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936A -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936A
KR20160109936A KR1020150035224A KR20150035224A KR20160109936A KR 20160109936 A KR20160109936 A KR 20160109936A KR 1020150035224 A KR1020150035224 A KR 1020150035224A KR 20150035224 A KR20150035224 A KR 20150035224A KR 20160109936 A KR20160109936 A KR 2016010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olar cell
light
hea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삼
Original Assignee
(주)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이 filed Critical (주)소이
Priority to KR102015003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936A/ko
Publication of KR2016010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3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machines
    • F21Y2101/02
    • Y02B2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셀을 이용한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집광판으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의 후면에 발광모듈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 셀의 후면으로 빛을 발광함으로서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발광모듈에는 방열시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설치된 태양광 셀이나, 신규 제작되는 태양광 셀에 상기 방열기능을 갖춘 발광모듈의 설치가 가능한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LIGHT ASSEMBLY}
본 발명은 태양광 셀을 이용한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집광판으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의 후면에 발광모듈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 셀의 후면으로 빛을 발광함으로서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발광모듈에는 방열시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설치된 태양광 셀이나, 신규 제작되는 태양광 셀에 상기 방열기능을 갖춘 발광모듈의 설치가 가능한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PV;PHOTOVOLTAIC)는 입사되는 태양 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하나의 전지로서, 상기 태양전지는 무공해 무한정의 태양 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연료가 필요 없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또한 반도체 소자이기 때문에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는 전지이다.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에너지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각광을 받게 되어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바, 종래에는 태양광을 반사나 굴절 없이 다중 셀에 직접 입사하는 태양전지와, 상기 다중 셀 앞에 반사체를 설치하여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형 태양전지가 있다.
그러나 상기 집광형 태양전지는 상기 태양광이 직접 입사하는 태양전지의 발전효율보다 실질적으로 높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집광형 태양전지는 셀의 발전출력 효율에 투과율이나 반사율을 곱한 값이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셀의 경우 입사되는 태양광의 출력에 대한 발전출력의 비율인 전력변환 효율 수준이 약 15% 라고 할때, 상기 집광형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은 투과율이나 반사율이 90% 라면, 15% X 90% = 13.5%가 되어 실질적으로 발전효율이 높지 않게 된다.
그래서 높은 전력변환 효율을 얻기 위하여 그 중의 하나로 셀의 상부에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를 구비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500배 이상으로 셀에 집중함으로써, 전력 변환 효율을 증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500배의 태양광은 하나의 셀에 집중되게 되므로, 상기 셀의 온도를 급상승하게 되어, 오히려 전력변환 효율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급상승하는 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셀 배면에 방열시트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54729호 『방열효율이 우수한 태양광모듈』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바람이 불때 태양전지판의 측면에 구비된 방열부의 내측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측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면서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판의 방열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기발생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는 태양광 모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에는 방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자연적으로 바람에 의해 방열하는 경우에는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그 효과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0393호 『태양광 장치의 방열유닛』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태양광을 내부로 입사시키는 강화유리와,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EVA필름 및 상기 필름 사이에 끼워진 다수의 태양전지를 구성된 태양전지모듈에 부착되며, 표면에 상기 EVA 필름이 직접 부착되는 방열 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이면에 방열 에폭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다수의 방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블록 각각은 상단과 하단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걸림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다수의 방열핀으로 구성되는 태양광 장치의 방열유닛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35481호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투명한 보호판에 의해 보호되는 태양전지와,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태양전지의 후면에서 접착되는 접착용 백시트와, 상기 백시트의 후면에서 접착되는 방열부재와, 상기 태양전지와 방열부재와 상기 백시트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모듈후렘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코일판이 연속적으로 절곡 및 절첩되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이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에폭시 또는 백시트를 이용하여 방열하는 것으로서, 에폭시 또는 백시트는 방열효과는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한 것으로서, 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갖음으로서 태양광 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빠르게 전도하여 종래의 기술보다 방열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태양광 셀을 이용한 조명 어셈블리에 있어서,
복수개의 집광판으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의 후면에 방열기능이 우수한 발광모듈을 구비함으로서, 태양광 셀의 후면에 다양한 빛을 통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거나, 태양광 셀의 유지보수 또는 다양한 조형물에서의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에 방열시트를 더 구비함에 따라, 태양광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켜, 과열을 방지 할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종래의 태양광 셀 또는 신규 제작되는 태양광 셀의 후면에 상기 발광모듈을 손쉽게 부착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집광판으로 이루어져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셀;
상기 태양광 셀 후면에 구비되는 방열시트와, 상기 방열시트 상면에 구비되어 일정거리 이격되어 유격부를 형성하는 전도성부재, 상기 전도성부재 상면에 안착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유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도성부재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셀을 이용한 조명 어셈블리는 태양광을 모아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집광판으로 이루어진 태양광 셀의 후면에 발광모듈을 구비하여 태양광 셀의 유지보수 시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발산하거나, 다양한 조형물에 구비되어 조명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모듈에 방열시트를 더 구비함에 따라 태양광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전도시켜 열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서 태양광 셀이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방열시트를 그라파이트 소재로 구성함에 따라 종래의 다른 방열판보다 열전도율이 향상되어 우수한 방열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 및 발광모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 및 발광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 및 발광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 및 발광모듈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셀을 이용한 조명 어셈블리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집광판(A1)으로 이루어져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셀(A)과, 상기 태양광 셀(A) 후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모듈(M)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태양광 셀(A)은 복수개의 집광판(A1)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모아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공지된 집광판으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태양광 셀은 빛을 모음에 따라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에 의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는 상기 태양광 셀(A)의 후면에 복수개의 방열효과가 우수한 발광모듈(M)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광모듈(M)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도성부재가 구비되는 방향을 상면, 태양광 셀의 부착되는 면을 하면으로 정한다.
다시 상기 발광모듈(M)은 상기 태양광 셀(10) 후면에 구비되어 빛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빛을 이용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거나, 야간 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 조명으로 이용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M)에는 그라파이트 소재로 이루어진 방열시트(1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먼저 그라파이트(Graphite) 소재는 열전도성, 내열성, 내약품성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갖고 있는 재료로서, 기기의 방열, 냉각, 균열 등의 열 설계 기술의 용도로 최적인 재료이다. 그 특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라파이트 특성 중 가중 유용한 것은 전류를 따는 전도성으로, 그라파이트의 저항은 400℃에서 600℃까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지만, 그 이상 온도 범위 내에서는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이러한 저항 특성은 원자재 및 제조과정의 요건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는 높은 열전도를 가지고 있는데, 구리의 3분의 1, 알루미늄의 2분의 1, 일반강의 2배의 열전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그라파이트의 상온에서 열팽창은 다른 모든 재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고, 그라파이트의 높은 열충격 저항은 기본적으로 낮은 열팽창계수와 열전도도에서 비롯되며, 그라파이트의 열충격 저항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R=K.S/α.E(cal/cm,sec)
K:열전도도(cal/cm,sec℃) α:열팽창계수(4/℃) S:인장강도(㎏/㎠) E:열률(㎏/㎠)
아울러 그라파이트의 기계적 강도는 온다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데 상온에서부터 대략 2,500℃까지 강도는 2배정도 증가한다. 또한 굴곡강도, 인장강도, 그리고 압축강도는 대략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인장강도=0.5ㅧ굴곡강도
압축강도=2ㅧ굴곡강도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는 상온에서 화학적으로 불활성 특성을 갖는다. 그라피이트는 모든 유기물과 거의 반응하지 않으나 대부분 무기물과 반응한다. 즉대부분 산과 알카리에 반응한다. 그러나 강질산, 크로움산, 황산 등 강산성 무기물 및 강알카리성 무기물에 반응하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
그라파이트는 상온 및 일반조건하에서 화학적으로 인정하나 높은온도에서는 금속과 공기에 의해 반응한다. 그라파이트는 대부분 용융금속과 용융 유리화합물에 응착하지 않는다. 그라파이트는 자체윤활성이 뛰어나다. 그라파이트는 가공성이 용이하여 정밀가공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열시트(10)를 그라파이트 소재로 구비함에 따라 열전도성을 높여 방열효과를 향상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태양광 셀의 후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발광모듈(M)을 구비하기에 앞서, 상기 발광모듈(M)과 태양광 셀 후면 사이에 보조방열시트(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방열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상기 발광모듈(M)은 복수개의 전도성부재(11)와, 발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발광모듈(M)은 태양광 셀 후면 또는 태양광 셀 후면에 구비되는 발열시트에 복수개의 전도성부재(11)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도성부재(11)는 방열시트(10) 상면에 복수개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도성부재(11)들 사이에는 유격부(13)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격부(13)에 구비되는 발광부재(20)가 발산하는 빛의 범위를 중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전도성부재(11)는 전기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부재(11)의 수와 크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모듈(A)이 구비되는 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전도성부재(11) 사이의 유격부(13)에는 발광부재(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발광부재(20)는 특히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도성부재(11)는 각각 와이어(21)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21)에는 발광부재(20)가 결합되게 된다. 이 때 발광부재(2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를 사용하며, COB(Chip on board) 형식의 PCB와 발광부재(20)로 구성된 조합이 아니라 COB 보다 조도가 향상되는 Bare chip LED를 이용하여 조도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발광모듈(M)에는 상기 전도성부재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도성부재를 덮는 시트부재(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시트부재는 복수개의 전도성부재(11)를 각각 덮는 복수개의 시트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부재(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면에 점착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전도성부재(11)의 상면에 점착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도성부재(11)와 전도성부재(11) 사이에 구비되는 유격부(13)에는 충진제(31)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제(31)는 상기 유격부(13)에 구비되는 발광부재(20)를 덮으며 도포되게 된다.
이 때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화이트계열의 칩을 이용하지 않고, 블루칩 계열의 칩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블루칩 계열의 발광부재(20)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충진제(31)에는 인광물질이 더 구비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진제(31)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실리콘 재질의 특성 상 발광부재(2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 또는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루칩 소재를 이용하여 종래의 화이트칩 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빛을 화이트 계열로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충진제(31)에 인광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상기 방열시트(10)에 구비되는 발광모듈(M)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라파이트 소재로 이루어진 플렉시블한 재질의 방열시트(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방열시트(10)의 후단에는 상기 방열시트(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C 또는 PET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테이프(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테이프(15)로 인하여 상기 태양광 셀의 후면에 복수개로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모듈(M)은 상기 태양광 셀의 후면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태양광 셀은 중심으로 갈수록 열이 많이 발생됨에 따라 발광모듈을 채용하지 않도록 하여 발광모듈의 과열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시트(10)의 전단에는 복수개의 전도성부재(11)가 유격부(13)를 형성하며 구비되게 되고, 상기 유격부(13)에는 발광부재(20)가 각각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방열시트(10)에 상기 전도성부재(11) 및 발광부재(2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열시트(10) 전단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양면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17)에 의하여 상기 방열시트(10)와 전도성부재(11)를 접합하며, 발광부재(20)를 방열시트(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그라파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시트(10)와, 전도성부재(11)에 의하여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발광부재(20)가 직접 방열시트(10)에 부착됨에 따라 발광부재(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상기 전도성부재(11)에 의해 형성되는 유격부(13)에는 발광부재(20)가 구비되게 되고, 상기 발광부재(20)가 상기 전도성부재(11)와 와이어(21)를 통하여 연결되게 된다.
이 때 제1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재(20)는 발광부재(20) 양측에 구비되는 전도성부재(11)와 각각 와이어(21)를 통하여 연결됨에 따라, 전도성부재(11)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류를 인가받아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2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격부(13)에 발광부재(20)가 두 개 구비되되, 각각의 발광부재(20)는 인접하는 전도성부재(11) 중 서로 다른 전도성부재(11)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전도성부재(11)로부터 (+) 전하를 인가 받게 되고, 이 때 (-) 전하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재(20)의 하면에는 전도성접착제(16)가 구비되어 (-) 전하를 형성함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유격부(13)에 발광부재(20)가 단일로 구비되되, 일측에 인접하는 전도성부재(11) 하나와 연결되고, 앞서 설명한 전도성접착제(16)를 통하여 전류가 흘러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부재(11)의 상면에는 시트부재(30)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시트부재(30)는 전도성부재(11)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멍(35)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35)은 상기 전도성부재(11)의 일부부만 덮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멍(35)에 의하여 노출된 전도성부재(11)의 일정부위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발광부재(20)와 전도성부재(11)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격부(13)에 충진되는 충진제(31)는 상기 시트부재(30)와 동일 면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확산시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확산시트를 이용하여 조도 및 휘도를 균일하게 발산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태양광 셀을 이용한 조명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태양광 셀 A1 : 집광판
M : 발광모듈 10 : 방열시트
11 : 전도성부재 13 : 유격부
15 : 보호테이프 17 : 접착제층
20 : 발광부재 21 : 와이어
30 : 시트부재 31 : 충진제

Claims (7)

  1. 복수개의 집광판으로 이루어져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셀;
    상기 태양광 셀 후면에 구비되는 방열시트와, 상기 방열시트 상면에 구비되어 일정거리 이격되어 유격부를 형성하는 전도성부재, 상기 전도성부재 상면에 안착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유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도성부재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의 발광부재는
    양측에 인접하는 전도성부재 모두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의 발광부재는
    양측에 인접하는 전도성부재 중 하나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의 하부에는 전도성접착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어셈블리.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셀과 발광모듈 사이에는 보조방열시트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부에 안착된 발광부재를 충진하는 충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태양광 셀 후면에 중앙을 제외하고,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어셈블리.
KR1020150035224A 2015-03-13 2015-03-13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 KR20160109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24A KR20160109936A (ko) 2015-03-13 2015-03-13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24A KR20160109936A (ko) 2015-03-13 2015-03-13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936A true KR20160109936A (ko) 2016-09-21

Family

ID=5707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224A KR20160109936A (ko) 2015-03-13 2015-03-13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9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0522A (zh) * 2019-05-10 2019-07-19 上海鑫隆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发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0522A (zh) * 2019-05-10 2019-07-19 上海鑫隆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发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871B1 (ko) 태양광발전용 솔라셀 모듈의 백시트
CN201078687Y (zh) Led照明装置
WO2007044384A3 (en) A heatsink for concentrating or focusing optical/electrical energy conversion systems
CN102473766A (zh) 太阳能电池设备
KR101382990B1 (ko) 태양전지 모듈
CN210805798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ibc太阳能电池板
JP2013207079A (ja) 集光型太陽光発電パネル及び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
KR20160109936A (ko) 태양광 셀 후면에 장착되는 조명 어셈블리
KR20160002710U (ko) Led 플립 칩 패키지를 위한 led 패키지 조립체와 구리 시트를 구비하는 부유식 히트 싱크 서포트
JP6292266B2 (ja) 集光型太陽光発電パネル及び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
CN202152968U (zh) 大功率led照明模组
US20160211794A1 (en) Solar cell assembly and high concentration solar cell module including same
CN207716292U (zh) 一种户外led散热防水外壳装置
CN201526838U (zh) 一种内置散热器的led灯具
KR20090095823A (ko) 태양전지 어셈블리
JP2014143161A (ja) 投光器
CN207146118U (zh) 一种用于灯箱标牌的led节能灯
CN214380805U (zh) 一种发光的充电光伏板
CN202024127U (zh) 一种led模组
CN205490321U (zh) 一种基于cigs柔性薄膜光伏的建筑一体化构件
CN205208411U (zh) 一种带有太阳能板的照明灯
CN208779385U (zh) 一种led路灯用模组
CN202580946U (zh) 一种新型led路灯
KR101282103B1 (ko) Led 조명 장치
KR20130107779A (ko) 타일형으로 결합되는 씨오비 엘이디 모듈을 구비한 조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