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939A - 단일면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단일면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939A
KR20160107939A KR1020150031564A KR20150031564A KR20160107939A KR 20160107939 A KR20160107939 A KR 20160107939A KR 1020150031564 A KR1020150031564 A KR 1020150031564A KR 20150031564 A KR20150031564 A KR 20150031564A KR 20160107939 A KR20160107939 A KR 20160107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ingle face
coupled
folded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원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씨 filed Critical (주)제이엠씨
Priority to KR102015003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939A/ko
Publication of KR2016010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단일면(340)을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제1 개체(310) 및 제2 개체(320)와, 제1 개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단일면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블록(350)과, 제2 개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블록(360)을 포함하며, 제2 블록은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2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개체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폴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일면 폴딩장치{One side folding apparatus}
이 발명은 단일면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폴딩하는 단일면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100)은 몸체 역할을 하며 숫자버튼과 통화 및 파워버튼 등이 다수 형성된 조작부와 충전지가 결합되는 하측폴더(120)와, 커버역할을 하며 액정화면이 설치되는 상측폴더(110)로 구성된다. 한편, 하측폴더(120)에는 발신부인 마크가 마련되고, 상측폴더(110)에는 수신부인 스피커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측폴더(120)와 상측폴더(110)의 사이에는 힌지부재(1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측폴더(110)는 힌지부재(130)를 축으로 하측폴더(120)에 대해 개폐가 가능하다. 즉,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측폴더(110)를 하측폴더(120)에 대해 개방하고,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측폴더(110)를 하측폴더(120)에 대해 폐쇄하면 된다. 따라서, 휴대시에는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지만, 사용시에 액정화면이 작아 사용이 불편하다.
한편, 최근에는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서, 휴대전화(휴대폰)기능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두께가 얇고 내부에 각종 전자시스템(장치)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전면 중앙부에는 각종 정보를 영상으로 재생시켜 주는 디스플레이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210)의 상측과 하측에는 수화부(220)와 송화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스마트폰(200)은 대면적의 디스플레이부(210)를 이용해 문자를 전송하거나 각종 정보 검색 등이 가능하다. 이렇듯, 스마트폰(200)은 디스플레이부(210)가 스마트폰(200)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짐에 따라 사용은 편리하지만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9381호 한국 특허등록 제0826611호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폴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는,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단일면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제1 개체 및 제2 개체를 포함하는 폴딩장치로서, 상기 제1 개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개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2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개체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개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2 블록이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의 양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2 개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2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1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개체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개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블록이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록의 양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1 개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제1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단일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폴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예시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투영 측면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투영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투영 측면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투영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일면 폴딩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쓰거나 볼 수 있는 두께를 갖는 단일면(340) 또는 단일면(340)과 조합된 모듈을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기구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일면(340)은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의 역할을 한다.
즉,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2개의 개체(310, 320)를 구비한다. 이때, 2개의 개체(310, 320)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회전축(330)에 의해 접었다 폈다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러한 2개의 개체(310, 320)는 케이스로서,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한편, 2개의 개체(310, 320)는 내측 부분이 서로 간에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2개의 개체(310, 320) 중에서, 제1 개체(310)에는 제1 블록(350)이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블록(350)은 인서트 사출이나 접착, 조립 등의 방식으로 단일면(340)의 하부 일부분을 일체화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블록(350)을 제1 개체(310)에 고정하지 않고, 제1 개체(310) 내의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1 개체(310)에 결합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록(350)은 단일면(340)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축(330)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1 개체(310)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1 개체(310) 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체(310)의 양측에는 제1 블록(35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도시안됨)을 각각 형성하고, 제1 블록(350)의 양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도시안됨)을 형성하면 된다.
한편, 제2 개체(320)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블록(360)이 삽입 결합된다. 즉, 제2 블록(360)은 단일면(340)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축(330)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제2 개체(320)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2 개체(320) 내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제2 개체(320)의 양측에는 제2 블록(36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321)이 각각 형성되고, 제2 블록(360)의 양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홈(321)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36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블록(360)은 인서트 사출이나 접착, 조립 등의 방식으로 단일면(340)의 하부 다른 일부분을 일체화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블록(3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321) 중에서 어느 한 곳에는 제2 블록(360)이 회전축(330) 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 개체(320)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이드핀(361)이 걸쳐지는 걸림홈(322)이 가이드홈(321)에서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는 제1 블록(350)을 제1 개체(31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구성할 경우, 제1 블록(350)이 제1 개체(310)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도시안됨)를 제1 블록(350)과 제1 개체(310)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블록(360)이 제2 개체(320)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도시안됨)를 제2 블록(360)과 제2 개체(32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제2 탄성부재를 설치할 경우에는,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펼칠 경우 단일면(340)을 팽팽하게 펼칠 수가 있고,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접을 경우 단일면(34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단일면(340)을 편리하게 접을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펼칠 경우에는 제2 블록(360)의 가이드핀(361)이 제2 개체(320)의 가이드홈(321)을 따라 회전축(330)이 위치하는 중앙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해 단일면(340)을 팽팽하게 펼칠 수 있어서, 단일면(340)을 대면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단일면(340)을 디스플레이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면 폴딩장치(300)를 접을 경우에는 제2 블록(360)의 가이드핀(361)이 제2 개체(320)의 가이드홈(321)을 따라 제2 개체(320)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해 단일면(340)을 회전축(330)이 위치하는 중앙부분에서 접일 수가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단일면(340)을 접은 상태로 작은 사이즈로 휴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단일면 폴딩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300 : 단일면 폴딩장치 310 : 제1 개체
320 : 제2 개체 321 : 가이드홈
322: 걸림홈 330 : 회전축
340 : 단일면 350 : 제1 블록
360 : 제2 블록 361 : 가이드핀

Claims (6)

  1.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단일면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할 수 있는 제1 개체 및 제2 개체와,
    상기 제1 개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개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단일면의 하부 다른 일부분과 일체화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2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개체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2 블록이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의 양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제2 개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2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단일면이 접혔을 때와 펴졌을 때의 길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는 중앙쪽이나 상기 제1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개체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블록이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록의 양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1 개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제1 개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면 폴딩장치.
KR1020150031564A 2015-03-06 2015-03-06 단일면 폴딩장치 KR20160107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64A KR20160107939A (ko) 2015-03-06 2015-03-06 단일면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64A KR20160107939A (ko) 2015-03-06 2015-03-06 단일면 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939A true KR20160107939A (ko) 2016-09-19

Family

ID=5710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564A KR20160107939A (ko) 2015-03-06 2015-03-06 단일면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9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1B1 (ko) 2007-07-20 2008-05-02 백태선 핸드폰 폴더
KR20140049381A (ko) 2012-10-17 2014-04-25 현 우 통화전용 보조스마트폰이 구비된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11B1 (ko) 2007-07-20 2008-05-02 백태선 핸드폰 폴더
KR20140049381A (ko) 2012-10-17 2014-04-25 현 우 통화전용 보조스마트폰이 구비된 스마트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7168B (zh) 具有柔性铰链结构的移动计算设备
CN105900037B (zh) 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
KR101290267B1 (ko) 표시영역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13042A (zh) 具有用于柔性显示器的活动支撑板的铰链式电子设备和对应系统
US20140347806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678200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US8634196B2 (en) Lock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09052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375901A1 (en) Computing device and case having adjustable shade
KR20160108182A (ko) 단일면 폴딩장치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2015009967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US20090170574A1 (en)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guous surfaces when open
KR101678498B1 (ko)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EP2296353A1 (en)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foldable, slidable and rotatable parts
KR20170000309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2887179A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CN106068485B (zh) 可分离电子装置
JP4210288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20040025624A (ko)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KR102442942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60107940A (ko) 단일면 폴딩장치
KR2017014259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100875856B1 (ko)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KR20130025073A (ko)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빔 프로젝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