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772A -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772A
KR20160107772A KR1020150031020A KR20150031020A KR20160107772A KR 20160107772 A KR20160107772 A KR 20160107772A KR 1020150031020 A KR1020150031020 A KR 1020150031020A KR 20150031020 A KR20150031020 A KR 20150031020A KR 20160107772 A KR20160107772 A KR 20160107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case
skin
therapeutic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861B1 (ko
Inventor
이범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티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티에이치 filed Critical (주)에이치티에이치
Priority to KR102015003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6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 표시부와 조작부가 각각 장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실장되며 충전전원이 저장된 충전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지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켜 일측에 배치된 전위인가단자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 및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전체적으로 목둘레 피부에 접촉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전위인가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상기 목둘레 피부에 공급하는 목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PORTABLE POTENTIAL THERAPEUT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이나 손목 등 신경이 위치한 신체부위에 착용되어 전위차를 형성시킴으로써 혈액의 산성농도를 약알카리화 상태로 유지시키고 중추신경 등의 신경섬유에 활동전위를 발생시켜 신진대사 및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치료효과를 구현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위 치료장치는 절연된 신체에 전압을 가하여 혈액의 산성농도(PH)를 약알카리화 상태로 유지시키고 신경섬유에 활동전위를 발생시켜 신진대사 및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치료기구이다.
이러한 전위 치료장치의 효과로는 첫째, 가해진 전압에 의해 혈액 중 전해질(Na,K,Ca)의 이온화가 촉진되면서 혈액의 산성농도를 정상수준인 약알카리화 상태로 유지시키며 이에 따라 깨끗한 혈액을 생성시킨다. 둘째, 신체 외부적으로는 신경섬유에 활동전위를 발생시켜 이때 발생한 활동전위가 뇌에 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된 정보에 의해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자율신경, 호르몬분비, 면역계 등의 활성화를 돕는다. 셋째, 신체 내부적으로는 외부에서 유입된 유도전류가 체액, 세포 및 세포막에 영향을 주어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또한, 전위 치료장치는 여러 연구논문을 통해 상술한 다양한 효과들에 대해 입증되면서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위 치료장치는 매트나 의자에 전위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나 신체에 접촉되는 전극이 고정장착된 구조로 구비되었기 때문에, 사용자(피치료자)가 매트에 눕거나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치료를 받을 수 밖에 없어 치료 중에는 다른 행동들을 취하기가 어려웠으며, 매트나 의자가 치료장소에 비치되면서 장소가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신체에 접촉되어 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위를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전극의 경우 매트나 의자의 등받이 등의 평면상에 고정장착되었기 때문에 목이나 등에 위치한 중추신경의 일측면만을 자극하게 되어 전위로 인한 치료효과가 미진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286호(2010.11.15), 와상식 전위치료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걸이나 시계 및 팔찌 등 사용자의 목둘레나 손목둘레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장신구 구조로 구비되어, 치료 중에도 행동이나 이동에 제약이 없으며, 목줄부 및 손목줄부가 목둘레 및 손목둘레 전체에 치료용 전위를 인가하면서 중추신경이나 정중신경의 둘레 전체를 고르게 자극할 수 있어 전위로 인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 표시부(113)와 조작부(114)가 각각 장착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충전전원이 저장된 충전지(12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켜 일측에 배치된 전위인가단자(131)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130); 및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U)의 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전체적으로 목둘레 피부(S)에 접촉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상기 목둘레 피부(S)에 공급하는 목줄부(140);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를 착용한 사용자(U)의 피부(S)에 접촉되면 상기 목줄부(140)를 통해 신체에 인가된 치료용 전위가 입력되는 접촉단자(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상기 접촉단자(150)에 입력된 치료용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측정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위측정부(132)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113)에 전위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상기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키는 전위발생부(133) 및, 상기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저주파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위인가단자(131)로 상기 저주파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발생부(13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14)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전위발생부(13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전위모드와 상기 저주파발생부(13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저주파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 표시부(213)와 조작부(214)가 각각 장착된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충전전원이 저장된 충전지(120);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켜 일측에 배치된 전위인가단자(131)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130); 및 상기 케이스(210)의 양측단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U)의 손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손목둘레 피부(S)에 접촉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상기 손목둘레 피부(S)에 공급하는 손목줄부(240);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목걸이나 시계 및 팔찌 등 사용자의 목둘레나 손목둘레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장신구 구조로 구비되어 치료 중에도 행동이나 이동에 제약이 없으며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치료시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목둘레나 손목둘레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목줄부(140) 및 손목줄부(240)가 목둘레 및 손목둘레 전체에 치료용 전위를 인가하면서 중추신경이나 정중신경 등의 신경섬유의 둘레 전체를 고르게 자극할 수 있어, 종래의 신경섬유의 일측면만을 자극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치료용 전위로 인한 치료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키는 제어회로부(130)가 내장되는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상기 치료용 전위를 공급받는 접촉단자(150)가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제어회로부(130)에는 상기 접촉단자(150)에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측정부(132)가 회로구성되어 상기 전위측정부(132)의 측정값에 따라 표시부(113)에 전위 측정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U)는 표시되는 전위 측정데이터를 통해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에서 치료용 전위가 정상적으로 발생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시 충전지(120)를 충전 및 교체하거나 장치를 정비하는 등의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상기 제어회로부(130)에는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저주파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134)가 회로구성되고, 제어회로부(130)는 조작부(114)의 조작신호에 따라 피부(S)에 치료용 전위가 인가되는 전위모드와 저주파전기신호가 인가되는 저주파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구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증상이나 취사선택에 따라 전위치료 및 저주파치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의 전위 측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목줄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는 목걸이나 시계 및 팔찌 등 사용자의 목둘레나 손목둘레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장신구 구조로 구비되어, 치료 중에도 행동이나 이동에 제약이 없으며, 목줄부 및 손목줄부가 목둘레 및 손목둘레 전체에 치료용 전위를 인가하면서 중추신경이나 정중신경의 둘레 전체를 고르게 자극할 수 있어 전위로 인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위 치료기구로서, 이하에서는 신체에 착용되는 구조 및 위치를 기준으로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는 목걸이와 같은 휴대장신구 구조로 구비되어 사용자(U)의 목둘레에 착용되면서 목둘레 피부(S)에 치료용 전위를 인가하는 전위 치료기구로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충전지(120), 제어회로부(130) 및 목줄부(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목걸이의 팬던트와 같이 목줄부(140)에 지지되어 신체에 휴대되며 충전지(120) 및 제어회로부(130)를 외부로부터 커버하는 덮개부재로서, 외부에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의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113)와, 상기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 등의 조작부(114)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111)와 케이스(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112)가 전,후방으로 조립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이 수용공간에 제어회로부(130) 및 충전지(120) 등의 회로부품들이 실장된다.
또한, 상기 후방커버(111)와 전방커버(112)는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땀이나 우수 등의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밀봉되거나 각 커버 사이에 패킹 등의 수밀수단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의 전원상태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16)가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스위치(116)는 조작부(114)에 포함되어 조작기능의 일부로 동작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표시부(113)는 장치의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음향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저 또는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지(120)는, 치료용 전위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2차전지로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소정의 충전전원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커버(111) 상에서 충전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폐커버(미도시)가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실장된 충전지(12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상용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에 공급하기 위한 아답터(미도시)의 케이블이 삽입되면서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121)가 장착되어 케이스(110)에 충전지(1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충전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의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중앙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으로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켜 일측에 배치된 전위인가단자(13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치료용 전위는 전위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자(U)의 피부(S)에 인가되는 전압으로서, 400V 내지 7000V로 상당히 높은 전압이지만 절연에 의해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감전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130)에서 발생된 고전압의 치료용 전위가 사용자(U)의 피부(S)에 인가되면 신체 표면과 그 주위에 전계가 발생하는데, 전계는 피부(S)에 있는 감각기를 자극하여 혈액 중의 전해질(Na,K,Ca)의 이온화를 촉진시킨다. 여기서 음이온 부족으로 산성의 성질을 띠는 혈액은 상기 이온화를 통해 산성→중성→약알카리성으로 전이된다. 또한, 약알카리성으로 전이된 혈액은 자율신경 호르몬의 면역력을 증대시켜 세포의 활성화와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등을 촉진시키게 된다.
더블어, 상기 제어회로부(130)에 의해 형성된 전계는 피부의 감각수용기를 자극하여 신경섬유에 활동전위를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된 활동전위가 목(중추신경)을 통해 뇌에 직접 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된 정보에 의해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자극함으로써 자율신경, 호르몬분비 및 면역계 등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형성된 상기 전계는 목의 세포에 영향을 주어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신진대사 및 혈액순환을 직접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케이블 커넥터(121)를 통해 연결된 아답터(10)에서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충전지(1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회로구성된 충전회로(135)와, 충전지(120)에 저장된 충전전원을 일정 크기의 전압으로 승압(Step-up)하여 고전압 형태의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키는 전위발생부(133)와, 상기 전위발생부(133)에 의해 발생된 치료용 전위를 인가받으며 상기 목줄부(140)에 접촉되면서 인가된 치료용 전위를 목줄부(140)로 전달하는 전위인가단자(131) 및,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2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데이터가 프로그래밍되어 제어회로부(130)의 기능을 구현하는 마이컴(13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줄부(140)는, 목걸이의 목줄과 같이 사용자(U)의 목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 및 착용되어 제어회로부(130)에서 생성된 치료용 전위를 인가받아 상기 목둘레 피부 전체에 제공하는 전압인가 수단으로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U)의 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전체적으로 목둘레 피부(S)에 접촉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상기 목둘레 피부(S)에 공급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줄부(140)는 다수 개의 고리가 이어지면서 체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각 고리간의 고리홈 내에서 유격되어 피부(S)에 접촉된 상태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줄부(14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사용자(U)의 목 둘레에 접촉되면서 땀이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부식되지 않도록 금, 은, 서스, 알루미나 등의 재질로 도금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금처리로 인해 목줄부(14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목줄부(140)는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있어서 일측은 전위인가단자(131)에 접속되고 타측은 목줄부(140)의 일위치에 접속되는 연결부(160)를 통해 제어회로부(130)와 연결되면서 발생된 치료용 전위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60)에는 목줄부(140)가 관통삽입되는 관통홀(161)이 형성되어 목줄부(140) 상에서 위치를 이동하면서도 항상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줄부(14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납작한 띠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일측이 연결부(160)를 통해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띠(141)와, 상기 접촉띠(141)의 양측부와 상부면은 커버하되 하부면은 외부로 노출되면서 피부(S)와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커버부(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촉띠(141)가 땀이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거나 주변의 다른 전도성 물체와 접촉되면서 인가된 치료용 전위가 누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띠(141)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목둘레 형상에 따라 절곡되면서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는 사용자(U)에게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여 이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치료용 전위가 출력되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U)의 피부(S)에 접촉되면 상기 목줄부(140)를 통해 사용자(U)의 신체에 인가된 치료용 전위가 입력되는 접촉단자(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상기 접촉단자(150)에 사용자(U)의 피부(S)가 접촉될 때 접촉단자(150)를 통해 입력된 치료용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측정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위측정부(132)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113)에 전위 측정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전위 측정데이터는 여러 칸으로 구획된 표시블럭에 측정된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획된 칸의 색상이 변경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U)는 색상이 변경된 칸의 갯수를 통해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에서 정상적으로 설정된 크기의 치료용 전위가 출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위 측정데이터는 숫자나 문자의 형식으로 크기가 표시될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치료용 전위의 출력크기(예를 들면 강, 중, 약)를 고려하여 출력되는 전위 측정데이터가 구분되어 표시됨으로써 출력의 크기가 약한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데이터의 수치가 낮게 표시되어 오작동으로 인지되지 않도록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전위 측정데이터를 통해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에서 치료용 전위가 정상적으로 발생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데이터가 기준치보다 작게 표시되는 이상발생시 충전지(120)를 충전 및 교체하거나 정비 등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에는 접촉단자(150)가 피부(S)에 접촉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접촉상태 표시램프(115)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접촉단자(150)를 통해 치료용 전위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상태 표시램프(115)를 선택적으로 점등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는 접촉상태 표시램프(115)의 점등상태를 보면서 접촉단자(150)를 피부(S)에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미접촉 또는 부정확한 접촉상태에 의해 전위 측정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150)를 통한 치료용 전위를 측정하는 경우, 사용자(U)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200)를 착용하여 장치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목줄부(140)를 통해 사용자(U)의 목둘레 피부(S)에 인가된 치료용 전위가 신체를 타고 다른 피부(S) 부위에 접촉단자(150)가 접촉될 때에 해당 피부(S) 부위로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는 치료용 전위를 피부(S)에 인가하는 기능이외에 저주파를 인가하여 저주파치료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저주파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위인가단자(131)로 저주파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발생부(13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조작부(114)의 조작신호에 따라 전위발생부(13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전위모드와, 상기 저주파발생부(13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저주파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제어한다. 이러한 선택 모드에 따라 치료용 전위와 저주파전기신호를 선택적으로 피부(S)에 인가할 수 있어 사용자(U)의 증상이나 취사선택에 따라 전위치료 및 저주파치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2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200)는 시계 및 팔찌와 같은 휴대장신구 구조로 구비되어 사용자(U)의 손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손목둘레 피부(S)에 치료용 전위를 인가하는 전위 치료기구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표시부(213)와 조작부(214)가 각각 장착된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충전전원이 저장된 충전지(12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켜 일측에 배치된 전위인가단자(131)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130) 및 상기 케이스(210)의 양측단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U)의 손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손목둘레 피부에 접촉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상기 손목둘레 피부에 공급하는 손목줄부(2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와 비교하여 손목에 장착되는 구조 및 방식에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기능 및 효과는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케이스(210), 충전지(120) 및 제어회로부(1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줄부(24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납작한 띠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제어회로부(130)의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띠(241)와, 상기 접촉띠(241)의 양측부와 상부면은 커버하되 하부면은 외부로 노출되면서 피부(S)와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커버부(2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촉띠(241)가 땀이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거나 주변의 다른 전도성 물체와 접촉되면서 인가된 치료용 전위가 누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띠(241)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손목둘레 형상에 따라 절곡되면서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피부(S)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목줄부(240)는 다수 개의 고리가 이어지면서 체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각 고리간의 고리홈 내에서 유격되어 피부(S)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줄부(240)는 사용자(U)의 손목부분에 착용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일측이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경우 손목줄부(240)의 분리된 양측단(243,244)에는 착용한 상태에서 고리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45,246)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리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단(243,244)은 상호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2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목걸이나 시계 및 팔찌 등 사용자의 목둘레나 손목둘레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장신구 구조로 구비되어 치료 중에도 행동이나 이동에 제약이 없으며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100,200)를 이용할 수 있어 치료시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목둘레나 손목둘레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목줄부(140) 및 손목줄부(140)가 목둘레 및 손목둘레 전체에 치료용 전위를 인가하면서 중추신경이나 정중신경 등의 신경섬유의 둘레 전체를 고르게 자극할 수 있어, 종래의 신경섬유의 일측면만을 자극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치료용 전위로 인한 치료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200...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110,210...케이스
120...충전지 130...제어회로부
131....전위인가단자 132....전위측정부
133...전위발생부 134...저주파발생부
140...목줄부 150....접촉단자
240...손목줄부

Claims (4)

  1. 외부에 표시부(113)와 조작부(114)가 각각 장착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충전전원이 저장된 충전지(12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켜 일측에 배치된 전위인가단자(131)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130); 및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U)의 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전체적으로 목둘레 피부(S)에 접촉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상기 목둘레 피부(S)에 공급하는 목줄부(140);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를 착용한 사용자(U)의 피부(S)에 접촉되면 상기 목줄부(140)를 통해 신체에 인가된 치료용 전위가 입력되는 접촉단자(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상기 접촉단자(150)에 입력된 치료용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측정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위측정부(132)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113)에 전위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130)는,
    상기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키는 전위발생부(133) 및,
    상기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저주파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위인가단자(131)로 상기 저주파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발생부(13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14)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전위발생부(13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전위모드와 상기 저주파발생부(13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저주파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4. 외부에 표시부(213)와 조작부(214)가 각각 장착된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충전전원이 저장된 충전지(120);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지(120)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치료용 전위를 발생시켜 일측에 배치된 전위인가단자(131)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130); 및
    상기 케이스(210)의 양측단에 고리 형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U)의 손목둘레에 착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손목둘레 피부(S)에 접촉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전위인가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가되는 치료용 전위를 상기 손목둘레 피부(S)에 공급하는 손목줄부(240);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KR1020150031020A 2015-03-05 2015-03-05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KR10166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020A KR101669861B1 (ko) 2015-03-05 2015-03-05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020A KR101669861B1 (ko) 2015-03-05 2015-03-05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772A true KR20160107772A (ko) 2016-09-19
KR101669861B1 KR101669861B1 (ko) 2016-10-27

Family

ID=5710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020A KR101669861B1 (ko) 2015-03-05 2015-03-05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175A (ko) * 2016-12-30 2018-07-10 (주)에스제이글로벌 착용된 마스크팩의 이온 흡수를 촉진시키는 시계형 이온 도입기
KR20200000483U (ko) * 2020-02-17 2020-03-03 (주)리솔 전위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967B1 (ko) * 2017-03-30 2019-02-08 (주) 내츄럴웰테크 톱니파 파형을 이용하는 파동제공 장신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191A (ja) * 1999-12-21 2001-06-26 Japan Nakku:Kk 携帯型電位治療装置
KR20030015831A (ko) * 2001-08-15 2003-02-25 가부시키가이샤 마루다카 전기치료기의 전위검출장치
KR20100120286A (ko) 2008-02-08 2010-11-15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와상식 전위치료장치
KR101308364B1 (ko) * 2011-12-23 2013-09-16 박천정 인체 미세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191A (ja) * 1999-12-21 2001-06-26 Japan Nakku:Kk 携帯型電位治療装置
KR20030015831A (ko) * 2001-08-15 2003-02-25 가부시키가이샤 마루다카 전기치료기의 전위검출장치
KR20100120286A (ko) 2008-02-08 2010-11-15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와상식 전위치료장치
KR101308364B1 (ko) * 2011-12-23 2013-09-16 박천정 인체 미세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175A (ko) * 2016-12-30 2018-07-10 (주)에스제이글로벌 착용된 마스크팩의 이온 흡수를 촉진시키는 시계형 이온 도입기
KR20200000483U (ko) * 2020-02-17 2020-03-03 (주)리솔 전위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861B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8910B2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6606105B2 (ja) 振戦を治療するための抹消神経刺激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I659761B (zh) 肌肉電刺激裝置
EP3148632B1 (en) Wearable transdermal neurostimulators
US20170209693A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JP2017524396A5 (ko)
RU2017125782A (ru) Носимый кардиовертер-дефибриллятор (нкд) и способ для повышения удобства и более продолжительного ношения
KR101669861B1 (ko) 휴대용 전위 치료장치
KR20120032489A (ko) 경피식 전기 신경자극 장치를 고정하는 밴드용 조립체
KR102166290B1 (ko) 스마트 웨어러블 미세전류 치료기
KR102483256B1 (ko) 생체 신호 계측 장치
CN108434595B (zh) 一种头带式脑部电刺激仪及其电刺激方法
KR102321933B1 (ko) 저주파 마사지 장갑
US20210205169A1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for controlling nausea
JP2013248344A (ja) 電気刺激装置
KR20160147391A (ko) 미용 및 전신안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미세전류 저주파 자극기
KR102134959B1 (ko) 호흡리듬을 적용한 복부근육 전기자극 장치 및 전기자극 방법
CN105797271A (zh) 一种便携式胫前肌电刺激器
WO2019012891A1 (ja) 電気治療器、電子機器および端末装置
KR101633439B1 (ko) 미세 전류에 의한 전립선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CN209952058U (zh) 电刺激装置
JP2017221417A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CN113116298A (zh) 利用智能服装的减肥及健康管理装置及其体脂肪管理方法
KR101793025B1 (ko)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피부 개선 미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