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407B1 -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407B1
KR102348407B1 KR1020150061741A KR20150061741A KR102348407B1 KR 102348407 B1 KR102348407 B1 KR 102348407B1 KR 1020150061741 A KR1020150061741 A KR 1020150061741A KR 20150061741 A KR20150061741 A KR 20150061741A KR 102348407 B1 KR102348407 B1 KR 10234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battery
diary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500A (ko
Inventor
노승윤
최원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5006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40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01M10/3909Sodium-sulfur cells
    • H01M10/3972Flexi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와, 상기 속지를 감싸는 겉표지를 포함하는 다이어리 본체;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어리 본체에 내장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메모를 기입할 수 있는 다이어리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고,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원이 유,무선 방식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로 공급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플렉서블 배터리에 구비됨으로써 다이어리 자체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변형에 따른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여 플렉서블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diary having flexible battery}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나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비상 충전할 수 있는 박형의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크기가 소형화되고 슬림화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 자체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용량이 제한적이다. 일례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은 기본적인 통화기능에 더하여 검색, 금융,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기능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빈도 및 사용시간은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요구전력 역시 필연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하루를 넘기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하루에 적어도 한 번 이상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케이블을 통한 지속적인 충전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은 배터리의 교체가 불가능한 배터리 일체형(내장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교체용 배터리 대신에 여러가지 형상의 충전용 보조 배터리를 구입하여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충전케이블을 통한 충전은 주변 환경에 따라 불가능할 수 있으며, 종래의 충전용 보조 배터리는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는, 태블릿, PMP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실정이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다이어리에 유연하면서도 박형의 비상 충전용 플렉서블 배터리를 내장하여, 종래와 같은 별도의 충전용 보조 배터리를 휴대할 필요없이 언제 어디서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어리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원이 유,무선 방식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로 공급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플렉서블 배터리에 구비됨으로써 다이어리 자체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변형에 따른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여 플렉서블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속지와, 상기 속지를 감싸는 겉표지를 포함하는 다이어리 본체;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어리 본체에 내장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상기 겉표지에 내장될 수도 있고, 상기 속지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리 본체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무선 충전용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유선 충전용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표지는 판상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내장되거나 양측에 모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가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모두 내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갖는 패턴부를 갖추어 하나의 통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표지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3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3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리 본체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시 상기 회로부의 전기적인 연결이 제어됨으로써 유선충전모드, 무선충전모드 및 비충전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리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의 단부가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단자는 USB 포트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리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면접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리 본체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무선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는 무선 충전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하는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유닛에 교류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전원은 상기 회로부를 매개로 전달되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원 중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는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구비되고,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의 패턴은 서로 일치하는 패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극 활물질층이 배치되는 양극과, 음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음극 활물질층이 배치되는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은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은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나 일정 등을 기입할 수 있는 다이어리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원이 유,무선 방식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로 공급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플렉서블 배터리에 구비됨으로써 다이어리 자체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변형에 따른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여 플렉서블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서 무선 충전 방식에 사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 적용되는 차폐시트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서 플렉서블 배터리가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모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사용상태도로서, 도 6a는 유선 방식이고, 도 6b는 무선 충전 방식,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 적용되는 고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서 플렉서블 배터리가 속지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는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형성되는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패턴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100,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리 본체(110) 및 플렉서블 배터리(120)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어리 본체(110)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일정이나 메모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나 스케줄을 기입하는 복수 개의 속지(112)와, 상기 속지(112)를 감싸는 겉표지(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지(112)는 결속부(114)를 통하여 복수 개가 바인딩되고 상기 겉표지(111)의 내부에 상기 결속부(114)가 내장된다.
이러한 속지(112)는 일정 면적을 갖는 종이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종이가 낱장으로 비닐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속지(112)는 일단부가 상기 결속부(114)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바인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단부측이 접착제를 통하여 결속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겉표지(111)는 판상의 제1부재(111a)와, 상기 제1부재(111a)에 대하여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111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가 별도의 제3부재(111c)를 매개로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술한 속지(112)는 간단한 메모나 스케줄을 기입할 수 있는 종이의 일 형태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속지(112)의 세부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겉표지(111)를 구성하는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는 통상적으로 다이어리의 재질로 사용되는 합지, 가죽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드지나 연질의 재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결속부(114)는 클립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속지(112)를 바인딩하는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속지(112)의 단부를 고정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다이어리 본체(110)를 구성하는 겉표지(11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111a)에 대하여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3부재(111c)를 매개로 제2부재(111b)가 접이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부재(111c)의 일면에 상기 결속부(114)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다이어리 본체(110)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10) 측으로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120)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표지(111)에 내장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지(212)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표지(111)를 구성하는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 중 어느 하나에만 내장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의 양측에 모두 내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지(212)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결속부(114)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속지(212)에 플렉서블 배터리(120)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하나의 통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120)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일정면적을 갖는 제1부재(111a) 및/또는 제2부재(111b)에 내장되거나 일정면적을 갖는 속지(212)에 내장됨으로써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고용량의 플렉서블 배터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플렉서블 배터리(120)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다이어리의 기본적인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다이어리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고용량의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되므로 충전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에 충분한 용량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100,200)는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120)의 전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충전이 유선 충전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무선 충전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유선 충전과 무선 충전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의 일측에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 충전용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유선 충전용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부(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로부(130)는 회로기판(134)에 유선 충전 회로 및/또는 무선 충전 회로가 실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부(130)는 상기 회로기판(134)이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유선 충전 회로를 통해 유선 충전용 전압으로 변환하거나,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플렉서블 배터리(120)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원을 무선 충전용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후술할 안테나유닛(140)에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130)는 플렉서블 배터리(120)로부터 제공된 출력 전압을 유선 충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하강시킨 후 충전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10) 측으로 하강된 전압을 송출하는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시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로부(130)의 회로기판은 유선충전을 위하여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하여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되는 안테나유닛(140)과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유선충전을 위한 상기 접속단자(131)는 USB포트 타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의 일측에는 유선충전모드, 무선충전모드 및 비충전모드로 상기 회로부(130)의 상태를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132)가 구비되어 상기 회로부(130)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스위치(132)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버튼 방식이나 회전 방식을 통하여 상태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충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132)를 통해 비충전모드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배터리가 모두 소진되어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위치(132)를 조작하여 유선충전모드 또는 무선충전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스위치(132)를 조작하여 유선충전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접속단자(131)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충전 케이블을 통해 유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충전할 수 있다(도 6a 참조).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1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어리의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12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33)가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저장된 전원이 소모된 후 상기 충전단자(13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를 재충전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100,200)는 상기 스위치(132)를 조작하여 무선충전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안테나유닛(140)을 통해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충전할 수도 있다(도 6b 참조).
이를 위해,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의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10) 측으로 무선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유닛(140)은 충전 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 전력 수신용 안테나유닛(18)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수신용 안테나유닛(18)에 무선 고주파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안테나유닛(140)은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플렉서블 배터리(120)와 함께 내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이어리 본체(110)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된 후 별도의 보호필름을 통해 보호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안테나유닛(140) 및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겉표지(111) 중 제1부재(111a) 또는 제2부재(111b) 중 어느 한 측에 동시에 내장될 수도 있고,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에 각각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 성질을 갖는 본드, PVC, 고무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안테나유닛(140)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나선형 또는 사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의 코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박 등과 같은 금속박을 에칭하여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안테나유닛(140)은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회로기판(142)에 인쇄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142)은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패턴과 다양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기재가 되는 요소로서, 내열성 및 내압성을 가지며,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이다. 이러한 소재의 물성을 고려할 때, 상기 회로기판(142)으로서 열경화성 고분자 필름인 PI나 PET 등과 같은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유닛(140)이 회로기판(142)에 인쇄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회로기판(142)은 회로부(13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일례로, 상기 안테나유닛(140)을 구성하는 회로기판(142)과 회로부(13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회로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과 무선 충전 회로 및/또는 유선 충전 회로가 패턴인쇄되거나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테나유닛(140)은 양 단부에 인출되는 연결단자를 통하여 상기 회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안테나유닛(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을 위한 WPC용 안테나(144)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원 중 일부를 상기 회로부(130)로부터 전달받아 구동전원으로 사용한다.
즉, 상기 WPC용 안테나(144)는 상기 스위치(132)의 조작을 통해 상기 회로부(130)가 무선 충전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부(130)로부터 플렉서블 배터리(120)에서 제공된 전류를 공급받음으로써 무선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에 구비된 수신용 안테나 유닛(16)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고, 상기 유도 전류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또한, 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WPC용 안테나(144)는 특정 주파수로 자기장을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기 유도 방식 및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WPC용 안테나(14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원 중 일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WPC용 안테나(144)만을 구동하기 위한 저용량의 구동전원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안테나유닛(14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안테나유닛(140)은 WPC용 안테나(144)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을 위한 NFC용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MST용 안테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100,200)는 스위치(132)를 통하여 사용자가 유선 충전 방식과 무선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 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 충전 수신용 안테나유닛(18)이 없는 경우에는 유선 충전 모드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무선 충전 수신용 안테나유닛(18)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120)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직접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체 전원을 갖는 충전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를 통해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을 동시 또는 각각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100,200)는 충전시, 특히 무선 충전시 충전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겉표지(111)의 일면에 면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수단(160,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60,160')은 무선 충전시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안테나 유닛(140)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유닛(140)과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무선 충전 수신용 안테나유닛(18)이 서로 대면된 상태를 유지하여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수단(16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표지(111)의 외측 또는 내측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수납하기 위한 포켓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일부를 감싸는 밴드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160,160')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겉표지(111)의 일면에 항상 면접된 상태로 가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주머니나 가방 등에 보관된 상태로 이동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겉표지(111)에 면접된 상태를 유지하여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160,160')의 일례로서, 포켓의 형태 및 밴드 타입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클립이나, 벨크로 타입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겉표지(111)의 일면에 가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안테나유닛(140)의 일면에는 무선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유닛(14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하는 차폐시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시트(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유닛(140)과 마찬가지로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의 일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시트(150)는 상기 무선 고주파 신호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체가 포함되는 것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차폐시트는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소결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가 Ni-Zn 소결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시트(150)는 WPC용 안테나(144)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페라이트 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고려할 때 Fe계 자성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시트(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비정질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151,152,153)가 2층 이상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폐시트(150)는 무선 충전시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시트(150)가 복수 개의 시트층이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되어 적층되는 경우 각각의 시트층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층(154)이 배치되어 서로 적층되는 한 쌍의 시트층 사이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층(154)이 각각의 시트층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 중 어느 하나에만 내장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에 모두 내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배터리(120)의 전체적인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에 플렉서블 배터리(120)가 모두 내장되는 경우 상기 제1부재(111a)에 내장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와 제2부재(111b)에 내장되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회로부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가 통체로 이루어져 제1부재(111a) 및 제2부재(111b)에 모두 내장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의 전체면적 중 상기 제3부재(111c) 측에 내장되는 부분은 접이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9a)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접이선을 중심으로 제3부재(110c)에 대하여 제1부재(111a) 및/또는 제2부재(111b)가 반복적으로 접이되더라도 상기 패턴을 통해 수축 및 이완시 발생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반복적인 접이과정에서 플렉서블 배터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충전 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121) 및 전극조립체(125)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재(121)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125) 및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125)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장재(121)는 한 쌍의 제1외장재(121a) 및 제2외장재(121b)를 포함하고,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통해 밀봉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12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외장재(1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조립체(125) 및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2)와, 상기 수용부(122)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전극조립체(125) 및 전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되는 밀봉부(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장재(121)는 상기 제1외장재(121a) 및 제2외장재(121b)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후 서로 맞접하는 밀봉부(123)가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혀진 후 맞접하는 나머지 밀봉부(123)가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외장재(12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124)은 상기 외장재(12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패턴(124)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121)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상기 외장재(121)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패턴(124)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121)의 폭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상기 외장재(121)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패턴(124)의 산부 및 골부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 및 골부가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이웃하는 산부 또는 골부의 간격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간격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20)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이 상기 패턴(124)을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외장재(121)에 반복적인 밴딩이 일어나더라도 외장재(121) 자체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장재(121)의 내부에 배치된 전극조립체(125) 역시 밴딩시 발생되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패턴(124)은 상기 외장재(121)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2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재(121)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되는 것으로, 양극(126)과 음극(128) 사이에 분리막(127)이 배치되어 양극(126) 및 음극(128)이 분리막(127)에 의해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126)은 양극집전체(126a) 및 양극 활물질(126b)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128)은 음극집전체(128a) 및 음극 활물질(128b)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또는 음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리막(127)과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집전체(128a) 및 양극집전체(126a)는 몸체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음극단자(128c) 및 양극단자(126c)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양극단자(126c) 및 음극단자(128c)는 상기 전극조립체(125)를 접속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양극집전체(126a) 및 음극집전체(128a) 각각의 몸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상기 양극단자(126c) 및 음극단자(128c)와 접속단자(131)의 사이에는 별도의 회로부(130)가 배치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시 플렉서블 배터리(120)의 전하량과 충전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하량이 같아질 때까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로부터 접속단자(131)를 경유하여 충전대상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 측으로 전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분리막(127)은 부직포층(127a)과 이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나노섬유웹층(127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27b)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섬유웹층(127b)의 형성시 방사성 및 균일한 기공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아크릴니트릴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섬유웹층(127b)의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는 평균직경 0.1 ~ 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0.1㎛미만 이면 분리막이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면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분리막의 탄성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127a)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methacrylate)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층은 무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첨가제는 SiO, SnO, SnO2, PbO2, ZnO, P2O5, CuO, MoO, V2O5, B2O3, Si3N4, CeO2, Mn3O4, Sn2P2O7, Sn2B2O5, Sn2BPO6,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iO2, Al2O3 및 PTF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첨가제인 무기물 입자는 평균입경이 10 ~ 50 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30 n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nm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리막의 평균두께는 10 ~ 12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50㎛일 수 있다.
이는, 분리막의 평균두께가 10㎛ 미만이면 분리막이 너무 얇아서 배터리의 반복적인 구부러짐 및/또는 펴짐에 의한 분리막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을 수 있고, 121㎛를 초과하면 플렉서블 배터리의 박육화에 불리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균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층은 평균두께 10 ~ 30㎛으로, 바람직하게는 15~ 30㎛로 형성시키고, 상기 나노섬유웹층은 평균두께 1 ~ 5㎛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양극 집전체 및/또는 음극 집전체는 박형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티타늄,크롬, 망간, 철, 코발트, 아연, 몰리브덴, 텅스텐, 은, 금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금속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x-yCoxMyO2(0 ≤ x ≤1, 0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금속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극 활물질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양극 활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음극 활물질(128b)은 리튬 이온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음극 활물질(128b)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탄소 섬유, 또는 탄소 복합체의 탄소계 음극 활물질, 주석 산화물, 이들을 리튬화한 것, 리튬, 리튬합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음극 활물질로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양극 활물질(126b) 및 음극 활물질(128b)은 양극집전체(126a) 또는 음극집전체(128a)로부터 박리를 방지하고, 양극 활물질층 및 음극 활물질충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125)는 플렉서블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외장재(121)와 마찬가지로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121)에 형성되는 패턴(124)과 동일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조립체(125)를 구성하는 양극(126), 음극(128) 및 분리막(127)이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121)에 형성되는 패턴(124)과 동일한 패턴(129)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조립체(125)에 형성되는 패턴(129)은 외장재(121)에 형성되는 패턴(124)과 마찬가지로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10 참조). 더불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패턴(129)은 폭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외장재(121)에 형성되는 패턴(124)과 상기 전극조립체(125)에 형성되는 패턴(129)이 서로 일치하기만 하면 무방함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패턴(124,129)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산부와 골부의 단면 형상이 직선 패턴, 프리즘 패턴, 반원 패턴, 물결무늬 패턴, 다각형 패턴 및 이들이 혼합된 패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가 내장되는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 또는 사용 과정에서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에 내장된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20) 역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4,129)을 통해 겉표지(111) 또는 속지(212)와 동일하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음으로써 내장된 플렉서블 배터리(120)가 반복적인 밴딩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100,200)에 유선 충전 방식을 위한 접속단자(131)와 무선 충전 방식을 위한 안테나유닛(140)이 모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속단자(131)만 구비되어 유선 충전 방식으로만 휴대용 전자기기가 충전될 수도 있고, 안테나유닛(140)만 구비되어 무선 충전 방식으로만 휴대용 전자기기가 충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100,200)에 접속단자(131)만 구비되어 유선 충전 방식으로만 휴대용 전자기기가 충전되거나, 안테나유닛(140)만 구비되어 무선 충전 방식으로만 휴대용 전자기기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132)는 충전모드와 비충전모드를 전환하는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폰, PMP, DMB,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 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휴대용 전자기기
100,100',200 :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110 : 다이어리 본체 111 : 겉표지
111a : 제1부재 111b : 제2부재
111c : 제3부재 112,212 : 속지
114 : 결속부 120 : 플렉서블 배터리
121 : 외장재 121a : 제1외장재
121b : 제2외장재 122 : 수용부
123 : 밀봉부 124 : 패턴
125 : 전극조립체 126 : 양극
126a : 양극집전체 126b : 양극 활물질
126c : 양극단자 127 : 분리막
127a : 부직포층 127b : 나노섬유웹층
128 : 음극 128a : 음극집전체
128b : 음극 활물질 128c : 음극단자
129 : 패턴 130 : 회로부
131 : 접속단자 132 : 스위치
133 : 충전단자 134 : 회로기판
140 : 안테나유닛 142 : 회로기판
144 : WPC용 안테나 150 : 차폐시트
151,152,153 :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154 : 접착층 160,160' : 고정수단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속지와, 상기 속지를 감싸는 겉표지를 포함하는 다이어리 본체;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어리 본체에 내장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 및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각각 구비되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에 형성되는 패턴 및 전극조립체에 형성되는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면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측을 덮는 제1외장재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하측을 덮는 제2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산부는 상기 제1외장재의 산부와 상기 제2외장재의 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골부는 상기 제2외장재의 골부와 상기 제2외장재의 골부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는 판상의 제1부재,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는 상기 제3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면접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본체는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무선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유닛;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61741A 2015-04-30 2015-04-30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KR10234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41A KR102348407B1 (ko) 2015-04-30 2015-04-30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741A KR102348407B1 (ko) 2015-04-30 2015-04-30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00A KR20160129500A (ko) 2016-11-09
KR102348407B1 true KR102348407B1 (ko) 2022-01-10

Family

ID=5752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741A KR102348407B1 (ko) 2015-04-30 2015-04-30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3213B2 (en) 2016-03-15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171324B2 (en) 2016-03-15 2021-11-0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081684B2 (en) 2017-05-24 2021-08-03 Honda Motor Co., Ltd.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 modified battery electrode powders via single step dispersion
US20190036102A1 (en) 2017-07-31 2019-01-31 Honda Motor Co., Ltd. Continuous production of binder and collector-less self-standing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by using carbon nanotubes as an additive
US10658651B2 (en) 2017-07-31 2020-05-19 Honda Motor Co., Ltd. Self standing electrod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11201318B2 (en) 2017-09-15 2021-12-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battery tab attachment to a self-standing electrode
US11121358B2 (en) 2017-09-15 2021-09-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embedding a battery tab attachment in a self-standing electrode without current collector or binder
KR102036659B1 (ko) 2018-03-08 2019-10-25 김정래 무선충전용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다이어리
US11535517B2 (en) 2019-01-24 2022-12-2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US11352258B2 (en) 2019-03-04 2022-06-07 Honda Motor Co., Ltd. Multifunctional conductive wire and method of making
US11325833B2 (en) 2019-03-04 2022-05-10 Honda Motor Co., Ltd. Composite yarn and method of making a carbon nanotube composite yarn
US11539042B2 (en) 2019-07-19 2022-12-27 Honda Motor Co., Ltd. Flexible packaging with embedd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CN110429216B (zh) * 2019-07-26 2022-04-15 宁波柔创纳米科技有限公司 可折叠电子产品及其柔性电池以及柔性电池的制备方法
KR20230015556A (ko) 2021-07-23 2023-01-31 정애자 큰구슬형태의 유골분 결정체 제조방법
KR102631126B1 (ko) 2021-10-18 2024-01-29 이상수 다기능 다이어리
KR20240014146A (ko) 2022-07-25 2024-02-01 정애자 유골분 결정체의 자동 배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53713U (zh) * 2011-01-26 2011-11-30 吴舒克 带插头电热活页本
CN102959760A (zh) * 2011-04-11 2013-03-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柔性电池及其制造方法
JP2013080574A (ja) * 2011-10-03 2013-05-0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電源装置およびその電源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手帳、物品カバー
CN104442075A (zh) * 2014-11-24 2015-03-25 林丽美 一种记事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949Y1 (ko) * 1999-02-23 2001-09-13 박성호 휴대폰내장 다이어리 수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53713U (zh) * 2011-01-26 2011-11-30 吴舒克 带插头电热活页本
CN102959760A (zh) * 2011-04-11 2013-03-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柔性电池及其制造方法
JP2013080574A (ja) * 2011-10-03 2013-05-0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電源装置およびその電源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手帳、物品カバー
CN104442075A (zh) * 2014-11-24 2015-03-25 林丽美 一种记事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00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407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다이어리
CN107736036B (zh) 内置有柔性电池的无线头戴式耳机
CN114081257B (zh) 携带用物品收容体
KR101795544B1 (ko) 배터리가 내장된 가방
CN115956747A (zh) 内置有电池的便携式终端用外壳
US10476046B2 (en) Flexible battery
JP6169789B2 (ja) 曲がった形状の電極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765459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지갑
KR101890326B1 (ko)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배터리
CN107533345A (zh) 可穿戴装置
CN108184333A (zh) 组合式天线模块
JP2015002173A (ja) バッテリーおよびこれを有する電子装置
KR102441744B1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벨트
US20140340030A1 (en) Magnetic sheet and noncontact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795543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가방
KR102323144B1 (ko) 손목착용형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6032528B2 (ja) 伝送コイル部品及び非接触充電装置
KR102475376B1 (ko) 보조배터리
KR20160129512A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KR102238115B1 (ko)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310767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KR102387156B1 (ko)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팔찌형 보조배터리
KR102312799B1 (ko) 전자기기
KR102348408B1 (ko)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목걸이형 수납케이스
US20240006929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