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108A -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108A
KR20160110108A KR1020160024529A KR20160024529A KR20160110108A KR 20160110108 A KR20160110108 A KR 20160110108A KR 1020160024529 A KR1020160024529 A KR 1020160024529A KR 20160024529 A KR20160024529 A KR 20160024529A KR 20160110108 A KR20160110108 A KR 2016011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rtridge
receptacle
opening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연
Original Assignee
정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연 filed Critical 정우연
Publication of KR2016011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음료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레소, 홍삼액 등의 각종 음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제1 배출로와 연결된 거품 발생부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와, 제2 배출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크레마 조절수단을 통해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거품 양이 조절된 음료를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RECEPTACLE FOR CARTRIDGE AND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음료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레소, 홍삼액 등의 각종 음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제1 배출로와 연결된 거품 발생부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와, 제2 배출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크레마 조절수단을 통해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함으로써,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거품 양이 조절된 음료를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 각각의 개성이 다양하고 존중받는 현대 사회에서 각자 입맛에 맞는 커피 등의 음료를 직접 제조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카트리지 형식으로 제작하여, 사람들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손쉽게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보통 커피 메이커라 불리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끼워진 커피 카트리지에 고온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용커피를 짧은 시간 내에 생성하며, 이렇게 커피 카트리지와 물을 믹싱하여 원하는 농도의 음용커피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커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과, 리셉터클에 안착된 커피 카트리지를 가압하여 밀폐하고, 가압과 동시에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상부 천공핀을 구비한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료 메이커를 사용했을 때 컵 안에 채워진 커피에는 두꺼운 거품층이 형성되고 하는데 이러한 것을 크레마라고 한다. 크레마는 커피의 향이 방출되지 않도록 커피향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며 에스프레소와 같은 커피 음료가 고압에 의해 추출될 때 형성된다.
그런데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에스프레소 커피라도 크레마의 양이 상대적으로 소량으로 형성된 것을 원하거나, 반대로 일반 드립 커피라도 크레마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되는 것을 원할 수 있는데, 종래의 음료 메이커는 단순히 음료 메이커의 열수 온도, 커피 추출 압력만으로 거품 양이 일괄적으로 조절되므로 음용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음료 메이커에서 커피의 거품 양을 조절하는 기준은 열수의 온도 및 압력과, 커피 분말가루의 크기 등에 의해서 일괄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거품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크레마 증가수단이 별도로 추가 될 뿐, 동일한 종류의 커피를 추출하더라도 거품 양을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커피의 종류에 상관없이 음용자의 취향에 맞게 크레마의 양을 상대적으로 조절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조절함으로써, 음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음료 메이커가 필요하다.
참고로, 이러한 커피메이커 등의 음료 메이커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메이커에서 추출되는 음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음료 추출 시 발생되는 거품 양을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추출되는 음료를 다르게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마 조절수단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함과 동시에, 고장 발생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하더라도 일정량 이상의 음료 추출 속도를 보장하고, 사용이 편리한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음료 추출 시 음료 메이커의 상부 천공수단에 의하여 천공된 카트리지의 커버시트의 열수 유입공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고 남은 열수 또는 추출된 음료의 일부가 배출되지 않도록 잔수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를 교체할 때,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보다 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추출 시 열수가 분사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거품 양을 증대,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천공핀의 끝단부에 직하방으로 개구된 제1 분사공과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제2 분사공을 포함하고, 음료 추출 시 상기 각 분사공이 카트리지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어 열수가 분사되는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카트리지의 저면을 천공하는 하부 천공수단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배출로와 제2 배출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 배출로와 연결된 거품 발생부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크레마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 및 상기 제2 배출로 모두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만을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됨으로써,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에서,
상기 몸체는, 추출된 음료가 최종 배출되는 배출구가, 몸체의 전방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용부에서 카트리지가 이탈되도록 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열수 공급수단과 연결된 상부 천공핀을 구비한 캡;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리셉터클;
상기 캡이 상기 리셉터클의 수용부를 밀폐하도록 고정시키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카트리지의 저면을 천공하는 하부 천공수단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배출로와 제2 배출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 배출로와 연결된 거품 발생부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크레마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 및 상기 제2 배출로 모두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만을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됨으로써,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열수 공급수단과 연결된 상부 천공핀을 구비한 캡;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리셉터클;
상기 캡이 상기 리셉터클의 수용부를 밀폐하도록 고정시키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천공핀의 끝단부는, 카트리지의 백분율 표시 깊이의 20~80% 높이에 배열되고,
상기 상부 천공핀은 복수개의 분사공을 갖고, 상기 분사공은 카트리지의 백분율 표시 깊이의 30~70% 높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리셉터클의 몸체에, 제1 배출로와 연통하도록 결합된 거품 발생부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와, 제2 배출로를 개폐하도록 결합된 개폐부재로 구성된 크레마 조절수단을 도입하여, 개폐부재의 개폐 상태에 따라, 추출되는 음료가 거품 발생부와 제2 배출로 모두를 따라 통과하여 거품 양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거나, 또는 추출되는 음료가 거품 발생부만을 통과하여 거품 양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추출한 음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음용자의 취향에 맞게 거품(크레마)의 양을 상대적으로 조절하여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는, 크레마 조절수단을 통한 거품 양의 조절이 쉬우면서,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 또는 리셉터클 내부에 잔존 열수 또는 추출된 음료가 남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며,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의 분리가 쉬운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케이커는, 상기 거품 증가체와 함께, 상부 천공핀의 끝단부에 직하방으로 개구된 제1 분사공과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제2 분사공을 포함하여 이루여져, 음료 추출 시 열수가 분사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거품 양을 증대,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의 종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을 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천공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 및 일부 사시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수 제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측면 투영도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정면 투영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에서, 캡과 리셉터클의 밀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투영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7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손잡이(15)가 구비된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고, 전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R)은, 도 10에 도시된 음료 메이커의 장착 플레이트(120)에 장착되어 도 1의 카트리지(C)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로써,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C)가 끼워지는 몸체(10)와, 카트리지(C)에서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하는 크레마 조절수단(60)과, 카트리지(C) 외부로 배출된 잔존 열수를 제거하는 잔수 제거수단(40) 및 리셉터클(R)에서 카트리지(C)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카트리지(C)는 캡슐(capsule)(또는 용기(pod)) 형태인데, 필요에 따라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도 본 발명의 리셉터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캡슐(또는 용기)형 카트리지(C)의 구성을 살펴보면, 용기형 바디(Ca)에 추출대상체(미도시), 즉 음료 분말 등이 내장되며, 바디(Ca)의 개구부는 가능한 진공포장 상태에서 커버시트(C1)가 덮어 바디(Ca)의 플렌지(Cb) 상면에 부착되는 형태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측벽부로 둘러싸여 카트리지(C)가 탈착되는 수용부(11)와, 상기 수용부(11)에 구비되어 리셉터클(R)에 끼워진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을 천공하는 하부 천공수단(30; 도 4 참고.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3에는 하부 천공수단(30)의 구성을 생략하였음.)과,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된 제1 배출로(12)와 제2 배출로(13)를 구비한 상바디(10A)와,
상기 상바디(10A)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배출로(12)(13) 모두와 연통되어 있는 배출부(16)와 상기 배출부(16)의 바닥면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배출구(17)를 구비하고, 크레마 조절수단(60)으로써 거품 증가체(61)와 개폐부재(62)가 내장되어 있는 하바디(10B)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몸체(10)를 상바디(10A)와, 하바디(10B)로 구성한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에서, 리셉터클(R)이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120)가, 락킹수단을 통해 회동 개폐되는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제1, 제2 배출로(12)(13)로 배출되는 음료가 하나의 배출구(17)를 통해 최종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이러한 몸체(10)는 상기 수용부(11), 하부 천공수단(30), 제1, 제2 배출로(12)(13) 및 크레마 조절수단(60)을 포함하는 형태이면 족하고, 다른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즉 예를 들어 본 명세서와 다르게, 리셉터클(R)이 고정된 상태에서 캡이 승하강되는 구조의 음료 메이커일 경우, 리셉터클(R)의 몸체(10)는 하바디(10B)가 없이 상바디(10A)에 크레마 조절수단(60)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여도 무방함.).
상기 상바디(10A)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1)가 마련된 컵 형태로써, 전방측에 손잡이(15)가 구비(본 발명의 리셉터클(R)이 장착 플레이트(120)에 탈착되는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리셉터클(R)이 고정형일 경우 생략 가능함.)되고, 상부로 돌출되어 카트리지(C)의 전면을 천공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천공핀(31)으로 이루어진 하부 천공수단(30)이 수용부(11)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천공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천공핀(31)이 마련된 별도의 내장체(30A)로 구성하여 내장체(30A)가 수용부(11)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내장체(30A) 구성이 생략된 형태로 수용부(11)의 바닥면에 하부 천공핀(3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바닥면은 하부 천공수단(30)과 제1, 제2 배출로(12)(13)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음료의 배출의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면 중앙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체류부(11a)를 포함하거나 또는 바닥면의 중앙이 하측으로 오목 형성된 접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C) 내부에서 추출되는 음료는, 하부 천공핀(31)에 의해 천공된 음료 추출공으로 빠져나와, 배출공(30a), 체류부(11a)를 지나 상기 제1, 제2 배출로(12)(13)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 제2 배출로(12)(13)의 위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후술하는 개폐부재(62)를 위해 중앙에 제1 배출로(12)가 형성되고, 제1 배출로(12)의 후방측에 제2 배출로(13)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바디(10A)는, 전방 하측에 상기 수용부(11)와 연통된 잔수 배출공(14)이 관통 형성되어,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C)의 교체 등을 위해 리셉터클(R)이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120)를 전방 하측으로 회동 개방하였을 때, 수용부(11)에 잔존하는 열수 및 음료가 상기 잔수 배출공(14)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바디(10B)는, 상기 상바디(10A)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제2 배출로(12)(13) 모두와 연통되는 배출부(16)를 구비하고, 배출부(16) 상에서 상기 제1 배출로(12)와 대응하는 부위에 거품 증가체(61)가 결합되기 위한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16) 후방측으로 상기 제2 배출로(13)와 연통하도록 전후로 관통 형성된 슬라이딩홀(18)이 형성되어 슬라이딩홀(18)에 개폐부재(62)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바디(10B)는, 배출부(16) 바닥면에 추출된 음료가 최종 배출되는 배출구(17)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데, 이때 배출구(17)는 배출부(16)의 바닥면에서 전방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형성되고, 배출부(16)의 전방측 상부에 상기 잔수 배출공(14)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잔수 배출로(19)가 형성된다.
따라서 음료 추출 시 제1, 제2 배출로(12)(13)를 통과한 음료는, 배출부(16)를 통과하여 배출구(17)를 통해 최종 배출되며, 음료 추출 후 리셉터클(R)이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120)를 전방 하측으로 회동 개방하였을 때, 상기 배출구(17)가 전방 하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배출부(16)에 잔존하는 음료는 배출구(17) 및 잔수 배출로(19)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바디(10A)의 잔수 배출공(14)과 함께, 음료 추출 후 남은 열수 및 음료가, 리셉터클(R)에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카트리지(C)의 제거나 교체 시 열수 및 음료에 의한 화상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10)는, 상기 잔수 배출공(14)과 잔수 배출로(19)와 모두 연통된 별도의 구멍을 구비하여 잔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후술하는 분리수단(50)을 의 승하강을 위해, 전방 측에 마련된 승강홀(10a)이, 상기 잔수 배출공(14)과 잔수 배출로(19) 모두와 연통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분리봉(51)이 상승하였을 때 잔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크레마 조절수단(60)은, 상기 제1 배출로(12)와 연결된 거품 발생부(61A)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61)와, 상기 제2 배출로(13)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거품 증가체(61)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거품 발생부(61A)를 구비하여, 거품 발생부(61A)를 통과하는 음료에서 거품(크레마(Crema))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바디(10B)의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배출로(12)의 하부에 거품 발생부(61A)가 연통하는 형태로 구비된다(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하바디(10B)가 없는 구성일 경우 거품 증가체(61)는 상바디(10A)의 제1 배출로(12) 상부 또는 또는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 또는 거품 발생부(61A) 자체가 제1 배출로(12)로 기능하는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음.).
상기 거품 발생부(61A)는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높이별로 지름이 달라지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협(狹)-광(廣)-협(狹)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3 소통부로 구성되거나 ,
더 바람직하기로는 도 2의 하부 확대 단면도와 같이, 협(狹)-광(廣)-협(狹)-광(廣)-협(狹)을 갖는 제1 내지 제5 소통부(61a,61b,61c,61d,61e)로 구성되어 있어, 특유의 오리피스 구조로 인해 소통부들을 통과하는 음료는 거품 또는 크레마(Crema)가 발생하여 배출부(16)로 배출된다.
이러한 거품 증가체(61)가, 실리콘, 기타 엘라스토머 소재나, 그 외 다양한 가요성 소재로 제작될 경우, 1mm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거품 발생부(61A)가 막힐 수 있는데, 추출액의 압력에 의하여 각 소통부들이 변형(하부로 쳐지는 형태로 변형됨)됨에 따라,
거품 발생부(61A)의 광(廣)폭 부위인 제2 및 제4 소통부(61b)(61d)로 인하여 협(狹)폭 부위인 제1, 제3, 제5 소통부(61a)(61c)(61e)가 확장될 수 있어, 그만큼 거품 발생부(61A)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거품 증가체(61)의 거품 발생부(61A)는,
제1 소통부(61a) 보다 큰 제2 소통부(61b), 제2 소통부(61b) 보다 작은 제3 소통부(61c), 제3 소통부(61c) 보다 큰 제4 소통부(61d), 제4 소통부(61d) 보다 작은 제5 소통부(61e)가 상부에서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세한 크기(각 거품 발생부(61A)의 평단면도를 관찰했을 때, 각 단면적의 크기)는
제2 소통부(61b) ≒ 제4 소통부(61d) 〉 제5 소통부(61e) 〉제1 소통부(61a) 〉제3 소통부(61c)
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소통부(61a) ≒ 제3 소통부(61c) ≒ 제5 소통부(61e)의 크기여도 무방하며, 가능한 제1 내지 3 또는 제1 내지 제5의 소통부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소통부에서의 압력차이로 거품 또는 크레마의 양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거품 발생부(61A)에서 지름이 가변되어 협(狹)폭과 광(廣)폭이 반복되는 소통부의 수는 더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62)는 상기 제2 배출로(13)를 개폐하는 것으로, 음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배출로(13)로 거품이 발생하지 않은(또는 거품이 증가하지 않은) 음료를 배출시켜 배출구(17)로 배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음료 추출 시 카트리지(C) 내부에서 분사되는 열수의 양이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 개폐부재(62)가 상기 제2 배출로(13)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추출되는 음료가 거품 발생부(61A)(제1 배출로(12))와 제2 배출로(13) 모두를 통과하므로, 배출구(17)로 최종 배출되는 음료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거품이 포함되고,
반대로 상기 개폐부재(62)가 상기 제2 배출로(13)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추출되는 음료가 거품 발생부(61A)만을 통과하므로, 배출구(17)로 최종 배출되는 음료에는 개폐부재(62)가 개방된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거품이 포함된다.
다시 말해 개폐부재(62)의 개폐에 따라 거품 발생부(61A)를 통과하는 음료의 양이 달라져, 결국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음용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62)는, 제2 배출로(13)를 개폐하는 구조 및 형태이면 족하나, 후술하는 음료 메이커에서, 조절 레버(본체)를 통해 개폐부재(62)의 개폐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폐부재(62)는, 후방측 일단이 하바디(10B)의 후방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18)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홀(18)에는 상기 개폐부재(62)가 하바디(10B)의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체(63)가 구비되어,
노출부(62A)를 가압하면 개폐부재(62)가 전방의 제2 배출로(13)로 전진하여 제2 배출로(13)를 폐쇄하고,
노출부(62A)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체(63)에 의해 개폐부재(62)가 후진 복귀하여 제2 배출로(13)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노출부(62A)의 가압은 후술하는 음료 메이커에서 조절 레버(본체)로 작동하는 가압부재(151)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가압부재(151)의 작동은 도면과 같이, 조절 레버(본체)를 이용한 수동 방식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한 자동 방식(미도시)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바디(10A)와 하바디(10B) 사이에는, 배출구(17)가 아닌 다른 곳으로 배출부(16)의 음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10p)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부(11)의 바닥면에 구비된 하부 천공핀(31)에 막힘방지부를 도입하여 카트리지(C)의 음료 추출 과정 중에 카트리지(C)의 천공부가 폐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부 천공핀(31)에 구비되는 막힘방지부는 추출 음료의 유동을 간섭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원내 확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막힘방지부로써, 상기 하부 천공핀(31)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막힘방지공(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막힘방지공(32)은 상기 하부 천공핀(31)이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을 천공하여 내부로 삽입된 후 음료가 추출될 때 카트리지(C) 내부에서 추출된 음료의 유동 및 카트리지(C) 내부의 고압, 고열에 의하여 추출대상체의 분말이 하부 천공핀(31) 주변에 뭉치게 되어 추출된 음료가 음료 추출공을 통과하지 못해, 배출공(30a)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통상적으로 용기형 바디(Ca)는, 플라스틱류의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저면의 천공이 쉽게 이루어지고, 따라서 하부 천공핀(31)이 저면을 천공하게 되면 저면이 비정형(非定型)으로 파괴되면서 음료 추출공이 형성되는데,
이때 수직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하부 천공핀(31) 자체가, 하부 천공핀(31)의 주변으로 유동하여 음료 추출공으로 배출되는 음료의 이동을 간섭하게 되고(즉, 비정형(非定型)의 파괴로 인하여 하부 천공핀(31) 주변의 음료 추출공의 크기가 제각각이어서 유체(추출된 음료)의 특성 상 하나의 음료 추출공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부분으로 음료의 유동이 몰리게 되는데, 이때 하부 천공핀(31)이 음료의 유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함.)
이러한 하부 천공핀(31)의 간섭은 열수 투입에 의한 카트리지(C) 내부의 고압, 고열이 더해져 추출대상체의 분말이 음료 추출공 주변으로 몰리면서 압축되어 음료 추출공을 막는 결과를 초래하여, 종국적으로 음료 추출공을 통한 음료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추출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추출되는 음료의 양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막힘방지공(32)을 통해 하부 천공핀(31)의 양면을 소통시킴으로써, 음료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분말의 쏠림 및 내부 압력의 증가를 저감시켜 분말에 의하여 음료 추출공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막힘방지공(32)은 음료의 유동에 따른 분말의 몰림 현상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하부 천공핀(31)의 하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막힘방지공(32)의 일부는 하부 천공핀(31)의 하부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막힘방지공(32)의 다른 일부는 하부 천공핀(31)과 연결된 내장체(30A)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막힘방지공(32)은 내장체(30A)의 바닥면에서, 하부 천공핀(31)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연결된 연결부에 걸쳐, 바닥면과 하부 천공핀의 모두에 상호 연결된, 수직공(32a)과 수평공(32b)으로 구성되어 종단면 형상이 유사 'ㄴ'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 상기 하부 천공핀(31)은 상기 막힘방지부로써, 돌출 방향의 중앙을 따라 양측 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33)를 통해 상기 하부 천공핀(31)은 횡단면 형상이 유사'V'자형으로 이루어져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에 천공되는 음료 추출공의 면적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각각의 하부 천공핀(31)에 따라 비정형(非定型)으로 천공되는 음료 추출공을 상대적으로 정형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음료 정체에 따른 음료 추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내장체(30A)의 배출공(30a) 둘레에 상기 카트리지(C)에서 추출된 음료를 상기 배출공(30a)으로 유도하는 막힘방지유도로(35)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카트리지(C)가 수용부(11)에 끼워진 후 음료 추출이 이루어질 때, 내장체(30A)가 수용부(11)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는데(이때 밀착되더라도 유체의 특성 상 미세간극으로 소량의 음료가 배출공(30a)으로 이동될 수는 있음.), 상기 막힘방지유도로(35)를 통해 추출된 음료가 배출공(30a)으로 유도되어 체류부(11a)부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막힘방지부의 구성들과 함께 음료의 추출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막힘방지유도로(35)는 하부 천공핀(31) 내측의 체류관통부(34)와 중앙의 배출공(30a) 사이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류관통부(34)와 상기 배출공(30a)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막힘방지유도로(35)는 상기 내장체(30A)의 바닥면 일부가 절단되어 뚫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힘방지유도로(35)는 상기 내장체(30A)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 또는 이들 모두로 구성된다.
즉, 상기 막힘방지유도로(35)는 프레스 등의 방식을 통해 상기 배출공(30a)과 상기 체류관통부(34)사이의 내장체(30A)의 바닥면 일부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시켜, 터널 형상의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어, 요부 또는 철부로 형성된 터널 형상의 막힘방지유도로를 통해 상기 체류관통부(34)와 상기 배출공(30a)이 연결되도록 한다.
도 4의 확대 사시도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철부로 구성된 막힘방지유도로(35)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요부로 구성된 막힘방지유도로는 도면과 반대 방향, 즉 하측으로 내장체(30A)의 바닥면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요철부가 교차 배열되어 체류관통부와 배출공을 연결하는 막힘방지유도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면과 같이, 상기 체류관통부(34)와 상기 배출공(30a) 사이의 내장체(30A)의 바닥면이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연결부(35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 공간이 터널형태의 막힘방지유도로(35)로 형성되어 제조의 용이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용기형 바디(Ca)의 저면과 내장체(30A)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막힘방지부를 통한 음료 추출공의 폐쇄 방지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도면과 같이 철부로 이루어진 막힘방지유도로(35)를 형성하는 연결부(35A)는, 카트리지(C)가 수용부(11)에 수용될 때 용기형 바디(Ca) 저면의 중앙부분과 내장체(30A)의 바닥면 중앙부분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내장체(30A) 내부에 체류하는 음료가 배출공(30a)으로 배출되지 않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천공핀(31)을 절곡 가공함에 따라, 내장체(30A)의 바닥면 일부에 체류관통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음료 추출공을 통해 배출된 음료는 상기 체류관통부(34)에서 막힘방지유도로(35)를 따라 배출공(30a)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거품 발생부(61A)는 음료의 거품 발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 직경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카트리지(C)에서 배출되는 음료의 양보다 상바디(10A)에서 배출되는 양이 적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C)가 수용부(1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음료가 체류하여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적기 때문에 카트리지(C)와 수용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 압력이 음료에 의하여 증대된다.
이렇게 카트리지(C)와 수용부(11) 사이에 체류하는 음료의 내부 압력이 증대되면 음료가 하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카트리지(C) 내부로 다시 역류하는 등의 이유로, 추출된 음료가 리셉터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체류관통부(34)를 통해 카트리지(C)를 빠져나온 음료가 배출되기 전 체류하여 대기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체류관통부(34)는 추출되는 음료의 일부를 상기 배출공(30a)을 거치지 않고 바로 체류부(11a)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이용되어 음료 정체에 의한 내부 압력 증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천공핀(31)들 사이에 내장체(30A)의 바닥면 일부가 관통 형성된 지체부(36)가 더 구비되어, 체류부(11a)가 상기 지체부(36)에 의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지체부(36)는 열수 투입에 따른 카트리지(C) 팽창에 의하여 카트리지(C)가 밀착되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아 압력 균형이 발생하여 음료가 리셉터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기형 바디(Ca)의 저면과 내장체(30A)의 바닥면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 간극을 통해 음료가 스며들면, 스며든 음료가 상기 지체부(36)를 통해 상기 체류부(11a)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기능하며,
상기 배출공(30a) 또는 상기 지체부(36)를 통해 직접 체류부(11a)로 이동되는 추출음료의 유동을 간섭하고 지체시키면서 통과되도록 하여 추출음료의 거품 양 증가에 일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막힘방지공(32)을 구비한 하부 천공핀(31)에 의하여 배출되는 음료가 상기 막힘방지유도로(35), 상기 체류관통부(34), 상기 지체부(36), 상기 배출공(30a) 등을 통해 복합적으로 유동되면서 체류부(11a)로 이동되어짐으로써, 음료의 유동 거리를 증가시켜 일종의 거품 발생 증대 수단으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음료가 체류부(11a)로 원활하게 이동함에 따라 내부 압력 증가를 억제시켜 음료 추출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추출되는 음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3의 [A]에 도시된 확대 사시도와 같이, 상기 하부 천공핀(31)에는, 잔수 제거 수단(40)으로써의 걸림돌기(4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료 메이커에 구비된 락킹수단(이하 음료 메이커의 구성은 도 7 내지 도 10 참고.)을 통해 리셉터클(R)과 캡(110)이 밀착될 때, 하부 천공핀(31)이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을 천공하여 카트리지(C) 내부로 인입되는데, 하부 천공핀(31)이 전면을 천공하기 직전까지는 가압에 의하여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이 천공 방향(상측)으로 가압되어 밀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락킹수단의 마지막 가압에 의하여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이 천공된다.
이후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를 천공한 상부 천공수단, 즉 상부 천공핀(111)을 통해 열수가 카트리지(C) 내부로 분사되어 음료 추출이 진행된다.
이때 카트리지(C) 내부는 캡(110)과, 하부 천공핀(31)의 압착으로 인해 그 공간이 최소한으로 협소해진 상태에서 고온, 고압의 열수 분사에 의하여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음료 추출이 완료된 후 캡(110)과 리셉터클(R)의 밀착이 해제될 때 상승된 내압의 영향으로 커버시트(C1)가 부풀어지면서, 추출에 사용되고 남은 열수(또는 추출된 음료의 일부)가 커버시트(C1)의 열수 유입공으로 배출되어 커버시트(C1) 상면에 고이게 된다.
이러한 잔존 열수는 열수 유입공을 완전 밀폐하면서 응력에 의하여 카트리지(C) 내부로 바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소정 시간 남게 되는데, 따라서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C)의 제거 또는 교체를 바로 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잔존 열수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여지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C)의 내부 압력이 증대된 상태에서 그 반발력에 의하여 커버시트(C1)가 부풀어지면서 상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카트리지(C)의 내압을 이용해, 상기 걸림돌기(41)가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카트리지(C)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흡사 공기 흡착(석션; suction)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여, 커버시트(C1)의 열수 유입공(C2)을 통해 열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음료 추출 후 캡(111)에 밀착된 리셉터클(R)이 하강할 때, 상기 걸림돌기(41)가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에 걸리면서, 천공 시 밀려서 구부려진 용기형 바디(Ca)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시키고, 이렇게 복귀되면서 발생하는 흡착력(흡사 주사기의 흡착 원리와 같이)을 이용해, 열수가 열수 유입공을 통해 커버시트(C1)의 상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존 열수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캡(110)과 리셉터클(R)의 밀착 해제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잔수 제거 수단(40)의 '제거'란 의미는 열수 유입공을 통해 열수의 일부가 배출되더라도 즉시 배출된 열수를 다시 열수 유입공을 통해 카트리지(C) 내부로 흡착하여(빨아드려) 커버시트(C1)의 상부에 잔존 열수가 없도록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흡착력을 통해 열수가 열수 유입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중의적인 의미의 잔수 제거는, 후술하는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에 부착되는 내부시트(4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걸림돌기(41)는 도면과 같이 끝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형태(일종의 미늘과 같은 형태)만이 아니라, 하부 천공핀(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형 바디(Ca)의 저면 내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잡아당길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낚시 바늘 형태 등)이면 족하다.
이때 카트리지(C)의 바디가 상광하협의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걸림돌기(41)에 의하여 하면이 가압되면서 발생하는 열수 흡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수 제거 수단(40)으로써, 상기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 내측면(하부면)에 부착되되, 상부 천공수단에 의하여 천공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시트(C1)와의 사이에 열수 유입공(C2)과 연통된 하나 이상의 열수 공급로(43)를 형성하는 내부시트(4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시트(42)는 커버시트(C1)와 마찬가지로 얇은 연질의 필름 시트로써, 커버시트(C1) 하부에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 등을 이용해 부착, 고정된다.
이때 도 5의 중단 확대 단면도와 같이, 상부 천공수단, 즉 상부 천공핀(111)에 의하여 커버시트(C1)만이 천공되어 열수 유입공(C2)이 형성되고, 내부시트(42)는 천공되지 않는다.
커버시트(C1)만이 천공되도록 하는 방법은 상부 천공핀(111)의 하부 돌출 높이 조절, 상부 천공핀(111)의 첨예 정도 조절, 또는 내부시트(42)와 커버시트(C1)로 사용되는 필름시트 소재의 강도를 차별화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시트(42)와 커버시트(C1)를 부착할 때 열수 유입공(C2) 부분과 연결된 소정 영역에 대하여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열수 유입공(C2)과 연통된 열수 공급로(43)가 형성된다.
즉, 도 5의 좌측 원내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시트(42)의 외경을 커버시트(C1)의 외경(엄밀하게는 카트리지(C) 바디의 외경)보다 작게 하고, 내부시트(42)를 커버시트(C1)의 하부에 부착할 때 열수 유입공(C2)과 접하는 부분부터 내부시트(42)의 외변 까지 소정의 영역이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트들이 서로 부착되는 않은 공간이 열수 공급로(43)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열수 공급로(43)를 형성하되, 내부시트(42)의 외변이 커버시트(C1)의 외변에 모두 부착되도록 하고, 열수 공급로(43)가 형성된 부분에 내부시트(42)가 천공된 천공부(하나의 구멍이나 또는 다수의 구멍이 군집된 형태)가 구비되어 있는 방식 등으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열수 공급로(43)는 열수 유입공(C2)과 연통된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도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열수 유입공(C2)을 감안하여, 열수 유입공(C2)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열수 공급로(43)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시트(C1)만을 천공하여 인입된 상부 천공핀(111)에서 열수가 분출되면, 내부시트(42)에 의하여 그 하부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열수가 카트리지(C) 내부로 직접 분사되지 않고, 상기 열수 공급로(43)를 경유하여 내부시트(42)와 커버시트(C1)가 벌어진 틈새(또는 내부시트(42)에 형성된 천공부)를 통해 분사되어 음료의 추출이 행해지고,
음료의 추출이 완료된 후 캡(110)과 리셉터클(R)의 밀착이 해제되면, 내압에 의하여 내부시트(42)가 커버시트(C1)에 밀착되어 열수 공급로(43)를 폐쇄함으로써, 열수가 열수 유입공(C2)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시트(42)와 커버시트(C1)가 밀착되기 전 열수 공급로(43)에 남은 열수 또는 열수 공급 시 열수 유입공(C2)으로 배출된 열수는 상기한 걸림돌기(41)에 의한 흡착 작용을 통해 카트리지(C) 내부로 흡착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41)의 흡착 작용에 의해 열수 공급로(43)가 벌어지더라도, 이 경우에는 카트리지(C) 내부로 빨아드리는 압력이 카트리지(C)에 대하여 상측으로 작용하는 내압보다 크기 때문에 걸림돌기(41)와, 내부시트(42)의 상호 보완 작용을 통해 열수가 커버시트(C1)의 상부에 남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잔수 제거 수단(40)으로써, 도 5의 최상단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시트(C1)의 열수 유입공(C2)을 덮으면서 부착되어 상기 상부 천공핀(111)에 의하여 천공되는 가요성(可撓性)재질의 폐쇄부재(44)를 포함한다.
상기 폐쇄부재(44)는 가요성, 즉,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써, 대표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44)가 커버시트(C1)의 열수 유입공(C2) 둘레에 구비(접착 등의 방식으로)될 경우, 상부 천공핀(111)이 폐쇄부재(44) 및 커버시트(C1)만을 모두 천공한 상태에서 열수의 분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료 추출이 끝난 후 리셉터클(R)과 캡(110)이 분리되면, 상부 천공핀(111)이 열수 유입공(C2)에서 빠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폐쇄부재(44)는 가요성 재질로 인해 천공된 구멍이 메워지면서, 결국 열수 유입공(C2)이 폐쇄됨에 따라 카트리지(C) 내부의 열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쇄부재(44)는 상부 천공핀(111)이 열수 유입공(C2)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천공핀(111)과의 간극을 없애 음료 추출 중 열수가 카트리지(C)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자연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폐쇄부재(44)는 상기 내부시트(42)가 적용되지 않은 실시예와, 상기 내부시트(42)가 적용된 실시예 모두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잔수 제거 수단(40)으로써, 상기 내부시트(42)와 함께 가요성 재질의 폐쇄부재(44)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천공핀(111)의 높이 조절 등을 통해 폐쇄부재(44)와, 커버시트(C1)만이 천공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물론 폐쇄부재(44)가 도입된 경우, 내부시트(42)가 천공되더라도, 잔수의 유출 방지 및 제거가 가능하나, 폐쇄부재와 함께 내부시트의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함.).
이때 상기 폐쇄부재(44)는 열수 유입공(C2)을 둘러싼 커버시트(C1)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시트(C1)의 하면, 즉, 커버시트(C1)와 내부시트(42) 사이에 폐쇄부재(44)가 구비되는 때에는 폐쇄부재(44)는 커버시트(C1)에만 부착됨으로써, 내부시트(42)와의 사이에 열수 공급로(43)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잔수 제거 수단(40)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형 바디(Ca)의 저면 내부(상부면)에 부착되되, 하부 천공핀(31)에 의하여 천공되지 않으며, 상기 용기형 바디(Ca)의 저면 사이에 음료 추출공(C4)과 연통된 음료 배출로(46)를 형성하는 저면시트(45)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시트(45)는 얇은 연질의 필름 시트로써, 일정 이상의 강도와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부직포, 합성수지 등의 필름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면시트(45)는 상기 내부시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저면시트(45)를 바디(Ca)의 바닥면에 부착할 때 음료 추출공(C4)과 연결된 소정 영역에 대하여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음료 추출공(C4)과 연통된 음료 배출로(46)가 형성된다.
즉, 도 5의 아래 좌측 원내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시트(45)의 외경을 바디(Ca)의 바닥면의 외경보다 작게 하고, 저면시트(45)를 바닥면 상부에 부착할 때 음료 추출공(C4)과 접하는 부분부터 저면시트(45)의 외변까지 소정의 영역이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착되지 않은 공간이 음료 배출로(46)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료 배출로(46)는 상기 열수 공급로(43)와 달리, 원활한 음료 배출을 위해 넓은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저면시트(45)와 바닥면이 접착되는 면적은 저면시트(45)가 바닥면에서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의 정도로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의 아래 중앙 및 우측 원내 단면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천공핀(31)이 용기형 바디(Ca)의 저면을 천공하여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저면시트(45)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저면시트(45)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 즉 상기 음료 배출로(46)가 벌어지게 되고, 이렇게 벌어진 음료 배출로(46)를 통해 추출된 음료가 바닥면의 음료 추출공(C4)로 배출된다.
그리고 음료의 추출이 완료된 후, 캡(110)과 리셉터클(R)의 밀착이 해제되면, 내압에 의하여 저면시트(45)가 용기형 바디(Ca)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음료 추출공(C4)를 폐쇄함으로써, 잔수가 음료 추출공(C4)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저면시트(45)가 밀착되면서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저면시트(45)와 바디(Ca)의 저면 사이에 남은 음료가 완전 배출되므로, 리셉터클(R)에서 카트리지(C)를 빼내었을 때 리셉터클(R)의 하면에 음료, 즉 잔수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 배출로(46)에 의하여 음료 추출공(C4)로 최종 배출되는 음료의 추출 시간이 지체(증가)되므로, 더욱 깊은 맛의 음료 추출이 가능해지면서, 크레마 증가에 일조할 수 있다.
하부 천공핀(31)에 의하여 상기 저면시트(45)가 천공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하부 천공핀(31)의 상부 돌출 높이 조절, 하부 천공핀(31)의 첨예 정도 조절, 저면시트(45)로 사용되는 필름 시트 소재의 강도를 차별화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5의 하부 우측 원내 단면도와 같이, 상기 저면시트(45) 내측(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보강시트(45')가 추가로 접착되어 천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2중 이상의 저면시트(45)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시트(45) 또는 상기 보강시트(45')는 필름 시트 상에 보강 물질을 함침(含浸)시켜 강도를 보강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메이커의 장착 플레이트(120)가 하강 스윙 변위될 때, 리셉터클(R)에서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b)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분리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수단(50)은, 상기 리셉터클(R)의 몸체(10; 상바디(10A))에 내장되는 승강부(51a)와, 상기 승강부(51a)의 하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리셉터클(R)의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부(51b) 및 상기 승강부(51a)의 상단에 결합되어 플렌지(Cb)가 지지되는 가압링(51A)으로 이루어진 분리부재(51)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리수단(50)은, 음료 메이커의 본체(100)에 설치되며 리셉터클(R)이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120)의 하강 및 하향 스윙 변위 시 상기 접촉부(51b)가 접촉되어 상기 분리부재(51)와 가압링(51A)을 상승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가압판(53)에 의해 작동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리셉터클(R)은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승강홀(10b)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홀(10b)의 하부는 외측면이 소정 높이만큼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재(51)는 승강부(51a)가 상기 승강홀(10b)에 내장된 상태에서 접촉부(51b)가 승강홀(10b)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리셉터클(R)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또 상기 가압판(53)은 전방 하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장착 플레이트(120)가 하강 회동하면, 상기 접촉부(51b)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고,
장착 플레이트(120)가 계속하여 하향 스윙될 때 상기 접촉부(51b)는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상측으로 가압되어(즉, 상기 경사면이 접촉부(51b)의 스윙 궤적을 간섭하여, 장착 플레이트(120)가 스윙될 때 상기 접촉부(51b)는 동일한 궤적으로 스윙되지 않고 경사면에 의하여 상측으로 밀리게 됨.), 결국 상기 분리부재(51)가 상승하여, 가압링(51A)에 지지되어 있는 카트리지(C)의 플렌지(Cb)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수용부(11)에서 카트리지(C)를 강제로 분리, 이탈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리셉터클(R)은 상기 승강홀(10b) 상에 상기 분리부재(51)를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1c)가 더 구비되어,
장착 플레이트(120)가 다시 상승 회동하면서, 접촉부(51b)와 가압판(53) 상호간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51c)의 탄성력에 의하여, 분리부재(51)가 하강 복귀하여, 캡(110)에 의해 수용부(11)가 밀폐되면서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 천공 및 볼록부(110A)와 커버시트(C1)의 밀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렇게 분리부재(51)에 의하여 리셉터클(R)에서 한번 이탈된 카트리지(C)를 쉽게 빼낼 수 있고, 새로운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R)에 다시 끼워서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바디(10A)의 전방에 마련된 승강홀(10a)에 내장되는 분리봉은, 접촉부(51b)가 구비되지 않는 형태로, 상단에 가압링(51A) 만이 결합되어 승강홀(10a)에서 승하강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R)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크게 열수 공급수단(미도시)과 연결된 상부 천공핀(111)을 구비한 캡(110)과, 카트리지(C)가 탈착되는 리셉터클(R) 및 상기 캡(110)과 리셉터클(R)이 밀착되도록 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한다(이하 리셉터클(R) 및 카트리지(C)의 구체 구조는 도 1 내지 도 6 참고).
상기 캡(110)은 중앙에 상부 천공핀(111)이 구비되어, 캡(110)과 리셉터클(R)이 밀폐될 때, 상부 천공핀(111)이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를 천공하게 되고, 이렇게 천공된 열수 유입공을 통해 열수가 카트리지(C) 내부로 고온, 고압 상태로 분출되어 음료의 추출이 진행된다.
상기 캡(110)은 소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부재로써,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밀착 시 리셉터클(R)의 수용부(11)를 가압하면서 밀폐시키며, 하부면 중앙이 하측으로 돌출된 볼록부(110A)를 구비하여 캡(110)의 볼록부(110A)에 커버시트(C1)가 밀착될 때 커버시트가 볼록부(110A)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로 오목하게 변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커버시트(C1) 상면에 남는 잔수가 열수 유입공으로 보다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들 외에도, 음료 추출에 사용되는 열수 공급을 위하여 장착가능한 물탱크를 더 구비한다. 물탱크의 본질은 '추출용매 공급수단'이며, 음료의 본질상 수도시설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생수 등 자연 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는 100% 물이거나, 음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을 혼합한 물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에 장착되는 물탱크 뿐 아니라 수도꼭지, 정수기, 냉온수기 등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모든 물 함유 용매 공급수단일 수 있다.
또 음료 메이커에는 통상의 커피 메이커와 같이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보일러 및 펌프, 이의 제어 및 안전성 보장을 위한 각종 센서 및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마이컴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핵심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리셉터클(R)이 탈착되는 장착 플레이트(120)는 레버(130) 및 링크부재(140)의 링크 작동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회동하여, 캡(110)이 수용부(11)를 덮으면서 카트리지(C)를 가압하여, 캡과 카트리지가 상호 밀착된다.
상기 캡(110)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열수 물탱크, 펌프로부터 열수가 이송되는 호스 등의 부재가 결합되는 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와 상부 천공핀(111) 사이에 형성된 관로가 형성되어, 열수의 공급, 분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천공핀(111)은 커버시트(C1)의 천공 및 열수 공급 기능에 따라 철재의 별도 부재로 제작되어 상부 천공핀(111)의 첨단부가 캡(110)의 중앙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캡과 카트리지가 밀착되도록 하는 락킹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14-0160796호(출원일자 2014.11.18.)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서 스윙 작동 하는 레버(130)를 통해 링크부재(140)가 연동되어, 리셉터클(R)이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120)가 동반 스윙 운동하여, 카트리지(C)가 캡(110)의 하부에 밀착되는 구조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밖에도 리셉터클(R;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이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120)) 및/또는 캡(110)이 서로 상대적으로 승하강 변위가 이루어짐으로써, 리셉터클 수용부(11)의 밀폐가 이루어지는, 공지된 커피 메이커 등의 다양한 밀폐/밀착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상부 천공핀(111)의 끝단부는, 카트리지(C), 즉 용기형 바디(Ca)의 백분율 표시 깊이의 20~80% 높이에 배열되고,
상기 상부 천공핀(111)은 복수개의 분사공(111a)(111b)을 갖고, 상기 분사공(111a)(111b)은 카트리지(C)의 백분율 표시 깊이의 30~70% 높이에 배열되어,
음료 추출 시, 열수가 카트리지(C)의 중간 높이에서 분사되도록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 천공핀(111)은 끝단부에서 직하방으로 개구된 제1 분사공(111a)과,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제2 분사공(111b)을 포함하고,
음료 추출 시, 상기 제1 분사공(111a)과 상기 제2 분사공(111b)은 리셉터클(R)에 끼워진 카트리지(C)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어 열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즉, 상부 천공핀(111)의 끝단부가 카트리지(C)의 중간 높이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 천공핀(111)에서, 열수의 분사가 하측 일방이 아닌 전후좌우 및 상하(여기서 상하 방향은, 제1 분사공(111a)의 하측 방향을 포함한, 제2 분사공에서 분사되는 열수의 방향이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됨을 의미함.) 모든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상부 천공핀(111)의 각 분사공을, 카트리지(C)의 중간 높이까지 연장시키는 이유는, 열수 분사 높이가 용기형 바디(Ca)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추출대상체의 내부 중앙에서 전후좌우 및 상하 전 방향으로 열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음료에 종류에 따라 추출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추출 시 발생하는 거품양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음료 메이커는, 커피뿐만 아니라, 각종 찻잎 분말이나 한약재 등이 저장된 카트리지를 사용해 다양한 종류의 차 추출에 사용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차 추출 시, 열수의 분사가 필름시트(Cb)의 직하부, 즉 용기형 바디(Ca)의 상부 높이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상부 천공핀(111)의 분사공이 막혀 추출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 상부 천공핀(111)의 하강 작동을 통해 열수 분사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캡 또는 리셉터클이 단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음료 메이커의 경우, 각 분사공이 카트리지(C)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천공핀(111)이, 캡(110)의 하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고정되어 방식으로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R)이, 장착 플레이트(120)의 회동을 통해 승하강되도록 결합된 음료 메이커의 경우, 각 분사공이 카트리지(C)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천공핀(111)이, 락킹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캡(110)에서 승하강되도록 결합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즉, 캡 또는 카트리지가 직선운동으로 승하강될 경우, 상부 천공핀(111)의 승하강이 필요하지 않으나,
도면과 같이, 카트리지(C)가 스윙운동을 통해 회동하여 승하강될 경우, 상부 천공핀(111)이 소정 길이만큼 연장 돌출되어 있으면, 카트리지(C)의 스윙 경로에 상부 천공핀(111)이 형성되어, 필름시트(Cb)의 천공 및 상부 천공핀(111)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부 천공핀(111)이 락킹수단과 함께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락킹수단의 작동을 통해 장착 플레이트(120)가 스윙운동하면서 상승 회동하여 캡(110)의 하부에 밀착될 때, 상부 천공핀(111)이 캡(111)에서 인출되면서 하강하여, 각 분사공이 카트리지(C)의 중간 높이까지 하강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캡과 리셉터클의 밀착 구조에 상관없이, 상부 천공핀(111)이 캡(110)에서 승하강되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상부 천공핀(111)의 승하강을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여 작동하도록 하면, 상기 내부시트(42) 등을 포함한 잔수 제거수단(40)이 마련된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부 천공핀(111)의 하강이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잔수 제거수단(40)을 포함하지 않은 카트리지라도, 상부 천공핀(111)의 하강 기능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며, 기능 성택을 통해 음료 추출 시 상부 천공핀(111)이 하강되어 열수가 분사되도록 하면, 분사 압력의 영향을 받는 추출대상체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거품이이 증가된 상태로 음료 추출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음료 메이커는, 상기한 크레마 조절수단(60)과 별개로, 상기 상부 천공핀(111)의 높이 조절을 통해 추출 시 발생하는 거품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장착 플레이트(120)에 리셉터클(R)이 탈착되는 음료 메이커의 경우,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운동 시 리셉터클(R)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음료 메이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R)을 장착 플레이트(12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125)은, 장착 플레이트(120)의 탈착부(120S) 양측에 구비되어,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고정바(12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126)는 전단이 장착 플레이트(120)에 힌지 결합되어, 후단이 힌지 결합부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된 부재로써,
외측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26a)와, 장착 플레이트(120)의 끼움홈(120a) 사이에 구비되어, 신장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27)에 의해 탈착부(120S)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바(126)는, 끼움홈(120a)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후단이 탈착부(120S) 내측으로 회동한 상태가 강제된다.
따라서 리셉터클(R)을 장착 플레이트(120)에 장착하기 위해 리셉터클(R)을 탈착부(120S)에 밀어 넣으면, 고정바(126)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몸체(10)가 탈착부(120S)에 완전히 끼워지면, 고정바(126)가 내측으로 다시 오므려져, 리셉터클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경우, 고정바(126)는 후단 내측단에 몸체(10)의 외측면 형태에 상응하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리셉터클(R)을 잡아 당겨 탈착부(120S)에서 분리할 때, 몸체(10)의 가압에 의해 고정바(126)가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 : 리셉터클 C : 카트리지
10 : 몸체 10A : 상바디
10B : 하바디 11 : 수용부
12 : 제1 배출로 13 : 제2 배출로
14 : 잔수 배출공 15 : 손잡이
16 : 배출부 17 : 배출구
18 : 슬라이딩홀 19 : 잔수 배출로
30 : 하부 천공수단 40 : 잔수 제거수단
50 : 분리수단 60 : 크레마 조절수단
61 : 거품 증가체 62 : 개폐부재
63 : 탄성체 100 : 본체
110 : 캡 120 : 장착 플레이트
130 : 레버 140 : 링크부재
150 : 조절 레버

Claims (4)

  1.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카트리지의 저면을 천공하는 하부 천공수단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배출로와 제2 배출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 배출로와 연결된 거품 발생부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크레마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 및 상기 제2 배출로 모두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만을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됨으로써,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용부에서 카트리지가 이탈되도록 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3. 열수 공급수단과 연결된 상부 천공핀을 구비한 캡;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리셉터클;
    상기 캡이 상기 리셉터클의 수용부를 밀폐하도록 고정시키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카트리지의 저면을 천공하는 하부 천공수단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배출로와 제2 배출로를 구비한 몸체,
    상기 제1 배출로와 연결된 거품 발생부를 구비한 거품 증가체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크레마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 및 상기 제2 배출로 모두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 배출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상기 거품 발생부만을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된 음료가 최종 배출됨으로써,
    추출되는 음료의 거품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메이커.
  4. 열수 공급수단과 연결된 상부 천공핀을 구비한 캡;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리셉터클;
    상기 캡이 상기 리셉터클의 수용부를 밀폐하도록 고정시키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천공핀의 끝단부는, 카트리지의 백분율 표시 깊이의 20~80% 높이에 배열되고,
    상기 상부 천공핀은 복수개의 분사공을 갖고, 상기 분사공은 카트리지의 백분율 표시 깊이의 30~70% 높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메이커.
KR1020160024529A 2015-03-10 2016-02-29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20160110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27 2015-03-10
KR20150033327 2015-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108A true KR20160110108A (ko) 2016-09-21

Family

ID=5708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529A KR20160110108A (ko) 2015-03-10 2016-02-29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0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268A (ko) * 2016-12-22 2019-10-14 치보 게엠베하 브루잉 모듈 및 음료-준비 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268A (ko) * 2016-12-22 2019-10-14 치보 게엠베하 브루잉 모듈 및 음료-준비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160B2 (en)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JP4673381B2 (ja) 加圧流体の注入によってカプセルから飲料を調理するための装置
JP5406306B2 (ja) 飲料調製装置内で遠心分離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およびそのために適合される装置
ES2629423T3 (es) Máquinas de preparación de bebidas
TWI482606B (zh) 飲料機及使用飲料機調製原料的方法
US11103101B2 (en) System for preparing aromatic beverages with optmized beverage discharge disposition and process of operation of said system
JP5600738B2 (ja) 一回使用分小袋から飲料を作るための注入ユニットおよびそのユニットを有する装置
JP5043113B2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
JP5497778B2 (ja) 遠心によって液状食品を調製するための液状食品調製システム
CN104271469B (zh) 用于饮料制备的配料胶囊
EP1804630B1 (en) A beverage-making device comprising a brewing chamber and pressure release means
KR101578274B1 (ko) 음식료 제품 준비 시스템
US10485372B2 (en) Beverage machine
JP2009511142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
MX2014013404A (es) Una capsula de ingredientes para la preparacion de bebidas.
CN104284849A (zh) 用于饮料制备的配料胶囊
KR20130067206A (ko)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CN208447263U (zh) 饮料酿造装置
KR20160110108A (ko)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CN110023208A (zh) 多组分饮料制备料筒和机器
KR20170101682A (ko)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CN208822412U (zh) 锁紧酿造装置和饮料酿造装置及饮品机
KR20160059199A (ko) 잔수 제거 수단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JP2021515626A (ja) カプセルを制御して穿孔する飲料マシン
KR20150106321A (ko)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