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828A -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의 오프로딩 - Google Patents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의 오프로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828A
KR20150079828A KR1020157013837A KR20157013837A KR20150079828A KR 20150079828 A KR20150079828 A KR 20150079828A KR 1020157013837 A KR1020157013837 A KR 1020157013837A KR 20157013837 A KR20157013837 A KR 20157013837A KR 20150079828 A KR20150079828 A KR 2015007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er
client
client device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하메드 아타울 알 슈만
아미트 고엘
산딥 샤르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7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6/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것. 일 실시형태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500A; 500B; 500C; 600A; 600B; 600C; 600D) 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520; 810),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호출을 위한 호출 요청을 수신하고 (610; 830),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호출을 셋업하고 (620; 710; 840),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며 (670; 850), 그리고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어트 디바이스들 중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한다 (680; 750; 860).

Description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의 오프로딩{OFFLOADING CALL PROCESSING AND CALL HOSTING FOR A SMALL GROUP CALL TO A CLIENT DEVICE}
본 개시물은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동적으로 오프로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무선 전화 서비스 (1G), 제 2 세대 (2G) 디지털 무선 전화 서비스 (중간의 2.5G 및 2.75G 네트워크들을 포함), 및 제 3 세대 (3G) 및 제 4 세대 (4G) 고속 데이터/인터넷-가능 무선 서비스들을 포함한, 다양한 세대들을 거쳐 성장해 왔다. 현재는, 셀룰러 및 개인 휴대 통신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 시스템들을 포함한, 많은 상이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사용되고 있다. 공지된 셀룰러 시스템들의 예들은 셀룰러 아날로그 어드밴스드 모바일 전화 시스템 (AMPS),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TDMA 의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access) 변형, 및 TDMA 기술과 CDMA 기술 양자를 이용한 더 새로운 하이브리드 디지털 통신 시스템들에 기초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더 최근에는, 롱 텀 에볼루션 (LTE) 이 모바일 폰들 및 다른 데이터 단말기들을 위한 고속 데이터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서 개발되어 왔다. LTE 는 GSM 에 기초하며, EDGE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와 같은 다양한 GSM 관련 프로토콜들, 및 고속 패킷 액세스 (High-Speed Packet Access; HSPA) 와 같은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 (UMTS) 프로토콜들로부터의 기여들을 포함한다.
현재는,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를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들을 을 전달하기 위한 2 개의 주요한 방식들 : 중앙집중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및 피어-투-피어 (P2P) 모델이 존재한다. 중앙집중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전통의 시스템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서버 및 다양한 코어 컴포넌트들이 그룹 호출들 및 직접 호출들을 위한 순간 통신 서비스들 (instantaneous communcation services) 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을 위해 서버에 의존하는 것은 3 개의 주요한 문제들 : 비용, 확장성 (scalability), 및 복잡성 (complexity) 을 갖는다.
P2P 시스템들은 순수 P2P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 양자를 포함한다. P2P 모델은 비용, 확장성, 및 복잡성과 같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결점들 중 일부를 다룬다. 그러나, P2P 시스템들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많은 이점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재의 P2P 시스템들은 안전한 사용자 인증, 보안, CALEA (Communications Assistance for Law Enforcement Act) 컴플라이언스, 사용의 기록 (recording usage), 프로비저닝 (provisioning) 등과 같은 텔레콤 캐리어 (telecom carrier) 의 요구를 전부 다루지는 않는다. 게다가, 미디어가 피어 (peer) 간에 플로우하기 때문에, 상호운용성 (interoperability) (즉, 트랜스코딩 요구), 컨퍼런싱 (conferencing) (즉, 혼합 (mixing) 요구) 등을 위한 도전과제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물은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호출을 위한 호출 요청을 수신하고,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호출을 셋업하고,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며, 그리고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한정이 아닌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 및 그의 많은 수반되는 이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가 쉽게 얻어질 것이며, 여기서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1x EV-DO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및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3G UMTS W-CDMA 시스템 내의 RAN 및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3G UMTS W-CDMA 시스템 내의 RAN 및 GPRS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다른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진화된 패킷 시스템 (EPS) 또는 롱 텀 에볼루션 (LTE) 네트워크에 기초하는 RAN 및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e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EPS 또는 LTE 네트워크에 접속된 향상된 고속 패킷 데이터 (HRPD) RAN 그리고 또한 HRPD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들 (UE들) 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5 는 서버가 소정의 서버 기능성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오프로딩하는 일 실시형태의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6 은 스타 접속 (star connection) 에 대한 일 예시적인 호출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7 은 메쉬 접속 (mesh connection) 에 대한 일 예시적인 호출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8 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일 실시형태의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9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수행된 일 실시형태의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에 관한 다음의 설명 및 관련된 도면들에서 개시된다. 상호의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고안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널리 공지된 엘리먼트들은 본 발명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거나 또는 생략될 것이다.
단어들 "예시적인" 및/또는 "예" 는 본 명세서에서 "일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및/또는 "예" 로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또는 이로운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 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이 논의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많은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행동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행동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인정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이들 행동들의 시퀀스는 대응하는 세트의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세트의 컴퓨터 명령들은 실행 시에,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전부가 청구 요지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이러한 실시형태들의 대응하는 형태가 예를 들어, 설명된 행동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자 장비 (UE) 로 지칭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이동형 또는 고정형일 수도 있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UE" 는 "액세스 단말기" 또는 "AT", "무선 디바이스", "가입자 디바이스", "가입자 단말기", "가입자국", "사용자 단말기" 또는 "UT", "모바일 단말기", "이동국" 및 이들의 변형들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E들은 RAN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WiFi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IEEE 802.11 등에 기초) 등을 통해서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또한 UE들에 대해 가능하다. UE들은 PC 카드들, 콤팩트 플래시 디바이스들, 외부 또는 내부 모뎀들, 무선 또는 유선 폰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수의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UE들이 RAN 으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 채널 (예를 들어, 역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 이라 불린다. RAN 이 UE들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 채널 (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 이라 불린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트래픽 채널 (TCH) 은 업링크/역방향 또는 다운링크/순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UE 1...UE N 을 포함한다. UE 1...UE N 은 셀룰러 전화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들), 페이저들,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UE 1...UE 2 는 셀룰러 호출 전화들로서 예시되고, UE 3...UE 5 는 셀룰러 터치스크린 폰들 또는 스마트 폰들로서 예시되며, UE N 은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PC 로서 예시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UE 1...UE N 은 도 1 에 공중 인터페이스들 (104, 106,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으로서 도시된 물리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RAN (120), 액세스 포인트 (125) 등)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공중 인터페이스들 (104 및 106) 은 주어진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CDMA, EVDO, eHRPD, GSM, EDGE, W-CDMA, LTE 등) 을 순응할 수 있는 한편, 공중 인터페이스 (108) 는 무선 IP 프로토콜 (예를 들어, IEEE 802.11) 을 순응할 수 있다. RAN (120) 은 공중 인터페이스들 (104 및 106) 과 같은 공중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E들을 서빙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RAN (120)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액세스 노드들 또는 AN들,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AP들, 기지국들 또는 BS들, 노드 B들, e노드 B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들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상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지상국 (ground station) 들), 또는 위성 액세스 포인트들일 수 있다. RAN (120) 은, RAN (120) 에 의해 서빙되는 UE들과 RAN (120) 또는 상이한 RAN 전부에 의해 서빙되는 다른 UE들 간의 회로 스위칭된 (circuit switched; CS) 호출들을 브릿징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175) 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의 패킷 스위칭된 (packet switched; PS) 데이터의 교환을 중재할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인터넷 (175) 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들 (도 1 에는 편의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도 1 에서, UE N 은 직접 (즉, WiFi 또는 802.11 기반 네트워크의 이더넷 접속을 통해서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140) 와는 별개인) 인터넷 (175) 에 접속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인터넷 (175) 은 이로써 코어 네트워크 (140) 를 통해 UE N 과 UE 1...UE N 간의 패킷 스위칭된 데이터 통신들을 브릿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는, RAN (120) 과는 별개인 액세스 포인트 (125) 가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예를 들어, 케이블 모뎀, FiOS 와 같은 광 통신 시스템 등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에 독립적인 인터넷 (175) 에 접속될 수도 있다. 공중 인터페이스 (108) 는 일 예에서 IEEE 802.11 과 같은 로컬 무선 접속을 통해 UE 4 또는 UE 5 를 서빙할 수도 있다. UE N 은 인터넷 (175) 에 대한 유선 접속, 이를 테면 모뎀 또는 라우터에 대한 직접 접속을 가진 데스크톱 컴퓨터로서 도시되며, 이는 일 예에서 (예를 들어, 유선과 무선 양자의 접속성을 가진 WiFi 라우터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 (125) 그 자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인터넷 (175), 코어 네트워크 (140), 또는 양자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는 단일의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코어 네트워크 (140) 및/또는 인터넷 (175) 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접속할 수 있는 UE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들 (예를 들어, VoIP (Voice-over-Internet Protocol) 세션들, 푸시-투-토크 (PTT) 세션들, 그룹 통신 세션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 등) 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RAN (120) 및 코어 네트워크 (140) 에 대한 프로토콜 특정 구현들의 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 2a 내지 도 2d 에 대하여 이하 제공된다. 특히, RAN (120) 및 코어 네트워크 (140) 의 컴포넌트들은 패킷 스위칭된 (PS) 통신들을 지원하는 것과 연관된 컴포넌트들에 대응하며, 이로써 레거시 회로 스위칭된 (CS) 컴포넌트들이 또한 이들 네트워크들에 존재할 수 있지만, 어떤 레거시 CS-특정 컴포넌트들도 명확히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되지는 않는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CDMA2000 1x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네트워크에서의 RAN (120) 및 패킷 스위칭된 통신들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 (140) 의 일 예의 구성 (configuration) 을 예시한다. 도 2a 를 참조하면, RAN (120) 은 유선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 (BSC) (215A) 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기지국들 (BS들) (200A, 205A 및 210A) 을 포함한다. 단일의 BSC 에 의해 제어되는 BS들의 그룹은 서브넷으로 통칭된다. 당업자가 인정할 바와 같이, RAN (120) 은 다수의 BSC들 및 서브넷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 2a 에는 편의를 위해 단일의 BSC 가 도시된다. BSC (215A) 는 A9 접속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내의 패킷 제어 기능부 (PCF) (220A) 와 통신한다. PCF (220A) 는 패킷 데이터에 관련된 BSC (215A) 에 대한 소정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한다. PCF (220A) 는 A11 접속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내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225A) 와 통신한다. PDSN (225A) 은 포인트-투-포인트 (PPP) 세션들을 관리하는 것, 홈 에이전트 (HA) 및/또는 외부 에이전트 (FA) 의 역할을 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며,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GSM 및 UMTS 네트워크들에서의 게이트웨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지원 노드 (GGSN) 와 기능상 유사하다. PDSN (225A) 은 코어 네트워크 (140) 를 인터넷 (175) 과 같은 외부 IP 네트워크들에 접속한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3G UMTS W-CDMA 시스템 내의 RAN (120) 및 GPRS 코어 네트워크로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b 를 참조하면, RAN (120) 은 유선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215B) 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노드 B들 (200B, 205B 및 210B) 을 포함한다. 1x EV-DO 네트워크들과 유사하게, 단일의 RNC 에 의해 제어되는 노드 B들의 그룹은 서브넷으로 통칭된다. 당업자가 인정할 바와 같이, RAN (120) 은 다수의 RNC들 및 서브넷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b 에는 편의를 위해 단일의 RNC 가 도시된다. RNC (215B) 는 코어 네트워크 (140) 내의 서빙 GPRS 지원 노드 (SGSN) (220B) 와 RAN (120) 에 의해 서빙되는 UE들 간의 베어러 채널들 (즉, 데이터 채널들) 을 시그널링, 확립 및 분해 (tear down) 하는 것을 담당한다. 링크 계층 암호화가 인에이블되면, RNC (215B) 는 또한 콘텐츠를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신을 위해 RAN (120) 로 포워딩하기 전에 그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RAN (215B) 의 기능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며, 간략화를 위해 추가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2b 에서, 코어 네트워크 (140) 는 상기 언급된 SGSN (220B) (및 잠재적으로는 다수의 다른 SGSN들도 물론) 및 GGSN (225B)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GPRS 는 IP 패킷들을 라우팅하기 위해 GSM 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이다. GPRS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GGSN (225B) 및 하나 이상의 SGSN들 (220B)) 는 GPRS 시스템의 중앙집중 부분 (centralized part) 이고 또한 W-CDMA 기반 3G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GPRS 코어 네트워크는 GSM 및 W-CDMA 네트워크들에서의 IP 패킷 서비스들에 대한 이동성 관리, 세션 관리 및 전송을 제공하는 GSM 코어 네트워크 (즉,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통합 부분 (integrated part) 이다.
GPRS 터널링 프로토콜 (GTP) 은 GPRS 코어 네트워크의 정의하는 IP 프로토콜이다. GTP 는 GMS 또는 W-CDMA 네트워크의 최종 사용자들 (예를 들어, UE들) 이 GGSN (225B) 에서의 하나의 위치로부터처럼 인터넷 (175) 에 계속 접속하는 동안 장소 간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UE 의 현재의 SGSN (220B) 으로부터의 각각의 UE 의 데이터를 그 각각의 UE 의 세션을 핸들링중인 GGSN (225B) 에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GTP 의 3 개의 형태들, 즉, (i) GTP-U, (ii) GTP-C 및 (iii) GTP' (GTP 프라임) 이 GPRS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된다. GTP-U 는 각각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에 대한 분리된 터널들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GTP-C 는 제어 시그널링 (예를 들어, PDP 콘텍스트들의 셋업 및 삭제, GSN 도달성 (reachability) 의 검증, 가입자가 하나의 SGSN 으로부터 다른 SGSN 으로 이동할 때와 같은 변형들 또는 업데이트들 등) 을 위해 이용된다. GTP' 은 GSN들로부터의 차징 데이터의 차징 기능부로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도 2b 를 참조하면, GGSN (225B) 은 GPRS 백본 네트워크 (미도시) 와 인터넷 (175) 간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한다. GGSN (225B) 은 SGSN (220B) 에서 나온 GPRS 패킷들로부터 연관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포맷 (예를 들어, IP 또는 PPP) 을 가진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패킷들을 대응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밖으로 전송한다. 다른 방향에서, 인입 데이터 패킷들은 GGSN 접속된 UE 에 의해, RAN (120) 에 의해 서빙되는 타겟 UE 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 (RAB) 를 관리 및 제어하는 SGSN (220B) 으로 향하게 된다. 이로써, GGSN (225B) 은 타겟 UE 의 현재의 SGSN 어드레스 및 그 연관된 프로파일을 (예를 들어, PDP 콘텍스트 내의)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GGSN (225B) 은 IP 어드레스 할당을 담당하고 접속된 UE 에 대한 디폴트 라우터이다. GGSN (225B) 은 또한 인증 및 차징 기능들을 수행한다.
SGSN (220B) 은 일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140) 내의 다수의 SGSN들 중 하나를 대표한다. 각각의 SGSN 은 연관된 지리적 서비스 영역 내의 UE들로부터의 및 UE들로의 데이터 패킷들의 전달을 담당한다. SGSN (220B) 의 태스크들은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예를 들어, 어태치/디태치 및 위치 관리), 논리 링크 관리, 및 인증 및 차징 기능들을 포함한다. SGSN (220B) 의 위치 레지스터는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 또는 UE 에 대한 하나 이상의 PDP 콘텍스트들 내에, SGSN (220B) 에 등록된 모든 GPRS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 (예를 들어, 현재의 셀, 현재의 VLR) 및 사용자 프로파일들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IMSI, PDP 어드레스(들)) 을 저장한다. 따라서, SGSN들 (220B) 은 (i) GGSN (225B) 으로부터의 다운링크 GPT 패킷들을 디-터널링하는 것, (ii) GGSN (225B) 을 향한 업링크 터널 IP 패킷들, (iii) UE들이 SGSN 서비스 영역들 간에 이동할 때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것 및 (iv) 모바일 가입자들에게의 빌링 (billing) 을 담당한다. 당업자가 인정할 바와 같이, (i) 내지 (iv) 외에는, GSM/EDGE 네트워크들을 위해 구성된 SGSN들은 W-CDMA 네트워크들을 위해 구성된 SGSN들과 비교하여 약간 상이한 기능성을 갖는다.
RAN (120) (예를 들어, 또는 UMTS 시스템 아키텍처에서의 UTRAN) 은 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을 통해 SGSN (220B) 과 통신한다. RANAP 는 프레임 릴레이 또는 IP 와 같은 송신 프로토콜로, Iu 인터페이스 (Iu-ps) 를 통해 동작한다. SGSN (220B) 은 SGSN (220B) 과 다른 SGSN들 (미도시) 및 내부 GGSN들 (미도시) 간의 IP 기반 인터페이스인 Gn 인터페이스를 통해 GGSN (225B) 과 통신하고, 상기 정의된 GTP 프로토콜 (예를 들어, GTP-U, GTP-C, GTP' 등) 을 이용한다. 도 2b 의 실시형태에서, SGSN (220B) 과 GGSN (225B) 간의 Gn 은 GTP-C 와 GTP-U 양자를 캐리한다. 도 2b 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Gn 인터페이스는 또한 DNS (Domain Name System) 에 의해서도 이용된다. GGSN (225B) 은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WAP) 게이트웨이를 통해서나 또는 직접 IP 프로토콜들을 이용한 Gi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 (PDN) (미도시) 에, 그리고 결국 인터넷 (175) 에 접속된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3G UMTS W-CDMA 시스템 내의 RAN (120) 및 GPRS 코어 네트워크로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다른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b 와 유사하게, 코어 네트워크 (140) 는 SGSN (220B) 및 GGSN (225B) 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2c 에서는, 직접 터널이 Iu 모드에서 옵션의 기능이며, 이는 SGSN (220B) 이 PS 도메인 내에서 GGSN (225B) 과 RAN (120) 간에 직접 사용자 평면 터널, GTP-U 를 확립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c 의 SGSN (220B) 과 같은 직접 터널 가능 SGSN 은, SGSN (220B) 이 직접 사용자 평면 접속을 이용할 수 있든 없든 간에 GGSN 단위 기준 및 RNC 단위 기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c 의 SGSN (220B) 은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핸들링하고, 직접 터널을 확립하는 시기의 판정을 행한다. PDP 콘텍스트에 대해 할당된 RAB 가 릴리즈될 때 (즉, PDP 콘텍스트가 보존), GTP-U 터널이 다운링크 패킷들을 핸들링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GGSN (225B) 과 SGSN (220B) 간에 확립된다.
도 2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진화된 패킷 시스템 (EPS) 또는 LTE 네트워크에 기초한 RAN (120) 및 코어 네트워크 (140) 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도 2b 및 도 2c 에 도시된 RAN (120) 과 달리, EPS/LTE 네트워크 내의 RAN (120) 은 도 2b 및 도 2c 로부터의 RNC (215B) 없이, 복수의 진화된 노드 B들 (E노드B들 또는 eNB들) (200D, 205D 및 210D) 로 구성된다. 이것은 EPS/LTE 네트워크들 내의 E노드B들이 코어 네트워크 (140) 와 통신하기 위해 RAN (120) 내에 별개의 제어기 (즉, RNC (215B)) 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도 2b 및 도 2c 로부터의 RNC (215B) 의 일부의 기능성은 도 2d 의 RAN (120) 의 각 개개의 e노드B 에 들어가 있다.
도 2d 에서, 코어 네트워크 (140) 는 복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 (MME들) (215D 및 220D), 홈 가입자 서버 (HSS) (225D), 서빙 게이트웨이 (S-GW) (230D),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P-GW) (235D) 및 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240D) 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 RAN (120) 및 인터넷 (175) 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은 도 2d 에 예시되며, 다음과 같이 표 1 (이하) 에 정의된다 :
Figure pct00001
도 2d 의 RAN (120) 및 코어 네트워크 (140) 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하이-레벨 설명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3GPP TS 표준들로부터 당업계에 각각 널리 공지되며,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은 이들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된 모든 기능성들의 완전한 설명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2d 를 참조하면, MME들 (215D 및 220D) 은 EPS 베어러들에 대한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MME 기능들은 : NAS (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인터- 및 인트라-기술 핸드오버들에 대한 이동성 관리, P-GW 및 S-GW 선택, 및 MME 와의 핸드오버들 변화를 위한 MME 선택을 포함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S-GW (230D) 는 RAN (120) 을 향하여 인터페이스를 종단하는 게이트웨이이다. EPS 기반 시스템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140) 와 연관된 각각의 UE 의 경우, 주어진 시점에서, 단일의 S-GW 가 존재한다. S-GW (230D) 의 기능들은, GTP 기반 및 프록시 모바일 IPv6 (PMIP) 기반 S5/S8 양자에 대해 : 이동성 앵커 포인트,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및 연관된 EPS 베어러의 QoS 클래스 식별자 (QCI) 에 기초한 DSCP (DiffServ Code Point) 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P-GW (235D) 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예를 들어, 인터넷 (175) 을 향하여 SGi 인터페이스를 종단하는 게이트웨이이다. UE 가 다수의 PDN들에 액세스중이라면, 그 UE 에 대해 하나보다 더 많은 P-GW 가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S5/S8 접속성과 Gn/Gp 접속성의 혼합은 통상 그 UE 에 대해 동시에 지원되지 않는다. P-GW 기능들은 GTP 기반 S5/S8 양자에 대해 : (심층 패킷 검사에 의한) 패킷 필터링, UE IP 어드레스 할당, 연관된 EPS 베어러의 QCI 에 기초한 DSCP 의 설정, 인터 오퍼레이터 차징의 설명, 3GPP TS 23.203 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업링크 (UL) 및 다운링크 (DL) 베어러 바인딩, 3GPP TS 23.203 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UL 베어러 바인딩 검증을 포함한다. P-GW (235D) 는 E-UTRAN, GSM/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GERAN), 또는 UTRAN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GERAN/UTRAN 전용 UE들 및 E-UTRAN 가능 UE들 양자에 대한 PDN 접속성을 제공한다. P-GW (235D) 는 단지 S5/S8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E-UTRAN 을 이용하여 E-UTRAN 가능 UE들에 대한 PDN 접속성을 제공한다.
도 2d 를 참조하면, PCRF (240D) 는 EPS 기반 코어 네트워크 (140) 의 정책 및 차징 제어 엘리먼트이다. 넌-로밍 시나리오에서, UE 의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성 액세스 네트워크 (IP-CAN) 세션과 연관된 HPLMN 에는 단일의 PCRF 가 존재한다. PCRF 는 Rx 인터페이스 및 Gx 인터페이스를 종단한다. 트래픽의 로컬 브레이크아웃을 가진 로밍 시나리오에서, UE 의 IP-CAN 세션과 연관된 2 개의 PCRF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 홈 PCRF (H-PCRF) 는 HPLMN 내에 상주하는 PCRF 이고, 방문 PCRF (V-PCRF) 는 방문 VPLMN 내에 상주하는 PCRF 이다. PCRF 는 3GPP TS 23.203 에 더 상세히 설명되고, 이로써 간략화를 위해 추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2d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예를 들어, 3GPP 용어에서 AF 로 지칭될 수 있다) 는 인터넷 (175)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40) 에, 또는 대안으로는 Rx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PCRF (240D) 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또는 AF) 는 코어 네트워크와 IP 베어러 리소스들 (예를 들어, UMTS PS 도메인/GPRS 도메인 리소스들/LTE PS 데이터 서비스들) 을 이용하는 엘리먼트 제공 애플리케이션들이다.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하나의 예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코어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의 P-CSCF (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이다. AF 는 PCRF (240D) 에 세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Rx 참조 포인트를 이용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IP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또한 Rx 참조 포인트를 통해 PCRF (240D) 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e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EPS 또는 LTE 네트워크 (140A) 에 접속된 향상된 고속 패킷 데이터 (HRPD) RAN 으로서 구성된 RAN (120) 그리고 또한 HRPD 코어 네트워크 (140B) 의 패킷 스위칭된 부분의 일 예를 예시한다. 코어 네트워크 (140A) 는 도 2d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코어 네트워크와 유사한 EPS 또는 LTE 코어 네트워크이다.
도 2e 에서, eHRPD RAN 은 향상된 BSC (eBSC) 및 향상된 PCF (ePCF) (215E) 에 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트랜시버들 (BTS들) (200E, 205E 및 210E) 을 포함한다. eBSC/ePCF (215E) 는 S101 인터페이스를 통해 LTE/EPS 코어 네트워크 (140A) 내의 도 2d 의 MME들 (215D 또는 220D) 중 하나에, 그리고 LTE/EPS 코어 네트워크 (140A) 내의 다른 엔티티들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A10 및/또는 A11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HRPD 서빙 게이트웨이 (HSGW) (220E) (예를 들어, S103 인터페이스를 통해 S-GW (230D), S2a 인터페이스를 통해 P-GW (235D), Gxa 인터페이스를 통해 PCRF (240D), STa 인터페이스를 통해 3GPP AAA 서버 (도 2d 에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음) 등) 에 접속할 수 있다. HSGW (220E) 는 3GPP2 에서 HRPD 네트워크들과 EPS/LTE 네트워크들 간의 인터워킹을 제공하도록 정의된다. 인정될 바와 같이, eHRPD RAN 및 HSGW (220E) 는 레거시 HRPD 네트워크들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EPS/LTE 네트워크들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성으로 구성된다.
다시 eHRPD RAN 으로 돌아가면, EPS/LTE 코어 네트워크 (140A) 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에 더하여, eHRPD RAN 은 또한 HRPD 코어 네트워크 (140B) 와 같은 레거시 HRPD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인정될 바와 같이, HRPD 코어 네트워크 (140B) 는 도 2a 로부터의 EV-DO 네트워크와 같은 레거시 HRPD 네트워크의 일 예의 구현이다. 예를 들어, eBSC/ePCF (215E) 는 A1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 인가 및 과금 (AAA) 서버 (225E) 와, 또는 A10 또는 A11 인터페이스를 통해 PDSN/FA (230E) 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PDSN/FA (230E) 는 결국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는 HA (235A) 에 접속한다. 도 2e 에서, 소정의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A13, A16, H1, H2 등) 은 명확히 설명되지 않고 완전성 (completeness) 을 위해 도시되며, HRPD 또는 eHRPD 에 친숙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2b 내지 도 2e 를 참조하면, eHRPD RAN들 및 HSGW들 (예를 들어 도 2e) 과 인터페이스하는 HRPD 코어 네트워크들 및 LTE 코어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도 2d) 은 소정의 경우들에서 (예를 들어, P-GW, GGSN, SGSN 등에 의해) 네트워크 개시된 서비스 품질 (QoS) 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UE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UE (300A) 는 호출 전화기로서 예시되고, UE (300B) 는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 로서 예시된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300A) 의 외부 케이싱은 당업계에 공지한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안테나 (305A), 디스플레이 (310A), 적어도 하나의 버튼 (315A) (예를 들어, PTT 버튼, 전원 버튼, 볼륨 제어 버튼 등) 및 키패드 (320A) 로 구성된다. 또한, UE (300B) 의 외부 케이싱은 당업계에 공지한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305B), 주변 버튼들 (310B, 315B, 320B 및 325B) (예를 들어, 전원 제어 버튼, 볼륨 또는 진동 제어 버튼, 항공 모드 토글 버튼 등), 적어도 하나의 프런트-패널 버튼 (330B) (예를 들어, 홈 버튼 등) 으로 구성된다. UE (300B) 의 일부인 것으로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E (300B) 는 WiFi 안테나들, 셀룰러 안테나들, 위성 포지션 시스템 (SPS) 안테나들 (예를 들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안테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 UE (300B) 의 외부 케이싱에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일체형 안테나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들 (300A 및 300B) 과 같은 UE들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지만, 내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본 하이-레벨 UE 구성이 도 3 에서 플램폼 (302) 으로서 도시된다. 플랫폼 (302) 은 궁극적으로는 코어 네트워크 (140), 인터넷 (175) 및/또는 다른 원격 서버들 및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웹 URL들 등) 에서 나올 수도 있는 RAN (120) 으로부터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들을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302) 은 또한 RAN 상호작용 없이 로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302) 은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308), 또는 다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트랜시버 (306) 를 포함할 수 있다. ASIC (308)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312) 내의 임의의 상주 프로그램들과 인터페이스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310) 계층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312) 는 판독 전용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302) 은 또한 메모리 (312) 에서 능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물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314) 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314) 는 통상 플래시 메모리 셀이지만, 당업계에 공지한 바와 같은 임의의 세컨더리 저장 디바이스, 이를 테면 자기 매체들, EEPROM, 광 매체들, 테이프,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UE (예를 들어, UE (300A, 300B)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정할 바와 같이, 다양한 로직 엘리먼트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별개의 엘리먼트들,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SIC (308), 메모리 (312), API (310)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 (314) 는 모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을 로딩, 저장 및 실행하기 위해 협동하여 이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이 다양한 엘리먼트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는, 그 기능성은 하나의 별개의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의 UE들 (300A 및 300B) 의 특징들은 단지 예시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며, 본 발명은 예시된 특징들 또는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UE들 (300A 및/또는 300B) 과 RAN (120) 간의 무선 통신은 상이한 기술들, 이를 테면, CDMA, W-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GSM,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도 있는 다른 프로토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하고 당업계에 공지한 바와 같이, 음성 송신 및/또는 데이터는 다양한 네트워크들 및 구성들을 이용하여 RAN 으로부터 UE들에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제공된 예시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양태들의 설명을 지원할 뿐이다.
도 4 는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400) 는 UE들 (300A 또는 300B), RAN (120) 의 임의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BS들 (200A 내지 210A), BSC (215A), 노드 B들 (200B 내지 210B), RNC (215B), e노드B들 (200D 내지 210D) 등), 코어 네트워크 (140) 의 임의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PCF (220A), PDSN (225A), SGSN (220B), GGSN (225B), MME (215D 또는 220D), HSS (225D), S-GW (230D), P-GW (235D), PCRF (240D)), 코어 네트워크 (140) 및/또는 인터넷과 커플링된 임의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 상기 언급된 통신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400) 는 도 1 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 (또는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400) 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400) 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 (300A 또는 300B), BS들 (200A 내지 210A) 중 하나, 노드 B들 (200B 내지 210B) 중 하나, e노드B들 (200D 내지 210D) 중 하나 등)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은 무선 트랜시버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RF 안테나, MODEM, 변조기 및/또는 복조기 등) 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2G, CDMA, W-CDMA, 3G, 4G, LTE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직렬 접속,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접속,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는 이더넷 접속 등) 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400) 가 일부 타입의 네트워크 기반 서버 (예를 들어, PDSN, SGSN, GGSN, S-GW, P-GW, MME, HSS, PCRF, 애플리케이션 (170) 등)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은 일 예에서, 그 네트워크 기반 서버를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통신 엔티티들에 접속하는 이더넷 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은 센서리 (sensory) 또는 측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 (400) 는 그 로컬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온도 센서, 광 센서, 로컬 RF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안테나 등).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수신 및/또는 송신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은 소프트웨어 단독 (alone) 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400) 는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은 적어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의 타입의 예의 구현들은 결정들을 수행하는 것, 접속들을 확립하는 것, 상이한 정보 옵션들 간에 선택들을 행하는 것, 데이터에 관한 평가들을 수행하는 것,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 (400) 에 커플링된 센서들과 상호작용하는 것, 일 포맷으로부터 다른 포맷으로 (예를 들어, .wmv 내지 .avi 와 같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간에 등등) 정보를 컨버팅하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별개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에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400) 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은 적어도 비일시적 (non-transitory) 메모리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에 포함된 비일시적 메모리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저장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400) 는 추가 옵션으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은 적어도 출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USB, HDMI 와 같은 비디오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포트 등),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피커들, 마이크로폰 잭, USB, HDMI 와 같은 오디오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포트 등), 진동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가 출력을 위해 포매팅되거나 또는 통신 디바이스 (4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실제로 출력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400) 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300A) 또는 UE (300B)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은 UE (300A) 의 디스플레이 (310A) 또는 UE (300B) 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305B) 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은 소정의 통신 디바이스들, 이를 테면,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제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420)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400) 는 추가 옵션으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카메라,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잭과 같은 오디오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포트 등), 및/또는 정보가 통신 디바이스 (4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400) 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UE (300A) 또는 UE (300B) 에 대응한다면,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은 키패드 (320A), 버튼들 (315A 또는 310B 내지 325B) 중 임의의 것,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305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은 소정의 통신 디바이스들, 이를 테면,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은 또한, 실행될 때,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입력 수신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은 소프트웨어 단독에 대응하지 않고,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25)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구성된 로직들 (405 내지 425) 은 도 4 에 개별 또는 별개의 블록들로서 도시되지만, 각각의 구성된 로직이 그 기능성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된 로직들 (405 내지 425) 의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구성된 로직들 (405 내지 425) 각각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에 의해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들의 기능성 (즉, 이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실행) 을 수행하도록,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415) 과 연관된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직들 중 하나와 직접 연관되는 하드웨어는 가끔 다른 구성된 로직들에 의해 차용 또는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의 프로세서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410) 과 연관된 하드웨어의 동작 (즉, 프로세서) 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 기능성 (즉, 이 경우에는, 데이터의 송신) 을 수행하도록,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405) 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으로 포매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확히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다면, 본 개시물 전반에 사용한 바와 같은 어구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일 실시형태를 인보크하도록 의도되고,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전용 (software-only) 구현들에 맵핑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구성된 로직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특정 로직 게이트들 또는 엘리먼트들에 한정되지 않고, (하드웨어를 통해서나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통해서나)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는 능력을 지칭한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블록들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구성된 로직들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단어 "로직" 을 공유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로직 게이트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서 반드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로직 간의 다른 상호작용들 또는 협동은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검토로부터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현재는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를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들을 전달하기 위한 2 개의 주요한 방법 : 중앙집중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및 피어-투-피어 (PSP) 모델이 존재한다. 중앙집중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전통의 시스템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서버 및 다양한 코어 컴포넌트들은 그룹 호출들 및 직접 호출들을 위한 순간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을 위해 서버에 의존하는 것은 3 개의 주요한 문제들을 갖는다 :
1. 비용 : 초기 설치 및 후속 유지보수의 비용과 같은 서버를 이용하는 것과 연관된 비용이 높다. 게다가, 서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설치 비용이 반드시 증가한다.
2. 확장성 : 가입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서버들의 수가 증가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서버들은 로드 스파이크 (load spike) 들을 핸들링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즉, 서버들은 대부분은 평균 로드가 훨씬 적을지라도 높은 트래픽 양의 주기들 동안 호출 프로세싱을 지원하기 위해 확장가능해야 한다.
3. 복잡성 : 서버들은 호출 셋업 및 호스팅을 핸들링하기 위해 다수의 서브컴포넌트들 및 컴포넌트간 인터페이스들을 요구한다. 서버들은 또한 서버 컴포넌트들 상의 호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서버 인터페이스 상의 복잡한 메시징을 요구한다. 그 호출 상태는 결국 클라이언트의 상태로부터 유도되고 그 상태에 의존한다.
그 결점들에도 불구하고, 호출 호스팅을 위해 서버를 이용하는 다수의 이유들이 존재한다. 호출 셋업을 위해, 서버는 발신자 (originator) 를 인증하고, 그룹 정의를 룩업하고, 타겟 IP 어드레스들을 룩업하며, 호출 가능성 및 제한들을 체크한다. 호출 호스팅을 위해, 서버는 각각의 타겟에 대해 미디어 스트림들을 반복 (replicate) 한다. CALEA (Communications Assistance for Law Enforcement Act) 컴플라이언스를 위해, 서버는 불투명한 마킹 (opaque marking) 및 미디어 포워딩 요건들을 시행할 수 있다. 빌링을 위해, 오퍼레이터는 서버로부터의 사용 기록 (usage record) 들을 이용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빌링할 수 있다. OAM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을 위해, 서버는 오퍼레이터에게 성능 메트릭들 및 트러블슈팅 능력 (troubleshooting capability) 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을 위해, 서버는 오퍼레이터에게, 이를 테면, 호출 제한들을 변화시키는 것 및 호출 타입 능력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것에 의해, 프로비저닝을 업데이트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P2P 시스템들은 순수 P2P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 양자를 포함한다. P2P 모델은 비용, 확장성, 및 복잡성과 같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결점들 중 일부를 다룬다. 그러나, P2P 시스템들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많은 이점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재의 P2P 시스템들은 안전한 사용자 인증, 보안, CALEA 컴플라이언스, 사용의 기록, 프로비저닝 등과 같은 텔레콤 캐리어의 요구를 전부 다루지는 않는다. 게다가, 미디어가 피어 간에 플로우하기 때문에, 상호운용성 (즉, 트랜스코딩 요구), 컨퍼런싱 (즉, 혼합 요구) 등을 위한 도전과제들을 제공한다.
P2P 시스템에서의 보안에 관하여, Skype® 와 같은 수퍼 노드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나의 디바이스는 그 디바이스의 소유자 (owner) 의 허락 없이 수퍼 노드가 된다. 이 모델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작동하지 않고, 이로써 디바이스들 대부분이 수퍼 노드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CALEA 컴플라이언스, 빌링, 및 프로비저닝과 같이, P2P 시스템에서의 보조 서비스 (auxiliary service) 들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현재의 P2P 시스템들 (순수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 양자) 의 이들 한정들이 캐리어-그레이드 텔레콤 서비스들에 적합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보통, 셀폰 사용자들은 소수의 사람들과 반복하여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통신을 위해 서버에 의존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드는 서버 리소스들의 불필요한 사용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중앙집중 서버가 소그룹의 가입자들 간의 호출들을 위해 효율적인 그룹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닌 솔루션을 제공한다. "소" 그룹의 가입자들은 예를 들어 2 명 내지 5 명의 가입자들일 수도 있다. 그러나, 셀폰 기술이 개선됨에 따라, 가입자들의 수는 반드시 증가할 것이며,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일 그룹의 특정 수의 가입자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전통의 P2P 솔루션이 아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전통의 중앙집중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채용하지만 서버는 모든 다른 필요한 기능성을 여전히 수행하면서 소정의 타입의 통신을 동적으로 오프로딩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소그룹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허브" 로 불림) 에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을 동적으로 오프로딩하고, 그 그룹에 대한 모든 다른 서버 기능성의 제어를 유지한다. 서버는 가능할 때마다, 또는 호출 단위 기준 (call-by-call basis) 으로, 트래픽 양이 임계값에 도달할 때, 높은 트래픽 양의 시간들 동안 이들 서비스를 오프로딩할 수도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을 오프로딩하는 방법, 시기, 및 내용을 판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소정의 연관성 (association) 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5 명의 가입자들의 그룹이 그들이 다른 누군가를 호출하는 것보다 더 빈번하게 서로 호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 호출들은 하나의 가입자로부터 다른 가입자에 대한 직접 호출들 또는 복수의 가입자들 간의 그룹 호출들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버는 5 명의 가입자들을 연관시킬 것이다. 서버는 이 연관성을 테이블 또는 엘리먼트들을 서로 연관시키는 일부 다른 데이터 구조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가입자들의 그룹/연관성을 식별했다면, 서버는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과 같은 단순 서비스들을 그 그룹에게 오프로딩할 수 있다. 그 그룹의 멤버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그 그룹 간의 호출들을 위해 호출 셋업, 관리, 및 애드 혹 기반의 미디어 전달을 관리한다. 이것은 이제 현세대의 셀폰들의 프로세싱 능력 및 3G/4G/WiFi 데이터 대역폭의 이용가능성의 증가로 실현가능하다. 서버는 트랜스코딩, 상호운용성, 혼합 등을 요구하는 서비스들과 같은 고급 서비스들을 위해 자동적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다시 제어를 실시한다 (take control back).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서버가 계속 제어하고 있고 CALEA, 빌링, 프로비저닝, 보안, 인증 등과 같은 호출들을 위한 보조 서비스들 모두를 제공하는 동안 서버 능력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확대한다. 다수의 주요 설계 포인트들이 존재한다 :
1. 등록 : 지정된/연관된 그룹 멤버들에 대한 등록 정보가 허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하다. 그 등록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나올 수 있고 또는 그 호출의 각각의 멤버는 그 등록 정보를 허브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2. 서버와 허브 간의 동기화 : 서버는 옵션으로는, 특정 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을 셋업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기반 솔루션을 이용하라는 표시를 (로드, 시간 등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상황에서는, 예를 들어, 6 시간 내지 12 시간의 "타임 투 리브 (time to live)" 시간이 존재할 것이며, 이 시간 후에는, 허브 또는 모든 그룹 멤버 디바이스들이 서버와 통신할 수 없다면, 그룹 호출 셋업 기능성이 허브 클라이언트에서 중단된다. 서버는 여전히 모바일 그룹을 알고 있고, 프로비저닝에 있어서 임의의 변화가 존재하면 언제든, 서버는 허브 또는 모든 그룹 멤버 디바이스들을 업데이트할 것이다.
서버는 또한 프로비저닝의 분산된 오프로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허브-서버 동기화 시에, 그 허브에 의해 서빙되는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는 허브에 전달된다. 허브는 그 후 후속 그룹 호출/직접 호출(들) 동안 프로비저닝 페이로드를 개개의 멤버 디바이스들에게 분산시킨다. 이것은 서버와 그룹 디바이스들 간의 여러 일-대-일 프로비저닝 트랜잭션 (transaction) 들을 서버와 허브 디바이스 간의 비교적 더 작게 분리된 프로비저닝 트랜잭션들에 오프로딩한다. 이것은 결국 프로비저닝 콘텐츠로 피기백된 호출들에 의해 후속된다.
3. 허브에의 부분 오프로딩 : 서버는 옵션으로는, 그 서버가 호출 셋업 시그널링을 계속 제공하는 동안, 단지 미디어 포워딩 기능성만을 허브 디바이스에 오프로딩할 수도 있다.
4. 지정된 허브의 동적 변화 : 처음에, 호출 발신자는 호출의 제어기의 역할을 할 수 있거나, 또는 서버가 허브를 지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단 호출이 확립되면, 임의의 다른 멤버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능력, 배터리 전력 상황, 메모리, 프로세싱 능력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 시스템 로드에 따라 가변한다), 소켓(들) 이용가능성, 무선 주파수 (RF) 컨디션 등에 기초하여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디바이스가 그 자신의 전력 상태가 낮다는 것을 발견한다면, 다른 멤버가 그 호출을 인계받는다는 요청을 그룹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KCM (key capability metric) 들이 허브로서 인계받기 위한 적격성을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KCM들은 동적 허브 랭킹 및 중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2 개의 디바이스들이 허브 능력들에 있어서 유사하다면, KCM 변화의 결과로서 동적 스위치가 발생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랭킹 알고리즘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유사하게 가능한 디바이스들이 허브가 되기에 적격이라는 것을 고려해보면, 하나의 디바이스가 충전기에 끼워진다면, 이 디바이스의 KCM 은 다른 적격의 디바이스보다 더 높을 것이다. 랭킹 알고리즘은 다음의 메트릭들을 내림차순으로 고려할 수 있다 : a) 프로세싱 리소스들 (예를 들어, CPU, 메모리), b) 전력 이용가능성 또는 모드 (디바이스는 작동 시에 낮을 수도 있지만, 충전중이라면 더 높은 KCM 을 기록할 것이다), c) RF 대역폭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대역폭은 통상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대역폭보다 더 크지만, 더 큰 그룹 호출들이 호스팅될 예정인 경우에는, 더 느린 WLAN 에 비해 LTE 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룹 내의 각각의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가 허브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그 KCM 을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 및 연관된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KCM 이 허브 적격성 및 스위칭에 대해 표시하는 간헐적인 "허브-상태 (hub-state)" 핸드셰이크 메시지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현재의 허브에 대한 로컬화된 알고리즘일 수 있으며, 이로써 허브-적격의 디바이스들은 그들 자신의 KCM 을 허브에 보고한다. 현재의 허브가 동작들을 지속시킬 수 없는 경우, 허브 핸드오프를 개시한다. 허브 핸드오프는 또한 서버에 보고될 수 있다. 가끔 어떤 디바이스도 허브가 되기에 적격이 아니거나 또는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허브 핸드오프는 서버를 다음 허브로서 표시할 것이다. 허브 핸드오프들은 서버에의 사용 기록들의 즉시 또는 지연 포스팅을 포함할 수 있다.
5. 신뢰성: 실패의 경우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 허브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무결절성으로 연락할 것이다.
6. CALEA : 오프로딩된 클라이언트들의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 이상이 법집행기관에 의해 마크된다면, 서버는 업데이트 정보를 모든 오프로딩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 신뢰가능하게 전송할 것이며, 이는 클라이언트 기반 접근법을 비활성화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이용하여 호출을 셋업할 것이다.
7. 빌링 및 OAM : 허브 클라이언트는 호출 기록들을 캐시하고, 오프-피크 시간들 동안, 사용 및 OAM 기록들을 대역 외 서버로 전송한다.
도 5 는 서버가 소정의 서버 기능성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허브") 에 오프로딩하는 일 실시형태의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예시한다. 510 에서, 클라이언트 A (500A), 클라이언트 B (500B), 및 클라이언트 C (500C)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에 등록한다. 52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이 등록 정보를 각각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53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클라이언트 A (500A), 클라이언트 B (500B), 및 클라이언트 C (500C) 간에 연관성을 형성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클라이언트 A (500A), 클라이언트 B (500B), 및 클라이언트 C (500C) 가 그룹 호출들로 및/또는 직접 서로 빈번하게 통신한다는 것을 결정했기 때문에 이 연관성을 형성한다.
그룹 연관성을 형성한 후, 연관된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허브로서 동적으로 할당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랜덤으로 또는 최상의 KCM들을 가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가장 호출을 개시할 가능성이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허브로서 할당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그룹 멤버 디바이스들은 허브를 결정할 수 있다. 허브는 호출을 개시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최상의 KCM들을 가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540 에서, 클라이언트들은 스타 접속 또는 메쉬 접속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550 에서, 허브, 도 5 의 예에서의 클라이언트 (500B) 는 주기적인 업데이트들을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로 전송한다. 이들 업데이트들은 사용 데이터 기록들 (UDR) 및 OAM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업데이트들은 또한 허브 할당 타이머를 리프레시한다. 허브 할당 타이머는 허브가 마지막으로 서버와 통신한 이후의 시간의 양을 추적한다. 이것은, 그룹이 그 "타임 투 리브" 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56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서버 기능성의 통신 그룹에의 오프로딩을 종료한다. 이것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상의 로드가 임계값보다 아래로 감소하기 때문에, 또는 570 에서처럼, 일부 특별한 필요로 인해 타이머의 만료에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ALEA 인터셉션 (interception) 들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170) 는 허브 디바이스로부터 호출의 제어를 다시 실시할 것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허브 (즉, 서버) 의 역할을 할 수 있는 2 개의 상이한 방식들, 즉 스타 접속 및 메쉬 접속이 존재한다. 서버는 그 그룹에 스타 접속 또는 메쉬 접속을 이용할 것을 명령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스타 접속에서,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은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그룹 간의 통신들을 관리하기 위해 특정 디바이스 (허브 디바이스) 를 동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허브 디바이스는 호출 등록을 유지하고, 호출을 셋업, 호스팅 (즉, 프로세싱 리소스들을 제공), 및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허브 디바이스가 호출의 멤버일 필요는 없다.
스타 접속에서, 각각의 그룹 멤버의 등록 정보는 허브 디바이스를 포함한, 그룹 멤버들 모두에게 이용가능하다. 호출 셋업 및 호스팅은, 서버 대신에 허브 디바이스가 이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버 기반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이 모델은 최종 사용자에게 투명 (transparent) 하며, 즉 최종 사용자는 호출이 허브 디바이스 상에 호스팅되는지 또는 서버 상에 호스팅되는지를 알지 못한다. CALEA 인터셉션들 등에 대해, 허브는 그룹으로부터 제거되고, 그룹 멤버들에는 호출 셋업 및 호스팅을 위해 서버의 어드레스가 업데이트된다.
도 6 은 스타 접속에 대한 일 예시적인 호출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6 의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클라이언트 A (600A), 클라이언트 B (600B), 클라이언트 C (600C), 및 클라이언트 D (600D) 간에 연관성을 형성하였고 (도 5 의 530 에서와 같음), 클라이언트 B (600B) 는 서버에 의해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의해 허브로서 지정되었다. 610 에서, 클라이언트 A (600A) 는 클라이언트 B (600B) 로 호출 요청을 전송한다. 호출 요청은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직접 호출을 위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그룹 호출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도 6 의 예에서, 호출 요청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A 내지 D (600A 내지 600D) 간의 그룹 호출을 위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단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A (600A), C (600C), 및 D (600D) 만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620 에서, 클라이언트 B (600B) 는 클라이언트 C (600C) 및 클라이언트 D (600D) 로 호출 통지 (call announcement) 를 전송한다. 630 에서, 클라이언트 D (600D) 는 클라이언트 B (600B) 로 "ACK"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출 통지를 확인응답한다. 640 에서, 클라이언트 C (600C) 는 동일한 방식으로 호출 통지를 확인응답한다. 650 에서, 클라이언트 B (600B) 는 클라이언트들 C (600C) 및 D (600D) 가 호출 통지를 확인응답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태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A (600A) 로 전송한다.
660 에서, 클라이언트 B (600B) 는 그룹 호출을 시작하기 위해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연락한다. 670 에서, 클라이언트 A (600A) 는 클라이언트 B (600B) 에 미디어를 송신한다. 그 미디어는 그룹 통신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불투명한 데이터 (opaque data) 일 수도 있다. 680 에서, 클라이언트 B (600B) 는 그 미디어를 클라이언트들 C (600C) 및 D (600D) 로 포워딩한다.
도 6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은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호출을 프로세싱 및 호스팅하고 있었던 것과 동일하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단순히 서버 대신에 허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갖는다. 서버로 전송될 임의의 통신들은 대신에 허브의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바로 전송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제 2 방식, 즉 메쉬 접속에서, 통신 그룹의 각각의 멤버는 다른 멤버들에 대한 등록 정보를 유지한다. 호출을 발신하는 클라이언트는 호출에 대한 개시 허브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발신 클라이언트는 직접 모든 멤버 클라이언트들을 페이징하고, 호출이 셋업될 때, 음성 패킷들을 클라이언트들 각각으로 전송한다. 스타 접속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모델은 최종 사용자에게 투명하며, 즉 최종 사용자는 호출이 허브 디바이스 상에 호스팅되는지 또는 서버 상에 호스팅되는지를 알지 못한다. CALEA 인터셉션들 등에 대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불투명한 마커 구성을 송신하고, 최종 사용자의 지식 없이, 사용자가 마크된다면, 시그널링 및 미디어 스트림이 또한 인터셉트 서버로 전송된다.
도 7 은 메쉬 접속에 대한 일 예시적인 호출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7 의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클라이언트 A (700A), 클라이언트 B (700B), 및 클라이언트 C (700C) 간에 연관성을 형성하였다 (도 5 의 530 에서와 같음). 메쉬 접속에서, 사전 지정된 허브가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호출을 개시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허브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호출이 개시된 후, 발신자/허브는 허브 응답성 (responsibility) 들을 그룹 내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 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A (700A) 는 그룹 멤버들 간에 호출을 개시하길 원한다. 호출은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직접 호출이거나 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PTT 호출과 같은 그룹 호출일 수 있다. 여기서는, 모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그룹 호출이다. 이에 따라, 710 에서, 클라이언트 A (700A) 는 호출 통지를 클라이언트 B (700B) 및 클라이언트 C (700C) 로 전송한다. 720 에서, 클라이언트 B (700B) 는 클라이언트 A (700A) 로 "ACK"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출 통지를 확인응답한다. 730 에서, 클라이언트 C (700C) 는 동일한 방식으로 호출 통지를 확인응답한다.
740 에서, 클라이언트 A (700A) 는 그룹 호출을 시작하기 위해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연락한다. 750 에서, 클라이언트 A (700A) 는 클라이언트 B (700B) 및 클라이언트 C (700C) 에 미디어를 송신한다. 그 미디어는 그룹 통신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불투명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크 스퍼트 (talk spurt) 일 수도 있다.
이 포인트까지는,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은,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호출을 프로세싱 및 호스팅하고 있었던 것과 동일하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단순히 서버 대신에 허브/호출 발신자의 어드레스를 갖는다. 서버로 전송될 임의의 통신들은 대신에 허브의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바로 전송된다.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그룹 통신 동안 미디어를 송신하길 원할 때 이것은 변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다른 클라이언트들 모두의 등록 정보를 갖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허브를 통하여 미디어를 라우팅하기보다는 다른 클라이언트들에 바로 미디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C (700C) 의 사용자는 그룹 호출 동안 미디어를 송신하길 원한다. 이에 따라, 760 에서, 클라이언트 C (700C) 는 클라이언트 A (700A) 를 통하여 미디어를 라우팅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 A (700A) 및 클라이언트 B (700B) 에 바로 미디어를 송신한다. 유사하게, 770 에서, 클라이언트 B (700B) 는 클라이언트 A (700A) 를 통하여 미디어를 라우팅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 A (700A) 및 클라이언트 C (700C) 에 바로 미디어를 송신한다.
도 8 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일 실시형태의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예시한다. 이 포인트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통신 그룹으로 연관시켰고,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서버 기능성을 오프로딩하기로 결정하였다. 810 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통신 그룹의 각각의 멤버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
820 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통신 그룹에 대한 허브의 역할을 하기 위한 할당을 수신한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그 할당을 수신할 수 있고, 통신 그룹은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KCM들에 기초하여)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최상의 허브가 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메쉬 접속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호출을 개시하고 있을 수도 있다.
830 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호출 요청을 수신한다. 호출 요청은 그룹 내의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또는 허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에서 나올 수도 있다. 840 에서, 허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호출을 셋업한다. 이것은 호출의 타겟(들)으로 호출 통지를 전송하는 것, 타겟(들)으로부터 확인응답(들)을 수신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850 에서, 호출이 셋업된 후, 허브 디바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불투명한 데이터와 같은 호출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한다. 허브 디바이스는 호출을 개시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허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860 에서, 허브 디바이스는 미디어 스트림을 호출 시에 타겟(들)에 송신한다.
870 에서, 허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이들 업데이트들은 UDR 및 OAM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허브 할당 타이머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초래한다.
도 9 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수행된 일 실시형태의 일 예시적인 플로우를 예시한다. 91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그것이 서빙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부터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 92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연관성들을 식별하고, 이들 연관성들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들을 형성한다. 이들 연관성들은 직접 또는 PTT 호출들과 같은 그룹 통신들로 서로 빈번히 통신하는 소그룹 가입자들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93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을 통신 그룹에 오프로딩하기로 결정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이 결정을, 시각, 즉 피크 또는 오프-피크,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의 현재의 로드,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능력 등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94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통신 그룹의 멤버들의 등록 정보를 그 그룹의 각각의 멤버에게 송신한다. 서버는 그 후 허브를 할당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룹이 허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서버는 허브 할당을 알고 있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서버 어드레스로서 허브의 어드레스를 투명하게 프로비저닝한다. 이 프로비저닝은 멤버들에게 등록 정보를 송신하는 것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이 포인트에서, 허브 디바이스는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을 인계받는다. 95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허브로부터 주기적인 업데이트들을 수신한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이들 업데이트들은 UDR 및 OAM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허브 할당 타이머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960 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허브 디바이스로부터 다시 제어를 실시한다. 서버 기능성을 허브에 오프로딩하기로 한 결정과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이 결정을, 시각, 즉 피크 또는 오프-피크,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의 현재의 로드,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능력, 타이머의 만료 등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또한 이 결정을, 특별한 사정들, 이를 테면 CALEA 요건들에 기초하여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주로 CDMA2000 네트워크들 내의 1x EV-DO 아키텍처, W-CDMA 내의 GPRS 아키텍처 또는 LTE 기반 네트워크들 내의 UMTS 네트워크들 및/또는 EPS 아키텍처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은 다른 타입들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또는 프로토콜과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게다가,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별개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에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대안에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UE) 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일 예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불리게 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매체의 정의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 사용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시키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시킨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물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시하지만, 다양한 변화들 및 변경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명세서에 행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행동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은 단수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로의 한정이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15)

  1.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500A; 500B; 500C; 600A; 600B; 600C; 600D) 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520; 810);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호출을 위한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610; 830);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상기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상기 호출을 셋업하는 단계 (620; 710; 840);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670; 850); 및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상기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 (680; 750; 860) 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호출에 대한 허브의 역할을 하기 위한 할당 (assignment) 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는, 다르게는 상기 호출을 호스팅할 서버로부터 상기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을 현재 호스팅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등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을 셋업하는 단계는 :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상기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호출 통지 (call announcement) 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발신하는 호출을 호스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다르게는 상기 호출을 호스팅할 서버가 상기 호출을 위한 보조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서비스들은 CALEA (Communications Assistance for Law Enforcement Act) 컴플라이언스, 빌링, 프로비저닝, 보안, 또는 인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다르게는 상기 호출을 호스팅할 서버로부터 타이머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값은, 상기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없다면, 호출들을 호스팅하는 것을 중단해야 하는 시간 주기를 표시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르게는 상기 그룹 호출을 호스팅할 서버와 주기적으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
  13.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기 위한 장치 (300A; 300B; 400; 500A; 500B; 500C; 600A; 600B; 600C; 600D) 로서,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500A; 500B; 500C; 600A; 600B; 600C; 600D) 에 대한 등록 정보를 수신 (520; 810) 하도록 구성된 로직;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호출을 위한 호출 요청을 수신 (610; 830) 하도록 구성된 로직;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상기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의 상기 호출을 셋업 (620; 710; 840) 하도록 구성된 로직;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 (670; 850) 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 상기 2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송신 (680; 750; 860) 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기 위한 장치 (300A; 300B; 400; 500A; 500B; 500C; 600A; 600B; 600C; 600D).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00A; 300B; 400; 500A; 500B; 500C; 600A; 600B; 600C; 600D).
  15.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통신 엔티티 (300A; 300B; 400; 500A; 500B; 500C; 600A; 600B; 600C; 600D) 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사용자 디바이스 (500B; 600B; 700A) 에서 그룹 호출을 호스팅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57013837A 2012-10-30 2013-10-28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의 오프로딩 KR20150079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63,625 US9066212B2 (en) 2012-10-30 2012-10-30 Offloading call processing and call hosting for a small group call to a client device
US13/663,625 2012-10-30
PCT/US2013/067005 WO2014070634A2 (en) 2012-10-30 2013-10-28 Offloading call processing and call hosting for a small group call to a cli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828A true KR20150079828A (ko) 2015-07-08

Family

ID=4962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837A KR20150079828A (ko) 2012-10-30 2013-10-28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의 오프로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6212B2 (ko)
EP (1) EP2915399A2 (ko)
KR (1) KR20150079828A (ko)
CN (1) CN104756588A (ko)
WO (1) WO20140706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7767A1 (ja) * 2013-04-10 2014-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9894185B2 (en) * 2014-12-16 2018-02-13 Software Ag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based application logic shifting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US10536945B2 (en) * 2018-01-31 2020-01-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plitting communication channels
JP7139658B2 (ja) * 2018-03-30 2022-09-2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0593A (en) * 1990-10-24 1993-06-15 Gt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Corporation Cellular radiotelephone credit card paystation method
US6335927B1 (en) 1996-11-18 2002-01-0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quested quality of service in a hybrid network
US20030153341A1 (en)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Server for initiating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153340A1 (en)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Server for joining a user to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154249A1 (en) *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a member from an active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7317791B2 (en) * 2002-08-08 2008-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ference call participants
US20040077358A1 (en) 2002-10-18 2004-04-22 Togabi Technologies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ed arbitration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s system
CN1886944A (zh) 2003-11-25 2006-12-27 国际商业机器公司 移动集线器和管理移动集线器中的事件
US7558589B2 (en) 2004-04-08 2009-07-07 Motorola, Inc. Talker arbit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210202B2 (en) 2007-06-20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a in a grou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323655A1 (en) * 2008-03-31 2009-12-31 Cozybit, Inc. System and method for inviting and sharing conversations between cellphones
US8758111B2 (en) * 2008-08-20 2014-06-24 Cfph, Llc Game of chance systems and methods
US8065361B2 (en) 2009-02-27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using a data hub server with servers to source and access informational content
US9086875B2 (en) * 2009-06-05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US8731535B2 (en) * 2010-07-08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Group communication se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780961B2 (en) * 2010-10-29 2014-07-15 Broadcom Corporation Mixed-mode wireless device operation
US8712391B2 (en) * 2010-12-08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Client-managed group communication session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395654B2 (en) 2011-01-03 2013-03-12 Alcatel Lucent Offload of server-based videoconference to client-based video confer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0634A3 (en) 2014-06-26
US20140120889A1 (en) 2014-05-01
EP2915399A2 (en) 2015-09-09
CN104756588A (zh) 2015-07-01
WO2014070634A2 (en) 2014-05-08
US9066212B2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6270B (zh) 服务器仲裁的从网络基础设施的对等通信卸载
KR101832721B1 (ko) 셀룰라를 통한 서비스들에 대한 동적 서비스 품질 (qos)
JP6505706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ッチコミュニケーションスイート能力情報の交換
US9554366B2 (en) Optimized always-on wireless service using network assistance and keep-alives
KR20150052150A (ko)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다수의 동시 세션들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의 선택적인 할당
CN104969605A (zh) 基于web客户端的会话的服务质量
US20140211619A1 (en) Probabilistic reten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 (qos) bearer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rvice as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volte)
EP3036878A1 (en) Updating contact information for client devices registered to the same user for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EP3036887B1 (en) Single network registration where multiple applications access the network using separate processors
US20140068098A1 (en) Reducing network latency resulting from non-access stratum (nas) authentication for high performance content applications
WO2016069312A1 (en) Exchanging floor arbitration history information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JP2016518765A (ja) 潜在的なサービス中断の検出、報告、およびそれからの回復
US20160309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data loss following an inter-pdsn handoff based on a simple ip network
KR20150079828A (ko) 소그룹 호출을 위한 호출 프로세싱 및 호출 호스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의 오프로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