 본체(110)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를 구성하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므로 가방 본체(110)의 변형, 일례로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휘어지는 부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최소화됨으로써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가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패턴(129) 및 제2패턴(126)은 서로 동일한 방향성뿐만 아니라 제1패턴(129)과 제2패턴(126)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패턴(129)과 제2패턴(126)이 항상 동일한 거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터리(120)가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에 밴딩시 발생되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29)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길이방향에 대한 휘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전극조립체(121)와 외장재(127,128)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항상 균일한 간격 또는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전극조립체(121)와 함께 봉지되는 전해액이 전체 길이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14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플렉서블 배터리의 양 단부측에 힘을 가하여 굽혀진 부분에서의 곡률이 25mm가 되도록 밴딩시키고 100회의 충방전을 수행하게 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에 모두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밴딩하지 않았을 때의 용량(130mAh)에 비하여 대략 15% 감소된 용량(110mAh)을 나타내었고 100회가 수행되더라도 성능이 유지되었으나(실시예), 외장재 측에만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한 플렉서블 배터리의 경우 최초대비 대략 60% 감소된 용량(52mAh)에서 서서히 떨어지는 성능을 나타내었고 50회가 넘어갈 경우 충방전이 불가능 하였으며(비교예 1),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 모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경우 최초대비 대략 80% 감소된 용량(26mAh)의 저하가 발생하였고 30회가 넘어갈 경우 충방전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비교예 2).
한편,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플렉서블 배터리의 길이 중간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시킨 후 시간에 따른 배터리에서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에 모두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압값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나(실시예), 외장재 측에만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한 플렉서블 배터리와(비교예 1),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 모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비교예 2)는 전압값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달리 말하면, 외장재(127,128) 및 전극조립체(121)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29)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성능의 저하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외장재 측에만 패턴을 형성하거나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모두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밴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하여 배터리로서의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는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에 밴딩시 발생되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6,129)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전극조립체(121)와 외장재(127,128)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항상 균일한 간격 또는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전극조립체(121)와 함께 봉지되는 전해액이 전체 길이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배터리로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써,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가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114) 및 후면부(112)에 동시에 내장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114)와 후면부(112)의 경계영역(115)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후면부(112) 또는 덮개부(114)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114)를 통해 상기 수용부(S)의 상부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계영역(115)이 반복적으로 밴딩된다 하더라도 상기 패턴을 통해 밴딩시 발생되는 길이변화량을 상쇄하여 줌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가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써,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배터리가 상기 바닥부(113)와 더불어 전면부(111) 및 후면부(112) 중 적어도 일측에 동시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전체길이 중 상기 바닥부(113)와 전면부(111) 또는 바닥부(113)와 후면부(112)의 경계영역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전면부(111) 또는 후면부(112)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계영역에 배치되는 부분이 절곡되더라도 상기 패턴을 통해 보호됨으로써 플렉서블 배터리가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턴(129) 및 제2패턴(126)은 각각의 산부 및 골부가 상기 외장재(127,128) 및 전극조립체(121)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재(127,128) 및 전극조립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 및 골부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도 12 참조).
더불어, 상기 제1패턴(129) 및 제2패턴(126)을 구성하는 산부 및 골부는 산부는 산부끼리, 골부는 골부끼리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패턴(129) 및 제2패턴(126)이 서로 합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126,129)은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외장재(127,128)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길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산부 및 골부는 반원을 포함하는 호형단면, 삼각이나 사각을 포함하는 다각단면 및 호형단면과 다각단면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동일한 피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피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129) 및 제2패턴(126)은 서로 이웃하는 산부간의 간격 또는 골부간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간격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21)는 상기 외장재(127,128)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되는 것으로, 양극(122), 음극(124) 및 분리막(123)을 포함한다(도 13 참조).
상기 양극(122)은 양극집전체(122a) 및 양극 활물질(122b)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124)은 음극집전체(124a) 및 음극 활물질(124b)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집전체(122a) 및 음극집전체(124a)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시트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122) 및 음극(124)은 각각의 집전체(122a,124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활물질(122b,124b)이 압착 또는 증착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물질(122b,124b)은 집전체(122a,124a)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일부 면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극집전체(122a) 및 음극집전체(124a)는 각각의 몸체로부터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음극단자(125a) 및 양극단자(125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단자(125b) 및 음극단자(125a)는 상기 양극집전체(122a) 및 음극집전체(124a)로부터 연장되어 외장재(127,128)의 일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외장재(127,128)의 표면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양극 활물질(122b) 및 음극 활물질(124b)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는, 밴딩시 상기 양극 활물질(122b) 및 음극 활물질(124b)이 각각의 집전체(122a,124a)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양극(122)과 음극(124)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123)은 부직포층(123a)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웹층(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23b)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섬유웹층(123b)은 방사성 및 균일한 기공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27,128)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121) 및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121)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장재(127,128)는 한 쌍의 제1외장재(127) 및 제2외장재(128)로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통해 밀봉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12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외장재(127,128)는 상기 제1외장재(127) 및 제2외장재(128)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후 상기 밀봉부를 구성하는 테두리측이 모두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혀진 후 맞접하는 나머지 부분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120)는 재사용을 위한 재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120)는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선 방식과 무선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방 본체(110)의 일측에는 외부 충전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별도의 충전포트(미도시)가 상기 회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충전케이블을 매개로 유선방식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배터리(120)의 재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배터리(120)는 무선방식을 통하여 재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지의 자기유도 방식 또는 자기공진 방식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가 상기 가방 본체(1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외부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로 사용되어 상기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송신모드로 작동될 수도 있고,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로 사용되어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하기 위한 수신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드로 구현되고,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근접한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로 작동하는 송신모드에서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로 작동하는 수신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송신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는 기기수납부(116)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수신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기기수납부(116)에는 외부 충전기기가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무선전력을 송출하는 송신모드로 작동하여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가 근접한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며,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구비된 충전기기가 근접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송신모드에서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하기 위한 수신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가방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117)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수신모드와 송신모드로의 상호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회로부(130)를 통해 수신모드와 송신모드로의 상호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로부(130)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로 스위칭하고, 외부 충전기기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130)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송신모드로 작동된 상태에서 외부 충전기기가 근접한 경우에 송신모드에서 수신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회로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회로부(130)의 제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근접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력신호(power signal)가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일정한 주기로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동력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서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의 인덕턴스의 변화가 발생하고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다른 동력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요구하는 부하에 따라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원을 소모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모드로 작동하여 상기 동력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일정한 주기로 송출되는 상태에서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의 인덕턴스의 변화와 함께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다른 동력신호가 상기 회로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회로부(130)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구비된 외부 충전기기가 근접함을 인지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수신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120)는 상기 외부 충전기기의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을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30)를 수신모드와 송신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도 3 참조).
일례로,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회로부(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에서 송출되는 동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1)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무선전력 전송을 시작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거나,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송신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배터리(12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거나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배터리(120)에 적합한 일정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120) 측으로 제공하는 변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배터리(12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부(1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수신된 외부전원을 교류전원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1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류부(135)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상기 배터리(120)에 적합한 전압으로 강하시키기 위한 전압강하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1)는 공지의 MCU로서, PWM 제어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강하부(134)는 LDO 방식 또는 Buck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로부(130)는 과충전을 방지하거나 다양한 회로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PCM 등과 같은 보호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회로부(130)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근접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스위칭하거나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근접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상기 회로부(130)의 제어를 통해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송신모드로 작동하거나,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시키는 수신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부(S)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배터리(120)의 전원이 상기 회로부(130) 측으로 공급되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제어부(131)에 의해 생성된 동력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외부로 송출됨으로써 송신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변환부(132)를 통해 일정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된 후 제어부(131) 측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인버터부(133)에 의해 직류전원에서 교류전원으로 변환된 후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 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소정의 주기를 갖는 동력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이후,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상기 동력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포함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수신용 안테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의 인덕턴스의 변화가 발생하고 다른 동력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요구하는 부하에 따라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원을 소모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 측으로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충전기기를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이 무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상기 회로부(130)에 의해 동력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송출하는 송신모드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충전기기를 근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상기 충전기기에 포함된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인덕턴스가 변화된다. 이와 함께 상기 충전기기로부터 송출되는 다른 동력신호가 상기 제어부(131)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31)는 충전기기가 근접함을 인지하고 인버터부(133)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로 작동하는 수신모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배터리(120)의 상태에 대한 전력량 정보, 충전상태 정보, 충전대상이 요구하는 부하에 적합한 전력정보 및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충전기기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신모드로 작동하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충전기기에서 제공되는 무선전력을 상기 배터리(120)에 적합한 상태로 수신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20)의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를 통해 수신된 전력은 상기 정류부(135)를 통해 교류전원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되고, 전압강하부(134)를 통해 상기 배터리(120)에 적합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된 후 변환부(132)에 의해 일정한 전압 및 전류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12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배터리(120)의 전원을 충전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120)의 충,방전이 무선방식으로만 수행되는 경우 종래 유선 충/방전 방식에서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필수 구성인 포트가 제거되기 때문에, 포트에 기인한 이물질 및 수분 침투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의 일면에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한 차폐시트(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시트(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방 본체(110)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폐시트(16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차폐시트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 페라이트 시트 또는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 일 수 있고,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폐시트(160)는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플레이크 처리되어 복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으며, 투자율을 높일 수 있도록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차폐시트(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161a)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리본시트가 접착층(161b)을 매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리본시트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미세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차폐시트(160)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폐시트로 사용되는 공지의 모든 차폐시트가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100)에 유선 충전 방식을 위한 접속포트(140)와 무선충전방식을 위한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모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속포트(140)만 구비되어 유선 충전 방식으로만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고,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2)만 구비되어 무선 충전 방식으로만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가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와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메인배터리를 유선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접속포트(140)는 포함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더하여,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 및 접속포트(140)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접속포트(14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50)는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가방 본체(110)에 내장되는 배터리(120)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10 : 가방 본체 111 : 전면부
112 : 후면부 113 : 바닥부
114 : 덮개부 115 : 휘어지는 영역
116 : 기기수납부 117 : 스위치
120 : 배터리 130 : 회로부
131 : 제어부 132 : 변환부
133 : 인버터부 134 : 전압강하부
135 : 정류부 136 : 회로기판
140 : 접속포트 150 :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160 : 차폐시트

Claims (19)

  1.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가방 본체; 및
    상기 가방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무선방식 및 유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는 일정면적을 갖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및 바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소에 내장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는 상기 후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후면부 및 덮개부에 모두 내장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의 구동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충전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접속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배터리가 충전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기기수납부가 구비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을 송출하는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로 사용되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의 역할과 더불어,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외부 충전기기에 구비되는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인덕턴스가 변화되고 상기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동력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용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 중 일부가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1.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
    무선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거나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무선방식으로 송출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무선 방식으로 송출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송신모드로 작동되고,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감지시 상기 회로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신모드로 전환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감지하기 위한 동력신호(power signal)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동력신호(power signal)가 감지되고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의 인덕턴스가 변화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5.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유선방식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가방 본체에 형성되는 접속포트;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6. 제 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의 일측에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차폐시트가 배치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시트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인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8.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가요성을 갖는 플렉서블 배터리이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는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구비되고,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의 패턴은 서로 일치하는 패턴을 갖도록 구비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배터리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KR1020160028794A 2015-03-10 2016-03-10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KR101795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32 2015-03-10
KR20150033332 2015-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219A true KR20160110219A (ko) 2016-09-21
KR101795544B1 KR101795544B1 (ko) 2017-11-08

Family

ID=5708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794A KR101795544B1 (ko) 2015-03-10 2016-03-10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3213B2 (en) 2016-03-15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171324B2 (en) 2016-03-15 2021-11-0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081684B2 (en) 2017-05-24 2021-08-03 Honda Motor Co., Ltd.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 modified battery electrode powders via single step dispersion
US10658651B2 (en) 2017-07-31 2020-05-19 Honda Motor Co., Ltd. Self standing electrod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20190036102A1 (en) 2017-07-31 2019-01-31 Honda Motor Co., Ltd. Continuous production of binder and collector-less self-standing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by using carbon nanotubes as an additive
US11201318B2 (en) 2017-09-15 2021-12-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battery tab attachment to a self-standing electrode
US11121358B2 (en) 2017-09-15 2021-09-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embedding a battery tab attachment in a self-standing electrode without current collector or binder
US11535517B2 (en) 2019-01-24 2022-12-2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US11352258B2 (en) 2019-03-04 2022-06-07 Honda Motor Co., Ltd. Multifunctional conductive wire and method of making
US11325833B2 (en) 2019-03-04 2022-05-10 Honda Motor Co., Ltd. Composite yarn and method of making a carbon nanotube composite yarn
US11539042B2 (en) 2019-07-19 2022-12-27 Honda Motor Co., Ltd. Flexible packaging with embedd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087A (ko) 1999-01-18 2000-08-16 임효식 멜로디소리를 내는 핸드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9399B2 (ja) * 2005-05-26 2011-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薄型電池
KR200414158Y1 (ko) * 2006-02-03 2006-04-17 주선웅 복수의 전파식별카드에 대한 다중인식 방지 가능한 케이스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087A (ko) 1999-01-18 2000-08-16 임효식 멜로디소리를 내는 핸드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44B1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544B1 (ko)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KR101810003B1 (ko)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765459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지갑
CN114081257B (zh) 携带用物品收容体
CN107533345B (zh) 可穿戴装置
KR101083630B1 (ko) 무접점 방식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어모듈 배치 구조
EP2579427B1 (en) Power receiver for wireless charg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102348407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JP4852829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03858307A (zh) 非接触式充电电池、非接触式充电器
CN108701878B (zh) 能够收发无线电力的辅助电池
KR101795543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가방
EP1908159A1 (en) Rechargeable battery circuit and structure for compatibility with a planar inductive charging platform
KR101777100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목걸이형 수납케이스
US9673658B2 (en)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battery apparatus
KR20150065001A (ko) 무선 충전 수신 모듈
KR102441744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벨트
KR100971717B1 (ko) 휴대단말기용 무접점충전 및 데이터통신 제어모듈과 그 배치구조
KR20140056606A (ko) 엔에프씨통신회로부와 무선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배터리팩
KR102477201B1 (ko) 클립식 보조배터리
KR20160089296A (ko) 팔찌형 보조배터리
IT202000005854A1 (it) Batteria ricaricabile di formato standard, dotata al suo interno di una bobina per la ricezione della ricarica wireless a corto raggio con tecnologia ad induzione elettromagnetica, in grado di sostituire le normali batterie alcaline nell’alimentazione wireless di apparecchi utilizzatori
CN116349115A (zh) 无线电力发送模块
KR20140083452A (ko) 엔에프씨 겸용 무접점 무선충전 배터리팩
KR20170010640A (ko)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수납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