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038A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038A
KR20160109038A KR1020150032666A KR20150032666A KR20160109038A KR 20160109038 A KR20160109038 A KR 20160109038A KR 1020150032666 A KR1020150032666 A KR 1020150032666A KR 20150032666 A KR20150032666 A KR 20150032666A KR 20160109038 A KR20160109038 A KR 2016010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data
video display
display device
exter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2979B1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979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with changing topologies, e.g. ad-hoc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installed in a bod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to receive information on a routing table related to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arrange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 by using the received routing tabl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a first data selected by a users input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IMAGE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provide a routing function.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uch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television, a monitor, a projector, a tablet, and the like.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re diversified,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video shooting, game, and broadcast reception in addition to the output of the broadcast and the playback of the video .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시도들에는 영상표시장치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는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supporting and increasing the function of such image display devices. Attempts at the hardware level includ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that simplify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일 예로서, 영상표시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기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제안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상호간 무선 통신 연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s one example of th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various studies and proposals have been made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perform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Especially, recently, researches o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displays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 네트워크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not limited to an existing network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영상표시장치 상호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수행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가 다양화되도록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video display devices to diversify a data transmission path.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표시장치는, 본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서버와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본체가 배치된 위치와 관련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installed in a main body an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received routing table,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 장치에 대해, 상기 컨텐츠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from at least a part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to be performed.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분을, 각각 서로 다른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first data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use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s to differen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And controls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radio signal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전송받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us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1 speed of data transmission is controlled.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 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released in a state of receiving second data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second data is received from at least a part of an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whether the second data is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통신의 통신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correspond to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제3 데이터에 대한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3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기 서버 및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request message for third data from a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2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and determin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whether the third data is stored in the server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quest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devices.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가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er stores third data,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third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제4 데이터와 함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의 통신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 경로로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fourth data from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receive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detected communication path.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통신 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ommunication path so as to minimize a communication cost for transferring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소요 시간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통신 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ommunication path so as to minimize a time required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제5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such that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related to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select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to transmit the fifth data to the selecte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제3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3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determined to be released before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quest message for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to an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a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performing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아울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버와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본체가 배치된 위치와 관련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perform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receiving rout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where a main body is disposed from the server; Perform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and receiving the first data selected by the user input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trol metho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상기 컨텐츠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first data may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the first data from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분을, 각각 서로 다른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first data may include a step of dividing the first data into a plurality of parts, a step of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s And receiving from different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s,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와 연결되지 않은 영상표시장치에서도,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어, 네트워크 확장 효과가 도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can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even in a video display device not connected to a server, and a network expansion effect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의 데이터 통신 경로가 확장되므로, 컨텐츠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데이터 통신 경로의 확장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ta communication path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extended,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content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expanding the data communication path as described above, the load of the server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지역 내에 위치한 영상표시장치 상호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므로,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ier to perform synchronization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원격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가 수행하는 무선 통신과 관련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와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가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가,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FIG. 1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remote control apparatu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C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ideo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and FIG. 3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ed betwee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an image display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es.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at an image display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uting function to an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 RTI ID = 0.0 > terms < / RTI >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텔레비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this, a televis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a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2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디스플레이 변형 구동부(183),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3D 시청장치(195)를 포함할 수 있다.1A,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a network interface 135, a storage 140, a user input interface A controller 170, a display 180, a display deformation driver 183, an audio output 185, a power supply 190, and a 3D viewing device 195.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 selects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ll previously 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110 can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tuner 110 can receive RF carrier signals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RF carriers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er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can do.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an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to perform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Decryption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F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Solomon decoder, and the like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demodulating unit 1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That is, the ATSC demodulation unit and the DVB demodulation unit can be provided.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8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ransmits external video, audio or data signals to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Also, the control unit 170 can output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set-top boxes via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3D 시청장치(195)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3D viewing device 19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표시장치(100)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o that data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external devices. do. For example,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60.

한편, 식별 모듈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또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영상표시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영상표시장치(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And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or the power sourc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and may be a wireless LAN (WLAN) (Wi-Fi), a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via the network,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i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 broadcasting signals, and the like, provided from a contents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n IP (Internet Protocol) TV, and receives video, audio, or data signals processed in the settop box for IPTV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can transmit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to the IPTV set-top box.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The IPTV may include ADSL-TV, VDSL-TV, FTTH-TV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network. The IPTV may include a TV over DSL, a video over DSL, a TV over IP ), And the like. In addition, IPTV may also mean an Internet TV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or a full browsing TV.

또한, 상술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와 무선 통신부가 대응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Hereinafte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Can be connected.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ler 170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an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memory (EEPROM) read-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40 on the Internet.

도 1a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FIG. 1A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lect a channel, set a screen (for example,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may sens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 operation sensor, and the lik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영상표시장치(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ne or more cameras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 camera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e plurality of cameras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arranged to have a matrix structure. Through the camera having the matrix structu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mages Information can be input. In addition,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acquir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for realizing a stereoscopic image.

마이크로폰(미도시)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A microphone (not shown) processe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utilized variously according to functions (or application programs being executed) being perform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On the other hand, various noise elimina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acoustic signal can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include a mechanical input unit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at the front / rear or sid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and a touch type input means. For example, the touch-type input means may comprise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And a touch key disposed on the touch panel. Meanwhile, the virtual key or the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a graphic, a text, an icon, a video, As shown in FIG.

한편, 센싱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내 정보, 디지털 사이니지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sense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 the digital signag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digital signage,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riving or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ion surface,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an infrared ray. The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of the digital signage wrapped by the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or in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In the case where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the proximity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object with a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object having conductivity.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or touch sensor) itself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n proximity with no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is clos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vertically when the object is touched. The proximity sensor 141 can detect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have. The control unit 170 processes the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sens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as described above. Further, the controller 170 processes the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on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Further,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uch that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re processed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to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contact touch have.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180))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sen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180)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anc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do.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a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and the like where a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may b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as an object to which a touch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7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70) 자체일 수 있다. Thus,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70. Thus, the controller 17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180 is touched or the like. Here,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roller 170, and may be the controller 170 itself.

한편, 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which touches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perform the same control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image display device 100 or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s and the proximity sensors discussed above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provide a short touch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and the like. Touch can be sensed.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by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controller 170 can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ng source through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The position of the wave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act that the light is much faster than the ultrasonic wave, that is, the time when the light reaches the optical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ultrasonic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ng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ime difference with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reference signal.

한편,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camera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e.g., a CCD, a CMOS, etc.), a photo sensor (or an image sensor), and a laser sensor.

카메라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camera and the laser sensor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sense the touch of the sensing object with respect to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The photosensor can be laminated to the display element, which is adapt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object to be detected proximate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sensor mounts photo diodes and TRs (Transistors) in a row / column and scans the contents loaded on the photosensor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That is, the photo sensor performs coordinate calcul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of light,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alculation.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o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as an audio signal.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Although not shown in FIG. 1A,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tuner 110 to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tuner 110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hen,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 unit 170 may output the video or audio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For example, So that a video signal or a voice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n image inpu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s displayed 180 As shown in Fig.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0 generates a 3D object for a predetermined object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nd displays the 3D object.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images and text.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Such a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have a different depth tha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Preferably, the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be projected relative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grasped. In addition, the x-axis coordinate and the y-axis coordinat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 position can be grasped.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a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nd extracts an image from an input stream signal to generate a thumbnail image have.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directly or encod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In additio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a stream format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hav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18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 At this time,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 mod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in a full viewing mode displayed in most areas of the display 180.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180 conver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or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 control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do.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평평한(flat) 형태 또는 곡선(curved) 형태로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180)가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듯 곡선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at the display 180 is comprised of a flat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deformed into a curved display.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180 is transformed into a curved shape as if it surrounds a user on the front side, realistic image quality and immers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uch a flexible display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an OLED panel.

디스플레이(18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The display 18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to the user. For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s, the display 180 can be divided into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nd a single display method.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3D 시청장치(195), 예를 들어 3D 안경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single display method can implement a 3D image only on the display 180 without a separate 3D viewing device 195, for example, 3D glasse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lenticular method, a parallax barrier ) Can be applied.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3D 시청장치(195)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Meanwhile, the additional display method can implement a 3D image using the 3D viewing device 195 in addition to the display 180. For example, various methods such as a head mount display (HMD) type and a glasses type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glasses typ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 passive type such as a polarizing glasses type and an active type such as a shutter glass type. On the other hand, head-mounted display type can be divided into a passive type and an active typ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디스플레이 변형 구동부(183)는 디스플레이(180)를 평평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변형 구동부(183)는 디스플레이(180)에 전기적 신호를 주어 디스플레이(180)가 스스로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18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180)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formation drive unit 183 is formed to deform the display 180 into a flat shape or a curved shape. The display deformation drive 183 is configured to allow the display 180 to deform itself by giv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isplay 180 or to deform the display 180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isplay 180 .

디스플레이(180)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18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display 180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80)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180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a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such as a stereoscopic system (glasses system), an autostereoscopic system (no-glasses system), and a projection system (holographic system) can be applied.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voice processed signal,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and outputs the voice.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또한, 오디오 출력부(185)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5)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or the like. The audio output unit 185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이외에도, 영상표시장치(100)에 포함된 햅틱 모듈(haptic module)(미도시)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haptic module (not shown)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a haptic effect generated by a haptic module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in the haptic module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setting of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may combin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output the vibrations.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has effects such as pin arrangement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air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suction port, scratching on the skin surface, electrode contact, , And the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 heat-absorbing or heat-generating element, and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can not only transmit tactile effects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les of the fingers and arms. The haptic module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광출력부(미도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not shown)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y 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광출력부가 출력하는 신호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디지털 사이니지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by the optical output unit is implemented when the digital signage emits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The signal output may be terminated by the digital signage detecting the event confirmation of the user.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In order to detect a user's gesture,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have. A signal sensed by a sensing unit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sense the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the images captu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sensed signals from the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corresponding power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a control unit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180 for video display,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cluding the heat ra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the battery may be an internal battery configured to be 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or the lik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160 through which an external charger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use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Power can be delivered.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For this purpos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use infrared (IR)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or ZigBee. Als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display it or output it i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above is a fixed type and is a digital broadcast of ATSC system (8-VSB system), digital broadcast of DVB-T system (COFDM system), digital broadcast of ISDB-T system (BST- And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In addition, as a portable type, digital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satellite DMB broadcasting, ATSC-M / H broadcasting, DVB-H broadcasting (COFDM broadcasting), MediaFoward Link Only And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like. It may also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able, satellite communications, or IPTV.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TV receive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한편, 도 1a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hown in FIG. 1A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외관 사시도이다.1B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고, 내부에 각종 부품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된 함체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B,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having a display panel on its front surface and a spac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located.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양한 크기와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는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설치된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The display pane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ize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B,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and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changed.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C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버(10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0)에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C,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10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ls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0 may be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smartwatch, a glass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거리 통신망 또는 근거리통신망(WAN/LAN)(3000)을 통하여, 서버(1000)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전송된 컨텐츠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도 있고, 버퍼(미도시)에 상기 전송된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임시로 저장하면서 실시간으로 출력만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content from the server 1000 via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or a local area network (WAN / LAN) 3000 and output the transmitted conten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store the transmitted content in the storage unit 140 or may output only a part of the transmitted content temporarily in a buffer (not shown) while outputting in real time.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버(1000)로부터 상기 영상표시장치(100)가 배치된 위치와 관련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위치한 소정의 지역 내에 포함된 외부 영상표시장치들이 연결된 네트워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rout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is disposed from the server 1000. [ For example,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network to which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are connected.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바로 이러한 라우팅 테이블의 구성이다.The routing table is used in the computer network to convert the destination address into a network route to reach the destination.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a routing protocol is the configuration of such a routing table.

가장 단순한 모델인 hop-by-hop 라우팅 방식에서, 각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은 모든 목적지(ex. 외부 영상표시장치) 정보에 대해 해당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거쳐야 할 다음 라우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라우팅 테이블이 일관적이라고 가정하면, 패킷을 받은 다음, 라우팅 테이블을 검사해서 다음 라우터를 찾은 뒤, 해당 라우터로 패킷을 넘겨주는 이러한 단순한 알고리즘만으로 네트워크상의 어느곳으로라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계층적 아키텍처에서는 한번의 테이블 검사로 몇 번의 전달과정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이는 테이블 검사시간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네트워크의 성능을 증가시킨다.In the simplest model, hop-by-hop routing, each router's routing table has information about the next router to reach its destination for all destinations (eg, external video display) information. Assuming that the routing table is consistent, it is possible to transfer data anywhere on the network with just this simple algorithm that takes the packet, examines the routing table, finds the next router, and passes the packet to the router. On the other hand, in a hierarchical architecture, a single table check can replace a few transmission steps, which reduces the table lookup time and thus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라우팅에서 하나의 중요한 기본 가정은 유사한 주소는 비슷한 주소의 목적지는 인접해 있으리라는 것이며, 이는 다수의 목적지 주소를 하나의 라우팅 테이블 항목에 관리할 수 있다.One important basic assumption in routing is that similar addresses will be adjacent to destinations with similar addresses, which can manage multiple destination addresses in one routing table entry.

네트워크상의 각 라우터에서는 일관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루프가 발생할 수 있다.Each router on the network must have consistent routing table information, or a loop can occur.

라우팅 테이블 정보는 목적지 호스트 정보와 다음 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적지 호스트 정보는 패킷의 최종 목적지가 되는 호스트의 주소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음 홉 정보는 목적지 호스트까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인접 경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여러 경로 중 효과적인 라우팅을 지원하는 경로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로에서 바로 다음 홉(Hop)에 위치한 라우터의 주소를 기록한다.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may include destination host information and next hop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destination host information may include an address value of a host that is a final destination of the packet. In addition, the next ho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n adjacent path for transmitting a packet to a destination host. In other words, there may be a route that supports effective routing among the various routes reaching the destination. In this route, the address of the router located in the next hop is recorded.

제어부(170)는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라우팅, 분산 라우팅, 중앙 라우팅, 계층 라우팅을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n process source routing, distributed routing, central routing, and hierarchical routing using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70)가 소스 라우팅을 처리하는 경우, 패킷을 전송하는 호스트가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전달 경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소스 라우팅을 지원하기 위해, 송신 호스트의 라우팅 테이블에 패킷을 수신 호스트까지 전달하기 위한 전송 경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이러한 경로 정보를 전송 패킷에 기록해야 한다. 제어부(170)가 중간 라우터로서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전송 패킷에 포함된 경로 정보를 이용해 패킷을 중개함으로써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170 processes the source routing, the host that transmits the packet can determine the delivery path to the destination host by itself. The control unit 170 may manage transmission path information for forwarding packets to the receiving host in the routing table of the transmitting host to support source rout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ust record such route information in the transport packet. When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the routing function as an intermediate router, it can correctly transmit the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by intermediating the packet using the pa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packet.

또한, 제어부(170)는 소스 라우팅(Source Routing)을 지원하는 경우,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 회선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가상 회선 방식에서는 연결의 초기화 과정에서 경로 정보를 담은 특수 연결 패킷을 사용한다. 중간 라우터는 패킷의 경로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전달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그램 방식에서는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헤더에 경로 정보가 들어가므로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urce routing is supported, the control unit 170 can support both the datagram scheme and the virtual circuit scheme. In the virtual circuit scheme, a special connection packet containing route information is used in connection initialization. The intermediate routers can select the delivery path by interpreting the path information of the packet. In the datagram method, since the path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header of every transmitted packet, the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제어부(170)가 분산 라우팅(Distributed Routing)을 지원하는 경우, 패킷의 전송 경로에 위치한 각 라우터가 효율적인 경로 선택에 참여할 수 있다. 분산 라우팅 방식은 데이터그램 방식에서 많이 사용한다. 제어부(170)가 분산 라우팅을 지원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포함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는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170 supports distributed routing, each router located in the packet transmission path can participate in efficient path selection. Distributed routing is used in datagrams. When the control unit 170 supports distributed routing,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can be changed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network situation in which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included.

제어부(170)가 중앙 라우팅(Centralized Routing)을 지원하는 경우, RCC(Routing Control Center)호스트를 사용하여, 특정 네트워크 내의 전송 경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패킷 전송을 원하는 송신 호스트는 상기 RCC로부터 목적지 호스트까지 도착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미리 얻을 수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해 송신 호스트는 소스 라우팅과 동일한 원리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70 supports centralized routing, the RCC (Routing Control Center) host can be used to process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path in the specific network. In this case, a transmitting host desiring to transmit a packet included in the specific network can obtain path information for arriving from the RCC to the destination host in advance. Using this information, the sending host can send packets on the same principle as source routing.

제어부(170)가 계층 라우팅(Hierarchical Routing)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장치(100)가 포함된 네트워크의 구성을 계층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70 supports hierarchical rout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includ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be managed in a hierarchical form.

라우팅 테이블 정보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a에서 설명한다.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FIG. 5A.

도 1c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제2 무선통신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C,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a or 100b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100)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b)를 검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use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trol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100a (100a)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disposed, , And 100b.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상기 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b)를 검색할 수 있다. 이로써,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검색된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search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100a and 100b using the routing table received from the server 1000. [ Thu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perfor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arche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b)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만아니라,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b)에 대해 라우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100a and 100b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Rout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c를 참조하면,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는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버(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는 서버(1000)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는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버(100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C,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a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000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lso,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100b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rver 1000. [ That is,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b may not be connected to the server 10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이 경우, 서버와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되고,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와 제2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100)는 상기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서버(1000) 또는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버(1000) 또는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b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b To the server 1000 or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100a. In another exampl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1000 or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a to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b.

이하,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는 서버(1000)와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1).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perform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1000 to receive routing table information (S201).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는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에 의해 고정적인 정보일 수도 있고,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에 의해 유동적인 정보일 수도 있다.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may be static information by static routing or may be dynamic information by dynamic routing.

상기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최초에 수신한 후, 라우팅 테이블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의 네트워크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동적 라우팅을 구현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irst receives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then detects information related to a network attribute of at least on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routing table By updating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dynamic routing can be implemented.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는 제1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최초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네트워크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서버(1000)로부터 상기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의 네트워크 속성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속성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the first routing table information us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a part of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outing table information to detect information related to a network attribute of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can do.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change in the network attribute of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apparatus from the server 1000, and the controller 170 may u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received network attribute , And may update the received routing table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제1 무선통신은 원거리 통신(WAN) 또는 근거리 통신(LAN)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무선통신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서버(100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local area network (LAN). In yet another examp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Fidelity (WFI) Direct,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a Wireless Broadband (WiBro)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from the server 1000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초기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부(170)는 상기 저장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업데이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itialization func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performed,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received rout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170 may update the stored routing table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S202).Next,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d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received routing table information (S202).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의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출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70 may extra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d in the local network to whic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nected, using the received routing tabl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network interface 135 to per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FC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또 다른 예에서, 제1 무선통신과 제2 무선통신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무선통신과 제2 무선통신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의 통신 방식과 관련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제1 및 제2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된 것인지 판별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different bandwidth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u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es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제어부(170)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S203).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from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S203).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는,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 목록과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목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원격 제어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방송채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ata may include data related to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put applied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For example, the first data may be any content selected from the list in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selected broadcast channel, based on a user input appli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소정의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를 판별하여,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from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an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storing predetermined first data, and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이하의 도 3a 및 3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가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및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3A and 3B, an embodiment in whic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s and servers will be described.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는 서버(1000)와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통신부는 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b, 100c)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perfor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1000. FIG.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100a, 100b, 100c using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000. [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가 서버(1000)와 수행하는 제1 무선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수행하는 제2 무선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와 상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ate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with the server 1000 may be different fro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ate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th the external video display apparatus have.

도 3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는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b, 100c)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수행되는 제2 무선통신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는 제2 무선통신을 통하여,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per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es 100a, 100b, and 100c.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performed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 plurality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at different speeds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데이터(data1)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data1)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s.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무선통신의 연결 여부, 무선통신 상의 장애 발생 여부, 무선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 및 무선통신의 트래픽 사용 현황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70 select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s, and transmits the first data Lt; / RTI >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s may be related to at least one of conn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occurrence of failure on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peed of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 장치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a request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irst data is stored using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an do.

상기 외부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요청 메시지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다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response to receiving the request message,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may transmit a confirmation message informing whether or not the first data is stor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gain.

이로써,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확인 메시지에 근거하여,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제1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can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firmation message.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확인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품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70 can confirm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based on the received confirmation message. For example, when the first data is image data, the quality information may includ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 표시 장치 중 상기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from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have.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전송받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data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The receiving speed can be controlled.

즉,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수행되는 제2 무선통신의 상태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나머지에 대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의 상태변화는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또는 감소, 장애 발생 여부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us change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ata i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The data transmission rate can be changed for the remaining one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For example, the change in state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related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data transmission rate, a failure occurrence or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100a, 100c)에 대한 트래픽 할당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1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에 대한 트래픽 할당을 감소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B, the controller 170 can increase the traffic allocation to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100a and 100c receiving the first dat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affic assignmen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아울러, 제어부(170)는 서버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서버와의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310)되거나, 제1 무선통신의 통신 상태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수행하는 제2 무선통신의 데이터 수신 속도를 증가(320, 340)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와의 제2 무선통신의 데이터 수신 속도를 감소(340)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data is received from the server, the control unit 170 disconnect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10 or changes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o at least one (320, 340) of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ed with the external video display apparatus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eing released, the controller 170 may reduce (340) the data reception rate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not receiving the first data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의 데이터 통신 속도가 소정의 기준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while the second data is being receiv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170 notifies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hat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data is stored or not. If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in a state where the second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cond data is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아울러, 제어부(170)는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제2 데이터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상기 품질 정보에 대응되는 제2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use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data corresponding to the qualit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서버로부터 이미 전송된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second data from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may receive the remainder from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except for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data already transmitted from the server.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대응되는 경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2 무선통신의 통신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data, Can be increased.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분을, 각각 상이한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4, the control unit 170 divides the first data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use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from differen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be controll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 100c, 100d)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받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부분을 서로 다른 외부 영상표시장치(100b, 100c, 100d)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4,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simultaneously receive the first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100b, 100c, and 100d that store the first data. hav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divide the first data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o receive the respective portions from the differen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100b, 100c, and 100d.

제어부(170)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수행되는 제2 무선통신의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무선통신의 속성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의 데이터 전송 속도, 제2 무선통신 상의 장애 발생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divides the first data into a plurality of parts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attributes of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ed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s storing first data, And can be assigned to display device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ttribute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hether or not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has failed, and the like.

한편,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70)는 제1 데이터의 동일한 일부분을 복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동시에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4,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simultaneously receive the same part of the first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image display devices.

이하의 도 5a 내지 5c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가,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5A to 5C,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in which an image display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uting function to an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도 5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외부 영상표시장치(100c)로부터 제3 데이터에 대한 요청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a request message for the third data from the first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100c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제3 데이터에 대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3 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1 외부 영상표시장치(100c)는, 서버와의 제1 무선통신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quest message for the third data may inclu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data. In addition,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100c transmitting the request message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is released.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서버(1000) 및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100a, 100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3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hird data i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server 1000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100a and 100b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determined.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기 서버 및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quest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server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storing the third dat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아울러,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1000)가 상기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rver 1000 stores the third data,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third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third data to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또한,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제4 데이터와 함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5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fourth data from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이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의 통신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검출된 통신 경로로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ct a communication path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estin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detected communication path.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통신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소요 시간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통신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ct the communication path so as to minimize the communication cost for transferring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Also,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ct the communication path so as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한편, 도 5a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제5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5A,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outputs an image related to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70 selects either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user input applied to the input unit You can choose on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fth data to the selecte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도 5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배치된 위치와 관련된 제1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와 관련된 제2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the display 180 may output a first image related to a position whe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disposed. In this case, the first image may include a second image related to the received routing tabl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과 관련된 제2 영상은 영상표시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510a, 510b, 510c, 510d)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image related to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network identifier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at least on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510a, 510b, 510c, and 510d.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510c)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윈도우(503)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display 180 to output a window 503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network identifier of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510c, .

제어부(170)는 상기 출력된 제1 영상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5 데이터의 전송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an object of transmission of the fifth data based on the user input applied to the output first image.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제3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무선통신은 제1 및 제2 무선통신과 다른 통신 방식일 수도 있고, 동일한 통신 방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무선통신의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RFID, NF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released before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In one embodiment,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be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Bluetooth, RFID, NFC, and the like.

이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제3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영상표시장치(100)가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 않아도,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quest message for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external image display apparatu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even i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oes not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표시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mage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Claims (16)

본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본체가 배치된 위치와 관련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receives rout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where the main body is dispos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received routing table,
Wherei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 장치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분을, 각각 상이한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at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from differen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 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전송받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And controls the speed of transmitting the first data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 장치에 대해 상기 제2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nnec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released in a state of receiving the second data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second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통신의 통신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increases the communication speed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correspon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제3 데이터에 대한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3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기 서버 및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request message for the third data from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data i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server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quest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server and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storing the third dat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가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1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server stores the third data, receives the third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third data to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제4 데이터와 함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의 통신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 경로로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fourth data from the firs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Detecting a communication path to a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fourth data through the detected communication pat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통신 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d detects the communication path so as to minimize a communication cos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4 데이터를 상기 제2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소요 시간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통신 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d detects the communication path so as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the received fourth data to the secon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제5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section,
Wherein,
Wherein the display unit selects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 user input applied to the input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outputs an image related to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ifth data to the selected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통신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와 제3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3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라우팅 테이블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before receiving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performs a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quest message for the routing table information to an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서버와 제1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본체가 배치된 위치와 관련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Perform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Receiving routing tab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located from the server;
Perform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using the received routing table information; And
And receiving first data selected by a user from the at least on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영상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first data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receiving the first data from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제2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분을, 각각 서로 다른 외부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first data comprises:
Dividing the first data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from different external video display devices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150032666A 2015-03-09 2015-03-09 Image display device KR102292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66A KR102292979B1 (en) 2015-03-09 2015-03-09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66A KR102292979B1 (en) 2015-03-09 2015-03-09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38A true KR20160109038A (en) 2016-09-21
KR102292979B1 KR102292979B1 (en) 2021-08-24

Family

ID=5708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666A KR102292979B1 (en) 2015-03-09 2015-03-09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9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15A1 (en) * 2022-08-12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tv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582A (en) * 2003-07-09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torage of contents and network device for storage of contents
JP2011203825A (en) * 2010-03-24 2011-10-13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anagement server
KR20120080378A (en) *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athering content
JP2014030177A (en) * 2012-07-03 2014-02-13 Canon Inc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582A (en) * 2003-07-09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torage of contents and network device for storage of contents
JP2011203825A (en) * 2010-03-24 2011-10-13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anagement server
KR20120080378A (en) *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athering content
JP2014030177A (en) * 2012-07-03 2014-02-13 Canon Inc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15A1 (en) * 2022-08-12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979B1 (en)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06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s using the same
KR10209764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09168A (en) Imag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50016805A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954090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0517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display and method thereof
KR102178635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58210B1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26076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55981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2979B1 (en) Image display device
US1014899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61697B1 (en) Apparatus of broadcasting program recording reserv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213535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mae
KR101938666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70025562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KR10240838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Digital Signage Using The Same
KR102246092B1 (en) Image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KR10190620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40098659A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display and method thereof
KR20150024198A (en) Imag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013610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60024273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24843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9840A (en) Display device having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