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677A - FOB ke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OB ke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677A
KR20160108677A KR1020150030643A KR20150030643A KR20160108677A KR 20160108677 A KR20160108677 A KR 20160108677A KR 1020150030643 A KR1020150030643 A KR 1020150030643A KR 20150030643 A KR20150030643 A KR 20150030643A KR 20160108677 A KR20160108677 A KR 20160108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pper case
shaped
sealing pla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7859B1 (en
Inventor
이우종
양상희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59B1/en
Publication of KR2016010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b key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fob key for a vehicle, wherein a button unit sealing plate to seal a gap between a button unit of the fob key and an upper case is coupled by ultrasonic fusion. Thus, the button unit is securely fixated to the inside of a button unit mounting groove of the upper case and is completely sealed to secure waterproofing properties.

Description

차량용 포브 키{FOB key for vehicle}FOB key for vehicl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량용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브 키의 버튼부 및 상부 케이스 사이의 밀봉을 위한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 자체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버튼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 내에 견고히 고정됨과 동시에 완전 밀봉되어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포브 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avil 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 pavilion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 pavilion for a vehicle, Which is firmly fixed in a groove and can be completely sealed to secure waterproofness.

최근, 자동차 전자키의 보편화에 따라 운전자가 포브 키(FOB key)와 같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며, 나아가 상기 포브 키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에 키 홈에 상기 포브 키의 삽입과정 없이 시동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버튼시동기술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버튼 시동기술은 향후 개발 차종의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매우 각광받는 분야로 알려져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with the generalization of automobile electronic keys, a driver opens and closes a door from the outside without pressing a separate key insertion or operation button such as a FOB key, A button start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start the vehicle only by pressing the start button without inserting the Paw key into the key groove. Such a button start technique will be an important trend in future development vehicles As a result, it is known as a very popular field.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포브 키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록킹(locking) 또는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하측의 다수의 버튼 돌기가 형성되는 버튼부의 상측이 상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노출된 버튼부의 상측을 눌려줌으로써 해당 버튼 돌기가 하측으로 동작되어 진다.The conventional pod key of the vehicle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side of the button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button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ase to release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The button protrusion is operated downward by depressing the upper side of the exposed button portion.

또한 상기 차량의 포브 키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다수의 버튼 돌기의 하방향 동작과 연동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하부에서 커버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button protrusions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for interlocking with a downward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button protrusions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And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버튼부 장착홈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가고정된 상태여서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어 이를 교체할 때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버튼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망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 장착홈 사이에 완전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w key for a vehicle, when the user releases the battery and discharges the battery, the button portion is not completely fixed to the button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case, The button portion may be detached from the button portion attachment groove of the upper case and the seal portion may not be completely seal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and the button portion attachment groove,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1350951 호(2014년01월07일 등록)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50951 (registered on January 07,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 자체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버튼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 내에 견고히 고정되어 버튼부가 상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완전 밀봉에 의해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포브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ttaching a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ole key that can prevent a vehicle from being detached from an upper case and secure waterproofness by complete seal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포보 키는, 버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버튼 돌기가 관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지도록 제 1 버튼홀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결합되면서, 상기 버튼부를 상기 상부 케이스 측으로 밀착시켜 밀봉되도록 하는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돌기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fork key comprising: a button portion having a button projection formed therein; An upper case having a first button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protrusion of the button unit is pushed downward; A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and the upper case and coupled to the upper case by ultrasonic welding to seal the button portion to the upper case side to seal the button portion; A lower cas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and coupled with the upper cas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button projection.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의 하측 및 측부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버튼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 장착홈의 바닥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버튼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 case includes a button mounting groove for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button to be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button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또한 상기 버튼부는 그 둘레를 따라서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단은 내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의 가장자리에는 "L" 자 또는 역 "L" 자 형태의 테두리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및 상부 케이스의 결합시에, 상기 버튼부의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는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의 "L" 자 또는 역 "L" 자 형태의 테두리 안착부에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portion is formed with an edge portion of an "L" character or a reverse "L" character shape along the periphery thereof. The lower edge of the edge portion includes an inner portion which is inserted inward. An edge portion of an L-shaped or inverted L-shaped frame is formed at an edge of the upper case, and when the button portion and the upper case are engaged, an L-shaped or inverted L-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 is fixedly attached to the "L" -shaped or "L" -shaped frame mounting part of the button part mounting groove of the upper case.

또한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및 상부 케이스의 결합시에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부가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워짐이 바람직하다.Further, a fitting groove is formed on a lower edge of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and an inner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shaped or inverted L-shaped rim when the button part and the upper case are engag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또한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는 러버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im portion of the "L" character or the reverse (L) character is made of rubber.

또한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는 상기 버튼부의 버튼 돌기가 관통되는 제 2 버튼홀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includes a second button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protrusion of the button portion passes.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방수 러버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And a waterproof rub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에 의하면, 포브 키의 버튼부 및 상부 케이스 사이의 밀봉을 위한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 자체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 내에 견고히 고정되어 버튼부가 상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완전 밀봉에 의해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pawl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itself for sealing between the button portion of the pawl key and the upper case is joined by ultrasonic wel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case at the same time, and to secure the waterproof property by the complete sea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pavu key according to a tempor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paw key according to a temporal example of the invention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pavilion key according to a tempor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pavilion key according to a temporal example of the invention of FIG. 1,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100)는, 하측에 버튼 작동을 위한 버튼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10); 상기 버튼부(10)의 버튼 돌기(11)가 관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지도록 제 1 버튼홀(22)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20); 상기 버튼부(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되며,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20) 상에 결합되면서, 상기 버튼부(10)를 상기 상부 케이스(20) 측으로 밀착시켜 밀봉되도록 하는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30);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40);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상기 하부 케이스(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돌기(11)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는 인쇄회로기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d key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portion 10 having a button projection 11 for a button operation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 upper case 20 having a first buttonhole 22 formed therein so that the button protrusion 11 of the button unit 10 is pushed downward; The button unit 10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unit 10 and the upper case 20 and is pressed onto the upper case 20 by ultrasonic welding so that the button unit 1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case 20, (30); A lower case 40 disposed under the upper case 20 and coupled with the upper case 2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50)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20) and the lower case (40)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button projection (11).

상기 버튼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의 판상으로서 상측으로 버튼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해 기호 또는 문자가 표면에 새겨져 있고, 하측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돌기(11; 도시된 예에서는 3개)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utton unit 10 is a substantially elliptical plate-shaped plate having a symbol or letter engraved on the surface thereof for displaying the function of the button on the upper side, And one button projection 11 (three in the illustrated examp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의 상부를 누르게 되면 하방으로 이동하여 각 버튼 돌기(11)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20) 및 상기 하부 케이스(40) 사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50)의 단자부를 접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10, the button protrusion 11 moves downward so that the lower end of each button protrusion 11 protrudes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see FIG. 1)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20 and the lower case 40 To the terminal portion.

상기 다수의 버튼부(10)의 구체적인 기능 중 하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록킹(locking) 또는 록킹의 해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다수의 버튼 돌기(11)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록킹 해제도 포함될 수 있다.One of the specific functions of 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10 i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 protrusions 11 may include unlocking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0)의 둘레를 따라서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12)의 하단은 내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12-1)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an edge portion 12 of an L character or an inverted L character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utton portion 10, The lower end of the (inverted) " L "-shaped rim portion 12 has an inner portion 12-1 which is inserted inward.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1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밀봉력을 향상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im 12 or the inverted L-shaped rim 12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o improve the sealing ability, but the material of the rim 12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 케이스(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의 판상으로서 버튼부(10)의 상면을 제외한 하측 및 측부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대략 타원형상의 버튼부 장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 장착홈(21)의 바닥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1 버튼홀(22)이 형성되어 버튼부(10)의 해당 버튼 돌기(11)가 관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pper case 20 is a substantially elliptical plate-like plate, and has a substantially elliptical button mounting groove (not shown) so that the lower side and the side except for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0 can be inserted therein. At least one first buttonhole 2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21 so that the corresponding button projection 11 of the button portion 10 So that it can be pushed downwar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버튼부 장착홈(21)의 가장자리에는 "L" 자 또는 역 "L" 자 형태의 테두리 안착부(23)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10) 및 상부 케이스(20)의 결합시에, 상기 버튼부(10)의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12)는 상부 케이스(20)의 버튼부 장착홈(21)의 "L" 자 또는 역 "L" 자 형태의 테두리 안착부(23)에 밀착 고정되어 진다.
3, an edge seating portion 23 of an L-shaped or L-shaped letter shap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21 of the case 20, Quot; L "or" L "-shaped rim portion 12 of the button portion 10 at the time of engagement of the upper case 20 and the upper case 20, And is tightly fixed to the frame seating portion 23 of the "L" character or the reverse "L" character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21.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부(10)가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버튼부 장착홈(21)내에 안정적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버튼부(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조립시에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30) 자체가 초음파 융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버튼부(10)가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버튼부 장착홈(21) 내에 완전 밀봉되어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1 and 2,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part 10 and the upper case 20 so that the button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20 And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30 itself is ultrasonically fused and bonded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button part 10 and the upper case 20, (10) is completely sealed in the button part mounting groove (21) of the upper case (20), thereby securing waterproofness.

여기서 상기 초음파 융착이란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항 융착이나 용융 융착을 적용할 수 없는 재료의 접합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모재(버튼부 밀봉 플레이트(30))를 음극간에 놓고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발심하고 그 진동을 이용하여 행하는 융착 방식을 일컫는다. 상기 접합이 이루지는 접합부는 일종의 확산 접합법(탄성 변형 영역 내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고 그 접합면에 발생하는 원자의 확산을 이용하여 고상 상태로 접합하는 방법)에 의해 접합되어 밀봉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융착기는 단상 전원을 사용하고 동력 공급을 통해서 60㎑의 주파수를 15000, 20000, 40000㎑의 주파수로 증폭시켜 이때, 발생된 전기적 에너지를 진동자(converter)를 이용하여 진동 에너지로 바꿔 주파수의 주기(cycle)변화에 따라 진동을 가하면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 에너지는 승압기(booster)를 통해서 증폭되고 융착기의 혼(horn)을 통해서 10 ∼ 20㎛의 종진동으로 융착 모재에 전달되어 융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ultrasonic welding is useful for joining materials which can not be subjected to resistance welding or melt welding using ultrasonic waves. The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by placing the base material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30) Refers to a fusing method using vibration. The joining portion to be joined is sealed and joined by a diffusion bonding method (a method of applying heat and pressure in an elastic deformation region and bonding in a solid state using diffusion of atoms generated on the joining surface). The ultrasonic welder currently in use is a single phase power source and amplifies the frequency of 60 kHz to 15000, 20000 and 40000 kHz through the power supply, converts the generated electric energy into vibration energy by using a converter, And generates mechanical energy while vibrating in accordance with a cycle change of the vibration. The vibration energy is amplified through a booster and transferred to the fusing base material through a horn of a fusing machine in a longitudinal vibration of 10 to 20 탆 to be fusion-bond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30)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끼움홈(31)이 형성되어, 버튼부(10) 및 상부 케이스(20)의 결합시에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12)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부(12-1)가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의 끼움홈(31)에 끼워짐과 동시에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지므로, 버튼부(10)는 완전 밀봉되어 방수가 완성되어 진다.3, a fitting groove 31 is formed at a lower edge of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30 so that the button part 10 and the upper case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r the inner portion 12-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verse L-shaped rim portion 12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31 of the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and the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The button portion 10 is completely sealed to complete the waterproofing.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30)는 상기 버튼부(10)의 버튼 돌기(11) 및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제 1 버튼홀(22)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버튼홀(32)이 형성되어 버튼부(10)의 해당 버튼 돌기(11)가 제 2 버튼홀(32) 및 제 1 버튼홀(22)을 순차 관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1 and 2,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30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protrusion 11 of the button part 10 and the first button hole 22 of the upper case 20, At least one second buttonhole 32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uttonhole 32 and the first buttonhole 22 is formed and the button protrusion 11 of the buttonhole 1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econd buttonhole 32 and the first buttonhole 22, So that it can be depressed.

상기 하부 케이스(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50)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결합되어진다.1 and 2, the lower case 4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20 to receive and prot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상기 하부 케이스(40)의 결합은 후크 돌기부 및 후크 홈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결합수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case 20 and the lower case 40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hook protrusion and a hook groove, but the coupling mean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상기 하부 케이스(40) 사이에 설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방수 러버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waterproof rubber for shielding the install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case 20 and the lower case 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상기 하부 케이스(40)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10)의 다수의 버튼 돌기(11)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2,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i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upper case 20 and the lower case 4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 projections 11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
10: 버튼부 11: 버튼 돌기
12: 테두리부 12-1: 내입부
20: 상부 케이스 21: 버튼부 장착홈
22: 제 1 버튼홀 23: 테두리 안착부
30: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 31: 끼움홈
32: 제 2 버튼홀 40: 하부 케이스
50: 인쇄회로기판
100: vehicle fork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Button section 11: Button projection
12: rim portion 12-1: inner portion
20: upper case 21: button mounting groove
22: first buttonhole 23: rim seating part
30: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31: fitting groove
32: second buttonhole 40: lower case
50: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7)

버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버튼 돌기가 관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지도록 제 1 버튼홀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결합되면서, 상기 버튼부를 상기 상부 케이스 측으로 밀착시켜 밀봉되도록 하는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돌기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보 키.
A button portion having a button projection formed therein;
An upper case having a first button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protrusion of the button unit is pushed downward;
A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button portion and the upper case and coupled to the upper case by ultrasonic welding to seal the button portion to the upper case side to be sealed;
A lower cas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and coupled with the upper case; An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button pro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의 하측 및 측부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버튼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 장착홈의 바닥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버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보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ase has a button mounting groove for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button to be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button hole is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Car fork ke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그 둘레를 따라서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단은 내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의 가장자리에는 "L" 자 또는 역 "L" 자 형태의 테두리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및 상부 케이스의 결합시에, 상기 버튼부의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는 상부 케이스의 버튼부 장착홈의 "L" 자 또는 역 "L" 자 형태의 테두리 안착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보 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with an edge portion of an "L" letter shape or a reverse letter "L" shape along its periphery, and a lower edge of the edge portion is an inward portion which is inserted inward,
An edge seating portion of an "L" character or a reverse "L" character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utton portion attachment groove of the upper case,
L "-shaped or inverted" L "-shaped frame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in the" L "-shaped or inverted" L "-shaped shape of the button portion attachment groove of the upper case when the button portion and the upper case are engaged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rim seating portion of the vehic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 및 상부 케이스의 결합시에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부가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보 키.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end of the button part sealing plate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and an inner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shaped or inverted L-shaped rim when the button part and the upper case are engaged, And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sub-sealing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테두리부는 러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보 키.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said "L" or inverted "L" shaped rim is made of rub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밀봉 플레이트는 상기 버튼부의 버튼 돌기가 관통되는 제 2 버튼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보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on portion sealing plate is provided with a second button 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projection of the button portion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방수 러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포보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terproof rub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KR1020150030643A 2015-03-04 2015-03-04 FOB key for vehicle KR101737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43A KR101737859B1 (en) 2015-03-04 2015-03-04 FOB ke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43A KR101737859B1 (en) 2015-03-04 2015-03-04 FOB key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77A true KR20160108677A (en) 2016-09-20
KR101737859B1 KR101737859B1 (en) 2017-05-30

Family

ID=5710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643A KR101737859B1 (en) 2015-03-04 2015-03-04 FOB ke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85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51B1 (en) 2012-12-07 2014-01-28 주식회사 대동 A fob key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96B1 (en) * 2003-03-17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 waterproof sutructure of radio door rock device in ca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51B1 (en) 2012-12-07 2014-01-28 주식회사 대동 A fob key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859B1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9211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CN106997815B (en) Button switch
US8008591B2 (en) Key button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US20070227866A1 (en) Key fob device and method
EP3132915B1 (en) Gas permeation mem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7833775B (en) Waterproof assembly,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of waterproof assembly
JP2012122936A (en) Ultrasonic sensor
JP2008196194A (en) Portable machine of electronic key system
JP200652355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metal composite component
US20120039052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5570568B2 (en) Waterproof electronic equipment housing for vehicles
WO2017206295A1 (en) Waterproof key structure
US20120160647A1 (en)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222068A (en) Engine start switch
KR101737859B1 (en) FOB key for vehicle
JP2006232017A (en) Vehicular back door garnish
WO2016111094A1 (en)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for vehicle
JP4636380B2 (en) Vehicle door structure
JP2001126577A (en) Control panel having sheet molding press button and mehtod of manufacturing it
KR101222742B1 (en) Fob key of vehicles
JP2010077618A (en) Electronic key
JPS63166508A (en) Assembly of electronic trim part for vehicle
KR102341160B1 (en)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JP4603661B2 (en) Vehicle interior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608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cover film of 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