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268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268A
KR20160105268A KR1020150114036A KR20150114036A KR20160105268A KR 20160105268 A KR20160105268 A KR 20160105268A KR 1020150114036 A KR1020150114036 A KR 1020150114036A KR 20150114036 A KR20150114036 A KR 20150114036A KR 20160105268 A KR20160105268 A KR 2016010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egion
frame
display member
in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김종해
윤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54,93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37988B2/en
Priority to MYPI2017701126A priority patent/MY181524A/en
Priority to EP16157700.2A priority patent/EP3062170A1/en
Priority to CN201680010963.7A priority patent/CN107250926B/zh
Priority to PCT/KR2016/001942 priority patent/WO2016137278A1/en
Publication of KR2016010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08Sounding bodies; Whistles; Musical apparatu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9/00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 G04B39/02Sealing crystals or glas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9/00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 G04B39/02Sealing crystals or glasses
    • G04B39/025Sealing crystals or glasses without special sealing par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글래스와, 제1글래스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하고, 제2글래스는 상기 제1글래스의 테두리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영역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외의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 / 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휴대 목적의 전자 장치, 예컨대,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등은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바형, 폴더형, 슬라이딩형의 외관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 장치가 소형화되어, 손목(wrist)이나 두부(head)와 같은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즉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또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라고도 함.)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채워지는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시계 기능은 물론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고, 사진을 찍거나 영상을 확인하거나, 음악 재생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부터 착용자의 생채 신호 검출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와치 타입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야 한다. 또한, 전자 장치의 사이즈는 줄여야 되나, 디스플레이와 같이 화면이 표시되거나 입, 출력이 구현되는 영역은 그 사이즈가 커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표시부 이외의 영역, 예를 들어 화면이 표시되며 입, 출력을 구현하는 활성 영역의 주변둘레에 위치되어 신호 라인이나 회로부 등이 구비될 수 있게 차폐된 베젤 영역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활성 영역의 사이즈가 감소하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 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활성 영역과, 본체가 서로 비례되게 대응되는 크기, 예를 들어 활성 영역이 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체도 활성 영역의 크기에 비례적으로 대응되는 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재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차폐부를 최대한 얇고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글래스와, 상기 제1글래스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글래스는 상기 제1글래스의 테두리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부재가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운-업(down-up)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부재의 테두리가 프레임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커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부재의 테두리 형상에 영향 없이 본체부, 차폐부, 활성 영역의 크기를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게 하면서 프레임 크기의 최소화, 활성 영역 크기의 최대화, 노출되는 차폐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의 전체가 프레임의 내측면에 위치되거나, 달리 차폐부의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고, 차폐부의 나머지 영역은 프레임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어, 외부로 노출되는 차폐부는 얇으면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차폐부가 일정한 폭을 가지거나 그 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디자인을 고급스럽고 수려하게 할 수 있고, 심미감을 지향할 수 있다.
또한, 듀얼 글래스 형태로 글래스 패널을 형성하여 서로 다른 형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부재의 주변부가 프레임의 테두리에 위치되어, 본체부의 크기는 기존과 대비하여 커지지 않으면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부재의 표면 및 본체부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패널을 듀얼 글래스로 형성함으로써, 주변부에 단턱진 형상을 가진 글래스 패널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원 글래스로 형성하는 것에 대비하여 파손의 위험성을 저하시키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치 타입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개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반적인 와치 타입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부재를 구비한 프레임의 각각 다른 형상을 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 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본체부에 배치되는 비활성 영역 및 이를 차폐하는 차폐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본체부에 배치되는 비활성 영역 및 이를 차폐하는 차폐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가 적층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가 프레임에 조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방향의 수직방향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가 프레임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 예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1 전자 장치 또는 제2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MD(head-mounted-device),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착용자'는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를 머리에 착용하고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 또는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와치 타입 전자 장치(20)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개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는 일반적인 와치 타입 전자 장치(20)에서, 디스플레이 부재(10)를 구비한 프레임(21)의 각각 다른 형상을 개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는, 디스플레이 부재(10)를 구비한 프레임(21)과, 프레임(21)을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시키는 밴드와 같은 착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10)는 프레임(21)에 지지되며, 복수개의 패널들, 예를 들어 엘씨디와 같은 표시패널, 터채패널, 글라스 패널 등이 적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는(10)는 그 일면으로 화면을 표시하며, 입출력 등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패널들이 적층된 디스플레이 부재(10)는, 활성 영역(AA)(active area)과 비활성 영역(NA)(non-active area)으로 구획할 수 있다. 활성 영역(AA)은 화면을 표시하며, 입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영역이다. 비활성 영역(NA)은 활성 영역(AA)의 주변 둘레로 위치되어, 터치패널이나 표시패널 등의 전기적 신호 라인이 배치되거나, 이러한 신호 라인들을 집적하여 프레임(21)의 내부에 실장된 회로기판과 연결되기 위한 회로부(12)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다.
비활성 영역(NA)은 신호라인들이 위치되는 영역(Ⅰ)과, 회로부(12)가 구비되는 영역(Ⅱ)의 크기를 달리한다. 즉 비활성 영역(NA) 중 신호라인들이 위치되는 영역은 활성 영역(AA)의 테두리에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회로부(12)가 위치되는 비활성 영역(NA)은 상기의 영역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신호라인들이 위치되는 영역(Ⅰ)의 비활성 영역(NA)을 차폐하게 실장되는 차폐부의 일부 영역은 원 밴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12)가 위치되는 영역(Ⅱ)의 비활성 영역(NA)을 차폐하게 실장되는 차폐부의 나머지 영역은 일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우면서 돌출되는 부분까지 차페하도록 실장된다.
다만, 회로부(12)를 차폐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부재(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되게 구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재(10)는 일부 영역은 원 형상이나 나머지 영역은 원 형상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10)의 일부분(I)은 테두리가 원 형상으로 형성지만, 나머지 부분(Ⅱ)은 불룩하게 돌출되어 마치 열기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열기구 형상으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부재(10)는 프레임(21)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의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탑 다운 방식으로 프레임(21)과 디스플레이 부재(10)가 결합되는 경우, 도 2처럼 열기구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부재(10)의 형상은 그 형상 그대로 프레임(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프레임(21)이 디스플레이 부재(10)의 주변 둘레를 따라 디스플레이 부재(10)와 동일한 형상, 예를 들어 열기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자 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2b와 같이, 전자 장치를 원 형상으로 구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부재(10)를 원 형상의 프레임(21)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장 넓은 차폐부의 크기에 맞춰 전자 장치의 프레임 및 차폐부의 크기를 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프레임(21)은 디스플레이 부재(10)의 돌출 영역의 크기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차폐부는 활성 영역(AA)의 주변둘레를 차폐하도록 실장되는 것이다. 이에, 프레임(21)을 원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고, 차폐부의 크기도 활성 영역(AA)의 테두리에 일정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c 처럼 프레임(21)의 형상을 원 형상을 가지면서 프레임(21)도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차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프레임(21)은 원 형상으로 구비되고, 회로부(12)는 도 2a 처럼 원 형상의 활성 영역(AA)의 주변 둘레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돌출되지 않고, 원 형상 중 일부 영역(Ⅱ)에 회로부(12)를 배치하여 비활성 영역(NA)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와치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프레임(104)과, 디스플레이 부재(106)를 포함하는 본체부(102)와, 본체부(102)를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착용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2)는 화면을 표시하며, 접촉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물일 수 있다.
착용부(101)는 사용자가 본체부(102)를 신체, 예를 들어, 손목에 착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구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용부(101)는 예를 들면, 금속 재질, 직물 재질 또는 광물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밴드(band) 또는 스트랩(stra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101)는 상기 본체부(102)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상태 또는 착용 후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A-A'선 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102)는 프레임(104)과 디스플레이 부재(1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4)은 디스플레이 부재(106)의 주변둘레에 실장되며, 디스플레이 부재(106)를 지지 고정하며, 그 내측으로 다양한 모듈,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브라켓(미도시), 배터리(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프레임(104)의 일면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부재(106)의 화면이 노출되도록 개구(104a, 도 10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106)는 본체부(102)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에 따른 입, 출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에 따라 출력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106)는 복수개의 패널들 예를 들어 터치패널(108), 편광패널(미도시), 표시패널, 글래스 패널(111) 등이 적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106)는 화면을 출력하거나, 접촉에 따른 입력 및/또는 출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부재(106)는 프레임(1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운-업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0 참조). 디스플레이 부재(106)가 프레임(1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운-업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후술하나, 차폐부(113)가 구비된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가 프레임(104)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차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부(102)의 크기는 기존과 대비하여 커지지 않으면서, 본체부(102)의 형상이나 활성 영역(AA)의 형상을 원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odes)등과 패널이 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에 구현되는 각종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터치패널(108)은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을 감지하여 입력 및 출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정전용량 방식이나, 저항막 방식이나, 초음파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108) 및 표시패널의 구조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재(106)는 활성 영역(AA)과 비활성 영역(NA)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영역(AA)은 디스플레이 부재(106)에서 화면이 표시됨과 아울러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을 감지하는 부분이며, 비활성 영역(NA)은 활성 영역(AA)의 테두리에 위치되며, 터치패널(108) 및 표시패널에 구비되는 신호 라인 및 회로부(108a)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활성 영역(AA)은 투명하게 구비되어, 표시패널의 화면이 투영될 수 있게 구비되고, 비활성 영역(NA)은 신호 라인이나 회로부(108a)가 노출되지 않도록 후술하는 차폐부(11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본체부(102)에 배치되는 비활성 영역(NA) 및 이를 차폐하는 차폐부(113)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본체부(102)에 배치되는 비활성 영역(NA) 및 이를 차폐하는 차폐부(113)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비활성 영역(NA)은 제1비활성 영역(NA1)과 제2비활성 영역(N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비활성 영역(NA1)은 신호 라인들이 배치되고, 일정한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비활성 영역(NA2)은 제1비활성 영역(NA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되고, 제1비활성 영역(NA1)에 대비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비활성 영역(NA2)은 착용부(101)가 본체부(102)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 체결부(105)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부는 후술하는 제2글래스(110)의 주변부(110a) 또는 주변부(110a) 보다 안쪽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활성 영역(NA)부가 제2글래스(110)의 주변부(110a)에 형성되는 경우, 비활성 영역(NA)부와 활성 영역(AA)부의 경계 라인(L1)은 프레임(104)의 개구 면(L2)에 위치되어 프레임(104)에 의해 모두 차폐될 수도 있고(도 5 참조), 비활성 영역(NA)부가 주변부(110a)보다 안쪽으로 구비되는 경우, 비활성 영역(NA)부와 활성 영역(AA)부의 경계 라인(L1)은 프레임(104)의 개구(104a, 도 10 참조)의 위치에 배치되어 비활성 영역(NA)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차폐부(113)는 비활성 영역(NA)을 차폐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13)는 블랙, 흰색, 또는 금색 등의 다양한 컬러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쇄나 코팅에 의해 글래스 패널(111)에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13)가 형성되는 영역은 비활성 영역(N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차폐부(113)는 제1비활성 영역(NA1)을 커버하는 제1차폐부(113)와, 제2비활성 영역(NA2)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113)는 디스플레이 부재(106)가 프레임(1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의 다운-업(down-up) 방식으로 끼워져 프레임(104)의 내측 둘레면에 커버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에, 차폐부(113)의 전체가 프레임(104)의 내측면에 위치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도 5참조). 이 경우, 제1글래스(112)의 크기나 활성 영역(AA)의 크기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차폐부(113)의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고, 차폐부(113)의 나머지 영역은 프레임(104)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노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도 6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111)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106)가 적층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글래스 패널(111)은 터치패널(108)의 상측으로 적층되며, 제1글래스(112)와 제2글래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글래스(112)는 프레임(104)의 개구(104a, 도 10 참조)를 관통하여 개구(104a, 도 10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글래스(112)는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아우터 글래스(outer glass)라고 할 수 있다. 제1글래스(112)의 크기는 상기 프레임(104)의 개구(104a, 도 10 참조)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글래스(112)는 원 형상을 가지며, 앞서 언급하였듯이, 비활성 영역(NA)과 활성 영역(AA)의 경계 라인(L1)이 개구 면(L2)과 같은 크기를 가질 경우, 제1글래스(112)의 테두리 크기는 활성 영역(AA)과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활성 영역(NA)과 활성 영역(AA)의 경계 라인(L1)이 개구(104a, 도 10 참조) 측에 위치될 경우, 제1글래스(112)의 크기는 활성 영역(AA)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2글래스(110)는 상기 제1글래스(112)의 하면에 적층되고, 프레임(104)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글래스(inner glass)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글래스(110)는 상기 제1글래스(11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글래스(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술한 회로부(108a)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글래스(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착용부(101)가 본체부(102)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 체결부(105)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글래스(110)의 크기는 제1글래스(11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글래스(110)가 제1글래스(112)보다 크게 구비됨에 따라 중앙부(110b)와 주변부(110a)로 구획될 수 있다.
중앙부(110b)는 제2글래스(110)가 제1글래스(112)의 하면에 적층될 때 제1글래스(112)의 일면에 대응되게 대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주변부(110a)는 상기 중앙부(110b)의 둘레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중앙부(110b)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글래스(112)의 테두리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변부(110a)의 일면은 상기 제1글래스(112)의 테두리에서 단턱지게 형성될 것이다.
상기 주변부(110a)는 제1영역(110aa)과 제2영역(110a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110aa)은 상기 제1글래스(112)의 테두리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110b)의 외측으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영역(110ab)은 상기 제1영역(110a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1영역(110aa)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제1영역(110aa)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영역(110aa)은 상술한 제1비활성 영역(NA1)과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1영역(110aa)이 제1비활성 영역(N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겹쳐질 수 있고, 이 경우 제1영역(110aa)은 도 5의 제1비활성 영역(NA1)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영역(110aa)의 일부가 제1비활성 영역(NA1)의 일부와 겹쳐지는 경우, 도 6의 개구 면(L2)부터 프레임(104)의 내측까지 겹쳐질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110ab)은 상술한 제2비활성 영역(NA2)과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2영역(110ab)이 제2비활성 영역(NA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겹쳐질 수 있고, 이 경우 제2영역(110ab)은 도 5의 제2비활성 영역(NA2)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2영역(110ab)의 일부가 제2비활성 영역(NA2)의 일부와 겹쳐지는 경우, 도 6의 개구 면(L2)부터 프레임(104)의 내측까지 겹쳐질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글래스(110)의 주변부(110a)는 비활성 영역(NA)과 동일한 형상으로 겹쳐지거나, 개구 면(L2)에서 그 외측의 형상으로 비활성 영역(NA)과 일부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글래스(112)와 제2글래스(110) 사이에는 상기 제1글래스(112)와 상기 제2글래스(110)를 부착하는 광학 투명 접착부재(Optical Clear Adhesive(OCA), 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글래스(112)와 제2글래스(110)는 동일한 재질 또는 서로 이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글래스(112)와 제2글래스(110)가 실장되는 위치가 다름에 따라 그 재질을 달리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제1글래스(112)는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휴대 환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손, 예를 들어 스크래치 등이나 찍힘 등의 발생이 용이하지 않으며, 강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글래스(112)는 사파이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2글래스(110)는 제1글래스의 하부에 적층되어 프레임(104)의 내측에 실장됨에 따라 제1글래스와 같이 별도의 찍힘이나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음으로 상기 제2글래스(110)는 미네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글래스(110)가 제1글래스(112)와 동일한 사파이어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글래스(112)가 제2글래스(110)와 같이 미네랄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106)가 프레임(104)에 조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글래스(110)의 주변부(110a)의 일면에는 상기 주변부(110a)가 상기 프레임(104)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실링 결합부(116)가 포함될 수 있다. 실링 결합부(116)는 실리콘 부재나, 우레탄 부재와 같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부재(106)는 가장 상측에 제1글래스(112)가 위치되고, 제1글래스(112)의 하면에 광학 투명 접착부재(114)를 통해 결합되는 제2글래스(110)가 적층되며, 제2글래스(110)의 하면으로 터치패널(108), 표시패널(미도시) 및 편광 패널(미도시) 등이 적층될 수 있다.
제2글래스(110)의 주변부(110a)는 제1글래스(112)의 테두리보다 돌출되며, 특히 제2영역(110ab)은 제1영역(110aa)에 비해 더 돌출되게 구비될 것이다. 따라서, 제1글래스(112)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글래스(110)의 테두리는 적어도 일부분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돌출되어 제2글래스(110)의 주변부(110a)는 마치 열기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글래스 패널(111)의 전체적인 형상은 열기구와 같은 형상이나, 프레임(104)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원 형상의 제1글래스(112)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원 형상의 프레임(104)와 원 형상의 제1글래스(110)가 시각화 되는 것이다. 또한, 비활성 영역(NA)이 열기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활성 영역(AA)과 비활성 영역(NA)의 경계라인이 프레임(104)의 원 형상의 개구 면(L2)에 근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일정한 활성 영역(AA)은 프레임(104)의 개구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104)의 주변 둘레 크기는 제1영역(110aa)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106)가 프레임(1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조립됨은 물론 글래스 패널(111)을 주변 둘레가 단차지게 결합되는 듀얼 글래스를 적층시킴에 따라 글래스 패널(111)의 주변 둘레는 프레임(104)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어 글래스 패널(111)의 주변둘레의 형상에 영향 없이 본체부(102), 차폐부(113), 활성 영역(AA)의 크기를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게 하면서 프레임(104) 크기의 최소화, 활성 영역(AA) 크기의 최대화, 노출되는 차폐부(113)를 최소화한 전자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이하 '제2실시 예'라 함.)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일한 구성이나 구조, 동작 설명 등은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도면 중 도 3, 5, 6의 경우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설명 시, 상기의 도면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방향의 수직방향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도 와치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도 3 참조)도 프레임(204)과, 디스플레이 부재(206)를 포함하는 본체부(202)와, 본체부(202)를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착용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함께 참조). 착용부(101)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지므로 이를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202)는 프레임(204)과 디스플레이 부재(2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4)은 디스플레이 부재(206)의 주변둘레에 실장되며, 디스플레이 부재(206)를 지지 고정하며, 그 내측으로 다양한 모듈,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브라켓(미도시), 배터리(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프레임(204)의 일면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부재(206)의 화면이 노출되도록 개구(204a, 도 15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206)는 본체부(202)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에 따른 입, 출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에 따라 출력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206)는 복수개의 패널들 예를 들어 터치패널(208), 편광패널(미도시), 표시패널, 글래스부(211, 이하 '글래스 패널'이라 함.) 등이 적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206)는 화면을 출력하거나, 접촉에 따른 입력 및/또는 출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부재(206)는 프레임(2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운-업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5 참조). 디스플레이 부재(206)가 프레임(2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운-업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차폐부(113)가 구비된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가 프레임(204)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차폐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로 인해 본체부(202)의 크기는 기존과 대비하여 커지지 않으면서, 본체부(202)의 형상이나 활성 영역(AA)의 형상을 원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패널과 터치패널(208)은 앞선 실시 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208) 및 표시패널도 그 구조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재(206)는 활성 영역(AA)과 비활성 영역(NA)으로 구획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앞선 실시 예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활성 영역(AA)은 표시패널의 화면이 투영될 수 있게 투명하게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부재(206)에서 화면이 표시됨과 아울러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을 감지하는 부분이며, 비활성 영역(NA)은 활성 영역(AA)의 테두리에 위치되며, 터치패널(208) 및 표시패널에 구비되는 신호 라인 및 회로부(208a) 등이 배치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신호 라인이나 회로부(208a)가 노출되지 않도록 후술하는 차폐부(11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은 제1비활성 영역(NA1)과 제2비활성 영역(N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비활성 영역(NA1)은 신호 라인들이 배치되고, 일정한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비활성 영역(NA2)은 제1비활성 영역(NA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되고, 제1비활성 영역(NA1)에 대비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비활성 영역(NA2)은 착용부(101)가 본체부(202)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 체결부(105) 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3, 5 및 6 함께 참조).
비활성 영역(NA)은 후술하는 글래스 패널(211)의 주변부(210a)에 대응되거나 또는 주변부(210a) 보다 안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활성 영역(NA)이 주변부(210a)에 형성되는 경우, 비활성 영역(NA)과 활성 영역(AA)의 경계 라인(L1)은 프레임(204)의 개구면(L2)에 위치되어 프레임(204)에 의해 모두 차폐될 수도 있고(도 5 참조), 비활성 영역(NA)이 주변부(210a)보다 안쪽으로 형성되는 경우, 비활성 영역(NA)과 활성 영역(AA)의 경계 라인(L1)은 프레임(204)의 개구(204a, 도 15 참조)의 위치에 배치되어 비활성 영역(NA)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앞선 실시 예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113)도 비활성 영역(NA)을 차폐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13)는 블랙, 흰색, 또는 금색 등의 다양한 컬러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쇄나 코팅에 의해 글래스 패널(211) 또는 별도의 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13)가 형성되는 영역은 비활성 영역(N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일 수 있다. 예컨데, 차폐부(113)는 제1비활성 영역(NA1)을 커버하는 제1차폐부(113)와, 제2비활성 영역(NA2)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206)는 프레임(2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의 다운-업(down-up) 방식으로 끼워져 프레임(204)의 내측 둘레면에 커버되도록 안착되는데, 차폐부(113)는 그 전체가 프레임(204)의 내측면의 위치에 대응되게 위치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도 5참조). 이 경우, 글래스 패널 중 상부로 돌출된 제1글래스(212)의 크기나 활성 영역(AA)의 크기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와는 달리 차폐부(113)의 일부 영역, 예컨데 차폐부의 내측 둘레면은 개구(204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차폐부(113)의 나머지 영역은 프레임(204)의 내측면의 위치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노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도 6참조).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211)은 일몸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와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차이점이 있는 구성은 글래스 패널이다.
예컨데, 앞선 실시 예의 글래스 패널(111)은 두 개의 부재, 즉 제1글래스(112)와 제2글래스(210)가 서로 적층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211)의 형상은 앞선 실시 예의 글래스 패널(111)과 유사하다. 즉, 앞선 실시 예의 제1글래스(112)와 제2글래스(210)가 적층 결합되면, 제2글래스(210)의 테두리가 제1글래스(112)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마치 단턱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211)은 앞선 실시 예의 제1글래스(212)와 제2글래스(210)가 적층 결합된 형상과 같이 형성되나, 다만 일몸체, 즉 하나의 부재가 상기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잇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211)은 터치패널(208)의 상측으로 적층되며, 개구(104a)를 관통하여 개구(104a) 내측에 맞물리게 안착되는 제1글래스(212)와, 제1글래스(212)에 일몸체(one-body)로 구비되고 프레임(204)의 내측에 걸려 안착되는 제2글래스(210)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일몸체'는 서로 다른 부재가 결합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성형이나 가공 등을 통해 형상을 가진 것을 일컫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글래스 패널(211)의 형상에 따라 제1글래스(212)와 제2글래스(210)로 구획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글래스(212)는 후술하는 제2글래스(210) 보다 작은 외주연을 가지며 제2글래스(210)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글래스(212)는 프레임(204)의 개구(204a, 도 15 참조)를 관통하여 개구(204a)에 맞물려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글래스(212)는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아우터 글래스(outer glass)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글래스(212)의 크기는 상기 프레임(204)의 개구(204a, 도 15 참조)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글래스(212)는 개구의 형상, 예컨데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앞서 언급하였듯이, 비활성 영역(NA)과 활성 영역(AA)의 경계 라인(L1)이 개구 면(L2)과 같은 크기를 가질 경우, 제1글래스(212)의 테두리 크기는 활성 영역(AA)과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활성 영역(NA)과 활성 영역(AA)의 경계 라인(L1)이 개구(204a) 측에 위치될 경우, 제1글래스(212)의 크기는 활성 영역(AA)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2글래스(210)는 상기 제1글래스(212)의 하면에 구비되고, 프레임(204)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이너 글래스(inner glass)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2글래스(210)는 상기 제1글래스(21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글래스(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술한 회로부(208a)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글래스(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착용부(101)가 본체부(202)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 체결부(105)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글래스(210)의 크기는 제1글래스(21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글래스(210)가 제1글래스(212)보다 크게 구비됨에 따라 중앙부(210b)와 주변부(210a)로 구획될 수 있다.
중앙부(210b)는 제2글래스(210)가 제1글래스(212)의 하면에 적층될 때 제1글래스(212)의 일면에 대응되게 대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주변부(210a)는 상기 중앙부(210b)의 둘레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중앙부(210b)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글래스(212)의 테두리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변부(210a)의 일면은 상기 제1글래스(212)의 테두리에서 단턱지게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상기 주변부(210a)도 앞선 실시 예의 주변부(110a)와 같이 제1영역(210aa)과 제2영역(210a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조나, 구성은 앞선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재(206)가 프레임(204)에 조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글래스(210)의 주변부(210a)의 일면에는 상기 주변부(210a)가 상기 프레임(204)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실링 결합부(116)가 포함될 수 있다. 실링 결합부(116)는 실리콘 부재나, 우레탄 부재와 같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부재(206)는 가장 상측에 제1글래스(212)와 제1글래스(212)와 일몸체의 제2글래스(210)가 위치되고, 글래스 패널(211)의 하면으로 터치패널(208), 표시패널(미도시) 및 편광 패널(미도시) 등이 적층될 수 있다.
제2글래스(210)의 주변부(210a)는 제1글래스(212)의 테두리보다 돌출되며, 특히 제2영역(210ab)은 제1영역(210aa)에 비해 더 돌출되게 구비될 것이다. 따라서, 제1글래스(212)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글래스(210)의 테두리는 적어도 일부분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돌출되어 제2글래스(210)의 주변부(210a)는 마치 열기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글래스 패널(211)의 전체적인 형상은 열기구와 같은 형상이나, 프레임(204)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원 형상의 제1글래스(212)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원 형상의 프레임(204)와 원 형상의 제1글래스(110)가 시각화 되는 것이다. 또한, 비활성 영역(NA)이 열기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활성 영역(AA)과 비활성 영역(NA)의 경계라인이 프레임(204)의 원 형상의 개구 면(L2)에 근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일정한 활성 영역(AA)은 프레임(204)의 개구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204)의 주변 둘레 크기는 제1영역(210aa)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206)가 프레임(204)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조립됨은 물론 글래스 패널(211)을 주변 둘레가 단차지게 결합되는 듀얼 글래스를 적층시킴에 따라 글래스 패널(211)의 주변 둘레는 프레임(204)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어 글래스 패널(211)의 주변둘레의 형상에 영향 없이 본체부(202), 차폐부(113), 활성 영역(AA)의 크기를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게 하면서 프레임(204) 크기의 최소화, 활성 영역(AA) 크기의 최대화, 노출되는 차폐부(113)를 최소화한 전자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기재(describe)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01: 착용부
102: 본체부 104: 프레임
104a: 개구 106: 디스플레이 부재
108: 터치패널 110: 제2글래스
110a: 주변부 112: 제1글래스
111: 글래스 패널 113: 차폐부
113a: 제1차폐부 113b: 제2차폐부
108a: 회로부 AA: 활성 영역
NA: 비활성 영역 L1: 경계 라인
L2: 개구 면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글래스와, 상기 제1글래스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글래스는 상기 제1글래스의 테두리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운-업(down-up)방식으로 조립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글래스는 상기 제1글래스보다 크게 구비되고,
    상기 제2글래스는,
    상기 제1글래스의 일면에 대응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외측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돌출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영역의 폭보다 큰 폭으로 돌출되는 제2영역으로 구비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화면이 표시되는 원 형상의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주변부로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비되고,
    상기 비활성 영역은,
    신호 라인들이 배치되는 제1비활성 영역 및 회로부가 배치되는 제2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글래스의 주변둘레에는 상기 비활성 영역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구비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주변부 또는 상기 주변부 보다 안쪽으로 구비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주변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차폐부 전체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차폐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주변부보다 안쪽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활성 영역의 주변둘레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영역 부분이 노출되는 전자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비활성 영역에 동일하게 겹쳐지게 구비되거나, 상기 제1비활성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비활성 영역에 동일하게 겹쳐지게 구비되거나, 상기 제2비활성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게 구비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일면과 상기 프레임 내측면 사이에는 실링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글래스와 상기 제2글래스 사이에는 광학 투명 접착부재(Optical Clear Adhesive(OCA))가 더 구비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실장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에 걸려 안착되는 글래스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부의 일면 둘레에는 상기 글래스부의 표면에서 단턱진 주변부가 구비되어,
    상기 주변부 상부 측에 구비되는 상기 글래스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주변부 하부측에 구비되는 상기 글래스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걸려 상기 글래스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안착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운-업(down-up)방식으로 조립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단턱부에서 상부 측으로 배치되는 제1글래스; 및
    상기 제1글래스에 일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에서 하부 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단턱부의 크기만큼 상기 제1글래스보다 큰 외주연을 가지는 제2글래스로 구획되고,
    상기 제2글래스는,
    상기 제1글래스의 일면에 대응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외측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돌출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영역에서 돌출되어 단턱진 상기 주변부를 형성하는 제2영역으로 구비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화면이 표시되는 원 형상의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주변부로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비되고,
    상기 비활성 영역은,
    신호 라인들이 배치되는 제1비활성 영역 및 회로부가 배치되는 제2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글래스의 주변둘레에는 상기 비활성 영역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구비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주변부 또는 상기 주변부보다 안쪽으로 구비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주변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차폐부 전체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차폐되는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주변부보다 안쪽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활성 영역의 주변둘레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영역 부분이 노출되는 전자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비활성 영역에 동일하게 겹쳐지게 구비되거나, 상기 제1비활성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비활성 영역에 동일하게 겹쳐지게 구비되거나, 상기 제2비활성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게 구비되는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일면과 상기 프레임 내측면 사이에는 실링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전자 장치.
KR1020150114036A 2015-02-27 2015-08-12 전자 장치 KR20160105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54,933 US10237988B2 (en) 2015-02-27 2016-02-26 Electronic device
MYPI2017701126A MY181524A (en) 2015-02-27 2016-02-26 Electronic device
EP16157700.2A EP3062170A1 (en) 2015-02-27 2016-02-26 Electronic device
CN201680010963.7A CN107250926B (zh) 2015-02-27 2016-02-26 电子设备
PCT/KR2016/001942 WO2016137278A1 (en) 2015-02-27 2016-02-26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8657 2015-02-27
KR1020150028657 2015-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268A true KR20160105268A (ko) 2016-09-06

Family

ID=5694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036A KR20160105268A (ko) 2015-02-27 2015-08-12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05268A (ko)
CN (1) CN107250926B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77154A1 (en) * 1997-01-08 2000-12-19 Seiko Epson Corp Adhesive-fixed body electronic apparatus and watch
KR100280882B1 (ko) * 1998-04-22 2001-03-02 구본준 슬림형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EP1128239B1 (fr) * 2000-02-24 2009-06-24 Asulab S.A. Objet portatif tel que, notamment, une pièce d'horlogerie, comprenant un transducteur piézo-électrique pour l'introduction manuelle de données
CN201184958Y (zh) * 2008-03-20 2009-01-21 徐慧婕 双层玻璃面罩的挂钟
KR101659023B1 (ko) * 2010-03-1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US20120098755A1 (en) * 2010-10-26 2012-04-26 Sentelic Corp. Touch module
US20130098548A1 (en) * 2011-10-20 2013-04-25 Chin-Yu Chen Lamination method of optical substrates
TWI477853B (zh) * 2012-08-20 2015-03-21 Chih Chung Lin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0926A (zh) 2017-10-13
CN107250926B (zh)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2505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expanded edges
US2022007893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45175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2348027B1 (ko) 접속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0894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338638B2 (en) Wearable smart device
EP3428770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242979B1 (ko)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CN106055027A (zh) 带屏幕的电子装置
US9411456B2 (en) Embedded light-sensing component
KR102362014B1 (ko)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692862B2 (en) Camera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024632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28371B2 (en) Mobile terminal
KR20150142386A (ko)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04830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ccessory
US11640144B2 (en) Watch with optical sensor for user input
KR102448336B1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10018584A (ko)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1657A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188789A1 (en) Bracelet watch and/or phone
KR102524831B1 (ko)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019333A (ko) 전자 장치용 커버 디바이스
KR20210037092A (ko)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88825B2 (en) Mobile terminal module and watch type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