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498A -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498A
KR20160109498A KR1020150033995A KR20150033995A KR20160109498A KR 20160109498 A KR20160109498 A KR 20160109498A KR 1020150033995 A KR1020150033995 A KR 1020150033995A KR 20150033995 A KR20150033995 A KR 20150033995A KR 20160109498 A KR20160109498 A KR 20160109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electric
inform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8663B1 (en
Inventor
김주수
김상원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663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5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according to economic or energy efficiency considerations, e.g. economic dispa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04S20/2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system includes: one or more electric products provided to operate by using power supplied from an energy supplier; an energy manag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electric product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product, and monitoring power us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and a display device predicting a power use amount or power 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lectric product, on the basis of past power use information and current power us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발달하여, 가정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기제품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home appliances include a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 cooking appliance or a vacuum cleaner.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developed and a large number of electrical products provided in a home can be network-connected.

그리고, 사용자는 댁외에서도 소정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다수의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제품들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현됨으로써, 주거환경에 IT 기술이 더해져서 편리한 생활이 가능한 스마트 홈(smart home)이 구축될 수 있다.Also, the user can monitor the oper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networked electrical appliances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by using a predetermined terminal even at home and abroad. By implementing the network system of such electric appliances, a smart home can be constructed which enables easy living by adding IT technology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본 출원인은 이러한 스마트 홈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에 출원(이하, 종래기술)을 실시한 바 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 patent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in connection with the smart home technology.

1. 종래기술의 출원번호(출원일) : 10-2003-0093196 (2003년 12월 18일)1. Prior Application No. (filing date): 10-2003-0093196 (December 18, 2003)

2. 발명의 명칭 :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방법2. Name of invention: Control method of smart washing machine using home network

한편, 사용자가 어떠한 전기제품을 구매할지 여부를 선택할 때, 전기제품의 전력소비량 또는 전기요금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 때, 전기제품 자체의 절전능력도 중요하지만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는지 여부도 중요한 선택기준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whether to purchase the electric appliance,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r electric charge of the electric appliance takes a large proportion. At this time, the power saving capability of the electrical product itself is important, but whether or not a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the power used in the home is provided can be an important selection criterion.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기제품의 전력사용에 대한 모니터링이 제한되고, 사용자에게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monitoring of electric power use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guide information for saving power to the user.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제품의 전력저감을 가이드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embodiment aims at providing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guide power reduc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설정기간에 대한, 전기제품의 목표 사용량이 인식되는 단계; 상기 목표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기제품의 사용전력이 모니터링 되는 단계; 상기 설정기간 내에서 상기 전기제품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전력량이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전력량이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전력 저감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동절전 제어운전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ep of recognizing a target usage amount of an electrical product with respect to a set period; Monitoring the usage power of the appliance based on the target usage amount; Recognizing whether the used electric power amount exceeds a reference electric power amount in the process of using the electric product within the set period; And a step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for power reduction or performing an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when the used power amount exceeds the reference power amount.

또한, 상기 기준전력량에는, 상기 목표 사용량 대비 설정비율 값으로 결정되는 제 1 기준전력량; 및 상기 제 1 기준전력량보다 큰 전력량으로 결정되는 제 2 기준전력량이 포함된다.Also, the reference power amount may include a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determined as a set ratio value with respect to the target usage amount; And a second reference power amount determined to be an amount of powe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또한, 상기 사용전력량이 제 1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전력 저감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amount of power used exceeds a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guide information for power reduc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사용전력량이 상기 제 2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현재까지의 사용전력량과 남아있는 기간에 기초하여,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mount of power to be used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power amou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amount of usage based on the amount of power to be used and the remaining period.

또한, 상기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의 여부는, 상시 구동되는 전기제품을 제외하고, 간헐 구동되는 전기제품을 모두 오프하였을 때 소비되는 전력량이 목표사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ther or not the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consumption amount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en all the intermittently driven electric products are turned off exceeds the target consumption amount except for the always driven electric product .

또한, 상기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기제품의 자동 절전제어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또한, 상기 전기제품의 자동 절전제어 운전은 전기제품의 절전레벨에 기초한 운전이며, 상기 절전레벨에는 전력절감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레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an operation based on a power saving level of the electrical product, and the power saving level includes two or more levels in which the power sav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상기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목표사용량의 재설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guide information for re-setting the target usage amount is provided.

또한, 상기 전기제품의 목표 사용량이 인식되는 단계에는, 상기 목표 사용량이 입력되는 단계; 미리 설정된 학습기간 동안,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전력량이 학습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학습기간 동안, 외부정보가 수집되는 단계가 포함된다.Also,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rget usage amount of the electronic product may include inputting the target usage amount; Learn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by the electric appliance during a preset learning period; And a step in which external information is collected during the predetermined learning period.

또한, 상기 외부정보에는, 전력비용에 관한 정보, 전력수급 안정성에 관한 정보 또는 날씨정보가 포함된다.Further, the extern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power cost, information on stability of power supply and demand, or weather information.

또한, 상기 전기제품의 목표 사용량이 인식되는 단계에는, 상기 학습기간 경과후,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 사용량을 충족하였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사용량을 충족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새로운 목표전력 사용량이 추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Further,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rget usage amount of the electronic product may include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usage amount of the electronic product satisfies the target usage amount after the learning period has elapsed; And a step of recommending a new target power usage amount based on whether or not the target usage amount is satisfied.

또한, 상기 전기제품에는, 다수의 전기제품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을 통합하여 에너지 절약운전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절약운전이 수행되면, 각 전기제품별 절전레벨 및 절전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lectric produc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and performing the energy saving operation by integrating the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When the energy sav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power saving time is set.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에너지 공급자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제품; 상기 전기제품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및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이 제 1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이 제 2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목표 사용량의 충족 가능성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 절전제어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 2 기준전력량은 상기 제 1 기준전력량 보다 큰 전력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Network systems according to other aspects include at least one electrical appliance operatively provided using power supplied from an energy supplier; An energy management devic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and monitoring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guide information capable of reducing power whe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exceeds a first reference electric energy amount. Whe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electric energy, And the second reference power amount is an amount of powe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또한, 상기 제 1 기준전력량은 상기 목표 사용량의 기 설정비율의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is determined as a value of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target usage amount.

또한,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이 제 2 기준전력량을 초과하고, 목표 사용량을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자동 절전제어 운전을 수행하며, 상기 자동 절전제어 운전은, 상기 전기제품의 절전레벨에 기초한 운전이며, 상기 절전레벨에는 전력절감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레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ic product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electric energy amount and can satisfy the target consumption amount, And the power saving level includes two or more levels in which power sav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목표 전력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고,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이 상기 목표 전력사용량 이내로 유지되도록 가이드 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전력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user can set the target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guided to be kept within the target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the power management of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또한, 전기제품의 사용패턴에 따라 실제 발생한 사용전력량에 기초하여 목표 전력사용량을 추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합리적인 범위에서 목표 전력사용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target power consumption amount can be recommended based on the actually used power amou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of the electric product, the user has an advantage that a plan for the target power consumption amount can be established within a reasonable range.

또한, 사용자가 목표 전력사용량을 설정하였더라도, 실제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 전력사용량을 초과하였거나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피드백하여 전력사용 절감을 가이드 하거나, 목표 전력사용량을 재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절전을 위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even if the user sets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if the actual used power amount exceeds or exceeds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such information can be fed back to guide reduction in power use or to reset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raise a warning for saving power.

또한, 설정기간 동안,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 정보가 저장 또는 학습될 수 있고, 전력사용량이 기준전력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레벨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전력량이 목표 전력량 이내로 유지되도록 가이드 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stored or learned during the setting period and the level control for reducing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whe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exceeds the reference electric energy amou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power can be guided to be maintained within the target amount of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제품의 목표전력 사용량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전력 사용량에 기반한, 절전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에너지 절약모드의 수행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target power usage of an electrical produc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flow charts illustrating a power saving control method based on target power usag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integrated energy saving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가구(또는 가정)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기제품(60) 및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의 작동정보를 모니터링 하거나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장치(50)가 포함된다.1 and 2, a network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provided in a household (or home)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And an energy management device 50 capable of monitoring information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appliances 60. [

일례로,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에는, 냉장고(61), 세탁기(62), 공기조화기(63), TV(64) 또는 조리기기(65)등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may include a refrigerator 61, a washing machine 62, an air conditioner 63, a TV 64 or a cooking device 65.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는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과는 별도로 독립된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 중 어느 하나의 전기제품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는 상기 TV(64)에 장착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device separately from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or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may be mounted on the TV 64.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와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구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기제품(6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공급자(20)가 더 포함된다.The network system 10 further includes an energy supplier 20 communicable wit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and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provided in the furniture.

상기 에너지공급자(20)는 전력에 관한 정보, 즉 전력수급에 관한 정보 또는 전력비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에너지공급자(20)는 현재 전력의 수요가 많아 공급이 불안정하고 전력비용이 비싸다는 정보 또는 현재 전력의 수요가 적어 공급이 안정되고 전력비용이 저렴하다는 정보를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에 전달할 수 있다.The energy supplier 2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electric power, that is, information on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or information on electric power cost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For example, the energy supplier 20 may send information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e.g.,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that the information is that the supply is unstable due to a high demand for the current power, ).

상기 에너지공급자(20)와 에너지 관리장치(50)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81)를 통하여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81)에는, 근거리 통신망인 이더넷(Ethernet) 또는 인터넷이 포함될 수 있다.The energy supplier 20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may b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81. [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81 may include Ethernet or Internet, which is a local area network.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와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와 외부 데이터베이스(30)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82)를 통하여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82)에는, 이더넷(Ethernet) 또는 인터넷이 포함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10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database 30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and the external database 30 may b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82.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82 may include Ethernet or the Internet.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는,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3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 또는 다수의 전기제품(60)에 저장하고 있지 않은 정보, 즉 외부정보를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정보에는, 날씨 또는 기온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is capable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that is not stored i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or a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i.e., external information, via the communication link with the external database 30, (30). For example, the external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or temperature information.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100)가 더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에 통신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의 작동정보를 모니터링 하거나,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100)에는, 상기 전기제품(60)의 작동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10 further includes a mobile device 100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The user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using the mobile device 100 and can monitor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ppliances 60 or control the operation thereof. 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60. [

상세히, 상기 모바일 장치(100)와 에너지 관리장치(83)는 제 3 통신 인터페이스(83)를 통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통신 인터페이스(83)에는, 인터넷이 포함될 수 있다.In detail,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83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interface 83. [ For example, the third communication interface 83 may include the Internet.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와 다수의 전기제품(60)을 통신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게이트웨이(70)에는, 공유기(Acces Point,AP)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와 게이트웨이(70)는 제 4 통신 인터페이스(84)를 통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통신 인터페이스(84)에는, 와이파이(Wifi)가 포함된다.The network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gateway 70 for communicatively connecting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For example, the gateway 7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P).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and the gateway 7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interface 84. [ The fourth communication interface 84 includes a Wi-Fi (Wi-Fi).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는 상기 게이트웨이(70)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에 통신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의 작동정보, 일례로 전력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장치(100)가 상기 게이트웨이(70)를 통하여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 또는 다수의 전기제품(60)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appliances 60 through the gateway 70 to receive operational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ppliances 60, . Meanwhile, the mobile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or the plurality of appliances 60 through the gateway 70. [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통신 인터페이스(81,82,83,84)로서 다양한 통신방식을 제안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의 구성요소(20,30,50,60,70,100)를 네트워킹 할 수 있다면, 다른 통신방식, 즉 블루투스(Bluetooth), Ad-hoc 또는 지그비(Zigbee)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as the first to fourth communication interfaces 81, 82, 83 and 8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Bluetooth, Ad-hoc or Zigbee may be used as long as they can be networked.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에는, 상기 에너지 공급자(20), 외부 데이터베이스(30), 모바일 장치(100) 또는 게이트웨이(7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 1 통신모듈(51)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통신모듈(51)에는, 상기 제 1 내지 인터페이스(81,82,83,84)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 that can b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nergy provider 20, the external database 30,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gateway 70.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 may include one or more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e interfaces 81, 82, 83, and 84.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에는,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52)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아래 [표 1]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제품(60)의 사용패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제품(60)의 사용패턴에 관한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사용시간, 에너지사용량, 제어가능한 팩터(factor) 또는 에너지 절감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50 further includes a first memory unit 52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 For example, in the first memory unit 52,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of the electrical product 60 can be stored,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of the electric product 6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use time of the electric product, energy consumption, a controllable factor, or energy saving amount.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냉장고Refrigerator 세탁기washer 사용시간usage time 13:00~18:0013:00 - 18:00 항상always 07:00~11:00
18:00~21:00
07:00 - 11:00
18:00 - 21:00
에너지 사용량Energy usage versus versus small 제어 팩터Control factor 온도Temperature 제상 및 부가기능Defrost and Add-ons 세탁 사이클Laundry cycle 에너지 절감량Energy saving versus medium small

상세히, [표 1]을 참조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의 제 1 메모리부(52)에는, 다수의 전기제품(60)의 사용시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의 사용시간은 13:00에서 18:00이며, 냉장고는 항상 운전되며, 세탁기의 사용시간은 07:00~11:00, 18:00~21:00인 것으로 저장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memory unit 52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50 can store information on the usage tim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60. [0050] For example, the use time of the air conditioner is 13:00 to 18:00, the refrigerator is always operated, and the use time of the washing machine can be stored from 07:00 to 11:00 and 18:00 to 21:00 have.

상기 전기제품(60)의 사용시간은 설정기간 내에 사용된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상기 설정기간은 1달 또는 1주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시간의 시점(start time)과 종점(end time)은 상기 설정기간 내에 사용된 다수의 시간구간의 제일 빠른 시간값과 제일 늦은 시간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use time of the electric product 6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time used within the set period. For example, the setting period may be one month or one week.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the use tim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arliest time value and the earliest time value of the plurality of time intervals used in the setting period.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각 전기제품(60)의 에너지 사용량, 즉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기 및 냉장고의 에너지사용량은 상대적으로 크고(대), 상기 세탁기의 에너지사용량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소). 상기 에너지사용량의 크고 작음은 설정 전력량을 기준으로 판별될 수 있다.In the first memory unit 52, information on energy consumption of each electric appliance 60, that i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can be stored. For exampl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refrigerator may be relatively large,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washing machine may be relatively small. The large and small energy usage can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set power amount.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각 전기제품(60)의 조절 가능한 제어팩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조절 가능한 제어팩터라 함은, 전기제품(60)의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또는 전기제품(60) 자체에서 조절될 수 있는 인자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팩터는 "온도"이고, 상기 냉장고의 제어 팩터는 "제상 및 부가기능"이며, 상기 세탁기의 제어 팩터는 "세탁 사이클"일 수 있다.In the first memory unit 52, information on an adjustable control factor of each electrical product 60 can be stored. The adjustable control factor is understood as a factor that can be adjusted manually by the user or in the electrical product 60 itself to adjust the amount of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60. [ For example, the control factor of the air conditioner is "temperature ", the control factor of the refrigerator is" defrost and supplementary function ", and the control factor of the washing machine may be a "washing cycle ".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상기 제어 팩터를 조절함으로써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량(전력 절감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팩터인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절감량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대), 상기 냉장고의 제어 팩터인 "제상 및 부가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절감량은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일 수 있으며(중), 상기 세탁기의 제어 팩터인 "세탁 사이클"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절감량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소).The first memory unit 52 may store information on energy savings (power savings) that can be saved by adjusting the control factor. For example,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can be relatively large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which is the control factor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can be relatively moderate by adjusting "defrost and supplementary functions " And the energy saving amount can be relatively small by adjusting the "washing cycle " which is a control factor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에너지절감량의 대,중,소의 여부는, 제 1 설정 전력량 및 제 2 설정 전력량을 기준으로 판별될 수 있다.Whether the energy saving amount is large, medium or small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set power amount and the second set power amount.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전력절감을 위한 전기제품(60)의 운전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절전레벨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힐 수 있다. 상기 절전레벨에 관한 정보에는, 아래 [표 2] 내지 [표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전기제품에 대한 절전레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memory unit 52 may further store information on the power saving level in the course of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60 for power saving.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aving leve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ower saving level for each electric appliance, as shown in [Table 2] to [Table 4] below.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레벨제어Level control 레벨level 레벨1Level 1 레벨2Level 2 레벨3Level 3 레벨4Level 4 전력 절감량Power saving 20%20% 25%25% 30%30% 45%45% 기능function 최적제어Optimal Control 실내기제어Indoor unit control 실외기제어Outdoor unit control 실내/외기 제어Indoor / outdoor control

[표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경우, 전력절감량에 대응하여 레벨화 된 절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공기조화기의 미리 설정된 레벨 및 이에 대응하는 전력절감량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in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the leveled power saving control can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wer saving amount. That is, the first memory unit 52 may store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air conditioner and a corresponding power saving amount.

일례로, 레벨 1은 최대 전력사용량 대비 20%만큼 전력 절감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되며, 레벨 2, 레벨 3 및 레벨 4는 각각, 최대 전력사용량 대비 25%, 30% 및 45%만큼 전력 절감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된다.For example, level 1 is determined so that opera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order to reduce power by 20% of maximum power consumption, and level 2, level 3, and level 4 are determined to be 25% , 30%, and 45%, respectively,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레벨 1 내지 4에 따른 전력 절감을 위하여, 공기조화기는 설정된 기능에 따른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레벨 1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공기조화기는 "최적제어"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최적 제어는,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설정온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운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된다.In order to reduc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s 1 to 4, the air conditioner can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 function.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can perform an "optimum control"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1. In the optimum control, the optimum set temperature is determined based o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

그리고, 레벨 2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실내기 제어에는, 실내 팬의 회전수를 제 1 설정회전수 이하로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조도를 설정조도 이하로 유지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2, the air conditioner can perform "indoor unit control ". For example, the indoor unit control may includ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indoor fan to a first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or less, or keeping the display illuminance at or below the setting illuminance.

상기 레벨 3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실외기 제어에는,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설정운전수 이하로 제어하거나, 실외 팬의 회전수를 제 1 설정회전수 이하로 유지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3, the air conditioner can perform "outdoor unit control ". For example, the outdoor unit control may includ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frequency of the compressor to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t number of operations, or keep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outdoor fan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set number of revolutions.

상기 레벨 4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실내기 제어" 및 "실외기 제어"에 따른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4, the air conditioner can perform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control" and the "outdoor unit control".

냉장고Refrigerator 레벨 제어Level control 레벨level 레벨 1Level 1 레벨 2Level 2 레벨 3Level 3 절감량Savings 5%5% 10%10% 20%20% 시간time 8시간8 hours 4시간4 hours 2시간2 hours 기능function 조명 / 히터오프Lighting / heater off 제상지연Defrost delay 아이스메이커 오프Ice maker off

[표 3]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경우, 전력절감량에 대응하여 레벨화 된 절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냉장고의 미리 설정된 레벨 및 이에 대응하는 전력절감량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the leveled power saving control can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wer saving amount. That is, the first memory unit 52 may be mapped with a preset level of the refrigerator and a corresponding power saving amount.

일례로, 레벨 1은 최대 전력사용량 대비 5%만큼 전력 절감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되며, 레벨 2 및 레벨 3는 각각, 최대 전력사용량 대비 10% 및 20%만큼 전력 절감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된다.For example, level 1 is determined to allow opera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5% of maximum power consumption, and level 2 and level 3 are determined to be 10% and 20% It is determined that operation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레벨 1 내지 3에 따른 전력 절감을 위하여, 냉장고는 설정된 기능에 따른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레벨 1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냉장고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조명과 히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은 냉장고의 저장실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조명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장치일 수 있고, 상기 히터는 냉장고에 구비되는 이슬맺힘 방지용 다수의 히터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히터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례로 8시간일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s 1 to 3, the refrigerator can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 function. 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1, the refrigerator can be operat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lighting and the he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lighting may be at least one lighting device amo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provided on a storage room side of a refrigerator, and the heater may be at least one heater device among a plurality of heater devices for preventing dew formation provided in a refrigerator.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8 hours, for example.

그리고, 레벨 2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냉장고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제상지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상지연 운전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제상운전을 제한하는 운전으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냉장고의 제상운전 주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례로 4시간일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2, the refrigerator can perform the "defrost delay"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defrost delay operation is understood as an operation for restricting the defrost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defrosting operation period of the refrigerator may be a valu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4 hours, for example.

상기 레벨 3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냉장고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아이스메이커 오프(Icemaker Off)"를 제어할 수 있다. 제빙장치로서 아이스메이커는 얼음저장 그릇(아이스 뱅크)의 얼음 저장량이 설정량 이하이면 구동하여, 얼음을 생산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벨 3에 따른 냉장고의 운전으로서 "아이스메이커 오프"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얼음저장 그릇의 얼음 저장량에 관계없이, 상기 아이스메이커의 구동은 정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3, the refrigerator can control the "Icemaker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As the ice making device, the ice maker can be driven to produce ice when the ice storage amount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ce bank) is less than the set amount. However, if the "ice maker off" is performed a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level 3,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is stopped irrespective of the ice storage amount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세탁기washer 레벨 제어Level control 레벨level 레벨 1Level 1 레벨 2Level 2 절감량Savings 50%50% 100%100% 기능function 히터오프/행정절감Heater off / administrative reduction 로드 딜레이(load delay)Load delay

[표 4]를 참조하면, 세탁기의 경우, 전력절감량에 대응하여 레벨화 된 절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세탁기의 미리 설정된 레벨 및 이에 대응하는 전력절감량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in the case of the washing machine, the leveled power saving control can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wer saving amount. That is, the first memory 52 may be mapped with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corresponding power saving amount.

일례로, 레벨 1은 최대 전력사용량 대비 50%만큼 전력 절감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되며, 레벨 2는 최대 전력사용량 대비 100%만큼 전력 절감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된다.For example, level 1 is determined so that opera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order to reduce power by 50% of the maximum amount of power consumption. Level 2 is determined to be 100% Is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FIG.

그리고, 상기 레벨 1 및 3에 따른 전력 절감을 위하여, 세탁기는 설정된 기능에 따른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레벨 1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세탁기는 "히터오프 및 행정절감"하는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오프는 히터를 오프하여 온수 사용을 제한하는 운전이며, 행정절감은 세탁행정의 횟수(시간), 헹굼횟수(시간) 또는 건조시간을 감소시키는 운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s 1 and 3, the washing machine can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 function. 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1, the washing machine can be operated to "heater off and reduce administration". Here, the heater off is an operation for turning off the heater to restrict the use of hot water, an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rokes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for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ime),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time), or the drying time.

그리고, 레벨 2에 따른 전력저감을 위하여 세탁기는 "로드 딜레이(Load Delay)"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로드 딜레이 운전은, 특정 시간구간에서 세탁기의 운전을 제한하는 운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시간구간에는, 전력비용이 설정값 이상으로 형성되는 "온피크 시간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2, the washing machine can perform a "load delay" operation. The load delay oper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for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n a specific time period. For example, the specific time interval may include an "on peak time interval" in which the power cost is set to a set value or more.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50)에는, 상기 제 1 메모리부(5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60)의 작동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 1 디스플레이부(53)가 더 포함된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50 is provided with a first display unit 53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50 or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60 ).

상기 전기제품(60)에는, 상기 게이트웨이(70)와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통신모듈(61)과, 각 전기제품(60)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62), 상기 각 전기제품(60)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63) 및 상기 각 전기제품(6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65)가 포함된다.The electric appliance 6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1 communicable with the gateway 70, a second memory 62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ach appliance 60, A second display unit 63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electrical products 60 and a second control unit 6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electrical products 6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제품의 목표전력 사용량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목표전력 사용량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target power usage of an electrical produc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setting a target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목표전력 사용량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목표전력 사용량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 또는 다수의 전기제품(60)을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Target power consumption can be recognized.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or a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60. [

일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목표전력 사용량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 전기제품(60)에 구비되는 입력부 또는 모바일 장치(100)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더라도 기본 목표전력 사용량이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기본 목표전력 사용량이 인식될 수 있다(S11).For example, the user can manually input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The input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the electrical product 60, or the input device of the mobile device 100. As another example, the basic target power consumption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basic target power consumption can be recognized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it (S11).

그리고, 다수의 전기제품(60)이 운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은 설정기간 동안 운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기간 동안 각 전기제품(60)의 전력사용량은 학습되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의 제 1 메모리부(52)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기간을 "학습기간"이라 이름할 수 있다.Then, a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60 can be operated. The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can be operated during a set perio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ic appliance 60 during the set period is learned and stored in the first memory 52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 Here, the setting period may be called a "learning period ".

상세히, 각 전기제품(60)의 제 2 메모리부(62)에는, 상기 각 전기제품(60)의 전력 사용량이 저장되며, 상기 제 1 메모리부(52)에는 각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량이 취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기간은 일별, 주간별 또는 월별일 수 있다(S12,S13).In detail, in the second memory portion 62 of each electric product 60,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ic product 60 is stored, and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ic product is collected in the first memory portion 52 Lt; / RTI > For example, the setting period may be daily, weekly, or monthly (S12, S13).

한편, 상기 설정기간 동안 외부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정보는, 상기 에너지공급자(2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외부정보에는, 전력비용에 관한 정보, 전력수급 안정성에 관한 정보 또는 날씨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4).Meanwhile, external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during the setting period. The exter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nergy provider 20 or the external database 30. The extern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power cost, information on stability of power supply and demand, or weather information (S14).

상기 설정기간의 경과 후, 상기 인식된 목표 전력사용량이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에서 인식된, 상기 설정기간 동안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전력사용량 이하로 형성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After the lapse of the setting period, whether or not the recognized target power consumption amount is satisfied can be recognized. That is, it can be recognized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power used during the setting period recognized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is less than the target amount of power used.

그리고,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 1 디스플레이부(53)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63)를 통하여 인식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되는 인식결과에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전기제품(60)의 전력 사용량을 연계한 분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석정보에는, 특정일의 날씨(온도)가 매우 무더워, 공기조화기 및 냉장고에 투입된 전력량이 다른 날에 비하여 많이 높았다는 분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 1 디스플레이부(53)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63)에는, "7월 23일의 날씨가 평년온도보다 5도 높아, 전력사용량이 급증하였습니다."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resul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unit 53, or the second display unit 63 of the mobile device 100. [ The displayed recognition result may include analysis information that associates the external information with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60. [ For example,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analysis information that the weather (temperature) of a specific day is very hot, and that the amount of power input to the air conditioner and the refrigerator is much higher than other days.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unit 53, or the second display unit 63 of the mobile device 100 displays a message saying "the weather on July 23 was five times higher than the normal temperature, . "May be output.

상기 목표 전력사용량의 충족여부에 기초하여, 세로운 목표전력 사용량이 추천 또는 가이드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목표 전력사용량이 충족되었다면, 상기 S11 단계에서 인식된 목표 전력사용량보다 설정비율만큼 낮은 전력값의 새로운 목표 전력사용량이 추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비율은 10%일 수 있다.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a clear target power usage amount can be recommended or guided. For example, if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is satisfied, a new target power usage amount having a power value lower than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recognized in step S11 may be recommended. For example, the setting ratio may be 10%.

반면에, 상기 목표 전력사용량이 충족되지 않았다면, 상기 S11 단계에서 인식된 목표 전력사용량이 다시 한번, 상기 새로운 목표 전력사용량으로 추천될 수 있다(S16).On the other hand, if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is not satisfied, the target power usage amount recognized in the step S11 may be once again recommended as the new target power usage amount (S16).

상기 추천 또는 가이드 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새로운 목표전력 사용량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S16 단계에서 추천 또는 가이드 된 전력 사용량을 그대로 채용하거나, 추천 또는 가이드 된 전력 사용량과 다른 값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S17).Based on the recommended or guided information,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o set a new target power usage amount. At this time, the user may directly adopt the recommended or guided power usage amount in step S16, or manually set a different value from the recommended or guided power usage amount (S17).

상기 사용자가 새로운 목표전력 사용량을 결정한 경우, 결정된 목표전력 사용량은 상기 제 1 메모리부(52) 또는 제 2 메모리부(62)에 저장될 수 있다(S18). 그리고, 전기제품의 작동에 관한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는 경우, 저장된 새로운 목표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S12 내지 S15 단계에서 설명된, 전기제품(60)의 전력사용량 학습 및 목표사용량 충족여부 인식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If the user determines a new target power usage amount, the determined target power usage amount may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52 or the second memory unit 62 (S18). Then, when a new cycle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started, the method of learning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product 60 and recognizing the target usage amount of the electric appliance 60 described in the steps S12 to S15 is performed based on the stored new target electric power consumption .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전력 사용량에 기반한, 절전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Figures 4 and 5 are flow charts illustrating a power saving control method based on target power usag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목표량 기반 절전제어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100)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 일례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설정된 목표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다수의 전기제품(60)의 전력사용량을 저감하는 운전모드, 즉 절전제어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S21).The target amount-based power saving control mode can be started. In one example, a user may execute a predetermined program, for example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100. [ The applic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based on a set target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that is,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power saving control mode (S21).

다수의 전기제품(60)이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의 동작에 의하여 소모되는 사용전력은 에너지관리장치(50)에 의하여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전력은,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사용된 전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의 목표전력 사용량은, 앞선 도 3에 설명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S22).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60 can be operated. The consumed electric power consumed by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may be monitored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 At this time, the used power may be a power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n, the target amount of power used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be predetermined (S22),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된 사용전력에 관한 정보는, 일례로 상기 모바일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에너지관리장치(50)의 제 1 디스플레이부(53) 또는 각 전기제품(60)의 제 2 디스플레이부(63)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합하여, 본 네트워크 시스템(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 이름한다(S23).The information on the monitored usage pow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device 100, the first display portion 53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or the second display portion 53 of each electric product 60, (63). These display devices and display units are collectively called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present network system 10 (S23).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내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사용전력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사용전력량이 제 1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준전력량은 상기 목표전력 사용량의 50%에 해당하는 전력량일 수 있다(S24).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the amount of power used increases with time. In this process, it can be recognized whether or not the used power amount exceeds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may be an amount of power corresponding to 50% of the target power consumption amount (S24).

상기 사용전력량이 상기 제 1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에너지 절감가이드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절감가이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에너지 절감가이드에 관한 정보에는, 과거 해당기간 동안의 총 전력사용량 또는 각 전기제품별 전력사용량과, 현재 전력사용량의 비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절감가이드에 관한 정보에는, 에너지 절전을 위한 주의사항, 일례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코드는 뽑아주세요", "냉장고 도어의 개방횟를 줄여주세요"와 같은 메세지가 포함될 수 있다(S25).When the amount of used power exceeds the first reference amount of power, information on the energy saving gui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formation on the energy saving guid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energy saving guid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past period or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each electric appliance and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energy saving guide may include a message such as a note for energy saving, for example, "Please unplug the cord of the unused electric appliance" and "Please reduce the opening frequency of the refrigerator door" S25).

그리고, 사용전력량이 계속 증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전력량이 제 2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준전력량은 상기 목표전력 사용량의 80%에 해당하는 전력량일 수 있다(S26).Then,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increasing the used power amount, it can be recognized whether or not the used power amount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power amount. For example, the second reference power amount may be an amount of power corresponding to 80% of the target power consumption amount (S26).

상기 사용전력량이 상기 제 1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까지의 사용전력량과 남아있는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에 경과하였을 때 목표사용량을 충족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when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based on the amount of power to be used and the remaining period when the used power amount exceeds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일례로, 냉장고와 같은 상시 구동제품을 제외하고, 남아있는 기간동안 간헐구동 되는 전기제품(60)의 전원을 오프하더라도 사용전력량이 목표전력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표 사용량을 충족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된다(S27).For example, whe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product 60 intermittently driven for a remaining period of time is turned off, except for the always-driven product such as a refrigerator, if the used electric power amount exceeds the target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S27).

상기 인식결과, 상기 목표사용량을 충족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기제품의 절전제어를 수행할 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S28,S29).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whether the power saving control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to be performed can be recognized (S28, S29).

자동 절전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동 절전제어를 수행할지 여부를 묻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자동 절전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S31). 상기 입력이 이루어지면, 레벨화 된 전기제품 별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It can be recognized whether an input for performing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has occurred or not. For example, a message asking whether to perform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may be output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 may input an input for performing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S31). When the above input is made, the leveled electric appliance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세히,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는 [표 2] 내지 [표 4]에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남아있는 기간동안의 전력사용량을 고려하였을 때 목표 사용량을 충족할 수 있는 레벨 수위, 즉 레벨 1, 레벨 2, 레벨 3 또는 레벨 4를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determines, based on the information mapped in [Table 2] to [Table 4], a level level that can satisfy the target usage amount when considering the power consumption for the remaining period, 1, level 2, level 3 or level 4 can be determined.

그리고,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는 상기 목표 사용량을 충족할 수 있는 전기제품별 절전 레벨의 조합에 관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may recommend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regarding a combination of power saving levels for each appliance, which can satisfy the target usage amount, to the user.

일례로, 공기조화기(레벨 2), 냉장고(레벨 1) 및 세탁기(레벨 2)를 추천하거나, 공기조화기(레벨 1), 냉장고(레벨 2) 및 세탁기(레벨 1)을 추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전기제품별 절전 레벨의 조합은, 목표사용량을 충족할 수 있는 조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추천된 절전 레벨의 조합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n air conditioner (level 2), a refrigerator (level 1) and a washing machine (level 2), or recommend an air conditioner (level 1), a refrigerator (level 2) . Of course, such a combination of power saving levels for each electrical product can be understood as a combination that can satisfy the target usage amount. Then, the user can select any combin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combination of the recommended power saving levels.

다른 예로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는 전기제품별 절전 레벨의 조합 중 최적의 조합을 결정하여,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최적의 조합은, 최저 전력사용량을 소비하는 조합 또는 우선순위에 따른 조합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선순위는, 상시 운전제품(냉장고)의 레벨을 낮은 단계로 결정하고, 간헐 운전제품(공기조화기 및 세탁기)의 레벨을 높은 단계로 결정하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can determine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optimum combination among the combinations of the power saving levels for each appliance. At this time, the optimal combination may be a combination consuming the lowest power consumption or a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priority.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so that the level of the normally operated product (refrigerator) is determined to be a lower level and the level of the intermittently operated products (air conditioner and washing machine) is determined to be a higher level.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은 자동절전 제어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S33).Then, the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can be operated in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S33).

한편, S31 단계에서 자동절전 제어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는 자동절전 제어운전을 수행하지 않으며, 현재기간까지의 전력사용비율을 남아있는 기간동안 유지하는 경우, 예상 전력사용량 및 요금정보를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2).On the other hand, if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input is not made in step S31,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does not perform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If the power usage ratio until the current period is maintained for the remaining period, The usage amount and the charg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S32).

S28 단계에서,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전력사용량의 상태정보, 즉 현재까지의 전력사용량을 고려할 때 목표사용량을 충족하기 어렵다는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사용량 재설정을 할 수 있다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재설정되는 목표사용량은 기 설정되었던 목표사용량 이상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목표사용량을 재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S26 이하의 단계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S30).If it is recognized in step S28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a message indicating tha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target usage amount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that is,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up to the present can be outputted. Then, gui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arget usage amount can be reset can be output. Of course, the target usage amount to be reset can be determined to be a value larger than the previously set target usage amount, so that the user can reset the target usage amount. Then, the steps S26 and subsequent steps can be continued (S30).

S33 단계의 수행 후, 설정기간이 경과하면 목표사용량이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S34).After the execution of step S33, if the set period has elapsed, whether or not the target usage amount is satisfied can be recognized (S34).

상기 목표사용량을 충족하였으면, 상기 설정기간 동안 총 전력사용량, 일자별 전력사용량, 전기제품별 전력사용량등에 관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 달성도에 관한 정보 또는 각 전기제품의 평균 사용량에 대비된 요금 절감량에 대한 리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 전기제품의 평균 사용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S36).When the target usage amount is satisfied, the user can provide a report on the total power usage amount, the electricity usage amount per day, and the electric power usage amount according to the electric appliance during the setting period. Then,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target or a report on the amount of charge saved in comparison with the average usage amount of each electric appliance may be provided. Information on the average usage amount of each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S36).

만약, 상기 목표사용량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면, 목표사용량 대비 초과사용량에 관한 정보 및 그 원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7). 다만, S33 단계에서 목표사용량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절전 제어를 수행하였으므로, S37 단계의 수행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며, 전기제품의 오작동 또는 예상치 못한 전력비용의 증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target usage amount is not satisfied, information on the excessive use amount with respect to the target usage amount and information on the cause thereof may be provided to the user (S37). However, si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usage amount can be met in step S33 and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is performed, the step S37 will not be performed in general and may occur due to a malfunc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or an unexpected increase in the electric power cost will be.

이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목표 사용량을 설정해 두고, 전력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고 절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전력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trol method, the target usage amount is set, and guid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step by step as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so that power saving can be induced, so that power management of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에너지 절약모드의 수행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integrated energy saving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전기제품(60)은 통합 에너지절약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41).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은 선택적으로 에너지절약 모드를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전력비용이 많이 발생되더라도 전기제품의 사용 편의성을 중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에너지절약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고, 일반 비절전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integrated energy saving mode (S41). The plurality of appliances 6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perform the energy saving mode. Sinc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electric appliance may be emphasized depending on the user, even if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generated, the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may perform the energy saving mode or the general non- .

다만, 본 실시예는 다수의 전기제품(60)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전기제품에 에너지 절약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어떠한 전기제품에 일반 비절전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통합 에너지절약 모드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However,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determine whi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60 the energy saving mode is set for and which general electric non-power saving mode is set for the electric product, Mode can be set.

일례로, 사용자는, 모바일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통합 에너지 절약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에너지 절약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50)는 제품별 절전정보가 설정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절전정보에는, 제품별 절전레벨 및 절전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S42).In one example, the user may execute an integrated energy saving mod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 When the integrated energy saving mode is execute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50 can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s set. The power save information may include a power save level and a power save time for each product (S42).

각 전기제품별 절전레벨 및 절전시간이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설정된 절전레벨 및 절전시간에 따라, 에너지 절약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S43).If the power saving level and the power saving time for each electric appliance are set, the energy sav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t power saving level and the power saving time (S43).

반면에, 다수의 전기제품(60)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제품의 절전레벨 및 절전시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절전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wer saving level and the power saving tim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ances 60 are not set, the power saving guid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일례로, 상기 절전가이드 정보에는, [표 2] 내지 [표 4]에 매핑된 정보와 같이, 절전레벨, 절전시간 또는 전력 절감량의 조합에 관한 다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절전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절전레벨 및 절전시간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전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또는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S44,S45).For example, the power saving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related to a combination of a power saving level, a power saving time, or a power saving amount as well as information mapped to [Table 2] to [Table 4]. The user can set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power saving level and the power saving time based on the provided power saving guid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user may arbitrarily set or modify the power save time (S44, S45).

상기한 방법으로 절전정보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60)은 설정된 절전정보에 기초하여, 에너지절약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S46).When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is set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60 performs the energy saving operation based on the set power saving information (S46).

그리고,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에너지절약 운전을 수행한 결과, 전기제품의 평균사용량 대비 절감된 전력사용량 또는 전력비용에 관한 정보가 리포트로 제공될 수 있다(S47).Then, when the set period elapse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r power cost sav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energy saving operation may be provided as a report (S47).

상기한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전기제품에 대하여, 사용자가 쉽게 에너지절약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can easily perform the energy saving mode for a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10 : 네트워크 시스템 20 : 에너지공급자
30 : 외부 데이터베이스 50 : 에너지 관리장치
51 : 제 1 통신모듈 52 : 제 1 메모리부
53 : 제 1 디스플레이부 55 : 제 1 제어부
60 : 전기제품 61 : 제 2 통신모듈
62 : 제 2 메모리부 63 : 제 2 디스플레이부
65 : 제 2 제어부 70 : 게이트 웨이
81~84 : 통신 인터페이스
10: Network system 20: Energy provider
30: external database 50: energy management device
51: first communication module 52: first memory part
53: first display section 55: first control section
60: electrical product 61: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2: second memory section 63: second display section
65: second control unit 70: gate way
81 ~ 84: Communication interface

Claims (15)

설정기간에 대한, 전기제품의 목표 사용량이 인식되는 단계;
상기 목표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기제품의 사용전력이 모니터링 되는 단계;
상기 설정기간 내에서 상기 전기제품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전력량이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전력량이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전력 저감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동절전 제어운전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target usage amount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recognized for the set period;
Monitoring the usage power of the appliance based on the target usage amount;
Recognizing whether the used electric power amount exceeds a reference electric power amount in the process of using the electric product within the set period; And
And a step of providing guide information for power reduction or performing an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when the used power amount exceeds a reference power amou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력량에는,
상기 목표 사용량 대비 설정비율 값으로 결정되는 제 1 기준전력량; 및
상기 제 1 기준전력량보다 큰 전력량으로 결정되는 제 2 기준전력량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ference power amount,
A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determined as a set ratio value with respect to the target usage amount; And
And a second reference power amount determined to be an amount of powe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전력량이 제 1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전력 저감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when the amount of power used exceeds a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guide information for power reduction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전력량이 상기 제 2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현재까지의 사용전력량과 남아있는 기간에 기초하여,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arget usage amount can be satisfied based on the amount of power used up to the present and the remaining time period when the used electric power amount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electric power amou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의 여부는,
상시 구동되는 전기제품을 제외하고, 간헐 구동되는 전기제품을 모두 오프하였을 때 소비되는 전력량이 목표사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ther or not the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is determined,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en all of the intermittently driven electrical products are turned off, excluding the normally driven electrical product, exceeding the target usage amou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전기제품의 자동 절전제어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And performing an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자동 절전제어 운전은 전기제품의 절전레벨에 기초한 운전이며,
상기 절전레벨에는 전력절감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레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an operation based on a power saving level of the electrical product,
Wherein the power saving level includes two or more levels in which power sav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목표사용량의 충족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목표사용량의 재설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meeting the target usage amount,
Wherein guidance information for re-setting the target usage amount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목표 사용량이 인식되는 단계에는,
상기 목표 사용량이 입력되는 단계;
미리 설정된 학습기간 동안,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전력량이 학습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학습기간 동안, 외부정보가 수집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rget usage amount of the electric appliance,
Inputting the target usage amount;
Learn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by the electric appliance during a preset learning period; And
Wherein the external information is collected during the predetermined learning peri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정보에는,
전력비용에 관한 정보, 전력수급 안정성에 관한 정보 또는 날씨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external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electric power costs, information on electric power supply stability, or weather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목표 사용량이 인식되는 단계에는,
상기 학습기간 경과후,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전력량이 상기 목표 사용량을 충족하였는지 여부가 인식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사용량을 충족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새로운 목표전력 사용량이 추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rget usage amount of the electric appliance,
After the lapse of the learning period,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by the electric appliance satisfies the target usage amount; An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recommending a new target power usage amount based on whether or not the target usage amount is satisfi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는, 다수의 전기제품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을 통합하여 에너지 절약운전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절약운전이 수행되면, 각 전기제품별 절전레벨 및 절전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al produc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tegrating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to perform an energy saving operation,
Wherein when the energy saving operation is performed, a power saving level and a power saving time for each electric appliance are set.
에너지 공급자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제품;
상기 전기제품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및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이 제 1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이 제 2 기준전력량을 초과하면, 목표 사용량의 충족 가능성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 절전제어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 2 기준전력량은 상기 제 1 기준전력량 보다 큰 전력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At least one electrical product operatively provided using electrical power supplied from an energy supplier;
An energy management devic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and monitoring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And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guide information for reducing power whe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electric energy,
Wherein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is selectively perform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target usage amount can be satisfied if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ic applianc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electric energy amount,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power amount is an amount of powe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전력량은 상기 목표 사용량의 기 설정비율의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reference power amount is determined as a value of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target usage amoun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이 제 2 기준전력량을 초과하고, 목표 사용량을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자동 절전제어 운전을 수행하며,
상기 자동 절전제어 운전은, 상기 전기제품의 절전레벨에 기초한 운전이며,
상기 절전레벨에는 전력절감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레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performs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ic applianc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electric energy amount and can satisfy the target consumption amount,
Wherein the automatic power saving control operation is an operation based on a power saving level of the electric product,
Wherein the power saving level includes two or more levels in which power sav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KR1020150033995A 2015-03-11 2015-03-11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1698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95A KR101698663B1 (en) 2015-03-11 2015-03-11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95A KR101698663B1 (en) 2015-03-11 2015-03-11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98A true KR20160109498A (en) 2016-09-21
KR101698663B1 KR101698663B1 (en) 2017-02-01

Family

ID=5708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995A KR101698663B1 (en) 2015-03-11 2015-03-11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6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35A (en) * 2018-07-27 2020-02-05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cost-effective notification of home appliance usage considering billing rate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0045A (en) * 2012-04-26 2013-11-07 Panasonic Corp Energy management devic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2014014251A (en) * 2012-07-05 2014-01-23 Sharp Corp Controller,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639311B1 (en) * 2013-01-11 2014-12-10 日東電工株式会社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JP2015011408A (en) * 2013-06-26 2015-01-19 京セラ株式会社 Power suppression metho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0045A (en) * 2012-04-26 2013-11-07 Panasonic Corp Energy management devic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2014014251A (en) * 2012-07-05 2014-01-23 Sharp Corp Controller,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639311B1 (en) * 2013-01-11 2014-12-10 日東電工株式会社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on-demand power control system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JP2015011408A (en) * 2013-06-26 2015-01-19 京セラ株式会社 Power suppression metho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35A (en) * 2018-07-27 2020-02-05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cost-effective notification of home appliance usage considering billing rate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663B1 (en)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264B1 (en)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9235818B2 (en) Electric devic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2326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load management
US9379547B2 (en) Appliance control system
US9685784B2 (en) Network system for a component
KR1018173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of smart appliance
US20110202194A1 (en) Sub-metering hardware for measuring energy data of an energy consuming device
CN105425602A (e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ousehold appliance
US20110218680A1 (en) Demand response system
US20110119515A1 (en)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20120065798A1 (en) Demand response of devices when different devices are being signaled to shed load
US2013024584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US9684358B2 (en) Electrical appliance
CN103460543B (en) Control equipment for electric power loads
EP2616892B1 (en) Network system
US20130317662A1 (en) Network system
KR20140062367A (en)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587445B1 (en) Network system
KR101698663B1 (en)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EP2652859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20140017084A (en) Managing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ayback system for reduction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KR20120114708A (en) Method of electric power control using smart me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1696996B1 (en)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2014152B1 (en) Smart controller of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ain controller with including temperature control
CN117950330A (en) Electric energy management equipment of intelligent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