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420A - 단순 ip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순 ip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420A
KR20160105420A KR1020167018746A KR20167018746A KR20160105420A KR 20160105420 A KR20160105420 A KR 20160105420A KR 1020167018746 A KR1020167018746 A KR 1020167018746A KR 20167018746 A KR20167018746 A KR 20167018746A KR 20160105420 A KR20160105420 A KR 2016010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sn
session
access terminal
handoff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예 장
하이차오 송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76Update or notification mechanisms, e.g. Dyn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04W76/0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는 것에 관련된다. 양태는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 그 검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는 것으로서,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제 1 PDSN 이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는 것, 및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순 IP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DATA LOSS FOLLOWING AN INTER-PDSN HANDOFF BASED ON A SIMPLE IP NETWORK}
1. 본 발명의 분야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은 단순 인터넷 프로토콜 (IP)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1 세대 아날로그 무선 전화 서비스 (1G), 2 세대 (2G) 디지털 무선 전화 서비스 (중간 2.5G 및 2.75G 네트워크들을 포함) 및 3 세대 (3G) 및 4 세대 (4G) 고속 데이터/인터넷-가능 무선 서비스들을 포함하여, 여러 세대들에 거쳐서 개발되어 왔다. 셀룰러 및 개인 통신 서비스 (PCS) 시스템들을 포함하여, 많은 상이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공지된 셀룰러 시스템들의 예들은 셀룰러 아날로그 어드밴스드 모바일 폰 시스템 (AMPS),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TDMA 의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access) 변형, 및 TDMA 및 CDMA 양자의 기술들을 이용한 더 새로운 하이브리드 디지털 통신 시스템들에 기초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더 최근에는, 롱 텀 에볼루션 (LTE) 이 모바일 폰들 및 다른 데이터 단말기들에 대한 고속 데이터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서 개발되었다. LTE 는 GSM 에 기초하고, EDGE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와 같은 다양한 GSM-관련 프로토콜들, 및 고속 패킷 액세스 (High-Speed Packet Access; HSPA) 와 같은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프로토콜들로부터의 기여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 (session inactivity timer) 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 1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은,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단계, 그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 (session keep timer) 를 시작하는 단계로서,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제 1 PDSN 이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는,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제 1 PDSN 이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한다.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는,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수단,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제 1 PDSN 이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수단, 및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제 1 PDSN 이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 및 그의 수반되는 이점들 대부분의 보다 완전한 인식은,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닌 오로지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는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게 되므로, 쉽게 획득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1x EV-DO 네트워크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스위칭된 부분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3G UMTS W-CDMA 시스템 내의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스위칭된 부분 및 RAN 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3G UMTS W-CDMA 시스템 내의 GPRS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스위칭된 부분 및 RAN 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d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화된 패킷 시스템 (EPS) 또는 롱 텀 에볼루션 (LTE) 네트워크에 기초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스위칭된 부분 및 RAN 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e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EPS 또는 LTE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향상된 HRPD (High Rate Packet Data) RAN 및 또한 HRPD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 는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에서의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 (PPP)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호출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4 는 제 1 PDSN 에서의 PPP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차트를 예시한다.
도 5 는 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차트를 예시한다.
도 6 은 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일 예의 액세스 단말기 장치를 예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들 (UE들) 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형태들에 관련된 다음의 설명 및 관련된 도면들에 개시된다. 대체 실시형태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고안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널리 공지된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고 또는 생략될 것이다.
단어들 "예시적인" 및/또는 "예" 는 본 명세서에서 "예, 인스턴스,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및/또는 "예" 로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가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 은 본 개시의 모든 실시형태들이 논의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게다가, 많은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이들 액션들의 시퀀스는 실행 시에,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할 대응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모두가 청구된 요지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각각에 대해, 임의의 이러한 실시형태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비 (UE) 로 지칭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이동형 또는 정지형일 수도 있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UE" 는 "액세스 단말기" 또는 "AT", "무선 디바이스", "가입자 디바이스", "가입자 단말기", "가입자국", "사용자 단말기" 또는 UT, "모바일 단말기", "이동국" 및 그 변형들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E들은 RAN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연결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또한 UE들에 대해, 이를 테면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WiFi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IEEE 802.11 등에 기초함) 등을 통해서 가능하다. UE들은 PC 카드들, 콤팩트 플래시 디바이스들, 외부 또는 내부 모뎀들, 무선 또는 유선 폰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UE들이 RAN 으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 채널 (예를 들어, 역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 이라 불린다. RAN 이 UE들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 채널 (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 이라 불린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트래픽 채널 (TCH) 은 업링크/역방향 또는 다운링크/순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UE들 1...N 을 포함한다. UE들 1...N 은 셀룰러 전화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들), 페이저들,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UE들 1...2 는 셀룰러 통화 폰들로서 예시되고, UE들 3...5 는 셀룰러 터치스크린 폰들 또는 스마트 폰들로서 예시되고, 그리고 UE N 은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PC 로서 예시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UE들 1...N 은 도 1 에 공중 인터페이스들 (104, 106,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연결로서 도시된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RAN (120), 액세스 포인트 (125) 등)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공중 인터페이스들 (104 및 106) 은 주어진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CDMA, EVDO, eHRPD, GSM, EDGE, W-CDMA, LTE 등) 에 순응할 수 있는 한편, 공중 인터페이스 (108) 는 무선 IP 프로토콜 (예를 들어, IEEE 802.11) 에 순응할 수 있다. RAN (120) 은 공중 인터페이스들 (104 및 106) 과 같은 공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E들을 서빙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RAN (120) 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액세스 노드들 또는 AN들,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AP들, 기지국들 또는 BS들, 노드 B들, eNode B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들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상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그라운드 스테이션들), 또는 위성 액세스 포인트들일 수 있다. RAN (120) 은 전적으로 상이한 RAN 또는 RAN (120) 에 의해 서빙되는 다른 UE들과 RAN (120) 에 의해 서빙되는 UE들 사이의 회로 스위칭된 (CS) 호출들을 브릿징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175) 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의 패킷-스위칭된 (PS) 데이터의 교환을 중재할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인터넷 (175) 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들 (편의를 위해 도 1 에는 도시하지 않음) 을 포함한다. 도 1 에서, UE N 은 직접 (즉, WiFi 또는 802.11-기반 네트워크의 이더넷 연결을 통해서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140) 와는 별개인) 인터넷 (175) 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인터넷 (175) 은 그것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 (140) 를 통해 UE N 과 UE들 1...N 사이의 패킷-스위칭된 데이터 통신을 브릿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1 에는 또한 RAN (120) 과는 별개인 액세스 포인트 (125) 가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예를 들어, FiOS, 케이블 모뎀 등과 같은 광학 통신 시스템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에 독립적인 인터넷 (175) 에 연결될 수도 있다. 공중 인터페이스 (108) 는 일 예에서 IEEE 802.11 과 같은 로컬 무선 연결을 통해 UE 4 또는 UE 5 를 서빙할 수도 있다. UE N 은 (예를 들어, 유선 및 무선 양자의 연결성을 가진 WiFi 라우터에 대한) 일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125) 자체에 대응할 수 있는, 모뎀 또는 라우터에의 직접 연결과 같은, 인터넷 (175) 에의 유선 연결을 가진 데스크톱 컴퓨터로서 도시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인터넷 (175), 코어 네트워크 (140), 또는 양자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의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코어 네트워크 (140) 및/또는 인터넷 (175) 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연결할 수 있는 UE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들 (예를 들어, VoIP (Voice-over-Internet Protocol) 세션들, PTT (Push-to-Talk) 세션들, 그룹 통신 세션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 등) 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RAN (120) 및 코어 네트워크 (140) 에 대한 프로토콜-특정 구현들의 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 2a 내지 도 2d 에 대하여 이하 제공된다. 특히, RAN (120) 및 코어 네트워크 (140) 의 컴포넌트들은 패킷-스위칭된 (PS) 통신을 지원하는 것과 연관된 컴포넌트들에 대응하며, 이것으로 인해, 레거시 회로-스위칭된 (CS) 컴포넌트들이 또한 이들 네트워크들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임의의 레거시 CS-특정 컴포넌트들은 도 2a 내지 도 2d 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도 2a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CDMA2000 1x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네트워크에서의 패킷-스위칭된 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 (140) 및 RAN (120) 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a 를 참조하면, RAN (120) 은 유선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 (BSC) (215A) 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기지국들 (BS들) (200A, 205A 및 210A) 을 포함한다. 단일의 BSC 에 의해 제어되는 BS들의 그룹은 서브넷으로 일괄적으로 지칭된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RAN (120) 은 다수의 BSC들 및 서브넷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의 BSC 가 편의를 위해 도 2a 에 도시된다. BSC (215A) 는 A9 연결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내의 패킷 제어 기능부 (PCF) (220A) 와 통신한다. PCF (220A) 는 패킷 데이터에 관련된 BSC (215A) 에 대해 소정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한다. PCF (220A) 는 A11 연결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내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225A) 와 통신한다. PDSN (225A) 은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 (PPP) 세션들을 관리하는 것, 홈 에이전트 (HA) 및/또는 외부 에이전트 (FA) 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들을 갖고,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GSM 및 UMTS 네트워크들에서의 게이트웨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지원 노드 (GGSN) 에 대한 기능에 있어서 유사하다. PDSN (225A) 은 코어 네트워크 (140) 를 인터넷 (175) 과 같은 외부 IP 네트워크들에 연결한다.
도 2b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3G UMTS W-CDMA 시스템 내의 GPRS 코어 네트워크로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패킷-스위칭된 부분 및 RAN (120) 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b 를 참조하면, RAN (120) 은 유선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215B) 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노드 B들 (200B, 205B 및 210B) 을 포함한다. 1x EV-DO 네트워크들과 유사하게, 단일의 RNC 에 의해 제어되는 노드 B들의 그룹은 서브넷으로 일괄적으로 지칭된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RAN (120) 은 다수의 RNC들 및 서브넷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의 RNC 가 편의를 위해 도 2b 에 도시된다. RNC (215B) 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서의 서빙 GPRS 지원 노드 (SGSN) (220B) 와 RAN (120) 에 의해 서빙되는 UE들 사이의 베어러 채널들 (즉, 데이터 채널들) 을 시그널링, 확립 및 분해하는 것을 담당한다. 링크 계층 암호화가 인에이블되면, RNC (215B) 는 또한 콘텐츠를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신을 위해 RAN (120) 으로 포워딩하기 전에 그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RNC (215B) 의 기능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며 간략화를 위해 추가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2b 에서, 코어 네트워크 (140) 는 상기 언급된 SGSN (220B) (및 잠재적으로는 다수의 다른 SGSN들도 물론) 및 GGSN (225B)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GPRS 는 IP 패킷들을 라우팅하기 위해 GSM 에서 사용된 프로토콜이다. GPRS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GGSN (225B) 및 하나 이상의 SGSN들 (220B)) 는 GPRS 시스템의 중앙집중된 부분이고 W-CDMA 기반 3G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한 지원을 또한 제공한다. GPRS 코어 네트워크는 GSM 및 W-CDMA 네트워크들에서의 IP 패킷 서비스들에 대한 전송, 이동성 관리, 및 세션 관리를 제공하는 GSM 코어 네트워크 (즉,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통합된 부분이다.
GPRS 터널링 프로토콜 (GTP) 은 GPRS 코어 네트워크의 정의하는 IP 프로토콜이다. GTP 는 GSM 또는 W-CDMA 네트워크의 최종 사용자들 (예를 들어, UE들) 이 마치 GGSN (225B) 에서의 하나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처럼 인터넷 (175) 에 계속 연결하면서 장소 간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UE 의 현재 SGSN (220B) 으로부터 각각의 UE 의 세션을 핸들링하고 있는 GGSN (225B) 으로 각각의 UE 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GTP 의 3 개의 형태들이 GPRS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된다; 즉, (i) GTP-U, (ii) GTP-C 및 (iii) GTP' (GTP 프라임). GTP-U 는 각각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에 대한 분리된 터널들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GTP-C 는 제어 시그널링 (예를 들어, PDP 콘텍스트들의 셋업 및 삭제, GSN 도달가능성의 검증, 가입자가 하나의 SGSN 으로부터 또 다른 SGSN 으로 이동할 때와 같은 수정들 및 업데이트들 등) 을 위해 사용된다. GTP' 은 GSN들로부터 과금 기능부로의 과금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도 2b 를 참조하면, GGSN (225B) 은 GPRS 백본 네트워크 (미도시) 와 인터넷 (175)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한다. GGSN (225B) 은 SGSN (220B) 으로부터 온 GPRS 패킷들로부터 연관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포맷 (예를 들어, IP 또는 PPP) 을 가진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패킷들을 대응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한다. 다른 방향에서, 인입 데이터 패킷들은 GGSN 연결된 UE 에 의해, RAN (120) 에 의해 서빙되는 타겟 UE 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 (RAB) 를 관리 및 제어하는 SGSN (220B) 으로 향하게 된다. 그것 때문에, GGSN (225B) 은 타겟 UE 의 현재 SGSN 어드레스 및 그의 연관된 프로파일을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예를 들어, PDP 콘텍스트 내에) 저장한다. GGSN (225B) 은 IP 어드레스 할당을 담당하고 연결된 UE 에 대한 디폴트 라우터이다. GGSN (225B) 은 또한 인증 및 과금 기능들을 수행한다.
SGSN (220B) 은 일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140) 내의 다수의 SGSN들 중 하나의 SGSN 을 대표한다. 각각의 SGSN 은 연관된 지리적 서비스 영역 내의 UE들로부터 및 UE들로의 데이터 패킷들의 전달을 담당한다. SGSN (220B) 의 태스크들은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예를 들어, 어태치/디태치 및 로케이션 관리), 논리 링크 관리, 및 인증 및 과금 기능들을 포함한다. SGSN (220B) 의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 또는 UE 에 대한 하나 이상의 PDP 콘텍스트들 내에, SGSN (220B) 에 등록된 모든 GPRS 사용자들의 사용자 프로파일들 (예를 들어,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PDP 어드레스(들)) 및 로케이션 정보 (예를 들어, 현재 셀, 현재 VLR) 를 저장한다. 따라서, SGSN들 (220B) 은 (i) GGSN (225B) 으로부터의 디-터널링 다운링크 GTP 패킷들, (ii) GGSN (225B) 을 향한 업링크 터널 IP 패킷들, (iii) UE들이 SGSN 서비스 영역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것 및 (iv) 모바일 가입자들에게 빌링하는 것을 담당한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i) 내지 (iv) 를 제외하고는, GSM/EDGE 네트워크들을 위해 구성된 SGSN들은 W-CDMA 네트워크들을 위해 구성된 SGSN들과 비교하여 약간 상이한 기능성을 갖는다.
RAN (120) (예를 들어, 또는 UMTS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UTRAN) 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부분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RANAP) 프로토콜을 통해 SGSN (220B) 과 통신한다. RANAP 는 프레임 릴레이 또는 IP 와 같은 송신 프로토콜과 Iu 인터페이스 (Iu-ps) 를 통해 동작한다. SGSN (220B) 은 SGSN (220B) 과 다른 SGSN들 (미도시) 및 내부 GGSN들 (미도시) 사이의 IP-기반 인터페이스인 Gn 인터페이스를 통해 GGSN (225B) 과 통신하고, 상기 정의된 GTP 프로토콜 (예를 들어, GTP-U, GTP-C, GTP' 등) 을 이용한다. 도 2b 의 실시형태에서, SGSN (220B) 과 GGSN (225B) 사이의 Gn 은 GTP-C 와 GTP-U 양자를 반송한다. 도 2b 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Gn 인터페이스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에 의해 또한 이용된다. GGSN (225B) 은 공공 데이터 네트워크 (PDN) (미도시) 에 연결되고, 차례로, 직접 또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중 어느 하나로 IP 프로토콜들과 Gi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연결된다.
도 2c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3G UMTS W-CDMA 시스템 내에 GPRS 코어 네트워크로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패킷-스위칭된 부분 및 RAN (120) 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b 와 유사하게, 코어 네트워크 (140) 는 SGSN (220B) 및 GGSN (225B) 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2c 에서, 직접 터널은 SGSN (220B) 이 PS 도메인 내의 GGSN (225B) 과 RAN (120) 사이에 직접 사용자 평면 터널, GTP-U 를 확립하는 것을 허용하는 Iu 모드에서의 옵션적 기능이다. 도 2c 에서의 SGSN (220B) 과 같은 직접 터널 가능 SGSN 은 SGSN (220B) 이 직접 사용자 평면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GGSN 단위 및 RNC 단위 기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c 의 SGSN (220B) 은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핸들링하고 직접 터널을 확립할 때를 판정한다. PDP 콘텍스트를 위해 할당된 RAB 가 릴리즈될 때 (즉, PDP 콘텍스트가 보존될 때), GTP-U 터널은 다운링크 패킷들을 핸들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GGSN (225B) 과 SGSN (220B) 사이에 확립된다.
도 2d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화된 패킷 시스템 (EPS) 또는 LTE 네트워크에 기초한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패킷-스위칭된 부분 및 RAN (120) 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도 2b 및 도 2c 에 도시된 RAN (120) 과 달리, EPS/LTE 네트워크에서의 RAN (120) 은 도 2b 및 도 2c 로부터의 RAN (215B) 없이, 복수의 진화된 노드 B들 (ENodeB들 또는 eNB들) (200D, 205D 및 210D) 로 구성된다. 이것은 EPS/LTE 네트워크들의 ENodeB들이 코어 네트워크 (140) 와 통신하기 위해 RAN (120) 내의 별개의 제어기 (즉, RNC (215B)) 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도 2b 및 도 2c 로부터의 RNC (215B) 의 기능성의 일부가 도 2d 에서 RAN (120) 의 각 개개의 eNodeB 에 내장된다.
도 2d 에서, 코어 네트워크 (140) 는 복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 (MME들) (215D 및 220D), 홈 가입자 서버 (HSS) (225D), 서빙 게이트웨이 (S-GW) (230D),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P-GW) (235D) 및 정책 및 과금 룰들 기능부 (PCRF) (240D) 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 RAN (120) 및 인터넷 (175) 사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도 2d 에 예시되고 다음과 같이 (이하) 표 1 에 정의된다:
Figure pct00001
도 2d 의 코어 네트워크 (140) 및 RAN (120) 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하이-레벨 설명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컴포넌트들은 각각 다양한 3GPP TS 표준들로부터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고,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은 이들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된 모든 기능성들의 완전한 설명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2d 를 참조하면, MME들 (215D 및 220D) 은 EPS 베어러들에 대한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MME 기능들은: NAS (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인터- 및 인트라-기술 핸드오버들에 대한 이동성 관리, P-GW 및 S-GW 선택, 및 MME 변화를 가진 핸드오버들에 대한 MME 선택을 포함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S-GW (230D) 는 RAN (120) 을 향하는 인터페이스를 종단하는 게이트웨이이다. EPS-기반 시스템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140) 와 연관된 각각의 UE 에 대해, 주어진 시간 포인트에서, 단일의 S-GW 가 있다. S-GW (230D) 의 기능들은, GTP-기반 및 프록시 모바일 IPv6 (PMIP)-기반 S5/S8 양자에 대해: 이동성 앵커 포인트,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및 연관된 EPS 베어러의 QoS 클래스 식별자 (QCI) 에 기초하여 DSCP (DiffServ Code Point) 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P-GW (235D) 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예를 들어, 인터넷 (175) 을 향하는 SGi 인터페이스를 종단하는 게이트웨이이다. UE 가 다수의 PDN들에 액세스하고 있다면, 그 UE 에 대해 하나 보다 더 많은 P-GW 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S5/S8 연결성 및 Gn/Gp 연결성의 혼합은 통상 그 UE 에 대해 동시에 지원되지 않는다. P-GW 기능들은 양자의 GTP-기반 S5/S8 에 대해: (심층 패킷 검사에 의한) 패킷 필터링, UE IP 어드레스 할당, 연관된 EPS 베어러의 QCI 에 기초하여 DSCP 를 설정하는 것, 오퍼레이터 간 과금을 보고하는 것, 3GPP TS 23.203 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업링크 (UL) 및 다운링크 (DL) 베어러 바인딩, 3GPP TS 23.203 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UL 베어러 바인딩 검증을 포함한다. P-GW (235D) 는 E-UTRAN, GERAN, 또는 UTRAN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GSM/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GERAN)/UTRAN 전용 UE들 및 E-UTRAN-가능 UE들 양자에 PDN 연결성을 제공한다. P-GW (235D) 는 S5/S8 인터페이스를 통해 E-UTRAN 만을 이용하여 E-UTRAN 가능 UE들에 PDN 연결성을 제공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PCRF (240D) 는 EPS-기반 코어 네트워크 (140) 의 정책 및 과금 제어 엘리먼트이다. 비-로밍 시나리오에서, UE 의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성 액세스 네트워크 (IP-CAN) 세션과 연관된 HPLMN 에 단일의 PCRF 가 있다. PCRF 는 Rx 인터페이스 및 Gx 인터페이스를 종단한다. 트래픽의 로컬 브레이크아웃을 가지는 로밍 시나리오에서, UE 의 IP-CAN 세션과 연관된 2 개의 PCRF들이 있을 수도 있다: 홈 PCRF (H-PCRF) 는 HPLMN 내에 상주하는 PCRF 이고, 방문 PCRF (V-PCRF) 는 방문 VPLMN 내에 상주하는 PCRF 이다. PCRF 는 3GPP TS 23.203 에 더 상세히 설명되고, 이로써 간략화를 위해 추가 설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2d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예를 들어, 이는 3GPP 전문용어에서 AF 로 지칭될 수 있다) 는 인터넷 (175)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에, 또는 대안적으로는 Rx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PCRF (240D) 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또는 AF) 는 코어 네트워크와 IP 베어러 리소스들 (예를 들어, UMTS PS 도메인/GPRS 도메인 리소스들/LTE PS 데이터 서비스들) 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엘리먼트이다.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하나의 예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코어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의 프록시-호출 세션 제어 기능 (P-CSCF) 이다. AF 는 PCRF (240D) 에 세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Rx 레퍼런스 포인트를 이용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IP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또한 Rx 레퍼런스 포인트를 통해 PCRF (240D) 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e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EPS 또는 LTE 네트워크 (140A) 에 연결되는 향상된 HRPD (High Rate Packet Data) RAN 으로서 구성된 RAN (120) 및 또한 HRPD 코어 네트워크 (140B) 의 패킷-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를 예시한다. 코어 네트워크 (140A) 는 도 2d 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코어 네트워크와 유사한, EPS 또는 LTE 코어 네트워크이다.
도 2e 에서, eHRPD RAN 은 향상된 BSC (eBSC) 및 향상된 PCF (ePCF) (215E) 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지국 트랜시버들 (BTS들) (200E, 205E 및 210E) 을 포함한다. eBSC/ePCF (215E) 는 S10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S 코어 네트워크 (140A) 내의 MME들 (215D 또는 220D) 중 하나에 연결하고, 그리고 (예를 들어, S103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 (230D), S2a 인터페이스를 통해 P-GW (235D), Gxa 인터페이스를 통해 PCRF (240D), STa 인터페이스를 통해 3GPP AAA 서버 (도 2d 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이) EPS 코어 네트워크 (140A) 에서의 다른 엔티티들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A10 및/또는 A11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HRPD 서빙 게이트웨이 (HSGW) (220E) 에 연결할 수 있다. HSGW (220E) 는 HRPD 네트워크들 및 EPS/LTE 네트워크들 사이의 인터워킹을 제공하기 위해 3GPP2 에서 정의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eHRPD RAN 및 HSGW (220E) 는 레거시 HRPD 네트워크들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EPC/LTE 네트워크들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성으로 구성된다.
다시 eHRPD RAN 으로 돌아가면, EPS/LTE 네트워크 (140A) 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에 더하여, eHRPD RAN 은 또한, HRPD 네트워크 (140B) 와 같은 레거시 HRPD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인식될 바와 같이, HRPD 네트워크 (140B) 는 도 2a 로부터의 EV-DO 네트워크와 같은 레거시 HRPD 네트워크의 일 예의 구현이다. 예를 들어, eBSC/ePCF (215E) 는 A1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 인가 및 어카운팅 (AAA) 서버 (225E) 와, 또는 A10 또는 A11 인터페이스를 통해 PDSN/FA (230E) 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PDSN/FA (230E) 는 결국 HA (235A) 에 연결하고, HA (235A) 를 통하여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2e 에서, 소정의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A13, A16, H1, H2 등) 은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고 완전성을 위해 도시되고 HRPD 또는 eHRPD 에 친숙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PPP 는 디폴트에 의해, 3G 및 4G 네트워크들에서 VoIP 를 위해 "항시 온 (always on)" 일 것이다. 단순 IP 프로토콜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는 그 액세스 단말기가 네트워크에의 그의 어태치먼트의 포인트를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획득 (및 기존 연결들을 상실) 해야 한다. 즉, 하나의 PDSN 의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또 다른 PDSN 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새로운 IP 어드레스가 새로운 PDSN 에 의해 할당되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 세션의 변화에 기여한다. 패킷 데이터 세션 및 PPP 세션은 단순 IP 에서 공존한다. 즉, 패킷 데이터 세션의 존재는 PPP 세션에 의존한다.
단순 IP 를 이용할 때, AT 가 제 2 PDSN 으로 핸드 오프한 후 소정의 시간 주기 내에 제 1 PDSN 으로 리턴하면 ("고 앤드 백 (go and back)" 이라 불림), 인입 IP 경로는 블록킹될 것이다. 이에 대한 이유는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Max PPP inactivity timer)" 가 만료할 때까지 제 1 PDSN 이 이전 (old) PPP 세션을 유지하고, 그 타이머가 만료한 후까지는 AT 에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핸드오프 시에, 제 2 PDSN 은 AT 에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AT 는 VoIP 서버에 이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이로써, AT 가 다시 제 1 PDSN 으로 이동하였더라도, VoIP 서버는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가 만료하고 제 1 PDSN 이 AT 에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할당할 때까지 제 2 PDSN 에 의해 할당되는 AT 의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단지 가질 것이다. 따라서,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가 만료하기 전에 VoIP 호출이 있을 때, 인입 호출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은 제 2 PDSN 으로 전송되어, AT 가 VoIP 호출을 수신하는 것을 막을 것이다.
이 이슈를 극복하기 위해, AT 는 다수의 IP 패킷들 (예를 들어, 핑 (PING) 패킷들) 을 제 1 PDSN 으로 전송하여, 그 제 1 PDSN 에 PPP 연결을 재동기화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IP 패킷들의 수는 PDSN 에서의 임계 설정 (threshold setting) 보다 더 커야 한다. AT 는 그 후 VoIP 서버로부터 AT 로의 IP 경로가 복구되도록 제 1 PDSN 에 의해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VoIP 서버에 재등록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이러한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호출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3a 를 참조하면, 그 플로우는 305 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단순 IP 를 이용하는 AT (302) 는 VoIP 서버 (308) 로 등록되고 도 1 의 RAN (120) 과 같은 제 1 액세스 네트워크 (AN-1) (304) 와 도 2a 의 PDSN (225A) 또는 도 2e 의 PDSN (230E) 과 같은 제 1 PDSN (PDSN-1) (306) 사이의 연결은 도먼트 (dormant) 이다. 310 에서, AT (302) 는 도 1 의 RAN (120) 과 같은 제 2 액세스 네트워크 (AN-2) (314) 에 대해 도먼트 핸드오프를 이루고, 이는 제 2 PDSN (PDSN-2) (316) 과의 연결을 셋업하기 위해 AN-2 (314) 를 트리거링한다. 315 에서, AN-2 (314) 는 AT (320) 와 PDSN-2 (316) 사이의 연결을 셋업하기 위해 AT (302) 의 IMSI 를 가진 등록 요청 (RRQ) 을 PDSN-2 (316) 로 전송한다.
320 에서, PDSN-2 (316) 는 수신된 IMSI 가 새롭다고 결정하고 응답으로 AT (302) 와의 PPP 셋업 프로시저를 트리거링한다. AT (302) 는 PDSN-2 (316) 에 의해 할당된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325 에서, AT (302) 는 그의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VoIP 서버 (308) 에 재등록한다. 이 포인트에서 VoIP 호출이 있다면, 그것은 AN-2 (304) 와 PDSN-2 (316) 를 통한 경로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 한다.
330 에서, AT (302) 는 다시 AN-1 (304) 로 핸드오프한다. 335 에서, AN-1 (304) 은 AT (302) 의 IMSI 를 가진 RRQ 를 PDSN-1 (306) 로 전송한다. 그러나, 340 에서, PDSN-1 (306) 은 그 IMSI 에 대한 PPP 세션이 아직 만료하지 않았기 때문에 (즉,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가 만료하지 않았음)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도 3a 에 예시된 플로우는 도 3b 에서 계속된다. 도 3b 를 참조하면, 345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호출자가 AT (302) 와 VoIP 호출을 개시하려고 시도하면, 그 호출은 VoIP 서버 (308) 가 호출 초대장 및 임의의 다른 호출 시그널링을 PDSN-2 (316) 로 전송할 것이기 때문에 실패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350 에서, VoIP 서버 (308) 는 AT (302) 에 대한 확인응답 (ACK) 패킷을 PDSN-2 (316) 로 전송한다. 그러나, 355 에서, 패킷은 AT (302) 가 PDSN-2 (316) 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에 있지 않기 때문에 손실된다.
360 에서, AT (302) 는 도 4 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PDSN-1 (306) 을 통해 VoIP 서버 (308) 로 다수의 핑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핑 메시지들에 대한 응답들, 예를 들어, ACK들은 AT (302) 가 PDSN-1 (306) 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지만 VoIP 서버 (308) 는 PDSN-2 (316) 에 의해 AT (302) 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로 응답을 전송하기 때문에 AT (302) 에서 수신되지 않을 것이다. AT (302) 는 PPP 세션의 재동기화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PDSN-1 (306) 에 의해 요구된 패킷들의 수를 전송할 때까지 이들 핑 메시지들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일단 그것이 행해지면, 365 에서, PDSN-1 (306) 은 AT (302) 와의 PPP 재동기화 프로시저를 트리거링하고 AT (302) 에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370 에서, AT (302) 는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VoIP 서버 (308) 에 재등록한다. AT (302) 는 그 후 VoIP 호출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 호출들은 이제 AN-1 (304) 로부터 PDSN-1 (306) 로의 경로를 통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 한다.
도 3a 및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 VoIP 호출은 360 에서 AT (302) 가 다수의 핑 메시지들을 전송하지 않으면,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가 만료할 때까지, 블록킹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AT (302) 가 제 2 PDSN, 예를 들어, PDSN-2 (316) 에 대해 도먼트 핸드오프를 이루면, 제 2 PDSN 은 새로운 AT 가 어태치중임을 검출하고, PPP 세션을 재동기화하고, AT (302) 에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그러나, AT (302) 가 제 2 PDSN 에 의해 할당된 IP 어드레스로, 제 1 PDSN, 예를 들어, PDSN-1 (306) 의 영역으로 리턴할 때, 이전 PPP 세션이 여전히 제 1 PDSN 에 저장되기 때문에 PPP 재동기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AT (302) 가 345 내지 35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VoIP 서버 (308) 로 IP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지만, VoIP 서버 (308) 로부터의 임의의 응답들은 AT (302) 가 제 2 PDSN 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에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AN, 예를 들어, AN-2 (314) 에 의해 폐기될 것이다.
AT (302) 는 도 3b 의 36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핑 패킷들을 전송함으로써 PDSN-1 (306) 에 PPP 세션을 재동기화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AT (302) 는 변화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도 4 를 참조하여 이제 논의될 바와 같이, 소정의 네트워크 상태 변화들에 응답하여 다수의 핑 패킷들을 전송한다.
도 4 는 제 1 PDSN 에서의 PPP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차트를 예시한다. 도 4 에 예시된 플로우는 도 3 의 AT (302) 와 같은 AT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410 에서, AT 는 도 3a 및 도 3b 의 PDSN-2 (316) 와 같은 제 2 PDSN 에 대해 도먼트 핸드오프를 이룬다. 제 2 PDSN 은 AT 와 PPP 연결을 재동기화하고 AT 에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420 에서, AT 는 그의 IP 어드레스 및 컬러코드가 변화했음을 검출할 때까지 "PPP 유지 타이머 (PPP keep timer)" 라 불리는 타이머를 시작한다. "PPP 유지 타이머" 의 길이는 PDSN 의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의 길이와 동일하다. 컬러코드는 BSC 또는 RNC 의 라벨이다. 컬러코드 변화는 AT 가 또 다른 BSC 또는 RNC 에 의해 서빙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의 PDSN 이 다수의 BSC들 또는 RNC들을 지원할 수도 있기 때문에, 컬러코드 변화는 PDSN 이 변화했음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한다.
430 에서, AT 는 그의 컬러코드가 다시 변화했음을 검출한다. 440 에서, AT 는 그의 "PPP 유지 타이머" 가 만료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PPP 유지 타이머" 가 만료했다면, 450 에서, AT 는 제 1 PDSN 의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가 만료했기 때문에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고 그 AT 가 제 1 PDSN 과 재동기화하는 것을 막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PPP 유지 타이머" 가 만료하지 않았다면, 즉 PDSN 의 "최대 PPP 비활성 타이머" 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460 에서, AT 는 제 1 PDSN 을 통해, VoIP 서버 (308) 와 같은 VoIP 서버로 계속되는 핑 패킷들을 전송할 것이다. 핑 패킷들의 사이즈는 관련된 PDSN 구성보다 더 커야 한다. IP 패킷들의 수는 또한, PDSN 에서의 임계 설정보다 더 커야 한다. AT 는 도 3b 의 360 에 의해 예시한 바와 같이, AT 가 PDSN 에서의 임계 설정보다 더 많은 핑 패킷들을 전송할 때까지 VoIP 서버로부터 핑 패킷들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일단 AT 가 VoIP 서버로부터 ACK 를 수신하면, 그것은 핑 패킷들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VoIP 서버로부터 ACK 를 수신하는 것은 제 1 PDSN 이 PPP 연결을 재동기화했음을 나타낸다. AT 는 이 때 "PPP 유지 타이머" 를 또한 리셋해야 한다.
도 5 는 제 1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차트를 예시한다. 도 5 에 예시된 플로우는 도 3a 및 도 3b 의 AT (302) 와 같은 AT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T 는 단순 IP 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및 제 2 PDSN들은 도 3a 및 도 3b 에서, 예를 들어, PDSN-1 (306) 및 PDSN-2 (316) 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다.
510 에서, AT 는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한다.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은 제 2 PDSN 으로부터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는 AT 가 도먼트 상태에 있는 동안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일 수도 있다. 제 2 PDSN 은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응답하여 비활성 통신 세션을 재동기화한다.
520 에서, 510 에서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AT 는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할 수도 있는, 상기 설명된 "PPP 유지 타이머" 와 같은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한다. 세션 유지 타이머는 세션 비활성 타이머와 동일한 길이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PPP 비활성 타이머" 에 대응할 수도 있는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제 1 PDSN 이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낸다. 비활성 통신 세션은 PPP 세션일 수도 있다.
도 5 에 예시된 플로우는 또한 AT 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파라미터가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AT 를 서빙하는 RAN 또는 BSC 일 수도 있고, 파라미터는 RAN 또는 BSC 의 컬러코드일 수도 있다. 세션 유지 타이머는 520 에서,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리고 AT 를 서빙하는 RAN 또는 BSC 를 식별하는 파라미터가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시작될 수도 있다.
530 에서, AT 는 AT 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파라미터가 다시 변화했음을 검출한다. 파라미터가 다시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AT 는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 엔티티는 AT 를 서빙하는 RAN 또는 BSC 일 수도 있고, 파라미터는 RAN 또는 BSC 의 컬러코드일 수도 있다.
540 에서,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는,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다면, AT 는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한다. 서버는 도 3a 및 도 3b 의 VoIP 서버 (308) 와 같은 VoIP 서버일 수도 있다.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은 복수의 IP 핑 패킷들일 수도 있다.
550 에서, AT 는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한다.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것은, 제 1 PDSN 이 비활성 통신 세션을 재동기화했음을 나타낸다.
560 에서,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T 는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고 세션 유지 타이머를 리셋한다.
570 에서, AT 는 제 1 PDSN 으로부터 새로운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수신하고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서버에 등록한다.
도 6 은 상관된 기능적 모듈들의 시리즈로서 표현된 일 예의 액세스 단말기 장치 (600) 를 예시한다. 검출하기 위한 모듈 (610)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수신기/트랜시버)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시작하기 위한 모듈 (620)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검출하기 위한 모듈 (630)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수신기/트랜시버)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송신하기 위한 모듈 (640)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송신기/트랜시버)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6 의 모듈들의 기능성은 본 명세서의 교시와 일치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성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이들 블록들의 기능성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예를 들어, ASIC) 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된 컴포넌트들, 또는 그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이한 모듈들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서, 또는 그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주어진 서브세트는 하나보다 더 많은 모듈에 대해 기능성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도 6 에 의해 표현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물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본 명세서에 교시한 바와 같은 대응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 의 "위한 모듈" 컴포넌트들과 함께 상기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또한 유사하게 지정된 "위한 수단" 기능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양태들에서, 이러한 수단의 하나 이상은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집적 회로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한 바와 같은 다른 적합한 구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UE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UE (700A) 는 호출 전화기로서 예시되고 UE (700B) 는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 로서 예시된다.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700A) 의 외부 케이싱은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안테나 (705A), 디스플레이 (710A), 적어도 하나의 버튼 (715A) (예를 들어, PTT 버튼, 파워 버튼, 볼륨 제어 버튼 등) 및 키패드 (720A) 로 구성된다. 또한, UE (700B) 의 외부 케이싱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705B), 주변 버튼들 (710B, 715B, 720B 및 725B) (예를 들어, 파워 제어 버튼, 볼륨 또는 진동 제어 버튼, 에어플레인 모드 토글 버튼 등),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패널 버튼 (730B) (예를 들어, 홈 버튼 등) 으로 구성된다. UE (700B) 의 부분으로서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UE (700B) 는 WiFi 안테나들, 셀룰러 안테나들, 위성 포지션 시스템 (SPS) 안테나들 (예를 들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안테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UE (700B) 의 외부 케이싱에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안테나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들 (700A 및 700B) 과 같은 UE들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지만, 내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본 하이-레벨 UE 구성은 도 7 의 플랫폼 (702) 으로서 도시된다. 플랫폼 (702) 은 궁극적으로는 코어 네트워크 (140), 인터넷 (175) 및/또는 다른 원격 서버들 및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웹 URL들 등) 로부터 온 것일 수도 있는 RAN (120) 으로부터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들을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702) 은 또한 RAN 상호작용 없이 로컬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702) 은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708) 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트랜시버 (706), 또는 다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ASIC (708)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712) 에서의 임의의 상주 프로그램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710) 계층을 실행한다. 메모리 (712) 는 판독 전용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702) 은 또한, 메모리 (712) 에서 활성으로 사용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물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714) 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714) 는 통상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셀이지만, 자기 매체들, EEPROM, 광학 매체들, 테이프,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세컨더리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UE (예를 들어, UE (700A, 700B)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다양한 로직 엘리먼트들은 개별 엘리먼트들,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SIC (708), 메모리 (712), API (710)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 (714) 는 모두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을 로딩, 저장 및 실행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은 다양한 엘리먼트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성은 하나의 개별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의 UE들 (700A 및 700B) 의 피처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며 본 개시는 예시된 피처들 또는 어레인지먼트에 제한되지 않는다.
UE들 (700A 및/또는 700B) 및 RAN (120) 사이의 무선 통신은 상이한 기술들, 이를 테면 CDMA, W-C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GSM,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다른 프로토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전술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음성 송신 및/또는 데이터는 다양한 네트워크들 및 구성들을 이용하여 RAN 으로부터 UE들에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제공된 예시들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단지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의 양태들의 설명을 돕기 위한 것이다.
도 8 은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8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800) 는 UE들 (700A 또는 700B), RAN (120) 의 임의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BS들 (200A 내지 210A), BSC (215A), 노드 B들 (200B 내지 210B), RNC (215B), eNodeB들 (200D 내지 210D) 등), 코어 네트워크 (140) 의 임의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PCF (220A), PDSN (225A), SGSN (220B), GGSN (225B), MME (215D 또는 220D), HSS (225D), S-GW (230D), P-GW (235D), PCRF (240D)), 코어 네트워크 (140) 및/또는 인터넷 (175) 과 커플링된 임의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상기 언급된 통신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800) 는 도 1 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에 걸쳐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또는 그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800) 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 (700A 또는 700B), BS들 (200A 내지 210A) 중 하나, 노드 B들 (200B 내지 210B) 중 하나, eNodeB들 (200D 내지 210D) 중 하나 등) 에 대응하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2G, CDMA, W-CDMA, 3G, 4G, LTE 등), 이를 테면 무선 트랜시버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RF 안테나, MODEM, 변조기 및/또는 복조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는 이더넷 연결, 시리얼 연결,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연결 등) 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800) 가 일부 타입의 네트워크-기반 서버 (예를 들어, PDSN, SGSN, GGSN, S-GW, P-GW, MME, HSS, PCRF, 애플리케이션 (170) 등)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일 예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통신 엔티티들에 네트워크-기반 서버를 연결하는 이더넷 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통신 디바이스 (800) 가 그의 로컬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리 (sensory) 또는 측정 하드웨어 (예를 들어, 가속도계, 온도 센서, 라이트 센서, 로컬 RF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안테나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실행될 때,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수신 및/또는 송신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은 적어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의 타입의 예의 구현들은 결정들을 수행하는 것, 연결들을 확립하는 것, 상이한 정보 옵션들 사이에서 선택들을 행하는 것, 데이터에 관련된 평가들을 수행하는 것,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 (800) 에 커플링된 센서들과 상호작용하는 것, 정보를 하나의 포맷으로부터 또 다른 포맷으로 (예를 들어, .wmv 에서 .avi 로와 같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간에 등) 컨버팅하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은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제 1 PDSN 으로부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그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그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제 1 PDSN 이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또는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또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은 실행될 때,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은 적어도 비일시적 메모리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에 포함된 비일시적 메모리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은 실행될 때,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저장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800) 는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을 추가 옵션적으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은 적어도 출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USB, HDMI 와 같은 비디오 정보를 반송할 수 있는 포트 등),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피커들, 마이크로폰 잭, USB, HDMI 와 같은 오디오 정보를 반송할 수 있는 포트 등), 진동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가 출력을 위해 포매팅되거나 통신 디바이스 (8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실제로 출력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800) 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700A) 또는 UE (700B)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은 UE (700A) 의 디스플레이 (710A) 또는 UE (700B) 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705B) 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과 같은 소정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은 실행될 때,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제시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820)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800) 는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을 추가 옵션적으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카메라,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잭과 같은 오디오 정보를 반송할 수 있는 포트 등), 및/또는 정보가 통신 디바이스 (8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800) 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은 UE (700A) 또는 UE (700B) 에 대응하면,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은 키패드 (720A), 버튼들 (715A 또는 710B 내지 725B) 중 임의의 것,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705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과 같은 소정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은 실행될 때,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입력 수신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25) 은 그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805 내지 825 의 구성된 로직들이 도 8 에 별개이거나 또는 개별 블록들로서 도시되지만, 각각의 구성된 로직이 그의 기능성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805 내지 825 의 구성된 로직들의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805 내지 825 의 구성된 로직들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에 의해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들의 기능성 (즉, 이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실행) 을 각각 수행하도록,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과 연관된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직들 중 하나와 직접 연관되는 하드웨어는 가끔 다른 구성된 로직들에 의해 차용 또는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의 프로세서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과 연관된 하드웨어 (즉, 프로세서) 의 동작에 적어도 기초하여 그의 기능성 (즉, 이 경우에는, 데이터의 송신) 을 수행하도록,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으로 포매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다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사용한 바와 같은 어구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하드웨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실시형태를 인보크하도록 의도되고,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전용 구현들에 맵핑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블록들에서 "하도록 구성된 로직" 또는 구성된 로직이 특정 로직 게이트들 또는 엘리먼트들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하는 능력을 지칭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블록들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하도록 구성된 로직" 또는 구성된 로직들은 단어 "로직" 을 공유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로직 게이트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서 반드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로직 사이의 다른 상호작용들 또는 협력은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리뷰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도 9 에 예시된 서버 (900) 와 같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서버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서버 (900) 는 상기 설명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의 하나의 예의 구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9 에서, 서버 (900) 는 휘발성 메모리 (902)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901) 및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 이를 테면 디스크 드라이브 (903) 를 포함한다. 서버 (900) 는 또한 프로세서 (901) 에 커플링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 (CD) 또는 DVD 디스크 드라이브 (9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 (900) 는 또한,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 및 서버들에 또는 인터넷에 커플링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907) 와 데이터 연결들을 확립하기 위해 프로세서 (901) 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9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 에 의한 콘텍스트에서, 도 9 의 서버 (900) 는 통신 디바이스 (800) 의 하나의 예의 구현을 예시하며, 그것에 의하여,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805) 은 네트워크 (907) 와 통신하기 위해 서버 (900) 에 의해 이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904) 에 대응하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810) 은 프로세서 (901) 에 대응하고, 그리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815) 은 휘발성 메모리 (902), 디스크 드라이브 (903) 및/또는 디스크 드라이브 (906) 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옵션적 로직 (820) 및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옵션적 로직 (825) 은 도 9 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포함될 수도 있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9 는 통신 디바이스 (800) 가 도 7 의 705A 또는 705B 에서와 같은 UE 구현에 더하여, 서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을 돕는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게다가,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판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 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UE) 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또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일 예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 불리게 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매체의 정의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시하지만,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본 개시의 엘리먼트들은 단수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1.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 (session inactivity timer) 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상기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 (session keep timer) 를 시작하는 단계로서,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상기 제 1 PDSN 이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PDSN 으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상기 핸드오프는 상기 액세스 단말기가 도먼트 상태 (dormant state) 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PDSN 은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상기 핸드오프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 통신 세션을 재동기화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파라미터가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는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그리고 상기 액세스 단말기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파라미터가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시작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를 서빙하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다시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파라미터가 다시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새로운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 시,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중단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 1 PDSN 이 상기 비활성 통신 세션을 재동기화했음을 나타내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통신 세션은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 (PPP) 세션을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버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은 복수의 인터넷 프로토콜 (IP) 핑 패킷들을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는 단순 IP 를 채용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16.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 (session inactivity timer) 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상기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 (session keep timer) 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상기 제 1 PDSN 이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을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 2 PDSN 으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상기 핸드오프는 상기 액세스 단말기가 도먼트 상태 (dormant state) 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PDSN 은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상기 핸드오프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 통신 세션을 재동기화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단말기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파라미터가 변화했음을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는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리고 상기 액세스 단말기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파라미터가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시작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단말기를 서빙하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를 식별하는 상기 파라미터가 다시 변화했음을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가 다시 변화했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을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새로운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 시, 상기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등록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 1 PDSN 이 상기 비활성 통신 세션을 재동기화했음을 나타내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리셋하게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통신 세션은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 (PPP) 세션을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버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29.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 (session inactivity timer) 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상기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수단;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 (session keep timer) 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상기 제 1 PDSN 이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30.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에서의 세션 비활성 타이머 (session inactivity timer) 의 만료 전에 제 2 PDSN 으로부터 다시 상기 제 1 PDSN 으로의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 1 PDSN 으로부터 상기 제 2 PDSN 으로의 핸드오프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핸드오프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에 대응하는 세션 유지 타이머 (session keep timer) 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상기 세션 비활성 타이머는 상기 제 1 PDSN 이 상기 액세스 단말기와 비활성 통신 세션을 유지할 최대 시간량을 나타내는,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세션 유지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서버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을 포함하는,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67018746A 2014-01-03 2014-01-03 단순 ip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05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00008 WO2015100683A1 (en) 2014-01-03 2014-01-03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data loss following an inter-pdsn handoff based on a simple ip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420A true KR20160105420A (ko) 2016-09-06

Family

ID=5349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746A KR20160105420A (ko) 2014-01-03 2014-01-03 단순 ip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2330B2 (ko)
EP (1) EP3095270A4 (ko)
JP (1) JP2017502604A (ko)
KR (1) KR20160105420A (ko)
CN (1) CN105900483A (ko)
WO (1) WO2015100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5698B2 (en) * 2014-07-03 2019-03-0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delivery and paging to a group of users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341923B2 (en) 2016-01-29 2019-07-02 Google Llc Techniques for minimizing user disruption during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BR112018017119A2 (pt) * 2016-02-29 2018-12-26 Huawei Tech Co Ltd método, aparelho, e sistema de gerenciamento de mobilidade
US10750400B2 (en) 2016-09-30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a data packet received over control plane in congestion scenario
CN112770359B (zh) * 2019-11-05 2023-10-2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数据分流方法及设备
US11863594B2 (en) 2021-01-07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request i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4994B1 (en) * 1997-11-03 2005-05-17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s system
AU3826199A (en) 1999-04-30 2000-11-17 Nokia Networks Oy Sgsn semi anchoring during the inter sgsn srnc relocation procedure
US6834050B1 (en) 2000-03-10 2004-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core function and method of selecting a packet data service node/foreign agent in a packet data network
US7079511B2 (en) 2000-12-06 2006-07-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of a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connection
US20020133457A1 (en) * 2001-01-31 2002-09-19 Gerlach Charles Althoff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id charging of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US6907016B2 (en) 2001-04-03 2005-06-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IP registration in selected inter-PDSN dormant hand-off cases in a CDMA2000-based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415026B2 (en) 2002-02-04 2008-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releas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82130B2 (en) 2002-06-13 2006-07-25 Utstar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point-to-point protocol device redundancey
KR100683016B1 (ko) * 2002-08-01 2007-02-15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항시 온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US7359353B2 (en) 2004-04-21 2008-04-15 Motorola, Inc. Access network and method for improved inter-PDSN dormant mode handoff
US7660595B2 (en) * 2004-07-15 2010-0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mobile Ip data connectivity on transitions between wireless networks
CN100365993C (zh) * 2005-03-08 2008-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在高速分组数据系统中实现激活态硬切换的方法
US8477759B2 (en) * 2005-09-30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Filtering of malformed data pa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1026546A (zh) * 2006-02-21 2007-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分组数据会话的方法
US8027305B1 (en) * 2007-01-08 2011-09-2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employing state information in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to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5270A4 (en) 2017-08-30
WO2015100683A1 (en) 2015-07-09
JP2017502604A (ja) 2017-01-19
US9872330B2 (en) 2018-01-16
EP3095270A1 (en) 2016-11-23
US20160309540A1 (en) 2016-10-20
CN105900483A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5580B1 (en) Capability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1832721B1 (ko) 셀룰라를 통한 서비스들에 대한 동적 서비스 품질 (qos)
JP6577461B2 (ja) サービス品質チャネルを介して高い優先度の非オーディオデータを選択的に転送すること
US10412618B2 (en) Optimistic quality of service set up
US20140221023A1 (en) Server-initiated paging cycles
US20140211619A1 (en) Probabilistic reten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 (qos) bearer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rvice as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volte)
EP3036887B1 (en) Single network registration where multiple applications access the network using separate processors
KR20160010472A (ko)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들을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세션에 등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선택
US20140068098A1 (en) Reducing network latency resulting from non-access stratum (nas) authentication for high performance content applications
KR20160105420A (ko) 단순 ip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pdsn 간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068064A1 (en) Method for qos management in home and roaming scenarios based on location/app server assistance
US20140301181A1 (en) Detecting, reporting, and recovering from potential service disruptions
US20160119768A1 (en) Selectively triggering a communicative action based on whether a quorum condition for a peer-to-peer group is satisfied
KR20150104125A (ko) Voip 스트림을 확립 및 동기화함으로써 프레임 소거 레이트가 문턱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회선-교환 호출들에서의 소거들의 선택적 패치
KR20150079828A (ko)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의 오프로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