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042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042A
KR20160107042A KR1020150029977A KR20150029977A KR20160107042A KR 20160107042 A KR20160107042 A KR 20160107042A KR 1020150029977 A KR1020150029977 A KR 1020150029977A KR 20150029977 A KR20150029977 A KR 20150029977A KR 20160107042 A KR20160107042 A KR 20160107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inner tank
tan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042A/ko
Publication of KR2016010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조에 유로를 설치하지 않고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와, 상기 외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외조 및 내조 사이를 통해 상승한 수류가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안내하는 외조 커버와, 상기 외조 커버가 상기 내조 내로 안내하는 수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에서 아래로 세탁물을 투입하는 탑로드 방식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인 내조가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방식과,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탑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방식은 내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내조의 내벽면과 마찰되거나 낙하되는 과정에서 세탁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탑로드 방식은 내조의 바닥면에 구비된 펄세이터가 회전하면서 수류를 발생시키고 이 수류와 세탁물이 마찰되거나 상기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탑로드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 중에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보푸라기와 같은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이물질 채집 장치가 상기 내조의 상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는 통상 내조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프레임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집망이 부착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은 내조에 착탈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사각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집망은 세탁수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율을 갖는 메쉬형상의 섬유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물질 채집 장치가 마련된 세탁기는, 내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펄세이터가 회전하여 수류가 발생되고, 이 수류에 의해 세탁수는 상기 내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이 상승된 세탁수는 이물질 채집 장치를 거쳐 상기 내조의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 채집장치를 거치는 세탁수에는 보푸라기와 같이 세탁물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 섞이게 되나, 이 이물질은 세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 채집 장치의 포집망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러지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는, 상기 포집망이 내조의 안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그 포집망이 세탁물과 반복 접촉되면서 세탁물이나 포집망이 훼손되거나 상기 프레임이 탈거될 우려가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내조 내의 물의 유동이 달라져 세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내조에 유로를 설치하지 않고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필터가 내조 내의 세탁수에 잠기지 않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와, 상기 외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외조 및 내조 사이를 통해 상승한 수류가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안내하는 외조 커버와, 상기 외조 커버가 상기 내조 내로 안내하는 수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내조의 회전력에 의해 외조 및 내조 사이로 상승된 수류가 외조 커버에 의해 다시 상기 내조 내로 안내될 때, 상기 외조 커버에 의해 상기 내조 내로 다시 안내되는 수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필터가 채집하게 되므로, 상기 내조에 유로를 설치하지 않고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으며, 상기 내조의 용적이 축소되지 않고 구조가 단순해지면서 외관상 약해 보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외조 및 내조 사이로 상승된 수류를 상기 외조 커버가 상기 내조 내로 순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 상기 내조 내의 세탁수에 잠기지 않기 때문에, 위생상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조 내의 세탁수의 유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케이스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필터 및 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케이스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된 탑커버(20)와, 탑커버(20)의 상측 중 전방에 배치된 리드 어셈블리(30)와, 탑커버(20)의 상측 중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세탁기(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4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가 빈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다.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단에는 탑커버(20)가 결합되고, 케이스(10)의 개방된 하단에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5)가 결합된다. 케이스(10)의 개방된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5)에 의해 차폐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5)의 네 모서리 부근에는 레그(17)가 설치된다. 레그(17)는 베이스 플레이트(15)를 지면으로 상측으로 이격시켜서 베이스 플레이트(15)의 부식을 방지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기는 원통형인 외조(50)와, 세탁물이 담기는 원통형인 내조(60)가 설치된다. 외조(50) 및 내조(60)는 상단이 개구된다. 내조(60)는 외조(5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외조(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내조(60)에는 복수개의 수공(62)이 형성된다. 내조(60) 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우 내조(60) 내로 공급된 세탁수는 수공(62)을 통해 출입하면서 외조(50)에 세탁수가 담길 수 있도록 한다.
외조(50)는 지지부재(52)를 통해 매달려서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2)는 상단이 케이스(10) 내의 상부에 지지되고, 하단은 외조(50)의 하부와 결합되어서 외조(5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52)의 하단에는 내조(60)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외조(50)의 흔들림을 완충하는 댐퍼(54)가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외조 커버(56)가 배치된다. 외조 커버(56)는 외조(50)의 상부에 구비된다. 외조 커버(56)는 외조(50)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외조 커버(56)는 내조(60)의 회전력에 의해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를 통해 상승한 수류가 내조(60) 내로 다시 쏟아지도록 안내한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링형 밸런서(66)가 배치된다. 링형 밸런서(66)는 내조(60)의 상부에 구비된다. 링형 밸런서(66)는 내조(60)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내조(60) 내로 세탁물인 포를 투입하는 투입구(67)를 형성한다. 또한, 링형 밸런서(66)는 내부에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를 포함하고 있어서, 내조(60)의 회전시에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펄세이터(65) 및 모터(70)가 배치된다. 펄세이터(65)는 내조(60)의 바닥에 구비되어 내조(60)의 내부에 회전 수류를 형성시킨다. 모터(70)는 외조(50)의 하측에 배치되어 펄세이터(65)가 회전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펄세이터(65)를 회전시킨다.
모터(70)는 회전축(75)을 통해 펄세이터(65)에 연결되어 펄세이터(65)를 회전시킬 수 있고, 내조(60)와 펄세이터(65) 사이에는 모터(70)의 구동력을 내조(60)와 펄세이터(65)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모터(70)의 구동력을 펄세이터(65)로만 전달하여 펄세이터(65)만 회전되도록 하거나, 모터(70)의 구동력을 내조(60) 및 펄세이터(65)로 전달하여 내조(60) 및 펄세이터(65)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내조(60)는 모터(70)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경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배수호스(76) 및 배수조절밸브(77)가 배치된다. 배수호스(76)는 외조(50)의 하단에 배치되어 외조(50)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한다. 배수조절밸브(77)는 배수호스(76)를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를 단속한다.
탑커버(20)는 케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된다. 탑커버(20)에는 리드 어셈블리(30)에 의해 개폐되는 포출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리드 어셈블리(30)를 들어올린 후 상기 포출입구로 포를 넣으면, 상기 포는 낙하하여 링형 밸런서(66)에 형성된 투입구(67)를 통해 내조(60) 내로 투입된다.
또한, 탑커버(2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78)가 입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세제박스(78)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호스(미도시)와, 급수호스(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79)가 배치된다. 급수 밸브(79)가 개방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급수되면, 급수된 세탁수는 세제박스(78)로 유입된 후, 낙하하면서 링형 밸런서(66)에 형성된 투입구(67)를 통해 내조(60)로 급수된다.
한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필터(80)가 더 배치된다. 내조(60)의 회전력에 의해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를 통해 상승한 수류가, 외조 커버(56)의 안내를 받으며 내조(60) 내로 다시 쏟아질 때, 필터(80)는 외조 커버(56)가 내조(60) 내로 안내하는 수류에 섞여있는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채집하여, 내조(60) 내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필터(8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필터 및 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외조 커버(56)는 링형 밸런서(66)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링형 밸런서(66)의 상측면 및 외측 둘레면을 감싼다. 링형 밸런서(66)는 상측면 및 외측 둘레면 사이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외조 커버(56)는 링형 밸런서(66)의 상측면을 덮는 상측면(56a)과, 링형 밸런서(66)의 외측 둘레면을 덮는 둘레면(56b)을 포함한다. 외조 커버(56)는 상측면(56a) 및 둘레면(56b) 사이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외조 커버(56)는 둘레면(56b)의 하단이 외조(50)의 상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내조(60)의 회전력에 의해 외조(50) 및 내조(60) 사이의 틈을 통해 상승한 수류는, 외조 커버(56) 및 링형 밸런서(66)의 이격된 사이 틈을 통해 다시 내조(60) 내로 쏟아질 수 있다.
필터(80)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외조 커버(56)의 원주방향 전체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80)는 외조 커버(56) 및 링형 밸런서(66)의 이격된 사이 틈 전체에서 쏟아져 나오는 수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80)는 세탁수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율을 갖는 메쉬형상의 섬유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80)는 링형 밸런서(66)의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조 커버(56) 및 링형 밸런서(66)의 이격된 사이보다는 약간 아래에 배치되어서, 외조 커버(56)에 의해 안내되어 내조(60)를 향해 낙하하는 수류가 필터(8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80)는 여과면이 외조 커버(56) 및 링형 밸런서(66)의 이격된 사이를 통해 쏟아져 나오는 수류의 낙하방향과 마주보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80)는 외조(50)보다는 상측에 배치되어서, 필터(80)에 채집된 이물질이 내조(60) 내의 세탁수에 다시 침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로 하여금 필터(80)에 채집된 이물질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터(80)의 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80)는 필터 프레임(82)에 결합된다. 필터 프레임(82)은 필터(80)를 지지하여 외조 커버(56)에 결합된다. 외조 커버(56)의 상측면(56a)에는 필터 프레임(82)이 결합되는 결합홈(57)이 형성된다. 결합홈(57)은 외조 커버(56)의 상측면(56a)에 3개가 형성되어, 이 3개의 결합홈(57)은 서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82)은, 필터(8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부(82a)와, 필터(8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82b)와, 제1 프레임부(82a) 및 제2 프레임부(82b)를 연결하고 외조 커버(56)에 결합되는 제3 프레임부(82c)를 포함한다. 제3 프레임부(82c)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82a) 및 제2 프레임부(82b)를 연결하고, 타단은 외조 커버(56)에 결합된다.
제1 프레임부(82a) 및 제2 프레임부(82b)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필터(80)가 링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프레임부(82c)는 외조 커버(56)의 상측면(56a)에 형성된 결합홈(57)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인 3개로 형성되고, 이 3개의 제3 프레임부(82c)는 서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3 프레임부(82c)는 외조 커버(56)에 형성된 결합홈(57)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부(82c)는, 제1 프레임부(82a) 및 제2 프레임부(82b)를 연결하는 연결부(82d)와, 연결부(82d)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82e)와, 제1 수평부(82e)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82f)와, 수직부(82f)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82g)를 포함한다.
연결부(82d)는 일단이 제1 프레임부(82a) 및 제2 프레임부(82b)를 연결하고, 타단은 제1 프레임부(82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82d)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필터(80)의 여과면이, 외조 커버(56) 및 링형 밸런서(66) 사이의 틈을 통해 내조(60) 내로 낙하하는 수류의 방향과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수평부(82e)는 외조 커버(56)의 상측면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필터 프레임(82)이 외조 커버(56)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 프레임(82) 및 외조 커버(56)가 이물감이 들지 않도록 한다.
제1 수평부(82e)는 연결부(82d)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수직부(82f)는 제1 수평부(82e)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평부(82g)는 수직부(82f)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82f)의 하부와 제2 수평부(82g)는, 외조 커버(56)에 형성된 결합홈(57)에 삽입된다. 따라서, 필터 프레임(82)이 외조 커버(56)에 형성된 결합홈(57)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부(82f)의 상부와 제1 수평부(82e)는 외조 커버(56)의 상측면(56a)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는, 필터 프레임(82)을 외조 커버(56)에 형성된 결합홈(5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9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필터(80)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채집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결합부재(90)를 탈거하여 필터(80) 및 필터 프레임(82)을 교환할 수 있다.
결합부재(90)는, 링형의 베이스부(92)와, 베이스부(92)의 외측 둘레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94)를 포함한다. 결합돌기부(94)는 외조 커버(56)에 형성된 결합홈(57)에 삽입되어 필터 프레임(82)을 결합홈(5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결합돌기부(94)가 결합홈(57)에 삽입되어 필터 프레임(82)이 외조 커버(56)에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92)는 외조 커버(56)의 상측면(56a) 내측 끝단에 접촉된 채로 외조 커버(56)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필터 프레임(82)의 제1 수평부(82e)의 하측을 지지하여 필터 프레임(82)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내조(60)가 회전되면, 내조(60) 내의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수공(62)을 통해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로 빠져나가고, 이에 따라 외조(50) 및 내조(60) 사이의 수류는 상승한다.
이후,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를 통해 상승한 수류는, 외조 커버(56)에 의해 안내되어, 외조 커버(56) 및 링형 밸런서(66) 사이의 틈을 통해 빠져 나온 후, 필터(8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내조(60)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내조(60) 내에 투입되는 포의 양에 따라, 외조(50)에 담기는 세탁수의 수위는 달라진다. 외조(50)에 담기는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모터(70)의 구동력을 달리하여, 내조(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로 수류가 상승하여 외조 커버(56)에 의해 내조(60) 내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조 커버(56)에 담기는 세탁수의 수위가 낮을 경우, 모터(70)는 내조(6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로 수류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고, 외조 커버(56)에 담기는 세탁수의 수위가 높을 경우, 모터(70)는 내조(60)를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로 수류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0)는, 내조(60)의 회전력에 의해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로 상승된 수류가 외조 커버(56)에 의해 다시 내조(60) 내로 안내될 때, 이 외조 커버(56)에 의해 내조(60) 내로 다시 안내되는 수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필터(80)가 채집하게 되므로, 내조(60)에 유로를 설치하지 않고 세탁수에서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으며, 내조(60)의 용적이 축소되지 않고 구조가 단순해지면서 외관상 약해 보이지 않는다.
또한, 내조(60)의 회전력에 의해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로 상승된 수류를 외조 커버(56)가 내조(60) 내로 순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필터(80)가 내조(60) 내의 세탁수에 잠기지 않기 때문에, 위생상 유리할 뿐만 아니라, 내조(60) 내의 세탁수의 유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외조 56: 외조 커버
57: 결합홈 60: 내조
66: 링형 밸런서 67: 투입구
80: 필터 82: 필터 프레임
82a: 제1 프레임부 82b: 제2 프레임부
82c: 제3 프레임부 82d: 연결부
82e: 제1 수평부 82f: 수직부
82g: 제2 수평부 90: 결합부재
92: 베이스부 94: 결합돌기부

Claims (14)

  1.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상기 외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외조 및 내조 사이를 통해 상승한 수류가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안내하는 외조 커버; 및
    상기 외조 커버가 상기 내조 내로 안내하는 수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외조 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외조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조 내로 포를 투입하는 투입구를 형성하는 링형 밸런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외조 커버 및 링형 밸런서 사이를 통해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는 수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채집하는 세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링형 밸런서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탁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지지하여 상기 외조 커버에 결합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필터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부와,
    상기 필터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하고, 상기 외조 커버에 결합되는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외조 커버에 결합되는 세탁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복수로 구비되는 세탁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세탁기.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조 커버에는 상기 필터 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세탁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을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링형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 프레임을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50029977A 2015-03-03 2015-03-03 세탁기 KR20160107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77A KR20160107042A (ko) 2015-03-03 2015-03-03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77A KR20160107042A (ko) 2015-03-03 2015-03-03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042A true KR20160107042A (ko) 2016-09-13

Family

ID=5694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977A KR20160107042A (ko) 2015-03-03 2015-03-03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0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819B1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44885B1 (ko) 세탁장치
KR20130016932A (ko) 세탁기
JP200613019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30165737A (ko) 세탁기
CN110863324B (zh) 一种顶开式洗衣机
EP2982792B1 (en) Water quality detect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US8429939B2 (en) Static basket washing machine
JP6548872B2 (ja) 洗濯機
KR2016003406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1174580B2 (en) Washing machine
KR102448494B1 (ko) 세탁기
KR102620364B1 (ko) 세탁기
JP5686614B2 (ja) 洗濯機
KR20160107042A (ko) 세탁기
KR102421544B1 (ko) 세탁기
JPWO2016152034A1 (ja) 洗濯機
KR2018001686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223274B2 (ja) 洗濯機
JP6060369B2 (ja) 洗濯機
KR102577091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3240407A (ja) 洗濯機
KR102350236B1 (ko) 세탁기
JP7407413B2 (ja) 洗濯機
KR20180126786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