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27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277A
KR20160104277A KR1020150027060A KR20150027060A KR20160104277A KR 20160104277 A KR20160104277 A KR 20160104277A KR 1020150027060 A KR1020150027060 A KR 1020150027060A KR 20150027060 A KR20150027060 A KR 20150027060A KR 20160104277 A KR20160104277 A KR 20160104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ar
bars
display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엽
로난 브훌렉
에르완 부훌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277A/ko
Priority to US15/054,316 priority patent/US20160253051A1/en
Publication of KR2016010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06Arrangements for sorting, selecting, merging, or comparing data on individual record carriers
    • G06F7/08Sorting, i.e. grouping record carriers in numerical or other ordered sequen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they car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Bar)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단계 및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or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스마트 TV, 테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가 보급되면서,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양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들은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정의된 규칙에 따라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 해당 컨텐츠가 있는 경로를 추적하여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이용한 이후 해당 컨텐츠를 재이용 시, 사용자는 어떠한 경로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찾았는지에 대해서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여 처음 컨텐츠를 검색할 때와 유사한 시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나아가, 컨텐츠 검색을 위한 경로 UI 화면은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느낄 정도의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연령층의 사용자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컨텐츠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Bar)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단계 및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는, 수직 또는 수평 형태의 패턴으로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의 두께, 색, 배치 순서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설정 정보, 선택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중 선택 빈도가 높은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를 다른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와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는, 일측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하나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의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컨텐츠 영역의 확장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Bar)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며,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는, 수직 또는 수평 형태의 패턴으로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의 두께, 색, 배치 순서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며,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설정 정보, 선택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중 선택 빈도가 높은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를 다른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와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는, 일측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하나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의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컨텐츠 영역의 확장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경고 정보를 보다 간결하게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바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의 컨텐츠 바 확장에 따른 컨텐츠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제1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제2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실행 UI에 포함된 컨텐츠 영역의 컨텐츠를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하는 제1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하는 제2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하는 제3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 혹은 터치 패널(미도시)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부(110)는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모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가이드 UI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설정 명령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처리된 컨텐츠, OSD 정보 등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Bar)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컨텐츠 가이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작부(미도시) 혹은 터치 패널(미도시)와 같은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감지된 사용자 모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컨텐츠 가이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고,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바와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해당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가이드 UI는 수직 또는 수형 형태의 패턴으로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와,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 외에 통신부(140) 및 저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주변 단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란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 등의 주변 단말 장치(미도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프로그램 및 그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되고, 운영체제의 자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체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 온되는 경우, 저장부(150)에서 읽혀지고, 컴파일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50)는 제어부(130)에 의해 처리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영상 컨텐츠,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150)는 롬(ROM), 램(RAM) 또는 방송 수신 장치(100)에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같은 실행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UI(10)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UI(10)는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시작 UI(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컨텐츠 가이드 UI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혹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가이드 UI(20)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컨텐츠 가이드 UI(20)는 수직 형태의 패턴으로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되며,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330)와 복수의 컨텐츠 바(330) 사이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 바(330)는 카테고리 A에 대응되는 제1 컨텐츠 바, 카테고리 B에 대응되는 제2 컨텐츠 바, 카테고리 C에 대응되는 제3 컨텐츠 바, 카테고리 D에 대응되는 제4 컨텐츠 바 및 카테고리 E에 대응되는 제5 컨텐츠 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상에 제1 및 제2 컨텐츠 바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1 및 제2 컨텐츠 바의 두께, 색, 배치 순서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설정 정보, 선택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가이드 UI(20)는 카테고리 A에 대응되는 제1 컨텐츠 바(420), 카테고리 B에 대응되는 제2 컨텐츠 바(430), 카테고리 C에 대응되는 제3 컨텐츠 바(440) 및 카테고리 D에 대응되는 제4 컨텐츠 바(450)와,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40)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5 여백 영역(411~41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가이드 UI(2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40) 중 제1 내지 제3 컨텐츠 바(420~440) 상에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3 컨텐츠 바(420~440)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가이드 UI(20)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컨텐츠 가이드 UI(2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컨텐츠 바(420~440)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컨텐츠 바(420~440)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의 두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컨텐츠의 데이터 크기 정도에 따라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의 두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 바(420)는 동영상 관련 카테고리 A로 설정되며, 제2 컨텐츠 바(430)는 문서 관련 카테고리 B에 설정되며, 제3 컨텐츠 바(440)는 사진 관련 카테고리 C에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영상 관련 카테고리로 설정된 제1 컨텐츠 바(420)의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량은 가장 크며, 제2 컨텐츠 바(430)의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량은 제1 및 제3 컨텐츠 바(420,4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량이 가장 큰 제1 컨텐츠 바(420)의 두께를 타 컨텐츠 바에 비해 두껍게 설정하고, 제1 및 제3 컨텐츠 바(420,4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 량이 적은 제2 컨텐츠 바(430)의 두께를 제1 및 제3 컨텐츠 바(420,440)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사용자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의 두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영상 관련 컨텐츠를 자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동영상 관련 카테고리 A로 설정된 제1 컨텐츠 바(420)의 두께가 타 컨텐츠 바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설정 명령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 중 제1 컨텐츠 바(420)의 두께를 사용자 설정 명령에 대응되는 두께로 설정하고, 나머지 컨텐츠 바의 두께를 기설정된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가 상이하게 설정된 컨텐츠 가이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가이드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가이드 UI(20)는 카테고리 A에 대응되는 제1 컨텐츠 바(420), 카테고리 B에 대응되는 제2 컨텐츠 바(430), 카테고리 C에 대응되는 제3 컨텐츠 바(440) 및 카테고리 D에 대응되는 제4 컨텐츠 바(450)와,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40)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5 여백 영역(411~41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가이드 UI(2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40) 중 제1 내지 제3 컨텐츠 바(420~440) 상에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3 컨텐츠 바(420~440)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가이드 UI(20)가 디스플레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하거나 혹은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제2 컨텐츠 바(430), 제3 컨텐츠 바(440), 제4 컨텐츠 바(450) 및 제1 컨텐츠 바(420) 순으로 배치된 컨텐츠 가이드 UI(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 순으로 배치된 컨텐츠 가이드 UI(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이 감지되거나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4 컨텐츠 바(420~450)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제4 컨텐츠 바(450), 제1 컨텐츠 바(420), 제2 컨텐츠 바(430) 및 제3 컨텐츠 바(440) 순으로 배치된 컨텐츠 가이드 UI(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제1 컨텐츠 바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한다. 이에 따라, 제1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컨텐츠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2 컨텐츠 바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한다. 이에 따라, 제2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컨텐츠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20)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바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의 컨텐츠 바 확장에 따른 컨텐츠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가이드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가이드 UI(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 및 복수의 컨텐츠 바 사이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가이드 UI(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 바 중 카테고리 A로 분류된 제1 컨텐츠 바(6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컨텐츠 바(610)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 바(610)를 기설정된 임계 사이즈로 확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테고리별 확장 정보는 컨텐츠 타입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관련 카테고리의 경우, 제1 임계 사이즈로 동영상관련 카테고리로 설정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고, 사진 관련 카테고리의 경우, 제1 임계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임계 사이즈로 사진 관련 카테고리로 설정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며, 문서 관련 카테고리의 경우, 제3 임계 사이즈로 문서 관련 카테고리로 설정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텐츠 바(610)가 동영상 관련 카테고리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 바(610)를 기설정된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컨텐츠 바(610)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제어부(130)는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된 제1 컨텐츠 바(610)에 대한 컨텐츠 영역(620)에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된 제1 컨텐츠 바(610)에 대한 컨텐츠 영역(620) 및 카테고리 B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를 포함하는 컨텐츠 실행 UI(30)와, 컨텐츠 실행 UI(30)에 포함된 컨텐츠 영역(620)에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에 포함된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1 컨텐츠 바(610)에 대한 컨텐츠 영역(6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실행 UI(30)에 포함된 컨텐츠 영역(620)에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영역(620)에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측 혹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모션이 감지되거나 혹은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컨텐츠 영역(620)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를 사용자의 상측 혹은 하측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제1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컨텐츠 가이드 UI(20)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바 중 사용자에 의해 제1 컨텐츠 바(610)가 선택되면,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의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한다. 여기서, 제1 임계 사이즈는 제1 컨텐츠 바(610)와 인접한 여백 영역(710) 내에서 확장 가능한 사이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임계 사이즈는 제1 컨텐츠 바(610)와 인접한 좌우 여백 영역(710,720) 내에서 확장 가능한 사이즈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컨텐츠 바(610)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 바(610)와 인접한 여백 영역(710)을 기확장된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조정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선택된 제1 컨텐츠 바(610)의 사이즈 조정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 영역(621-1) 및 컨텐츠 영역(621-1)에 의해 사이즈가 축소된 여백 영역(710)을 포함하는 컨텐츠 실행 UI(3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제2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컨텐츠 가이드 UI(20)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바 중 사용자에 의해 제1 컨텐츠 바(610)가 선택되면,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의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한다. 이 같이, 제1 컨텐츠 바(610)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 바(610)와 인접한 여백 영역(710) 및 제2 컨텐츠(630)를 제1 임계 사이즈 만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기선택된 제1 컨텐츠 바(610)의 사이즈 조정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 영역(621-1) 및 제1 컨텐츠 바(610)의 사이즈 확장 정도만큼 나머지 컨텐츠 바 및 여백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실행 UI(3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컨텐츠 바(610)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어 컨텐츠 영역(621-1)이 생성되면, 카테고리 B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제2 내지 제4 컨텐츠 바(630~650)와, 각 컨텐츠 바 사이의여백 영역(710)이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실행 UI에 포함된 컨텐츠 영역의 컨텐츠를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된 제1 컨텐츠 바(610)에 대한 컨텐츠 영역(620) 및 카테고리 B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를 포함하는 컨텐츠 실행 UI(30)와, 컨텐츠 실행 UI(30)에 포함된 컨텐츠 영역(620)에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컨텐츠 바(610)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A에 포함된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실행 UI(30)에 포함된 컨텐츠 영역(620)에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영역(620)에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컨텐츠 영역(620)의 확장을 조정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확장된 컨텐츠 영역(620)에 기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세 컨텐츠를 컨텐츠 영역(6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영역(620)을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고, 확장된 컨텐츠 영역(62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기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텍스트 형태의 문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기생성된 컨텐츠 영역(620)에 텍스트 형태의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영역(62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영역(620)에 대한 확장 관련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거나 혹은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감지된 모션 혹은 터치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역(620)을 확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9의 (a) 혹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생성된 컨텐츠 영역(620)을 확장하고, 확장된 컨텐츠 영역(620)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영역(62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영역(620)에 대한 확장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된 컨텐츠 영역(620) 상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컨텐츠 영역(620)에 대한 확장 명령이 추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Full) 사이즈로 컨텐츠 영역(620)을 확장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영역(620)에 대한 확장 관련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터치 명령으로부터 터치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시간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역(620)의 확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된 터치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역(620)을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검출된 터치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이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사이즈로 컨텐츠 영역(620)을 확장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기설된 조건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명령에 따라 컨텐츠 가이드 UI(20)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가이드 UI(20) 상에는 카테고리 A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가 순차적으로 나열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바가 나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바 순으로 재정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은 배치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배치 설명 명령에 대응되는 순서로 컨텐츠 바를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컨텐츠 바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카테고리 B, A, D, F C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 순으로 재배치된 컨텐츠 가이드 UI(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기설된 조건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명령에 따라 컨텐츠 가이드 UI(20)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가이드 UI(20) 상에는 카테고리 A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가 순차적으로 나열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바가 나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바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같은 선택 명령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북마크를 생성하고, 생성된 북마크를 입력된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 바 중 카테고리 B 및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카테고리 B 및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에 북마크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카테고리 B 및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에 북마크가 표시된 컨텐츠 가이드 UI(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조건에 포함된 선택 이력 정보에 따라 컨텐츠 가이드 UI(20)에 포함된 컨텐츠 바를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가이드 UI(20) 상에는 카테고리 A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가 순차적으로 나열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50)는 카테고리 A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한 선택 이력 정보가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선택 이력 정보는 카테고리 A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기저장된 선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카테고리 A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 중 선택 횟수가 많은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중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의 두께를 다른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와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A 내지 D 각각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 중 카테고리 C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가 사용자에 의해 자주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카테고리 C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1210,1220) 내 포함된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중 카테고리 C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1210,1220)의 제1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1211,1221)이 두께를 여백 영역(1210,1220)의 타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보다 두껍게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카테고리 C에 대응되는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1210,1220)의 제1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1211,1221)의 두께를 타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와 상이하게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한다(S13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에 따라, 시작 UI는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시작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가이드 UI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혹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가이드 UI는 수직 형태의 패턴으로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되며,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와 복수의 컨텐츠 바 사이에 복수의 스프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컨텐츠 가이드 UI는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상에 제1 및 제2 컨텐츠 바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의 두께, 색, 배치 순서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설정 정보, 선택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조건 중 선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중 선택 빈도가 높은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를 다른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와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조건 중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 바에 북마크가 표시된 컨텐츠 가이드 UI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다라, 기설정된 조건 중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바 순으로 컨텐츠 바를 재배치하여, 컨텐츠 바가 재배치된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복수의 컨텐츠 바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가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바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20).
판단 결과,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한다(S1330).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바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텐츠 바를 상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기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할 수 있다. 기선택된 컨텐츠 바가 확장되어 컨텐츠 영역이 생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기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340).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복수의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컨텐츠를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컨텐츠 영역에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하나의 썸네일 컨텐츠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컨테츠 영역의 확장을 조정하고, 조정된 컨텐츠 영역에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가 동영상 관련 컨텐츠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확장된 컨텐츠 영역을 추가 확장하여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가 텍스트 형태의 문서 관련 컨텐츠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영역에 대한 추가 확장 없이 해당 컨텐츠 영역에 기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가이드 UI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바가 제1 컨테츠 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10). 판단 결과, 제1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컨텐츠 바와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 바를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한다(S1420).
제1 컨텐츠 바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장된 제1 임계 사이즈에 기초하여 주변 컨텐츠 바 및 여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컨텐츠 바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제1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제2 컨텐츠 바 및,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의 여백 영역을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이동시킬 수 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컨텐츠 바가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제1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을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임계 사이즈로 제1 컨텐츠 바가 확장되어 컨텐츠 영역이 생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제1 컨테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430).
한편, 단계 S1410에서 기선택된 컨텐츠 바가 제1 컨텐츠 바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기선택된 컨텐츠 바가 제2 컨텐츠 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30).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기선택된 컨텐츠 바가 제2 컨텐츠 바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컨텐츠 바와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컨텐츠 바를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한다(S1440).
제2 컨텐츠 바가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장된 제2 임계 사이즈에 기초하여 주변 컨텐츠 바 및 여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컨텐츠 바가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제2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제3 컨텐츠 바 및, 제2 및 제3 컨텐츠 바 사이의 여백 영역을 제2 임계 사이즈만큼 이동시킬 수 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컨텐츠 바가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제2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을 제2 임계 사이즈만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임계 사이즈로 제2 컨텐츠 바가 확장되어 컨텐츠 영역이 생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단계 S1430을 통해 기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제2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저장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Bar)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는 단계; 및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는,
    수직 또는 수평 형태의 패턴으로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의 두께, 색, 배치 순서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설정 정보, 선택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중 선택 빈도가 높은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를 다른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와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는,
    일측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하나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의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컨텐츠 영역의 확장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복수의 컨텐츠 바(Bar)를 포함하는 컨텐츠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바 중 하나의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를 확장하며,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가이드 UI는,
    수직 또는 수평 형태의 패턴으로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에 복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을 포함하는 여백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의 두께, 색, 배치 순서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며,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설정 정보, 선택 이력 정보, 및 컨텐츠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중 선택 빈도가 높은 컨텐츠 바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를 다른 스트라이프 패턴의 라인 두께와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바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확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임계 사이즈로 확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는,
    일측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하나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2 컨텐츠 바와,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바 사이의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바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로 확장되면, 상기 제1 컨텐츠 바와 인접한 여백 영역을 상기 제1 임계 사이즈만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바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영역에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썸네일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에 대한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컨텐츠 영역의 확장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컨텐츠 영역에 상기 상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27060A 2015-02-26 2015-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4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60A KR20160104277A (ko) 2015-02-26 2015-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054,316 US20160253051A1 (en) 2015-02-26 2016-02-26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60A KR20160104277A (ko) 2015-02-26 2015-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77A true KR20160104277A (ko) 2016-09-05

Family

ID=5679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060A KR20160104277A (ko) 2015-02-26 2015-0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53051A1 (ko)
KR (1) KR201601042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39A1 (ko) * 2019-01-31 2020-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환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 영역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0795537B2 (en) 2016-12-23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6228B2 (en) * 2001-06-27 2005-12-13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intersecting scroll bar for selection of content
CN101606124B (zh) * 2007-01-25 2013-02-27 夏普株式会社 多窗口管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
EP2354914A1 (en) * 2010-01-19 2011-08-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36794B2 (en) * 2014-04-21 2017-12-05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questionable service provid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537B2 (en) 2016-12-23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WO2020159239A1 (ko) * 2019-01-31 2020-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환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 영역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714538B2 (en) 2019-01-31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witchable bar region of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53051A1 (en)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7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30937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92307B2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JP6063037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デバイスに用いられる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の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タッチスクリーン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081591B2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US9134972B2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apparatus
US107399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1676555B1 (ko) 이미지 표시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50032066A (ko)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EP2518608A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webpage and display method for same
KR20140114645A (ko)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N105094663A (zh) 用户终端设备、用于控制用户终端设备的方法及其多媒体系统
WO2019237617A1 (zh) 基于文本控件的对象显示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1501990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JP626565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289435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web page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KR1024338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42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094858B (zh) 一种列表控件的加载方法及装置
KR101972834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140132938A (ko) 웹 페이지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TW201514832A (zh) 調整畫面顯示的系統及方法
US1101658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urv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461438A (zh) 显示控制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5012808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ze or position of display wind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