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616A -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616A
KR20160109616A KR1020150034371A KR20150034371A KR20160109616A KR 20160109616 A KR20160109616 A KR 20160109616A KR 1020150034371 A KR1020150034371 A KR 1020150034371A KR 20150034371 A KR20150034371 A KR 20150034371A KR 20160109616 A KR20160109616 A KR 2016010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roa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63915B1 (en
Inventor
고광호
정승현
전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트루먼트
고광호
정승현
주식회사 카본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트루먼트, 고광호, 정승현, 주식회사 카본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15003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915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which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vehicle state monitoring device connec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 safe-driving guide server receiving vehicle state data, collected by the vehicle state monitoring device, and vehicle position and vibration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valuating a road state from the received vehicle state data, and guiding safe-driving based on the evaluated road state and the received vehicle state data.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the safe-driving guide server evaluates a road state of a corresponding position as safety or danger by evaluating a vibration pattern or vibration level depending on the speed and position of the vehicle, and war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duction of speed up to not higher than a speed for the road state to be safe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t a dangerous speed for the roa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is capable of inducing a driver to safely drive a vehicle by evaluating a road state from vehicle state information and guiding a speed to make the driver to safely drive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road state.

Description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도로를 주행하는 많은 차량들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위치 및 속도에 따른 도로상태를 안전 또는 위험으로 평가하여 운전자에게 도로상태에 따라 안전한 속도로 주행할 수 있게 안내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and more particula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which guides the driver to drive at a safe speed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by evaluating the road condition as safety or danger.

최근 들어, 차량의 안전운전 및 연비향상 운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운전을 위한 전자장치가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또한 연비향상 운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된 차량진단기(OBD)에 의하여 제공되는 차량상태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afe driving and improved fuel economy driving. Accordingly, an electronic device for safe operation is mounted on the vehicle. Further, in order to induce fuel economy improvement operation, a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the driver about the vehicle condition provided by a vehicle diagnostic device (OBD) mounted on the vehicle.

차량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제안은 특허등록 제10-0400347호(2003. 09. 22. 등록), 특허공개 제2002-0007474호(2002. 01. 29. 공개), 특허공개 제2002-0048459호(2002. 06. 24. 공개), 특허공개 제2001-0100954호(2001. 11. 14. 공개), 특허공개 제2003-0039108호(2003. 05. 17. 공개), 특허등록 제10-0866617호(2008. 10. 28. 등록), 특허등록 제10-1430071호(2014. 08. 07.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A proposal for a technology for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vehicle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400347 (registered on September 22, 2003), Patent Publication No. 2002-0007474 (published on Jan. 29, 2002) Patent Publication No. 2001-0100954 (published on November 14, 2001), Patent Publication No. 2003-0039108 (published on May 17, 2003), Patent Registration No. 2002-0048459 No. 10-0866617 (registered on October 28, 2008),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430071 (registered on April 08, 2007).

한편, 특허등록 제10-1418091호(2014. 07. 03. 등록)는 데이터 베이스와 차속 보정을 이용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 특허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차량의 기울기나 진동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노면의 평탄성을 측정하고, 차량의 고유한 주행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울기나 진동의 변화를 필터링하여 신뢰성있는 노면의 평탄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속도와 상관없이 노면의 평탄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418091 (registered on April 03, 2013) discloses a system and a method for measuring a road surface flatness using a database and a vehicle speed correction. This patent invention measures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based on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or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filters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or the vibration caused by the uniqu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The flatness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can be measured 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vehicle.

이외에도 노면의 평탄성 측정에 관한 발명들은 특허등록 제10-1168503호(2012. 07. 18. 등록), 특허등록 제10-1206064호(2012. 11. 22.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In addition, inventions relat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can be foun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8503 (registered on July 07, 2012)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206064 (registered on November 22, 2012).

상기한 특허등록 제10-1418091호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측정한 도로상태를 예를 들어, 안전단계, 위험단계 및 보수단계로 구분하여 체계적인 도로관리를 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은 체계적인 도로관리의 관점에서 제안된 것일 뿐이고,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직접적인 지침을 주기는 어렵다. The above-mentioned patent registration No. 10-1418091 proposes that systematic road management can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road state measur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into, for example, a safety stage, a danger stage and a maintenance stage. However, these proposals are only proposed from the viewpoint of systematic road management,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direct guidance for driver's safe driving.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상태를 단순하게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상태에 따라 어느 정도의 속도로 주행을 하여야 안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For a driver to drive safely, simply knowing the state of the road is not enough. In order for the driver to drive saf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on how fast the vehicle should be driven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roa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도로상태에 따라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속도를 안내함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a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which enables a driver to safely drive by guiding the speed at which a driver can perform safe driving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경사도로의 내리막구간을 주행하고 있을 때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수행하라는 알림을 운전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수행하게 하여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nd a vehicle which are capable of performing a fuel cut inertial travel by informing a driver of a notification of performing a fuel cut inertial travel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downhill section to an inclination, And a larg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road condition monitor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고, 또한 GPS 수신기와 진동센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에 내장된 차량진단기(OBD)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고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생성된 차량의 위치 및 진동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도로상태를 평가하며, 상기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평가한 도로상태에 기초하여 안전운전을 안내하는 안전운전 안내서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large data using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a GPS receiver and a vibration sensor, A vehicle status monitoring device connected to the OBD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Bluetooth communication, data regarding the vehicle status collected by the vehicle status monitoring device, Receives the data about the position and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vehicl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data in its own database,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from the data on the received vehicle condition, Based on the evaluated road conditions, And a safety driving guide server for guiding the driver.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진동수준 또는 진동패턴을 평가하여 해당 위치의 도로상태를 안전 또는 위험으로 평가하고, 어떤 차량이 도로상태가 위험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차량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도로상태가 안전하게 되는 속도 이하로 차량의 속도를 줄이라는 알림을 통지하는 것이다.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evaluates the vibration level or the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safety or danger, and when a vehicle is traveling at a dangerous speed, And inform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road condition becomes safe.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진동패턴으로부터 해당 위치의 도로 상태를 보통 도로,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 중 어느 하나로 평가하고, 상기 알림시에 그러한 사항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from any one of the normal road, the porthole, the protruding jaw, the rough road, the slippery road and the curved road from the vib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t is desirable to notify the user of the problem.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어떤 차량이 도로상태가 위험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지 않더라도 해당 차량의 전방에 위험요소를 갖는 도로상태, 즉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 중 어느 하나가 있는 경우에 그러한 도로상태에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안전속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have any one of a road state having a dangerous element in front of the vehicle, that is, a porthole, a protruding jaw, a rough road, a slippery road, and a curved road, even if a vehicle is not traveling at a dangerous speed It is preferable to notif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afe speed at which the vehicle can safely operate in such a road condition.

상기 안전운전에 관한 상기 알림의 내용은 상기 해당 위치에 대하여 상기 알림을 받는 차량보다 선행한 다른 차량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평가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notification regarding the safe driving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data received from other vehicles preceding the vehicle receiving the notification for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상기 차량이 경사도로의 내리막구간을 주행하고 있는 때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수행하라는 알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단계;The safe driving guide server not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fuel cutoff inertial travel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downhill section with an inclination;

상기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 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V1), 즉 기준속도(V1)에 대한 주행저항력(F)을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a running resistance (F) for the vehicle speed (V 1 ), that is, the reference speed (V 1 ), at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or at the fuel cutoff inertial running start point;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중단하고 재가속을 시작하는 재가속 시작속도(V2)를 임시적으로 설정하는 단계;Temporarily setting a recirculation start speed (V 2 ) at which the fuel shutdown inertial travel is stopped and the re-acceleration is started in the downward section;

주행저항력(F) = 차중(W) x 감속도(a퓨얼컷) …………… (1)Running resistance (F) = chajung (W) x deceleration (a pew eolkeot) ... ... ... ... ... (One)

상기 식(1)에 의하여 감속도(a퓨얼컷)를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a deceleration (a fuel cut )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1);

V = V1 - Σ(a퓨얼컷 x Δt) …………… (2)V = V 1 - Σ (a pew eolkeot x Δt) ... ... ... ... ... (2)

상기 식(2)에 의하여 V = V2가 될 때까지 연료차단 관성주행 중 상기 차량의 속도(V) 프로파일을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a velocity (V) profile of the vehicle during fuel cut inertia traveling until V = V 2 according to equation (2);

s퓨얼컷 = Σ(V x Δt)퓨얼컷 …………… (3)s Fuel Cut = Σ (V x Δt) Fuel Cut ... ... ... ... ... (3)

상기 식(3)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는 동안 주행한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를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the expression (3) Pugh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traveled while the vehicle is in the fuel cut traveling by inertia;

V1 - V2 = a재가속 x Δt재가속 …………… (4)V 1 - V 2 = a ashes x t ashes ... ... ... ... (4)

상기 식(4)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종료한 후, 상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상수인 재가속도(a재가속)로 가속하여 기준속도(V1)로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Δt재가속)을 산출하는 단계;(4), the time taken until the vehicle accelerates to a reference speed (V 1 ) accelerated to a preset reference speed (a rest speed ), which is a preset constant in the memory, after the vehicle ends the fuel cutoff inertial running Δt re-acceleration );

s재가속 = V재가속평균속도 x Δt재가속 …………… (5)s re-acceleration = V re-acceleration average velocity x Δt Re-acceleration ... ... ... ... ... (5)

(여기에서, V재가속평균속도 = (V1 + V2)/2 임)(Wherein, V material in an average rate = (V 1 + V 2) / 2 Im)

상기 식(5)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 종료후 재가속도(a재가속)로 가속하여 기준속도(V1)로 될 때까지 주행한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를 산출하는 단계;To, after the vehicle fuel cut inertia driving end ash rate (a material in) in a driving material into a total travel until the acceleration and the reference velocity (V 1), the distance (s material inside) by the formula (5) Calculating;

상기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으로부터 상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 즉 상기 내리막구간의 길이(s) 또는 상기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상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를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 from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at is, the length (s) of the downhill section or the distance s from the fuel cut off inertial running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user eolkeot match compared to the sum of the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running distance (s material inside);

상기 길이(s) 또는 거리(s)가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확정적으로 설정하는 단계;The length (s) or a distance (s) is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running distance are consistent with the sum of (s material inside), beginning in the material is set to the tentative speed (V 2 );

상기 길이(s) 또는 거리(s)가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감소시켜 다시 설정한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The length (s) or a distance (s) is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running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um of (s material inside), a material in a starting velocity is set to the temporary ( V 2 ), and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steps.

상기 길이(s) 또는 거리(s)가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증가시켜 다시 설정한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및 The length (s) or a distance (s) is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distance is less than the sum of (s material inside), a material in a starting velocity is set to the temporary ( V 2 ), and repeating the above steps. And

상기 차량이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고 있을 때,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상기 확정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에 도달할 때, 재가속을 실행하라는 알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vehicle is in the fuel cut-off inertia running in the downhill sectio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reaches the definite set recoat start speed (V 2 ) in the downhill s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주행저항력(F) = 구름마찰저항력 + 공기저항력 - 구배저항력 + 내부저항력 …………… (1-1)Driving resistance (F) = rolling friction resistance + air resistance - gradient resistance + internal resistance ... ... ... ... ... (1-1)

구름마찰저항력 = 구름저항계수 x 차중 x 중력가속도 …………… (1-2)Rolling friction resistance = Rolling resistance coefficient x Car weight x Gravity acceleration ... ... ... ... ... (1-2)

공기저항력 = 공기저항계수 x 속도2 …………… (1-3)Air resistance = air resistance coefficient x speed 2 ... ... ... ... ... (1-3)

구배저항력 = 차중 x 중력가속도 x sin θ …………… (1-4)Gradient Resistance = Vehicle Weight x Gravity Acceleration x sin θ ... ... ... ... ... (1-4)

(여기에서, θ는 상기 내리막구간의 경사각임)(Where, &thetas;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ownward section)

내부저항력 = 내부저항계수 x 엔진회전수 …………… (1-5)Internal resistance = Internal resistance factor x Engine speed ... ... ... ... ... (1-5)

(상기 식들에서 각종 계수들은 차량 실험을 통한 측정값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임)(Where the various coefficients in the above equations are determined from measurements taken from vehicle experiments)

상기 주행저항력(F)은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상기 식들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unning resistance F is calculated by the above equations in the downward section.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소모품 교환주기에 다다른 상기 차량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해당 소모품의 교환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거나, 상기 차량에 내장된 상기 차량진단기(OBD)가 진단한 상기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상태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may provide guidan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different from the consumable product replacement period for replacement of the consumable item, or may be a failure of the vehicle diagnosed by the vehicle diagnostic device (OB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guidance on the abnormal state.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또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 또는 차량 정비업체의 컴퓨터에게 교환하여야 할 상기 소모품 내역 또는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비내용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may also notify the contents of the expendable item to be exchanged to a vehicle manufacturer, a sales company or a computer of a vehicle maintenance company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a repair content for resolving a failure or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차량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도로상태를 평가하고, 그러한 도로상태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속도를 안내함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또한 경사도로의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운전자에게 권유함으로써 차량의 연비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또한 운전자에게 그리고 차량 제조사, 차량 판매사 또는 차량 정비업체에게 소모품 교환 및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상태에 관한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the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condition and guides the speed at which the driver can perform safe driving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To operate safely.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ntributes to the fuel efficiency improvement of the vehicle by inviting the driver to perform the fuel cut inertial travel in the downward slope region. The Big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driver and the vehicle manufacturer, the vehicle seller or the vehicle maintenance company with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of consumables and the failure or abnormal condi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conveniently carry out the vehicle management It does.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서 안내서버의 안전운전에 관한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서 안내서버의 연비향상 운전에 관한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서 안내서버가 차량의 기준속도(V1)를 설정하는 한 방식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서 안내서버가 차량의 기준속도(V1)를 설정하는 다른 방식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 없이 주행한 실험에서 얻은 연료소모율과 연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 및 재가속을 한 실험에서 얻은 연료소모율과 연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에 이은 재가속주행이 최적의 연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을 입증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상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시뮬레이션에 따른 계산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12는 도 10의 시뮬레이션에 따른 계산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0의 시뮬레이션에 따른 다른 계산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s related to safe operation of the guide server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related to fuel economy improvement operation of the guide server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by which the guide server sets the reference speed V 1 of the vehicle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nother method by which the guide server sets the reference speed V 1 of the vehicle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the fuel consumption rate and fuel consumption obtained in an experiment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without fuel cutoff inertial travel in a downward section.
9 is a graph showing the fuel consumption rate and the fuel consumption obtain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the fuel cutoff inertia travel and the reacceleration are performed in the downward sec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simulation i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rebounding running after the fuel cutoff inertial running in the downhill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obtaining the optimum fuel consumption.
11 is a table showing a calcul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of FIG.
12 is a graph showing a calcul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of FIG.
FIG. 13 is a table showing another calcul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 및 안전운전 안내서버(300)를 포함한다.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10 using the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200 and a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300, as shown in FIG.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는 차량에 내장된 차량진단기(OBD)(40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는 차량 OBD(400)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가진다. 또한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는 차량 OBD(400)를 통하여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제어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device 2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vehicle diagnostic device (OBD) 400 built in a vehicle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Bluetooth communication . Typically,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200 has an interface for connection with the vehicle OBD 400 and a Bluetooth modul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200 carries out a task of transmitting data on the vehicle condi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OBD 4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 control unit and a memory uni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고, GPS 수신기와 진동센서를 구비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안내서버(300)에게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또한 GPS 수신기와 진동센서를 사용하여 스스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도 생성하여 그것을 마찬가지로 안내서버(300)에게 전송한다. GPS 수신기에 의해서는 차량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며, 진동센서에 의해서는 차량의 진동수준 및 진동패턴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된다. 여기에서 차량의 진동수준은 어떤 시각에서의 차량의 진동의 진폭을 나타내는 것이고, 진동패턴은 어떤 시간범위에서 나타나는 진동진폭의 집합 및 진동진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Bluetooth communication, has a GPS receiver and a vibration sensor, and can be preferably a smart phon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data on the vehicle condition from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guide server 3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lso generates data on the vehicle condition itself by using the GPS receiver and the vibration sensor,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guide server 300 in the same manner.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generated by the GPS receiver, and data about the vibration level and the vibration pattern of the vehicle are generated by the vibration sensor. Here, the vibration level of the vehicle represents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at a certain time, and the vibration pattern represents the change in the vibration amplitude and the set of vibration amplitude appearing in a certain time range.

본 발명에서 안전운전 안내서버(300)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에 의하여 수집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의하여 생성된 차량의 위치 및 진동에 관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다. 안내서버(300)는 그렇게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도로상태를 평가하고, 또한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평가한 도로상태에 기초하여 안전운전에 관한 지침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안내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300 transmits data on the vehicle condi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device 200 and data on the position and vibration of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100) and stores it in its own database. The guidance server 300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from the data on the vehicle condition thus received and also provid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th instructions on the safe driving based on the received vehicle condition data and the evaluated road condition Thereby informing the driver of the safe driving.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안전운전 안내서버(300)는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진동수준 또는 진동패턴을 평가하여 해당 위치의 도로상태를 안전 또는 위험으로 평가하고, 어떤 차량이 도로상태가 위험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차량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도로상태가 안전하게 되는 속도 이하로 차량의 속도를 줄이라는 알림을 통지하는 것이다. 안전운전 안내서버(300)는 어떤 차량이 도로상태가 위험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지 않더라도 해당 차량의 전방에 위험요소를 갖는 도로상태가 있는 경우에 그러한 도로상태에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안전속도를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것일 수 있다. 위험요소를 갖는 도로상태는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300 evaluates the vibration level or the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safety or dang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is notified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is reduced to a speed 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road condition becomes safe. Even if a vehicle is not traveling at a dangerous speed,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300 can transmit a safety speed that can safely operate in such a road stat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A road condition with a hazard can be any one of a porthole, a protruding jaw, a rough road, a slippery road and a curved road.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안내서버(300)가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어떻게 도로상태를 평가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안전운전을 안내하는지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 2, the guide server 300 will explain in more detail how to evaluate road conditions from data on vehicle condition and how to guide safe driving.

안내서버(300)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10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차량의 속도, 위치, 진동수준, 진동패턴, 속도변화 또는 가속도, 브레이크 작동 여부, 가속페달 작동 여부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하나의 차량에 대하여만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도로를 주행하는 매우 많은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것이다. The guide server 300 first receives data on the vehicle statu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tores the data in its own database (step S100). The data relating to the vehicle cond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peed, the position, the vibration level, the vibration pattern, the speed change or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whether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Such data is not collected only for one vehicle but is collected from a large number of vehicles traveling on various roads.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생성하지만,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안내서버(300)에게 전송하는 것은 안내서버(300) 및 통신네트워크에 상당한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간간격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간간격보다는 긴 시간간격 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안내서버(300)에게 그러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3초 간격, 1초 간격 또는 0.1 간격 마다 안내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llect and generate data relating to the vehicle condition continuously in real time, but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guide server 300 at the same time intervals is performed by the guide server 300 and the communication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burdened with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generally transmits th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 a longer time interval than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200 collects data and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generates data.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such data to the guide server 300. [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data regarding the vehicle status to the guide server 300 at intervals of 3 seconds, 1 second, or 0.1 intervals.

매우 많은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안내서버(300)는 각 차량의 진동수준이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이때 각 차량의 속도 등의 조건은 매우 다양할 것이다. 어떤 차량의 진동수준이 임계치보다 크다면 그것은 일반적으로 도로상태가 그 속도에서 주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For data on the vehicle condition collected from a large number of vehicles, the guidance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vibration level of each vehicl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step S110). At this time, the conditions such as the speed of each vehicle will vary greatly. If the vibration level of a vehicl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it can generally be estimated that the road condition is not suitable for driving at that speed.

도로상태는 예를 들어, 보통상태의 도로 또는 정상적인 도로, 포트홀(pot hole), 과속방지턱을 포함하는 돌출턱, 비포장도로를 포함하는 거친도로, 젖은 도로, 결빙구간 및 모래가 뿌져진 도로와 같은 미끄러운 도로, 굽은 도로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굽은 도로는 잠재적으로 안전운전에 위험요소가 되는 도로상태이다. 이러한 위험요소가 있는 도로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높으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차량의 속도를 적절하게 낮추어야 한다. Road conditions may include, for example, road conditions such as normal roads or normal roads, potholes, protruding jaws including speeding bumps, rough roads including unpaved roads, wet roads, Slippery roads, and curved roads. Among them, portholes, protruding jaws, rough roads, slippery roads, and curved roads are road conditions that are potentially dangerous to safe driving. On roads with these hazards, high vehicle speeds can lead to accidents, and vehicle speed must be reduced accordingly.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자신의 운전경험에 비추어 전방의 도로상태에 따라 속도조절을 하면서 운전을 하지만, 아주 노련한 운전자라도 착오를 일으킬 수 있으며, 초보운전자 또는 숙련이 덜 된 운전자는 전방의 도로상태를 잘못 판단함으로써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위험요소가 있는 도로상태에서는 제한속도보다 훨씬 낮은 속도로 주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교통사고 또는 차량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In general, a driver may drive while adjusting the speed according to his / her driving experience. However, even a very experienced driver may cause a mistake. A novice driver or a less skilled driver may misjudge the road state ahead This can lead to dangerous situations. Therefore, in the road condition with the above-mentioned risk factors, it is often necessary to travel at a speed much lower than the limit speed, otherwise it may lead to a traffic accident or vehicle breakage.

안내서버(300)는 단계 S110에서 어떤 차량의 진동수준이 임계치보다 크다면 그것은 그 차량이 있는 위치의 도로상태가 그 차량의 속도에 대해서는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그러한 사실을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운전자가 그러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하는 차량들에 대한 차량상태로부터 도로상태를 평가한 후에 후행하는 차량들에게 속도에 따른 도로상태를 통지함으로써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If the vibration level of a certain vehicl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n step S110, the guidance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road condition of the vehicle is dangerous for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informs the driver of the following vehicle of the fact So that the driver can prevent such a dang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afe driving by notifying trailing vehicles of the roa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peed after evaluating the road conditions from the vehicle condition for the preceding vehicles.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하면, 안내서버는 어떤 차량의 진동수준이 임계치보다 작다면 도로상태에 관한 위험요소를 파악하지 못하였으므로, 단계 S100으로 돌아가 계속적으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2, if the vibration level of a certain vehicle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guide server can not grasp the risk factor related to the road condition. Therefore, the guide server returns to step S100 to continuously receive data on the vehicle condition and store do.

한편, 어떤 차량의 진동수준이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은 그 차량이 있는 위치의 도로상태가 그 차량의 속도에 대해서는 위험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다음으로 차량의 진동수준에 더하여 진동패턴을 분석하여 도로상태가 어떤 이벤트 종류에 해당하는지를 평가한다(단계 S120). 여기에서, 도로상태의 이벤트 종류라 함은 도로상태가 위험요소를 가지는 것으로서,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if the vibration level of a certain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it means that the road condi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is dangerous to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vibration pattern is analyzed to evaluate which event type the road state corresponds to (step S120). Here, the type of the event of the road state means that the road state has a dangerous factor and corresponds to a port hole, a protruding jaw, a rough road, a slippery road, or a curved road.

진동패턴은 임계치를 넘는 진동수준을 가진 시각을 기준으로 그러한 기준시각의 전후로 미리 정해진 시간범위에 대하여 나타나는 진동진폭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패턴을 검토하면, 도로상태가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vibration pattern means a set of vibration amplitudes appea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range before and after the reference time with reference to a time having a vibration level exceeding a threshold value. Examination of such a vibration pattern makes it possible to grasp whether the road state corresponds to a port hole, a protruding jaw, a rough road, a slippery road or a curved road.

이를 위하여 사전에 차량의 속도별로 각 도로상태에 따른 진동패턴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실험을 함으로써 기준 진동패턴을 마련할 수 있다. 기준 진동패턴을 마련하는 실험은 다양한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에 대하여 여러번 수행함으로써 기준 진동패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prepare a reference vibration pattern by experimenting how the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each road state appear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in advance. Experiments to prepare a reference vibration pattern may be performed several times for various portholes, protruding jaws, rough roads, slippery roads and curved roads,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reference vibration pattern.

결론적으로 어떤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진동패턴을 기준 진동패턴과 비교함으로써 도로상태의 이벤트 종류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로상태의 이벤트 종류를 평가함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가속도, 즉 속도변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여부 등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event type of the road state by comparing the vibration pattern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a certain vehicle with the reference vibration pattern. In evaluating the event kind of the road state,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speed change,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and the like may be analyzed together to evaluate more accurately.

예를 들어 포트홀에 대한 기준 진동패턴을 정하는 실험에서, 다양한 속도에 대하여 일정한 속도로 다양한 포트홀을 지나갈 때 나타나는 진동패턴을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 운전을 반영하기 위하여 전방에 위치한 포트홀을 발견하고 속도를 줄이면서 포트홀을 지나가는 상황에서의 진동패턴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측정된 기준 진동패턴과 비교할 때에는 진동패턴과 기준 진동패턴을 비교함에 더하여 진동패턴의 피크치 전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는지 여부 또는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었는지 여부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먼저 진동패턴의 피크치 전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다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나타나는 기준 진동패턴과 비교하고, 진동패턴의 피크치 전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았다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았을 때 나타나는 기준 진동패터과 비교하게 된다. For example, in an experiment to determine a reference vibration pattern for a porthol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measure the vibration pattern that appears when passing through various portholes at a constant speed for various speeds, It is also desirable to measure the vibration pattern in the circumstance of passing through the port hole while reducing.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ibration pattern thus measured, it is preferable to compare whether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before the peak of the vibration pattern or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decelerated, in addition to comparing the vibration pattern with the reference vibration pattern. That is,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before the peak value of the vibration pattern. If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the brake pedal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bration pattern that appears when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If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before the peak value of the vibration pattern, This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ibration pad that appears when

이와 같이, 위험요소를 가지는 도로상태의 이벤트 종류를 평가하였다면, 안내서버(300)는 도로상태에 대한 이벤트 종류, 발생 위치 및 차량의 속도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130). If the event type of the road state having the risk factor is evaluated, the guide server 300 stores the type of the event, the location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n its own database (step S130).

그런 후 안내서버(300)는 해당 위치에 진입하기 전인 차량에게 해당 위치에 대한 이벤트 종류 및 안전속도를 통지한다(단계 S140). 여기에서 차량에게 통지한다는 것은 그 차량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통지하여 그 차량의 운전자가 알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위험요소가 있는, 즉 이벤트가 있는 도로상태에 대한 안전속도는 해당 위치의 도로상태에서 위험으로 평가되는 속도들 중에서 가장 낮은 속도(이하, '가장 낮은 위험속도'라 함)보다 낮은 속도이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가장 낮은 위험속도의 90%에 해당하는 속도로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안전속도는 더욱 정밀한 실험 및 본 발명의 적용 경험의 축적에 따라 더욱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en, the guide server 300 notifies the vehicle of the type of the event and the safe speed for the position before enter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step S140). Notifying the vehicle here means not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vehicle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recognize 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speed for a road condition with a risk factor, that is, an event, is lower than a lowest spe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est risk speed' For example, at a rate corresponding to 90% of the lowest risk rate. Of course, such safety speeds may be more precisely set according to more precise experiments and accumulation of application experi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안내서버(300)는 어떤 차량에 대하여 전방의 도로에 포트홀이 있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전방에 포트홀로 추정되는 장애물이 있습니다. 속도를 30 km/h 이하로 운전하시고 장애물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멘트를 해당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전송한다. 또한 안내서버(300)는 어떤 차량에 대하여 전방의 도로가 굽은 경우, "전방에 굽은 도로가 있습니다. 속도를 80 km/h 이하로 운전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 멘트를 해당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porthole on a road ahead of a certain vehicle, the guidance server 300 may say "There is an obstacle estimated as a port hole ahead. Please not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road ahead is curved with respect to a certain vehicle, the guide server 300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Please drive at a speed of 80 km / h or less" 100).

다음으로, 안내서버(300)는 프로그램 종료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단계 S150) 절차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0으로 돌아가 절차를 계속한다. Next, if there is a request for program termination (step S150), the guide server 300 ends the procedure, and if not, returns to step S100 and continues the procedur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안내절차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내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갱신 및 새로운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상태는 악화되기도 하지만, 도로공사의 관리에 의하여 개선되기도 한다. 즉 어떤 시각에서 어떤 위치에 포트홀이 있고 그 포트홀 위치에서 예를 들어 안전속도가 30 km/h라고 평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후에 도로공사가 보수공사를 하여 그 포트홀이 사라졌다면 그 시각 이후로는 예를 들어 위험속도 33 km/h보다 높은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들에서 포트홀의 이벤트에 해당하는 진동패턴을 찾을 수 없다면 안내서버(300)는 해당 위치의 포트홀은 사라졌다고 평가하고,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afe driving guide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n update of the database of the guide server 300 and a new judgment. Road conditions generally deteriorate, but they are often improved by road construction management. In other words, even if a porthole is located at a certain point in time, and the porthole position, for example, is evaluated as a safe speed of 30 km / h, if the porthole is later repaired by the road construction work, If the vib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event of the porthole can not be found in the vehicles traveling at a speed higher than the critical velocity of 33 km / h, the guidance server 300 evaluates that the porthole at the position is disappeared and updates its database .

위 사항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로 위에 모래가 뿌려져서 도로가 미끄러운 상태가 되었다면 이러한 상태는 오래동안 지속되지는 않고 빠른 시간 내에 개선될 수 있다. 겨울철에 결빙구간에 대해서도 오전에는 결빙되었다가 오후에는 결빙이 사라져서 결빙이 자연스럽게 개선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개선 전에는 운전자들에게 경보를 통지하는 것이고, 개선된 이후에는 보통상태의 도로와 같이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도로상태가 거의 즉각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The same applies to protruding jaws, rough roads, and slippery roads. If the road is slippery with sand sprayed on the road, this condition can be improved quickly and not lasting for long. Even in the winter, the freezing section is frozen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the freezing disappears and the freezing is improved natur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drivers of such an improvement prior to such an improvement, and to guide the driver along the normal road after the improvem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because the road con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almost immediately reflected.

한편, 굽은 도로에 대해서는, 도로가 완공되고 나면 일반적으로 도로의 경사도 및 굽은 정도가 변경되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가끔 도로의 굽은 정도가 새로운 도로공사에 의하여 변경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도로상태에 대한 평가를 즉각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운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not uncommon for curved roads to change the degree of inclination and curvature of roads when roads are completed, but sometimes the degree of curvature of roads is changed by new road works.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mmediately performs the evaluation of the road condition, thereby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the driv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안전운전 기능에 더하여, 또는 이와 별도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연비향상 운전을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차량이 경사도로의 내리막구간을 주행하고 있을 때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수행하라는 알림을 운전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수행하게 하여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Next,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guide the fuel economy improvement operation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o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afe driving function. That is,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driver of the fuel cutoff inertial travel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the downhill section to the inclination, thereby allowing the driver to perform the fuel cut inertial travel, . ≪ / RTI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10)에서, 안전운전 서버(300)는 차량이 내리막구간에 진입할 때 운전자에게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라는 통지를 발령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통지하고, 차량이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에 의한 감속을 종료하고 재가속을 시작하여야 할 재가속 시작속도를 산출하며, 차량이 내리막구간에서 그러한 재가속 시작속도에 도달했을 때 운전자에게 재가속을 시작하라는 통지를 발령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server 300 is configured to send a notification to the driver to start fuel cut inertial travel when the vehicle enters the downhill section, ), Calculates a rebuilding start speed at which the vehicle must start decelerating by decelerating the fuel cut inertia running at a downhill section, and when the vehicle reaches such rebuilding start speed in the downhill section, And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issue a notification to start the re-acceleration.

안전운전 서버(300)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그러한 처리를 위하여 필요한 응용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자신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또한 자신의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saf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re application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such processing in their memory units and also store data generated by their own processing.

또한 운전자의 설정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 또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에 의하여 안전운전 서버(300)에게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안전운전 서버(300)가 내리막구간에서 재가속 시작속도를 산출하려면 차량의 주행저항력(F)가 먼저 산출되어야 한다. 차량의 주행저항력(F)은 차량의 속도, 차량의 중량 즉 차중(W), 내리막구간의 도로경사도, 엔진회전수 및 차량 실험을 통하여 결정한 차량에 관한 각종 저항계수에 관한 데이터를 알아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이 소유한 차량의 종류를 입력함으로써 안전운전 서버(300)가 그러한 차량의 차중, 각종 저항계수에 관한 데이터를 알 수 있게 한다. 이때 안전운전 서버(300)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The driver's settings are transmitted to the safe operation server 300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and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safe driving server 300 to calculate the re-start speed in the downward section, the running resistance F of the vehicle must be calculated first. The running resistance F of the vehicle can be calculated by knowing data on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weight of the vehicle, i.e., the vehicle weight W, the road gradient of the downhill section, the engine speed, have. Accordingly, the driver inputs the type of the vehicle he owns, thereby enabling the safe driving server 300 to know the data on the vehicle and various resistance coefficients of such vehicle. At this time, the safe driving server 300 must store various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in its own database.

한편,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10)에서 안전운전 서버(300)는 도로에 관한 지도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도로경사도를 알 수 있다. Meanwhile,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server 300 can know road inclination by storing map information about the roa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10)에서 안전운전 서버(300)가 연비향상 운전을 수행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3 to 5, a procedure for performing the fuel economy improvement operation by the safe driving server 300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먼저 차량이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00). 차량이 내리막구간에 미치지 않았으면, 서버(300)는 특별한 동작을 하지 않고 차량이 내리막구간에 진입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상황을 판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rver 30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at the starting point of a downhill section (step S100). If the vehicle has not reached the downhill section, the server 300 continuously determines the situation until the vehicle enters the downhill section without performing any special operation.

차량이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에 진입하였다면, 서버(300)는 사용자가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게 하는 통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발령하도록 지시한다(단계 S110).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서버(300)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에게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할 것을 통지한다. 이러한 통지는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f the vehicle has entered the starting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e server 300 instru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issue a notification to the user to start the fuel cut inertial travel (step S110).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notifies the user to start the fuel cut inertial travel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server 300. [ This notification may be made by either or both visual and auditory methods.

다음으로, 서버(300)는 차량의 기준속도(V1)에 대한 주행저항력(F)을 산출한다(단계 S120). 여기에서 차량의 기준속도(V1)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Next, the server 300 calculates the running resistance (F) for the reference speed (V 1) of the vehicle (step S120). Here, the reference speed V 1 of the vehicle can be set by two methods.

첫째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기준속도(V1)는 운전자가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한 시작지점에서의 차량의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300)는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에서 운전자에게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수행할 것을 통지하게 하지만, 운전자는 스스로의 판단에 의하여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보다 더욱 진입한 지점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비로소 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이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에 진입한 후 내리막구간을 주행하면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에서 발을 뗌으로써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기 전까지는 차량은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누르는 정도에 따라 가속, 정속 또는 감속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ure 6, the reference velocity (V 1) of the vehicle can be set to the vehicle spe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driver is starting the fuel cut inertia driving. The server 300 notifies the driver to perform the fuel cutoff inertial run at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but the driver starts the fuel cutoff inertial run at the point where he or she has entered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by his / It is possible. Therefore, until the vehicle enters the starting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and then travels on the downhill section, the driver de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to engage the fuel shutoff inertia, the vehicle is accelerated, constant speed or decelerated depend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 driver de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It can be decelerated.

이 경우에 서버(300)는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11). 여기에서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였는지 여부는 연료분사여부 또는 가속페달이 눌려진 상태인지 여부 그리고 차량의 엔진회전수 및 속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차량 상태에 관한 이러한 데이터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started the fuel cutoff inertial running (step S111).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started the fuel cutoff inertial travel can be judged based on whether fuel injection or the accelerator pedal is depressed and the engine speed and speed of the vehicle. Such data regarding the vehicle condi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200 as mentioned above.

차량이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였다면, 서버(300)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시점에서의 차량 속도를 기준속도(V1)로 설정하고(단계 S113), 그러한 차량 기준속도(V1)에 대한 주행저항력(F)을 산출한다(단계 S120).If the vehicle is started the fuel cut inertia running in the downhill section, the server 300 sets the vehicle speed at the fuel-cut inertia traveling start point to the reference speed (V 1) (step S113), such a vehicle reference speed (V 1 (Step S120).

반면에 차량이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서버(300)는 계속적으로 차량이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였는지를 확인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vehicle has not started the fuel cutoff inertial run in the downhill section, the server 300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vehicle has started the fuel cutoff inertial run in the downhill section.

둘째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기준속도(V1)는 차량이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을 막 진입하였을 때의 속도, 즉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에서의 차량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운전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을 안내하는 통지 발령에 따라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에서 즉각적으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Second, the reference velocity (V 1)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7 may be set to a vehicle speed in the speed, that is, the start of the downhill section at the time the vehicle is hayeoteul film enters the start of the downhill section . In this case, the driver considers that the fuel cutoff inertial run has started immediately at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the start of the fuel cut inertial run.

이 경우에 서버(300)는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실제로 시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곧바로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의 차량 속도를 기준속도(V1)로 설정하고(단계 S111), 그러한 차량 기준속도(V1)에 대한 주행저항력(F)을 산출한다(단계 S120).In this case, the server 300 includes a vehicle is set to the vehicle speed in a straight fuel cut withou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ertia traveling start point whether actually start the fuel cut inertia running at the reference speed (V 1) (step S111), such The running resistance F against the vehicle reference speed V 1 is calculated (step S120).

다시 도 3으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하면, 주행저항력(F)은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된다. Returning back to Fig. 3 and continuing with the explanation, the running resistance F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주행저항력(F) = 구름마찰저항력 + 공기저항력 - 구배저항력 + 내부저항력 …………… (1-1)Driving resistance (F) = rolling friction resistance + air resistance - gradient resistance + internal resistance ... ... ... ... ... (1-1)

상기 식(1-1)에서 구름마찰저항력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구름저항을 나타낸 것이고, 공기저항력은 공기에 의한 저항력을 나타낸 것이며, 구배저항력은 도로 구배에 의한 저항력으로 내리막구간에서는 저항이 아니고 구동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구배저항력은 내리막구간에서 다른 저항력들과 달리 부호가 마이너스(-)로 되어 있다. 내부저항력은 타이어와 엔진까지 연결된 상태로 각종 기어류와 보기류(에어콘, 발전기, 냉각수펌프 등) 마찰손실에 의한 저항력으로 엔진회전수에 비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항력들은 아래 식들에 의하여 산출된다. In the equation (1-1), the rolling resistance of the tire represents the rolling resistance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The air resistance shows the resistance by the air. The gradient resistance is the resistance by the road gradient. And the like. Therefore, the gradient resistance is negative (-) in contrast to other resistances in the downward section. The internal resistanc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due to the resistance due to the friction loss of various types of gears and type (air conditioner, generator, coolant pump, etc.) connected to the tire and the engine. These resistances a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구름마찰저항력 = 구름저항계수 x 차중 x 중력가속도 …………… (1-2)Rolling friction resistance = Rolling resistance coefficient x Car weight x Gravity acceleration ... ... ... ... ... (1-2)

공기저항력 = 공기저항계수 x 속도2 …………… (1-3)Air resistance = air resistance coefficient x speed 2 ... ... ... ... ... (1-3)

구배저항력 = 차중 x 중력가속도 x sin θ …………… (1-4)Gradient Resistance = Vehicle Weight x Gravity Acceleration x sin θ ... ... ... ... ... (1-4)

(여기에서, θ는 상기 내리막구간의 경사각임)(Where, &thetas;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ownward section)

내부저항력 = 내부저항계수 x 엔진회전수 …………… (1-5)Internal resistance = Internal resistance factor x Engine speed ... ... ... ... ... (1-5)

(상기 식들에서 각종 계수들은 차량 실험을 통한 측정값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임)(Where the various coefficients in the above equations are determined from measurements taken from vehicle experiments)

다음으로, 서버(300)는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중단하고 재가속을 시작하는 재가속 시작속도(V2)를 임시적으로 설정한다(단계 S130). 이때, 임시적으로 설정하는 재가속 시작속도(V2)가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재가속 시작속도(V2)와 차이가 많은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절차를 반복하는 횟수가 많아지므로, 가급적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재가속 시작속도(V2)에 근사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사전에 충분한 실험을 통하여 내리막길의 경사도 및 길이 그리고 차량의 속도에 대한 재가속 시작속도(V2)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성에 의하면, 임시적으로 설정하는 재가속 시작속도(V2)는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재가속 시작속도(V2)에 더욱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Next, the server 300 temporarily stops the fuel shutdown inertial travel in the downhill section and temporarily sets a re-start speed V 2 to start re-acceleration (step S130). At this time, when the material is in the starting velocity (V 2) to temporarily set to the difference between large and the final material is in the starting velocity (V 2) for deciding a is so large that the number of repeating the procedure described below, as much as possible and finally confirmed by Is set to be close to the re-acceleration start speed (V 2 ). For this purpose,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relation between the slope and the length of the downhill road and the reacceleration start speed (V 2 )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peed through sufficient experiment beforehand. With such a relation, in starting material that temporarily set to a speed (V 2) will be able to be set closer to the ultimate starting materials are confirmed in the speed (V 2).

다음으로, 서버(300)는 차량이 내리막구간에서 기준속도(V1)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시작하였을 때 위에서 산출한 주행저항력(F)에 의하여 차량의 속도가 감소되는 정도, 즉 감속도(a퓨얼컷)를 다음 식(1)에 의하여 산출한다(단계 S140).Next, the server 300 is the degree to which the vehicle reference speed (V 1) of the vehicle by the running resistance (F) calculated on when starting the fuel cut inertia running speed is reduced in the downhill section, that deceleration ( a fuel cut )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step S140).

주행저항력(F) = 차중(W) x 감속도(a퓨얼컷) …………… (1)Running resistance (F) = chajung (W) x deceleration (a pew eolkeot) ... ... ... ... ... (One)

그런 후, 서버(300)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중 차량의 속도(V)가 재가속 시작속도(V2)로 될 때까지 차량의 속도(V) 프로파일을 다음 식(2)에 의하여 산출한다(단계 S150). 여기에서 차량은 기준속도(V1)에서 재가속 시작속도(V2)까지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게 된다.Then, the server 300 calculates the velocity V profile of the vehicle by the following equation (2) until the velocity V of the vehicle during fuel shutoff inertia travel becomes the re-acceleration start velocity V 2 ( Step S150). Here, the vehicle is subjected to the fuel cut-off inertia traveling from the reference speed (V 1 ) to the re-acceleration start speed (V 2 ).

V = V1 - Σ(a퓨얼컷 x Δt) …………… (2)V = V 1 - Σ (a pew eolkeot x Δt) ... ... ... ... ... (2)

다음으로, 서버(300)는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는 동안 주행한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를 다음 식(3)에 의하여 산출한다(단계 S160).Next, the server 300 the vehicle is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traveled during the fuel-cut traveling inertia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step S160).

s퓨얼컷 = Σ(V x Δt)퓨얼컷 …………… (3)s Fuel Cut = Σ (V x Δt) Fuel Cut ... ... ... ... ... (3)

그런 후 서버(300)는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종료한 후 재가속 시작속도(V2)에서 재가속도(a재가속)로 가속하여 기준속도(V1)로 될 때까지 걸린 시간(Δt재가속)을 다음 식(4)에 의하여 산출한다(단계 S170). 여기에서, 재가속도(a재가속)는 메모리부(200)에 상수로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재가속도(a재가속)는 예를 들어, 0.5m/s2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n the server 300 time (Δt jammed until the vehicle is a material in the starting velocity (V 2) material speed by accelerating by (a material in) the reference speed (V 1) at then end the fuel cut inertia running and it calculates the ash in) by the following formula (4) (step S170). Here, the ash reacceleration rate (a reacceleration ) is previously set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00 as a constant. The ash rate (a reacceleration ) can be set to, for example, 0.5 m / s 2 .

V1 - V2 = a재가속 x Δt재가속 …………… (4)V 1 - V 2 = a ashes x t ashes ... ... ... ... (4)

다음으로, 서버(300)는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 종료후 재가속도(a재가속)로 가속하여 기준속도(V1)로 될 때까지 주행한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를 다음 식(5)에 의하여 산출한다(단계 S180). Next, the server 300 (in s material), a traveling material in a total running distance until the reference speed (V 1) to the vehicle is accelerated to the material speed (a material in) after fuel cut inertia driving end, and then (5) (step S180).

s재가속 = V재가속평균속도 x Δt재가속 …………… (5)s re-acceleration = V re-acceleration average velocity x Δt Re-acceleration ... ... ... ... ... (5)

(여기에서, V재가속평균속도 = (V1 + V2)/2 임)(Wherein, V material in an average rate = (V 1 + V 2) / 2 Im)

그런 후, 서버(300)는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으로부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 즉 내리막구간의 길이(s)(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또는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를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90). 여기에서,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으로부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는 서버(300)에 저장된 지도정보에서의 내리막구간의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는 서버(300)에 저장된 지도정보에서의 내리막구간의 길이로부터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의 위치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때문에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에 차량이 진입할 때 연료차단 관성주행의 시작을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를 산출할 수 있다. Then, the server 300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at is, the length s of the downhill sectio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o the distance to the end points for the downhill section (s) at the point (i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compared to the sum of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total distance in material (s material insid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y match (step S190). Here, the distance s from the start point of the downward section to the end point of the downward section is set to the length of the downward section in the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300. The distance s from the start point of the fuel cutoff inertia travel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of the downhill section is calculated from the length of the downhill section in the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300, The distance to the starting point position is subtracted. Since the server 300 receive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the server 300 can notify the driver of the start of the fuel cutoff inertial travel when the vehicle enters the starting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s) from the running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으로부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 즉 내리막구간의 길이(s)(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또는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가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확정적으로 설정한다(단계 S200).The distance s from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at is, the length s of the downhill s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or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from the fuel cut inertial running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e distance (s) (i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case that matches the sum of the total distance (s material inside), the material is a temporarily set into The start speed V 2 is set to be definite (step S200).

그런 후 서버(300)는 차량의 속도(V)가 재가속 시작속도(V2)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210), 그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재가속 시작을 안내하는 통지를 발령하도록 지시한다(단계 S220). 그러면, 서버(100)의 그러한 지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운전자에게 재가속 시작을 안내하는 통지를 발령함으로써 하나의 내리막구간에서의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Then, the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speed V has reached the re-acceleration start speed V 2 (step S210), and in such a case,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a notification (Step S220).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erminates the procedure in one downhill section by issuing a notification to the driver to notify the start of re-start according to such an instruction of the server 100. [

한편,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으로부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 즉 내리막구간의 길이(s)(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또는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가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보다 큰 경우(단계 S230),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감소시켜 다시 설정한 후(단계 S240) 절차는 단계 S130으로 되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from the start point of the downward section to the end point of the downward section, that is, the length s of the downward s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or the end of the downward section distance (s) to the poin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6)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total distance in material (s ashes in) (step S230), temporarily by reducing a starting material in the speed (V 2) set after reset (step S240) the procedure goes back to step S130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반면에,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으로부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 즉 내리막구간의 길이(s)(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또는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가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보다 작은 경우(단계 S230),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감소시켜 다시 설정한 후(단계 S260) 절차는 단계 S130으로 되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from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at is, the length (s) of the downhill s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or the downhill section distance (s) to the end point (i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smaller than the sum of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running distance (s ashes in) (step S230), The temporary re-acceleration start speed V 2 is reduced and set again (step S260), and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S130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상기에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임시적으로 다시 설정하기 위한 감소 정도 또는 증가 정도는 길이(s) 또는 거리(s) 및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 간의 차이값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반복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Degree of reduction or increase in the degree to temporarily reset to the speed start velocity (V 2) material in the length (s) or a distance (s) and Pugh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total distance in ash ( s reacceleration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repetitions.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내리막구간에서 최적의 연비를 실현함을 보이기 위하여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Experiments and simulations as shown in FIGS. 8 to 13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show tha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optimum fuel consumption in the downward section.

먼저 유사한 도로 및 주행 조건의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차단 관성주행 후 재가속주행을 실시하는 경우, 평균속도 및 도로경사도가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연비는 약 3~4배 차이가 남을 도 8 및 도 9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First, in the case where the fuel cutoff inertial travel is not used in the downhill section of the similar road and driving condition, and when the rearward running after the fuel cutoff inertial tra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e fuel cost is about The difference of 3 to 4 times was confirmed by FIGS. 8 and 9.

도 8을 참조하면, 경사도 0.72도인 내리막구간에서 평균속도 69.7km/h로 이동거리 800m를 연료차단 관성주행 없이 주행하였을 때 연비는 15.2km/L이었는데 반하여, 도 9를 참조하면, 경사도 1.07도인 내리막구간에서 평균속도 66.7km/h로 이동거리 800m를 본 발명에 따른 연료차단 관성주행 후 재가속하는 방식으로 주행하였을 때 연비는 51.6km/L이었다. Referring to FIG. 8, the fuel consumption was 15.2 km / L when the travel distance was 800 m at an average speed of 69.7 km / h in a downhill section having an inclination of 0.72 degrees, while the fuel consumption was 15.2 km / The average mileage was 66.7 km / h, and the mileage was 800 km, the fuel consumption was 51.6 km / L when the vehicle was driven in the manner of the fuel cutoff inert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리막구간 전 1km를 110km/h로 주행하고, 수평거리 2km이고 높이가 20m, 40m 및 60m인 경사도를 가지는 내리막구간을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여 100km/h, 95km/h, 90km/h 및 85km/h에서 각각 0.5m/s2의 가속도로 재가속하여 원래 기준속도 110km/h로 돌아오고, 내리막구간이 끝난 다음 3km의 평지구간을 주행하는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연비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CRUIS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정하고 또한 계산하였다. Next, as shown in FIG. 10, a downhill section having an inclination of 20 km, 40 m, and 60 m in height with a horizontal distance of 2 km and running 1 km before the downhill section at 110 km / Simulation of the situation that the original reference speed is returned to 110 km / h with the acceleration of 0.5 m / s 2 at 95 km / h, 90 km / h and 85 km / h, Was set and calculated using the fuel consumption simulation software CRUISE program.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로구배 10m/km 및 20m/km에서 100km/h, 95km/h, 90km/h 및 85km/h의 속도에서 재가속하는 경우,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와 재가속거리(원래 기준속도 110km/h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거리)의 합은 모두 내리막구간의 거리보다 짧았으며,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가 길수록 연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도로구배는 높이/수평거리로 표시하였다. 반면에 도로구배 30m/km에서 100km/h의 속도로 재가속하는 경우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와 재가속거리의 합은 내리막구간의 거리보다 짧았으나, 95km/h의 속도로 재가속하는 경우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와 재가속거리의 합은 내리막구간의 거리보다 약간 길었고, 90km/h 및 85km/h의 속도로 재가속하는 경우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와 재가속거리의 합은 내리막구간의 거리보다 길었다. 그 결과 95km/h의 속도에서 재가속하는 경우 가장 좋은 연비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1에서 연료소모량은 주행 전구간에서의 연료소모량이고, 연비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 및 재가속거리의 합에 대한 연비이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when the vehicle is restored at speeds of 100 km / h, 95 km / h, 90 km / h and 85 km / h at a road gradient of 10 m / km and 20 m / km, The distance (the distance required to reach the original reference speed of 110 km / h)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downhill section, and the longer the fuel cutoff inertia distance was, the better the fuel economy was. Here, the road gradient is expressed as height / horizontal dista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acceleration at a speed of 100 km / h at a road gradient of 30 m / km, the sum of the fuel cutoff inertia travel distance and the rebound distance is shorter than that of the downhill section. However, The sum of the inertia travel distance and the ash travel distance was slightly longer than the distance of the downhill section, and the sum of the fuel blocking inertia travel distance and the ash travel distance was longer than the downhill section distance when the vehicle was rebounding at 90 km / h and 85 km / h . As a result, the best fuel economy was obtained when the vehicle was rebounding at a speed of 95 km / h. In Fig. 11, the fuel consumption amount is the fuel consumption amount in the entire driving range, and the fuel consumption is the fuel consumption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fuel blocking inertia traveling distance and the ashing distance.

더욱 정교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도로구배 10m/km의 내리막구간에서는 68.6km/h의 속도에서 재가속하면 그리고 도로구배 20m/km의 내리막구간에서는 82km/h의 속도에서 재가속하면,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와 재가속거리의 합이 내리막구간의 거리와 같게 되고, 그 때 연비가 각각 26.4km/L 및 42.1km/L로서 최고가 된다. More sophisticated simul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road is decelerated at a speed of 68.6 km / h in a downward section of 10 m / km, and when the engine speed is reduced at a speed of 82 km / h in a downward section of a road gradient of 20 m / And the recirculation distance becomes equal to the distance of the downward section, and the fuel economy becomes highest at 26.4km / L and 42.1km / L, respectively.

한편, 도로구배 30m/km의 내리막구간에서는 95.3km/h의 속도에서 재가속하면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와 재가속거리의 합이 내리막구간의 거리와 같게 되고, 그 때 연비가 75.5km/L로서 최고가 된다. 만약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더욱 진행하여 속도가 95km/h에서 재가속을 시작하게 되면, 연료차단 관성주행 거리와 재가속거리의 합이 내리막구간의 거리보다 크게 된다. 이것은 재가속을 하여 원래 기준속도 110km/h로 되었을 때는 내리막구간의 끝 지점을 지난 평지구간에 있게 됨을 의미한다. 재가속을 시작하는 속도가 95km/h일 때 연비는 68.1km/L로서 최적의 연비(75.5km/L)보다 작아짐을 도 13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ehicle is re-accelerating at a speed of 95.3 km / h in a downhill section of a road gradient of 30 m / km, the sum of the fuel-blocking inertia travel distance and the rebound distance becomes equal to the distance of the downhill section, It becomes the best. If the fuel cutoff inertia travels further and starts to accelerate at a speed of 95 km / h, the sum of the fuel cutoff inertia travel distance and the recoil distance becomes greater than the downhill distance. This means that when the original speed is 110 km / h, it is in the flat section after the end point of the downward section. It can be seen from FIG. 13 that the fuel consumption is 68.1 km / L, which is less than the optimum fuel consumption (75.5 km / L) when the speed of starting the re-acceleration is 95 km / h.

다음으로,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서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소모품 교환주기에 다다른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해당 소모품의 교환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오일을 교환한 후의 차량에 대하여 10,000km를 주행하였다면 엔진오일을 다시 교환하라는 안내를 할 수 있다. 점화플러그에 대해서는 40,000km, 타이밍벨트에 대해서는 100,000km를 주행한 후에 소모품 교환을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Next,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may provide guidan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other than the consumable replacement period about the replacement of consumables. For example, if the vehicle has run 10,000 km to the vehicle after the engine oil has been exchanged, it can be instructed to change the engine oil again. 40,000 km for spark plugs, 100,000 km for timing belts, and then guiding the replacement of consumables.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서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또한 차량에 내장된 차량진단기(OBD)가 진단한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상태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주행조건에서 오일유압이 낮은 경우 엔진오일을 보충하라는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정상 주행조건에서 냉각수온이 높은 경우 냉각수를 보충하라는 알림을 통지할 수 있고, 정상 주행조건에서 배터리 전압이 낮은 경우 배터리 교체 또는 발전기 점검에 관한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차량에 내장된 차량진단기(OBD)에서 알려주는 고장진단 코드에 해당하는 다양한 부품의 점검/교체에 관한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may also provide guidance regarding the failure or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diagnosed by a vehicle diagnostic device (OBD) embedd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oil hydraulic pressure is low under normal driving conditions, a notification to supplement the engine oil may be notified. Further, when the coolant temperature is high in the normal running condi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that the coolant is replenished, and when the battery voltage is low under the normal running condition, notification of battery replacement or generator check can be notified. In addition to this, you can be notified of the inspection / replacement of various parts corresponding to the diagnostic codes given by the car diagnostics (OBD) embedded in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Therefore,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river to conveniently perform vehicle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서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 또는 차량 정비업체의 컴퓨터에게 교환하여야 할 소모품 내역 또는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비내용을 통지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is a maintenance / repair server for repairing troubles or abnormality of consumables or vehicles to be exchanged to a vehicle manufacturer, a sales company or a vehicle maintenance company computer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to notify the contents.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는 차량의 부품을 공급하는데, 차량의 부품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심각한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이 중단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는 차량의 부품을 너무 많이 재고로 가지고 있게 되면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가능하면 적은 재고를 유지하기를 원한다. The vehicle manufacturer or sales person supplies the parts of the vehicle. If the supply of the parts of the vehicle is not smooth,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ay be stopped in severe cases. On the other hand, a vehicle manufacturer or a salesman wants to keep inventory as low as possible because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becomes low if the vehicle has too much inventory.

따라서,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은 차량으로부터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가 차량 부품의 재고를 많이 가지지 않으면서도 차량 부품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condition from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vehicle manufacturer or the salesman so that the vehicle manufacturer or the sales company can smoothly supply the vehicle parts without having much stock of the vehicle parts .

또한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는 본 발명의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에 의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이것은 차량 관리에 관한 편의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되고, 그러면 운전자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하여 자사의 차량 판매를 위한 고객관리활동을 강화하게 되는 셈이 된다. 이러한 활동에 의하면 운전자는 해당 차량 제조사의 차량을 재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Also, if the vehicle manufacturer or dealer provides the driv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management by means of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provide the driver with convenience in managing the vehicle, It will strengthen customer management activities to sell its vehicles. According to these activities, the driver is more likely to repurchase the vehicle of the vehicle manufacturer.

10: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100: 이동통신 단말기
200: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 300: 안전운전 안내서버
400: 차량 OBD
10: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device 300: Safety driving guidance server
400: Vehicle OBD

Claims (8)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고, 또한 GPS 수신기와 진동센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에 내장된 차량진단기(OBD)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고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차량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생성된 차량의 위치 및 진동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도로상태를 평가하며, 상기 수신한 차량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평가한 도로상태에 기초하여 안전운전을 안내하는 안전운전 안내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진동수준 또는 진동패턴을 평가하여 해당 위치의 도로상태를 안전 또는 위험으로 평가하고, 어떤 차량이 도로상태가 위험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차량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도로상태가 안전하게 되는 속도 이하로 차량의 속도를 줄이라는 알림을 통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upport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lso has a GPS receiver and a vibration sensor, a vehicle that is connected to a vehicle diagnostic device (OBD) built in a vehicle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Bluetooth communication Data related to the vehicle condi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device and data regarding the position and vibration of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d in its own database And a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for evaluating the road condition from the data on the received vehicle condition and for guiding the safe driving based on the data on the received vehicle condition and the evaluated road condition,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evaluates the vibration level or the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safety or danger, and when a vehicle is traveling at a dangerous speed, And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road condition becomes saf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진동패턴으로부터 해당 위치의 도로 상태를 보통 도로,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 중 어느 하나로 평가하고, 상기 알림시에 그러한 사항을 통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evaluates the road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from any one of the normal road, the porthole, the protruding jaw, the rough road, the slippery road and the curved road from the vib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Wherein the vehicle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 vehicl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vehicle cond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어떤 차량이 도로상태가 위험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지 않더라도 해당 차량의 전방에 위험요소를 갖는 도로상태, 즉 포트홀, 돌출턱, 거친도로, 미끄러운 도로 및 굽은 도로 중 어느 하나가 있는 경우에 그러한 도로상태에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안전속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have any one of a road state having a dangerous element in front of the vehicle, that is, a porthole, a protruding jaw, a rough road, a slippery road, and a curved road, even if a vehicle is not traveling at a dangerous speed And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safe speed at which the vehicle can safely operate in such a road condi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에 관한 상기 알림의 내용은 상기 해당 위치에 대하여 상기 알림을 받는 차량보다 선행한 다른 차량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평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ent of the notification regarding the safe driving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data received from other vehicles preceding the vehicle receiving the notific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analysis syste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상기 차량이 경사도로의 내리막구간을 주행하고 있는 때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수행하라는 알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 또는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V1), 즉 기준속도(V1)에 대한 주행저항력(F)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중단하고 재가속을 시작하는 재가속 시작속도(V2)를 임시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주행저항력(F) = 차중(W) x 감속도(a퓨얼컷) …………… (1)
상기 식(1)에 의하여 감속도(a퓨얼컷)를 산출하는 단계;
V = V1 - Σ(a퓨얼컷 x Δt) …………… (2)
상기 식(2)에 의하여 V = V2가 될 때까지 연료차단 관성주행 중 상기 차량의 속도(V) 프로파일을 산출하는 단계;
s퓨얼컷 = Σ(V x Δt)퓨얼컷 …………… (3)
상기 식(3)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는 동안 주행한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를 산출하는 단계;
V1 - V2 = a재가속 x Δt재가속 …………… (4)
상기 식(4)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종료한 후, 상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상수인 재가속도(a재가속)로 가속하여 기준속도(V1)로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Δt재가속)을 산출하는 단계;
s재가속 = V재가속평균속도 x Δt재가속 …………… (5)
(여기에서, V재가속평균속도 = (V1 + V2)/2 임)
상기 식(5)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연료차단 관성주행 종료후 재가속도(a재가속)로 가속하여 기준속도(V1)로 될 때까지 주행한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내리막구간의 시작지점으로부터 상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 즉 상기 내리막구간의 길이(s) 또는 상기 내리막구간의 연료차단 관성주행 시작지점에서 상기 내리막구간의 종료지점까지의 거리(s)를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길이(s) 또는 거리(s)가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확정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길이(s) 또는 거리(s)가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감소시켜 다시 설정한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상기 길이(s) 또는 거리(s)가 상기 퓨얼컷 총주행거리(s퓨얼컷)와 상기 재가속 총주행거리(s재가속)의 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임시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를 증가시켜 다시 설정한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연료차단 관성주행을 하고 있을 때,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상기 확정적으로 설정한 재가속 시작속도(V2)에 도달할 때, 재가속을 실행하라는 알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afe driving guide server not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fuel cutoff inertial travel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downhill section with an inclination;
Calculating a running resistance (F) for the vehicle speed (V 1 ), that is, the reference speed (V 1 ), at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or at the fuel cutoff inertial running start point;
Temporarily setting a recirculation start speed (V 2 ) at which the fuel shutdown inertial travel is stopped and the re-acceleration is started in the downward section;
Running resistance (F) = chajung (W) x deceleration (a pew eolkeot) ... ... ... ... ... (One)
Calculating a deceleration (a fuel cut )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1);
V = V 1 - Σ (a pew eolkeot x Δt) ... ... ... ... ... (2)
Calculating a velocity (V) profile of the vehicle during fuel cut inertia traveling until V = V 2 according to equation (2);
s Fuel Cut = Σ (V x Δt) Fuel Cut ... ... ... ... ... (3)
Calculating the expression (3) Pugh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traveled while the vehicle is in the fuel cut traveling by inertia;
V 1 - V 2 = a ashes x t ashes ... ... ... ... (4)
(4), the time taken until the vehicle accelerates to a reference speed (V 1 ) accelerated to a preset reference speed (a rest speed ), which is a preset constant in the memory, after the vehicle ends the fuel cutoff inertial running Δt re-acceleration );
s re-acceleration = V re-acceleration average velocity x Δt Re-acceleration ... ... ... ... ... (5)
(Wherein, V material in an average rate = (V 1 + V 2) / 2 Im)
To, after the vehicle fuel cut inertia driving end ash rate (a material in) in a driving material into a total travel until the acceleration and the reference velocity (V 1), the distance (s material inside) by the formula (5) Calculating;
(S) from the start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at is, the length (s) of the downhill section or the distance s from the fuel cut off inertial running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of the downhill sec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user eolkeot match compared to the sum of the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running distance (s material inside);
The length (s) or a distance (s) is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running distance are consistent with the sum of (s material inside), beginning in the material is set to the tentative speed (V 2 );
The length (s) or a distance (s) is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running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um of (s material inside), a material in a starting velocity is set to the temporary ( V 2 ), and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length (s) or a distance (s) is the fuser eolkeot total distance (s Pew eolkeot) and the material in the total distance is less than the sum of (s material inside), a material in a starting velocity is set to the temporary ( V 2 ), and repeating the above steps. And
When the vehicle is in the fuel cut-off inertia running in the downhill sectio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reaches the definite set recoat start speed (V 2 ) in the downhill section, And not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larg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the vehicle and road condition monitoring.
제5항에 있어서,
주행저항력(F) = 구름마찰저항력 + 공기저항력 - 구배저항력 + 내부저항력 …………… (1-1)
구름마찰저항력 = 구름저항계수 x 차중 x 중력가속도 …………… (1-2)
공기저항력 = 공기저항계수 x 속도2 …………… (1-3)
구배저항력 = 차중 x 중력가속도 x sin θ …………… (1-4)
(여기에서, θ는 상기 내리막구간의 경사각임)
내부저항력 = 내부저항계수 x 엔진회전수 …………… (1-5)
(상기 식들에서 각종 계수들은 차량 실험을 통한 측정값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임)
상기 주행저항력(F)은 상기 내리막구간에서 상기 식들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Driving resistance (F) = rolling friction resistance + air resistance - gradient resistance + internal resistance ... ... ... ... ... (1-1)
Rolling friction resistance = Rolling resistance coefficient x Car weight x Gravity acceleration ... ... ... ... ... (1-2)
Air resistance = air resistance coefficient x speed 2 ... ... ... ... ... (1-3)
Gradient Resistance = Vehicle Weight x Gravity Acceleration x sin θ ... ... ... ... ... (1-4)
(Where, &thetas;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ownward section)
Internal resistance = Internal resistance factor x Engine speed ... ... ... ... ... (1-5)
(Where the various coefficients in the above equations are determined from measurements taken from vehicle experiments)
Wherein the running resistance (F) is calculated by the equations in the downward sec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소모품 교환주기에 다다른 상기 차량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해당 소모품의 교환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거나, 상기 차량에 내장된 상기 차량진단기(OBD)가 진단한 상기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상태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afe driving guidance server may provide guidan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different from the consumable product replacement period for replacement of the consumable item, or may be a failure of the vehicle diagnosed by the vehicle diagnostic device (OBD) And provides a guidance on the abnormal cond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운전 안내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차량 제조사 또는 판매사 또는 차량 정비업체의 컴퓨터에게 교환하여야 할 상기 소모품 내역 또는 차량의 고장 또는 이상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비내용을 통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afe driving guide server notifies the contents of the expendable item to be exchanged to the vehicle manufacturer or the seller or the vehicle maintenance company comput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using road condition monitoring.
KR1020150034371A 2015-03-12 2015-03-12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 KR101763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71A KR101763915B1 (en) 2015-03-12 2015-03-12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71A KR101763915B1 (en) 2015-03-12 2015-03-12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616A true KR20160109616A (en) 2016-09-21
KR101763915B1 KR101763915B1 (en) 2017-08-14

Family

ID=5708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371A KR101763915B1 (en) 2015-03-12 2015-03-12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915B1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3663A (en) * 2017-12-14 2018-05-18 合肥寰景信息技术有限公司 Urban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big data platform
KR20180070343A (en)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s for navigation and control with Vehicle speed
CN108281001A (en) * 2018-02-13 2018-07-13 山东顺国电子科技有限公司 Vehicl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CN108388208A (en) * 2017-12-30 2018-08-10 北京航天智造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equipm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dustry internet
CN108877210A (en) * 2017-05-16 2018-11-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A kind of real-time road data production method and car-mounted terminal
KR101988160B1 (en) 2018-02-09 2019-09-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ize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Ride Quality Analysis,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90133856A (en)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글로비즈 Apparatus for estimation of overworked vehicle consumables
KR20190137224A (en)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한솔리드텍 Bus control system for safety operation
KR20200048022A (en) * 2018-10-29 2020-05-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Calculat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Vehicle Driving Noise and Method Thereof
KR102216272B1 (en) * 2019-11-07 2021-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road traffic danger information using smart phone and cloud server, and method for the same
CN112542048A (en) * 2020-12-19 2021-03-23 桂林理工大学 Vehicle safety rating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mounted cooperative network
CN113628360A (en) * 2021-08-05 2021-11-09 北京百姓车服网络科技有限公司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US11208104B2 (en) 2018-04-24 2021-12-2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perform inertia driving of vehicle
US11436877B2 (en) 2019-12-26 2022-09-06 Globiz Co., Ltd. Apparatus for determining overworked consumable for vehicle
CN115239206A (en) * 2022-09-21 2022-10-25 山东鲁中公路建设有限公司 Highway construction site safety control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CN116959261A (en) * 2023-09-20 2023-10-27 武汉车凌智联科技有限公司 Vehicle safety driving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US11878695B2 (en) 2021-01-26 2024-01-23 Motional Ad Llc Surface guided vehicle behavi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838B1 (en) 2018-10-30 2024-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driving data, and vehicle system
KR20200071828A (en) 2018-11-30 2020-06-22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Road Damage Predic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10067797A (en)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Ai learning system for finding dangerous road obstacle
KR20210067790A (en)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System for Finding Dangerous Road Obstacle and Reward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2539B2 (en) * 2004-03-29 2006-09-05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Rumble strip responsive systems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343A (en)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s for navigation and control with Vehicle speed
CN108877210A (en) * 2017-05-16 2018-11-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A kind of real-time road data production method and car-mounted terminal
CN108053663A (en) * 2017-12-14 2018-05-18 合肥寰景信息技术有限公司 Urban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big data platform
CN108388208A (en) * 2017-12-30 2018-08-10 北京航天智造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equipm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dustry internet
CN108388208B (en) * 2017-12-30 2020-03-10 北京航天智造科技发展有限公司 Equipm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dustrial internet
KR101988160B1 (en) 2018-02-09 2019-09-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ize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Ride Quality Analysis,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8281001A (en) * 2018-02-13 2018-07-13 山东顺国电子科技有限公司 Vehicl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US11208104B2 (en) 2018-04-24 2021-12-2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perform inertia driving of vehicle
KR20190133856A (en)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글로비즈 Apparatus for estimation of overworked vehicle consumables
KR20190137224A (en)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한솔리드텍 Bus control system for safety operation
KR20200048022A (en) * 2018-10-29 2020-05-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Calculat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Vehicle Driving Noise and Method Thereof
KR102216272B1 (en) * 2019-11-07 2021-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road traffic danger information using smart phone and cloud server, and method for the same
US11436877B2 (en) 2019-12-26 2022-09-06 Globiz Co., Ltd. Apparatus for determining overworked consumable for vehicle
CN112542048A (en) * 2020-12-19 2021-03-23 桂林理工大学 Vehicle safety rating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mounted cooperative network
CN112542048B (en) * 2020-12-19 2022-06-07 桂林理工大学 Vehicle safety rating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mounted cooperative network
US11878695B2 (en) 2021-01-26 2024-01-23 Motional Ad Llc Surface guided vehicle behavior
CN113628360A (en) * 2021-08-05 2021-11-09 北京百姓车服网络科技有限公司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CN113628360B (en) * 2021-08-05 2023-05-26 北京百姓车服网络科技有限公司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CN115239206A (en) * 2022-09-21 2022-10-25 山东鲁中公路建设有限公司 Highway construction site safety control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CN115239206B (en) * 2022-09-21 2022-11-22 山东鲁中公路建设有限公司 Highway construction site safety control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CN116959261A (en) * 2023-09-20 2023-10-27 武汉车凌智联科技有限公司 Vehicle safety driving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CN116959261B (en) * 2023-09-20 2023-12-15 武汉车凌智联科技有限公司 Vehicle safety driving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915B1 (en)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915B1 (en)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ig Data By Monitoring Car's And Road's Conditions
US8643483B2 (en) System for maintaining consumables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8626432B2 (en) Vehicle safe driving promotion system
EP3118079B1 (en) Road surface submergence estimation device
KR101699884B1 (en) M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ustomized vehicle maintenance using OBD and GPS information
US951987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expected consumption value of a motor vehicle
CN112292271B (en) Tread wear monitoring method,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 and storage medium
US9517773B2 (en) Fuel consumption analysis in a vehicle
CN112533775B (en) Tread wea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5264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fuel efficiency of vehicle
US20140046528A1 (en)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For The Automatic Management Of The Energy Autonomy Of A Vehicle Particularly Of Electric Vehicles
KR20120071460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slipping of road surface using wheel rotation speed and vehicle speed,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8181035A (en) Travel supporting device, travel supporting method, and data structure therefor
JP2018136193A (en) Acceleration sensor automatic alignment device, and computer program
WO20161844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energy usage
JP7014136B2 (en) Server device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CN111275209A (en) Server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12129543A (en) Method for testing side parking performance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JP2018181034A (en) Travel supporting device, travel supporting method, and data structure therefor
US9718476B2 (en) Device for teaching a driver to drive in a fuel efficient manner
US20210302183A1 (en) Vehicle efficiency prediction and control
JP7076085B2 (en) Overload status determination device
KR20110122369A (en) Driving guide system, driving estimation method and driving guide method
JP2019112989A (en) Vehicular fuel economy estimation device
RU2798078C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the cause of excessive fuel consu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