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364A -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364A
KR20160105364A KR1020160103980A KR20160103980A KR20160105364A KR 20160105364 A KR20160105364 A KR 20160105364A KR 1020160103980 A KR1020160103980 A KR 1020160103980A KR 20160103980 A KR20160103980 A KR 20160103980A KR 20160105364 A KR20160105364 A KR 2016010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actor
microorganism
amplification
rea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준일
오은주
Original Assignee
한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울이엔씨 filed Critical 한울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10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5364A/ko
Publication of KR2016010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8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y or the form in which the microorganisms are added or do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3Textile-type pac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3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6Nutrients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폭조 내에 활성오니가 1차로 상기 제1반응기에 수용된 다공성 담체와 접촉한 다음, 2차로 상기 제2반응기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와 접촉하면서 제1,2산기관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미생물의 활성화 내지 증식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고, 제1,2산기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활성오니 및 미생물이 증폭조 내에서 순환하여 하,폐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High 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organism ampl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폭조 내에 활성오니가 1차로 상기 제1반응기에 수용된 다공성 담체와 접촉한 다음, 2차로 상기 제2반응기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와 접촉하면서 제1,2산기관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미생물의 활성화 내지 증식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고, 제1,2 산기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활성오니 및 미생물이 증폭조 내에서 순환하여 하,폐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ㆍ하수 중의 질소 및/또는 인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시설은 생물반응조와 침전조로 구성되며, 상기 생물반응조는 혐기영역, 무산소영역, 호기영역 등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생물학적으로 질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호기영역과 무산소영역이 요구되며, 호기영역에서 암모니아성 질소가 산화되면, 산화된 결과물인 질산염이 무산소영역에서 질산염을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는 종속 영양 미생물에 의해 질소가스로 탈질산화되어 제거된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인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혐기영역과 호기영역 또는 무산소영역이 요구되며, 혐기영역에서 인을 과잉섭취하는 미생물인 PAO(phosphate accumulating organism)가 인을 방출하면서 휘발성 유기산을 흡수하여 체내에서PHA(poly-hydroxy alkanoate)를 합성하면, 호기영역 또는 무산소영역에서 상기 PAO가 PHA를 이용하여 성장하면서 인을 과잉섭취하고, 이와 같이 인을 과잉섭취한 PAO를 슬러지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인을 제거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처리하고자 하는 시설이 개발되었으며, 구체적으로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및 침전조의 순차적인 배열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사용하여 폐ㆍ하수 중의 질소 및 인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공법이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폐ㆍ하수가 유입되는 혐기조에 침전조로부터의 슬러지도 반송 슬러지관을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당량의 질산염에 의해 인의 처리가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유입되는 폐ㆍ하수에 포함된 유기산 및 생물학적 이분성 COD(RBCOD, readily biodegradable COD)가 혐기조에서 PAO에 의해 이용되기 전에 인을 과잉섭취하지 않은 일반 탈질 미생물(ordinary denitrifying heterotrophic organism)에 의해 먼저소모되므로, PAO는 체내에 PHA를 충분히 합성하지 못하여 이후 호기조에서 인을 흡수하지 못하고, 인은 그대로 처리수와 함께 방류된다. 특히 일반적인 국내 하수와같이TKN(total kjeldahl nitrogen)/COD 및 TP(total phosphorus)/COD 비율은 높고 COD 중에서 RBCOD의 함량은 낮은 조건에서는 A2O 공법에 의한 인처리 효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6696호에는 A2O의 단점인 혐기조로의 반송슬러지 유입에 따른 질산염 부하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수정 요하네스버그공법의 단점인 반송슬러지 질산염의 탈질산화에 높은 유입 폐ㆍ하수 RBCOD 소모량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여 인의 제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생물학적 폐ㆍ하수 처리장치를 개발하였다.
한편, 수질분야에서는 AF(Anaerobic Filter)나 UASB(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SBBR(Seqeuncing Batch Biofilm Reactor) 등의 미생물 충전형 하수 및 폐수처리시설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효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리고, 위 등록특허를 포함한 종래 기술에서는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호기조 내지 폭기조에 담체를 충전하게 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담체효율이 떨어지고 새로운 담체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폭조 내에 활성오니가 1차로 상기 제1반응기에 수용된 다공성 담체와 접촉한 다음, 2차로 상기 제2반응기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와 접촉하면서 제1,2산기관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미생물의 활성화 내지 증식이 현저히 증가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 산기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활성오니 및 미생물이 증폭조 내에서 순환하여 하,폐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담체를 고압에서 압착하여 제조하고, 제1반응기 내로 미생물을 보충함으로써, 다공성 담체를 교체하지 않거나 또는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는 무산소조, 혐기조, 폭기조 및 침전조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조에서 고액 분리된 활성오니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미생물을 증폭하여 상기 폭기조로 공급하는 미생물 증폭장치가 마련된 증폭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생물 증폭장치는 상기 증폭조에 내에 설치되며 다수의 다공성 담체가 충전된 제1반응기와, 상기 제1반응기의 일측에 병설되고 발포성 스펀지가 충전된 제2반응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폭조 내의 활성오니가 1차로 상기 제1반응기에 수용된 다공성 담체와 접촉한 다음, 2차로 상기 제2반응기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제1반응기는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제1반응기 몸체와, 상기 제1반응기 몸체 내에 설치된 제1망부재와, 상기 제1망부재 상에 놓이는 다공성 담체와, 상기 유입구 및 제1망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반응기는 상단부가 개방되는 제2반응기 몸체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망부재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 내에 수용된 다수의 상기 발포성 스펀지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된 제2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반응기는 일단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제1산기관은 상측에 배치된 상기 다공성 담체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산기관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바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제2반응기 몸체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2반응기 몸체 내에서 상승하는 활성오니가 상기 제1반응기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가이드 스커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증폭조에는 외부에서 상기 제1반응기로 미생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증폭조 외부로 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반응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미생물 공급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다공성 담체는 황토와, 패각 분말과, 미강과, 부엽토와, 제올라이트와, 소석회 중에서 적어도 2가지 성분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압축 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물의 반죽시 미생물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에서 고액 분리된 활성오니는 상기 증폭조와, 상기 폭기조를 거쳐 다시 상기 침전조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증폭조 내에 활성오니가 1차로 상기 제1반응기에 수용된 다공성 담체와 접촉한 다음, 2차로 상기 제2반응기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와 접촉하면서 제1,2산기관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미생물의 활성화 내지 증식이 현저히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제1,2산기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활성오니 및 미생물이 증폭조 내에서 순환하여 하·폐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다공성 담체를 고압에서 압착하여 제조하고, 제1반응기 내로 미생물을 보충함으로써, 다공성 담체를 교체하지 않거나 또는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가 증폭조 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가 증폭조 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는 크게 침사조(10)와, 유량조정조(11)와, 무산소조(12)와, 혐기조(13)와, 폭기조(14)와, 침전조(15)와, 여과수조(16)와, 방류조(17)와, 분배조(18)와, 증폭조(20)와, 슬러지 저류조(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사조(10)는 하·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토사류 또는 고형물을 사전에 제거하여 토사류 또는 고형물이 하,폐수 처리장치에 침적하거나 펌프 등의 고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사조(10)를 거친 하·폐수는 유량조정조(11)로 공급된다.
상기 유량조정조(11)는 수량의 변동 및 수질을 일정하여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시간대별, 계절적으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양이 큰 폭의 변동되기 때문에 폭기조 등으로 유입되기 전에 하,폐수를 일정 시간 동안 체류시켜 수량의 변동을 감소시키고 수질을 균등하게 한다. 그리고 유량조정조(11)는 하부에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하며, 부패방지를 위해 산소/공기 공급을 통한 교반이 이루어진다.
상기 무산소조(12)는 상기 폭기조(14) 또는 분배조(18)에서 내부 반송되는 오니, 유량조정조(11)에서 공급되는 하·폐수에 함유된 질산화물을 탈질 미생물에 의해 탈질화함으로써 질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혐기조(13)는 호기성 조건에 노출된 미생물이 인을 과량으로 함유한 오니를 폐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인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혐기조(13)에서 인 농도와 유기물 농도가 낮아진 하·폐수는 상기 폭기조(14)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질산화되고 다시 무산소조(12)로 내부 반송되어 탈질화됨으로써 질소가 제거 된다.
상기 폭기조(14)는 제1폭기조와 제2폭기조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생물을 증식시켜 미생물로 하여금 오염 성분을 섭취, 분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폭기조(14)에서는 비침전성 미세입자와 용존되어 있는 상태의 물질들을 미생물 플록(Floc)으로 전환시키며, 폭기조에서 새로이 생긴 미생물 플록은 오니(슬러지)가 된다.
이러한 오니는 침전조(15)에서 침전과정을 거침으로써, 중력에 의해 고액 분리되며, 상부의 물은 여과수조(16) 및 방류조(17)를 거쳐 방류되며, 침전조(15) 하부에 침전된 활성오니는 분배조(18)로 이송된다.
상기 분배조(18)로 공급된 활성오니는 증폭조(20), 무산소조(12)로 분배되고, 잉여 활성오니는 슬러지 저류조(19)를 통해 반출된다.
상기 증폭조(20)는 침전조(15)에서 고액 분리된 활성오니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미생물을 증폭하여 상기 폭기조(14)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미생물 증폭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미생물 증폭장치는 크게 상기 증폭조(20)에 내에 설치되며 다수의 다공성 담체(219)가 충전된 제1반응기(210)와, 상기 제1반응기(210)의 일측에 병설되고 발포성 스펀지(256)가 충전된 제2반응기(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폭조(20) 내의 활성오니가 1차로 상기 제1반응기(210)에 수용된 다공성 담체(219)와 접촉한 다음, 2차로 상기 제2반응기(250)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256)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반응기(210)는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가 마련된 제1반응기 몸체(211)와, 상기 제1반응기 몸체(211) 내에 설치된 제1망부재(214)와, 상기 제1망부재(214) 상에 놓이는 다공성 담체(219)와, 상기 유입구(212) 및 제1망부재(214) 사이에 배치된 제1산기관(215)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 몸체는 상부가 꼬깔 형태로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의 꼭지점 영역에 활성오니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1망부재(214)는 철판에 다수의 홀이 펀칭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홀의 크기는 다공성 담체(219)보다는 작으며 활성오니 내지 공기의 흐름에 최대한 지장을 주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성 담체(219)는 황토와, 패각 분말과, 미강과, 부엽토와, 제올라이트와, 소석회 중에서 적어도 2가지 성분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압축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담체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물의 반죽시 미생물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다공성 담체에 미생물들이 흡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되는 미생물은 고농도로 배양된 광합성 미생물, 토양 미생물, 탈취 미생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종래에는 다공성 담체가 소모되면 크레인으로 반응기를 끌어올린 후 다공성 담체를 교환하기 때문에 설치된 산기관, 반송 장치 등을 해체하는 데 많은 노력과 비용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담체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증폭조(20)에는 외부에서 상기 제1반응기(210)로 미생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증폭조(20) 외부로 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반응기 몸체(211)의 일측에 연결된 미생물 공급관(217)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에 의해 다공성 담체(219)에 흡착된 미생물이 부족해지는 경우, 미생물을 상기 미생물 공급관(217)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다공성 담체(219)의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반응기(250)는 제2반응기 몸체(251)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망부재(252)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 내에 수용된 다수의 상기 발포성 스펀지(256)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의 하부에 배치된 제2산기관(25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는 하단부는 밀폐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상단부에는 상기 제2망부재(252)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들은 상기 제2망부재(252)에 의해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망부재(252)도 제1망부재(214)와 마찬가지로 철판에 다수의 홀이 펀칭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홀의 크기는 활성오니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다수의 상기 발포성 스펀지(256)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크기와 개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반응기(210,250)는 일단은 상기 유출구(213)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관(2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산기관(253)이 상단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하게 되면 활성오니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의 바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산기관(215)과 제2산기관(253)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활성오니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원이 된다.
상기 제1반응기 몸체(211)의 유입구(212)로 유입된 활성오니는 유출구(213), 연결관(230)을 통해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 내로 이동하여 내부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256)와 접촉한 다음,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의 개방된 상단부 일측에는 판 형상의 가이드 스커트(25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스커트(254)는 상기 제1반응기 몸체(211)에서 먼 쪽에 설치되되, 상기 제1반응기 몸체(211) 쪽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스커트(254)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2반응기 몸체(251) 내부에서 제2산기관(253)의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활성오니의 흐름이 제1반응기 몸체(211) 쪽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제1반응기 몸체(211)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1산기관(215)과 ,제2산기관(253) 및 가이드 스커트(254)에 의해 상기 증폭조(20) 내에서 활성오니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오니와 함께 상기 미생물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미생물도 순환하게 되는데, 일부는 다공성 담체 또는 발포성 스펀지에 흡착하여 번식하고, 일부는 활성오니와 함께 증폭조 내에서 순환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분배조를 통해 증폭조로 유입된 활성오니는 각종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가 충전된 제1반응기를 통과하게 되고, 제1산기관을 통해 폭기를 하면 미생물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미생물들의 일부는 제2반응기에 충전된 발포성 스펀지에 흡착되고 제2산기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증식하며, 일부는 제2반응기 외부로 이동하면서 활성화 내지 증식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이 반복되면서 증폭조 내의 미생물들은 양적으로 증폭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침사조 11 : 유량조정조
12 : 무산소조 13 : 혐기조
14 : 폭기조 15 : 침전조
16 : 여과수조 17 : 방류조
18 : 분배조 19 : 슬러지 저류조
20 : 증폭조
210 : 제1반응기 211 : 제1반응기 몸체
212 : 유입구 213 : 유출구
214 : 제1망부재 215 : 제1산기관
217 : 미생물 공급관 219 : 다공성 담체
230 : 연결관 250 : 제2반응기
251 : 제2반응기 몸체 252 : 제2망부재
253 : 제2산기관 254 : 가이드 스커트
256 : 발포성 스펀지

Claims (7)

  1. 무산소조, 혐기조, 폭기조 및 침전조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의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서 고액 분리된 활성오니를 공급받아 수용하고 미생물을 증폭하여 상기 폭기조로 공급하는 미생물 증폭장치가 마련된 증폭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생물 증폭장치는, 상기 증폭조에 내에 설치되며 다수의 다공성 담체가 충전된 제1반응기와, 상기 제1반응기의 일측에 병설되고 발포성 스펀지가 충전된 제2반응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폭조 내의 활성오니가 1차로 상기 제1반응기에 수용된 다공성 담체와 접촉한 다음, 2차로 상기 제2반응기 내에 수용된 발포성 스펀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기는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제1반응기 몸체와, 상기 제1반응기 몸체 내에 설치된 제1망부재와, 상기 제1망부재 상에 놓이는 다공성 담체와, 상기 유입구 및 제1망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반응기는 상단부가 개방되는 제2반응기 몸체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망부재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 내에 수용된 다수의 상기 발포성 스펀지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된 제2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반응기는 일단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기관은 상측에 배치된 상기 다공성 담체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산기관은 상기 제2반응기 몸체의 바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기 몸체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2반응기 몸체 내에서 상승하는 활성오니가 상기 제1반응기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가이드 스커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조에는 외부에서 상기 제1반응기로 미생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증폭조 외부로 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반응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된 미생물 공급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담체는 황토와, 패각 분말과, 미강과, 부엽토와, 제올라이트와, 소석회 중에서 적어도 2가지 성분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압축 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물의 반죽시 미생물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서 고액 분리된 활성오니는 상기 증폭조와, 상기 폭기조를 거쳐 다시 상기 침전조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KR1020160103980A 2016-08-17 2016-08-17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KR20160105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980A KR20160105364A (ko) 2016-08-17 2016-08-17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980A KR20160105364A (ko) 2016-08-17 2016-08-17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364A true KR20160105364A (ko) 2016-09-06

Family

ID=5694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980A KR20160105364A (ko) 2016-08-17 2016-08-17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53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45A (ko) * 2017-03-31 2018-10-1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 오염원 처리를 위한 다공성 담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751405A (zh) * 2018-06-04 2018-11-06 浙江天乙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全程脱氮型反应器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45A (ko) * 2017-03-31 2018-10-1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 오염원 처리를 위한 다공성 담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751405A (zh) * 2018-06-04 2018-11-06 浙江天乙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全程脱氮型反应器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229B1 (en) Bioreactor systems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KR100953058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CN1318324C (zh) 使用自粒化活性污泥的污水处理设备及其污水处理方法
CN110217892B (zh) 基于一体化生化反应池的污水脱氮除磷工艺
CN104724828B (zh) 一种对低碳氮比生活污水同步硝化反硝化耦合除磷方法
KR100271942B1 (ko)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용존 산소 농도 조절식 폭기조에 의한 고농도 폐수의 고부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47560A (ko)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KR100527172B1 (ko) 축산폐수 및 분뇨등 고농도의 질소를 함유하는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72161B1 (ko)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US6159372A (en)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by using ball shaped circulating and elongated stationary ciliary filter cakes
KR20160105364A (ko)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JP2009131773A (ja) 廃水処理方法
JP3477161B2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11092811A (ja)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CN108862943B (zh) 一种可调节生物膜-活性污泥污水处理方法和装置
US20130098815A1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CA24251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enhanced solids reduction (esr)
KR20210124778A (ko) 미생물 증폭장치를 이용한 축산폐수 처리장치
KR101048666B1 (ko) 부유식과 부착식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공정 및 물리화학적 인 제거공정을 결합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100983829B1 (ko) 메탄발효조를 이용하는 유기물의 부식화에 의한 폐수의처리방법
KR100719435B1 (ko) 축산분뇨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413348Y1 (ko) 폐수내의 암모니아, 인과 고형물의 제거 장치
CN205088063U (zh) 处理高浓度氨氮有机废水的设备
KR20000013729A (ko)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인 및 질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7345389B2 (ja) 水処理設備及び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