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582A -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582A
KR20160103582A KR1020150025798A KR20150025798A KR20160103582A KR 20160103582 A KR20160103582 A KR 20160103582A KR 1020150025798 A KR1020150025798 A KR 1020150025798A KR 20150025798 A KR20150025798 A KR 20150025798A KR 20160103582 A KR20160103582 A KR 20160103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bot
cheering
suppor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범
최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컴
주식회사 한화이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컴, 주식회사 한화이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컴
Priority to KR102015002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582A/ko
Priority to PCT/KR2015/002428 priority patent/WO2016137049A1/ko
Publication of KR2016010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3Manipulators for entertai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응원 서비스 장치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로봇 통신부;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하는 신호 분석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로봇 표시부; 응원 로봇의 각 부위를 구동시키는 로봇 구동부; 및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상기 로봇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CHEER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기장에서 응원하는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경기의 관람 시에는 자신이 지지하는 팀을 응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포츠 경기 관람자는 자신이 응원하는 팀이 좋은 경기 내용을 보여주었을 때에는 응원 풍선으로 환호를 보내기도 한다. 반면, 스포츠 경기 관람자는 상대방 팀이 실수를 하였을 때에는 야유를 보내기도 하면서 경기 관전의 재미를 만끽한다. 이러한 응원의 재미는 현장감 있는 경기 관전과 더불어 스포츠 팬들이 스포츠 경기장을 직접 찾는 주요한 이유이다.
한편,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직접 스포츠 경기장을 찾지 않더라도 인터넷을 통해 스포츠 경기를 실시간으로 관전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스포츠 팬들은 위성파 DBM와 지상파 DMB 방송뿐만 아니라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스포츠 경기를 실시간으로 관전할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식들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스포츠 경기의 내용을 전달하는데 주요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스포츠 경기장에서 체험할 수 있는 다른 재미, 즉 자신이 선호하는 팀에 대해서 조직적으로 응원할 수 있는 응원 서비스들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팬들은 직접 스포츠 경기장을 방문해야만 조직화된 응원의 재미를 체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온라인 사용자(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웹 페이지, 응원 애플리케이션 등의 팬)로부터 수신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경기장에 위치한 응원 로봇을 제어함으로써, 온라인상의 팬들과 오프라인 경기장에서의 응원 로봇을 서로 연계시킨 응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응원 서비스 장치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로봇 통신부;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하는 신호 분석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로봇 표시부; 응원 로봇의 각 부위를 구동시키는 로봇 구동부; 및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상기 로봇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를 포함하는 응원 로봇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로봇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복수의 응원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설정하여 상기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로봇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도록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동작을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여 순차적 응원 동작 또는 랜덤한 응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제어부는 기설정된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스위치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여 응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응원 서비스 장치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응원 로봇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로봇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상기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복수의 응원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설정하여 상기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응원 로봇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동작을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여 순차적 응원 동작 또는 랜덤한 응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온라인 사용자(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웹 페이지, 응원 애플리케이션 등의 팬)로부터 수신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경기장에 위치한 응원 로봇을 제어함으로써, 온라인상의 팬들과 오프라인 경기장에서의 응원 로봇을 서로 연계시킨 응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온라인상의 팬들과 오프라인 경기장에서의 응원 로봇을 서로 연계시킨 응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기장에 방문하지 못하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팀을 응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경기장에서 응원 로봇과 일반 팬들과의 공동 응원을 유도하거나 응원 문구의 표시 이외에 응원가를 출력함으로써, 경기장뿐만 아니라 외부의 팬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팬 로열티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일반적인 응원 캠페인과는 다르게 응원 로봇을 이용한 새로운 인터렉티브 형식의 응원 캠페인을 전개함으로써,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경험할 수 있는 차별적인 응원 컨텐츠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응원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응원 로봇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메시지 입력 화면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응원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응원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랜덤한 응원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응원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서비스 장치에서의 응원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압식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서비스 장치에서의 응원 통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응원 서비스 장치(120) 및 응원 로봇(1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응원 서비스 장치(120) 및 복수의 응원 로봇(130) 간의 연결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통신망은 응원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110), 응원 서비스 장치(120) 및 사용자 단말(1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110)과 응원 서비스 장치(120) 사이의 응원 메시지의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통신망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블루투스(Bluetooth)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이 와이파이 망으로 구성되어 응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즉, 경기장 밖의 특정 장소에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일정한 거리 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일 때,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와이파이 망에 접속하여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응원 캠페인에 참여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원 서비스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파이 망을 이용하는 응원 서비스 시스템(100)은 경기장 밖의 특정 장소의 사용자에게 경기장 내에 입장하여 함께 응원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자신을 대신하여 응원해주는 응원 로봇(130)을 통해 경기장 내의 관중과의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응원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응원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응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템플릿에 따라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예컨대, 팬의 얼굴 사진, 팀 마스코트, 응원 심볼 등)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가 포함된 응원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서비스 장치(120)를 통해 공지되는 응원 캠페인에 따라 응원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응원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미리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응원할 팀의 웹 페이지와 연동하여 응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는 특정 팀의 블로그, 홈페이지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등과 같은 대화형 웹 페이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응원 메시지와 매칭되는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응원 로봇(13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응원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원 로봇(130)을 통해 응원할 응원 메시지를 선택한다. 이어서,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응원 메시지로부터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에 매칭되는 응원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응원 메시지 및 응원 동작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응원 로봇(130)에 전송한다.
또한,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응원 로봇(130)을 이용한 응원 캠페인을 사용자 단말(110)에 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응원 서비스에 접속을 승인한다. 그리고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응원 메시지를 확인한다.
이때,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응원 메시지에 응원 동작과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단어 및 문구 등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응원 메시지에 응원 동작과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특정 문구로부터 응원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응원 동작이 확인되면,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그 확인된 응원 동작을 기초로 하여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응원 로봇(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팀의 웹 페이지와 연동하여 응원 메시지를 따로 전송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은 팀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전송된 응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응원 로봇(130)은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리고 응원 로봇(130)은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그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응원 제어신호에는 응원 이미지가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 또는 응원 로봇(130)의 응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응원 로봇(130)은 응원 제어신호에 포함된 이미지 기반의 콘텐츠 데이터와 응원 문구를 응원 로봇(13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원 로봇(130)은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팬의 얼굴 사진, 특정 팀의 마스코트 및 응원 문구를 응원 로봇(13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는 응원 로봇(130)의 얼굴에 설치된 제1 디스플레이 및 응원 로봇(130)의 손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응원 로봇(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는 제1 및 제2 로봇 디스플레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로 응원 로봇(130)에 구비될 수 있다.
응원 로봇(130)은 응원 제어신호에 포함된 응원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의 응원 시점에 대응하는 응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원 로봇(130)을 통해 응원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그 응원 문구와 대응된 동작이 파도타기 응원인 경우, 응원 로봇(130)은 그 응원 문구가 표시되는 시점에 응원 동작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응원 로봇(130)은 응원 로봇(130)의 팔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에 응원 문구가 표시되면 그 식별된 응원 동작에 기초하여 파도타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단말 통신부(210), 오디오 처리부(220), 단말 입력부(230), 단말 표시부(240), 단말 제어부(250) 및 단말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1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응원 서비스 장치(120)와 응원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응원 메시지를 응원 서비스 장치(120)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응원 서비스를 통해 작성된 응원 메시지를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한 후,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응원 서비스의 응원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30)는 숫자, 기호 및 문자 등의 다양한 응원 문구를 입력받는다. 단말 입력부(230)는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사용자 단말(1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단말 입력부(230)는 단말 표시부(240)와 함께 하나의 터치 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원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단말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30)는 응원 템플릿에 따라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응원 템플릿은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말 입력부(230)는 사용자 단말(110)이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에 터치 되는 신호를 입력받거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을 받아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 표시부(24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응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거나 웹 페이지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 표시부(240)는 응원 템플릿 및 사용자가 입력한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표시부(2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 표시부(240)는 응원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 표시부(240)는 응원 메시지에 따른 응원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60)는 응원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말 저장부(260)는 사용자 단말(1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원 애플리케이션이나 응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6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단말(11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응원 서비스에 접속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다운로드된 응원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응원 목소리 또는 응원가를 처리하여 단말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처리부(220)는 응원 캠페인의 공지를 알리기 위한 벨소리, 진동, 램프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50)는 응원 서비스 장치(120)의 응원 캠페인 공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응원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응원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50)는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응원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는 응원 캠페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사용자에게 단말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50)는 응원 캠페인 메시지를 확인하고, 응원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확인된 응원 서비스 장치(120)에 응원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페이지를 통해 전송한다.
단말 제어부(250)는 응원 템플릿을 경기장의 실시간 상황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경기장에 선수가 입장하는 경우, 선수 이름을 응원 템플릿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경기장의 중계 정보에서 시구, 이벤트, 투아웃, 만루, 안타, 역전, 홈런, 선수 교체, 골인 등의 단어가 포함될 경우, 상기 단어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단어가 포함된 응원 템플릿으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수의 스포츠 팀에서 응원할 팀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 제어부(250)는 응원 서비스 장치(120)에 접속하면 응원 대상이 되는 스포츠 팀을 검색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50)는 팀 목록을 스포츠별 또는 경기별 팀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팀 목록에서 현재 경기가 진행 중이면 응원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는 팀명이 하이라이트로 표시됨으로써, 미경기 중인 팀과 구분되는 다른 글씨체 또는 크기로 나타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팀 목록에서 특정 팀이나 특정 선수가 선택되면, 단말 제어부(250)는 응원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원 서비스 장치(120)에 응원 메시지를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응원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서비스 장치(120)는 통신부(310), 분석부(320), 제어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서비스 장치(12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통신부(310)는 응원 로봇(130) 및 사용자 단말(110)과 응원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한다. 통신부(3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응원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응원 로봇(130)으로부터 로봇 구동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10)는 무선 방식인 경우,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장비로서, 복수의 응원 로봇(13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다수의 응원 로봇(130)으로 동시에 응원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는 브로드 캐스트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통신부(3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응원 제어신호를 복수의 응원 로봇(1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방식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MAX,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분석부(320)는 통신부(310)에서 수신된 응원 메시지 중에서 응원 로봇(130)을 통해 응원할 응원 메시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분석부(320)는 선택된 응원 메시지로부터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추출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제어부(330)는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에 매칭되는 응원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330)는 응원 메시지 및 응원 동작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응원 제어신호에는 응원 동작 정보에 대한 구동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원 메시지에서 선택된 응원 동작이 제1열 응원 로봇(130)의 팔 올리기인 경우, 제어부(330)는 제1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제1 디스플레이를 올리는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응원 제어신호에 응원 동작에 대한 구동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구동 식별 값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분석부(320)에서 추출된 응원 문구 및 응원 이미지가 응원 로봇(13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지정되는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분석부(320)에서 추출된 응원 문구 및 응원 이미지가 복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분리되어 지정되는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복수의 응원 로봇(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분석부(320)에서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가 설정된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지정되는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선택된 응원 동작이 복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이 필요한 응원 동작인 경우, 선택된 응원 동작이 복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에서 수행되는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선택된 응원 동작이 하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이 필요한 응원 동작인 경우, 선택된 응원 동작이 상기 하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에서 수행되는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선택된 응원 동작이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순차적 응원 동작이거나 랜덤한 응원 동작인 경우, 순차적 응원 동작이거나 랜덤한 응원 동작이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에서 수행되는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30)는 응원 제어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응원 로봇(130)에 전송하여 응원 로봇(130)을 제어한다.
저장부(340)는 사용자 단말(110) 및 응원 로봇(130)에 대한 응원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40)는 응원 동작의 종류에 따른 각 동작에 대한 구동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팔 올리기라는 응원 동작과 매칭된 구동 데이터에는 응원 로봇(130)의 팔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의 구동 속도, 구동 시점, 구동 범위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이러한 구동 데이터를 검색하여 응원 제어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의 구동 데이터에는 응원 동작과 대응되는 응원 소리에 대한 구동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응원 메시지에 텍스트 형태의 응원가가 포함된 경우, 해당 응원가는 응원 로봇(130)에서 응원 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응원 소리(예를 들어, 응원 구호, 응원가, 응원 반주 등), 음속도, 음높이 및 음량 중 하나 이상의 구동 데이터가 저장부(3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운영자가 응원 메시지에 따른 응원 동작을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응원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구동 데이터가 응원 로봇(130)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330)는 상기 구동 데이터를 추출하지 않고, 응원 동작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만 응원 제어신호에 포함시켜 응원 로봇(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원 로봇(130)은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응원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구동 데이터를 추출하여 응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분석부(320)에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응원 메시지를 카운트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응원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10)을 확인하여 그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확인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응원 서비스에 대한 응원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는 응원 통계 정보를 운영자 단말에 송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응원 로봇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130)은 로봇 통신부(410), 신호 분석부(420), 로봇 제어부(430), 로봇 표시부(440), 로봇 구동부(450) 및 로봇 저장부(460)를 포함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 표시부(440)는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예컨대, 사진, 영상 등)를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응원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동작은 응원 로봇(130)의 팔에 구비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응원 효과를 부각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응원 동작은 응원 로봇(130)의 개별 부위(예컨대, 팔, 몸, 다리, 얼굴 등)의 개별 응원 동작이 될 수 있다. 또한, 응원 동작은 응원 로봇(130)의 팔 동작, 몸 동작, 다리 동작, 얼굴 동작 등을 조합한 응원 동작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원 문구가 잘 보일 수 있도록 응원 로봇(130)의 팔을 올리거나, 각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이 함께 일어나면서 팔을 들어올려 파도타기 응원을 수행하는 응원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응원 메시지에는 응원 이미지(사진) 및 응원 동영상, 응원 소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원 동작 정보에는 응원 로봇(130)의 이동에 관한 구동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응원 동작에는 경기장 의자에 앉아 있는 응원 로봇(130)이 일어서고 다시 앉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원 동작에는 응원 로봇(130)이 좌측 및 우측 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응원 동작은 단순한 팔 동작의 개별 부위 동작 이외의 응원 로봇(130)의 여러 부위가 적용된 조합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원 동작은 하나의 응원 로봇(130)의 동작이 아닌 각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이나 전체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이 연동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의 응원 동작 및 응원 문구나 이미지는 상기한 예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동작과 응원 이미지의 종류 이외에도 다양한 응원 동작과 응원 이미지의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13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로봇 통신부(410)는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로봇 통신부(410)는 로봇 구동 결과를 생성하여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로봇 통신부(410)는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응원 제어신호에는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 및 응원 동작에 대한 응원 동작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즉, 로봇 통신부(410)는 응원 로봇(130)의 응원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응원 문구, 응원 이미지 또는 응원 소리 등이 포함된 응원 제어신호를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420)는 로봇 통신부(410)에서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호 분석부(420)는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로봇 통신부(410)를 통해 응원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가 포함된 응원 메시지를 추출한다.
또한, 신호 분석부(420)는 응원 메시지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로봇 제어부(4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응원 메시지에 응원 동작과 관련된 응원 동작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응원 문구의 길이, 응원 이미지의 크기나 이미지 포맷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변형 예로, 신호 분석부(420)는 응원 메시지를 분석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자체적으로 확인하고 그 확인된 응원 동작에 대한 응원 동작 정보를 추출하여 로봇 제어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분석부(420)는 특정 응원 문구나 특정 사진마다 기설정된 응원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응원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원 동작을 확인하여 로봇 제어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
로봇 표시부(44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일례로, 로봇 표시부(44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는 응원 로봇(130)의 팔에 설치되고, 응원 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LED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는 응원 로봇(130)의 얼굴에 설치되고, 응원 사진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액자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로봇 표시부(44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로봇 표시부(44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복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로봇 표시부(44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복수의 응원 로봇(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설정하여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로봇 표시부(440)는 응원 문구나 응원 이미지를 랜덤한 방식 또는 순차적인 방식으로 인접한 응원 로봇(130)의 로봇 표시부(440)와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로봇 표시부(440)는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의 속성에 따라 응원 문구의 색상, 응원 효과 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제어부(43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동작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을 확인한다. 그리고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동작에 따라 응원 로봇(130)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로봇 구동부(450)는 로봇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응원 로봇(130)의 각 부위를 자율적으로 구동시켜 응원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로봇 구동부(450)는 각 부위별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공압식, 유압식 또는 모터식 등으로 구동될 수 있다.
로봇 제어부(43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분석된 응원 동작 정보의 구동 데이터에 따라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동작 정보로부터 응원 동작이 파도타기 동작이고 구동 데이터에 따른 동작 방향(예컨대, 왼쪽에서 오른쪽), 동작 속도(예컨대, 느린 속도), 각 응원 로봇(130)의 동작 시점을 확인한다. 그러면, 로봇 제어부(430)는 각 열의 좌측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부터 파도타기 응원에 맞는 응원 동작을 수행하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문구가 파도타기의 동작 시점 및 동작 속도에 맞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로봇 표시부(4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의 응원 문구가 응원 소리 형태로 출력되도록 응원 메시지가 설정된 경우, 로봇 제어부(430)는 구동 데이터의 음성의 형태, 음속도, 음높이 및 음량 값에 따라서 해당 응원 문구를 응원 소리로 변형하여 출력하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부터 응원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면서 응원가를 함께 응원 소리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응원 문구와 대응하는 응원 소리는 로봇 구동부(4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로봇 제어부(430)는 특정 응원 문구별로 기설정된 응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응원 로봇(130)의 부위는 응원 로봇(130)의 머리, 몸체, 팔 및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응원 동작은 팔 올리기, 팔 내리기, 순차적으로 팔 올리기, 순차적으로 팔 내리기, 랜덤하기 팔 올렸다 내리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예로, 로봇 제어부(430)는 로봇 구동부(450)의 구동 결과를 피드백받아 특정 응원 문구의 문구 효과와 응원 동작을 동기화시키도록 응원 로봇(130)의 응원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만일,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에 응원 동작에 대한 구동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데이터를 로봇 저장부(460)로부터 추출하고, 그 추출된 구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로봇 저장부(460)는 응원 로봇(130)의 응원 동작이나 응원 문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구동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메시지 입력 화면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메시지 입력 화면은 응원 서비스를 위한 응원 애플리케이션 또는 응원 캠페인의 웹 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화면은 응원 템플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응원 템플릿에는 기설정된 응원 문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문구 영역(501), 응원 사진을 올릴 수 있는 사진 선택 영역(502), 사용자가 자유롭게 자유 문구를 입력할 수 있는 자유 문구 영역(503)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입력 화면에는 각 응원 문구에 대응하는 응원 동작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하는 동작 설정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단말 표시부(240)는 응원 문구와 함께 응원 동작의 종류를 각각 나타내는 응원 동작 항목을 메시지 입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응원 동작 항목은 각각의 응원 동작(예를 들어, 각 열의 팔 올리기, 각 열의 팔 내기, 순차적으로 팔 들어 올리기(제1 파도타기 동작), 순차적으로 팔 내리기(제2 파도타기 동작), 랜덤으로 팔 올렸다가 내리기 동작 등)을 나타내는 버튼이나 아이콘이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응원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 로봇(130)은 경기장 시트(601)에 설치되고, 응원 로봇(130)의 손에 설치된 제1 디스플레이(611) 및 응원 로봇(130)의 얼굴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612)를 포함할 수 있다.
응원 로봇(130)이 수행하는 응원 동작의 동작 범위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동작 정보의 구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응원 시점에 대응되는 응원 로봇(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문구가 제1 디스플레이(611)에 표시되는 동안, 각 응원 문구에 맞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 로봇(130)이 제1 디스플레이(611)를 내리고 있다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 로봇(130)이 상측으로 제1 디스플레이(611)를 이동시키도록 응원 로봇(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응원 로봇(130)은 상하로 제1 디스플레이(611)를 움직일 수 있는 액추에이터(62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620)는 응원 로봇(130)의 어깨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팔을 회전시킬 수 있다.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로봇(130)의 제1 디스플레이(611)를 통해 응원 문구가 정확하게 보일 수 있는 동작 범위 안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되는 응원 로봇(130)의 동작 범위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응원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에는 다수의 열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611 및 612)를 구비한 응원 로봇(130) 중에서 한 열에 위치한 즉, 제3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응원 장면이 나타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제어부(43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동작을 제3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과 연동하여 수행하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는 전체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이 모두 응원에 참여하도록 응원 로봇(130)의 전체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연동시켜 응원하는 응원 장면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로봇 제어부(43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제어신호에 따라 확인된 응원 동작을 복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과 정확한 응원 시점에 맞게 연동하여 수행하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랜덤한 응원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0에는 다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 중에서 일부 또는 모든 응원 로봇(130)이 제1 디스플레이(611)를 이용하여 파도타기 응원 동작을 수행하는 응원 장면이 나타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제어부(430)는 다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 중에서 일부 또는 모든 응원 로봇(130)을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열이 아닌 제1열 내지 제3열 중 적어도 하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로봇 제어부(430)는 제1 디스플레이(611)를 이용하여 파도타기 응원 동작을 수행하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열 내지 제3열 중 적어도 하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로봇 제어부(430)는 제1 디스플레이(611)를 랜덤하게 상하로 움직이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봇 제어부(430)는 신호 분석부(420)에서 추출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확인된 응원 동작을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과 연동하여 순차적 응원 동작 또는 랜덤한 응원 동작을 수행하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응원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응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02).
이어서,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응원 템플릿을 제공한다(S1104).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템플릿에 따라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입력 받는다(S1106).
이어서,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가 포함된 응원 메시지를 생성한다(S1108).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메시지를 응원 서비스 장치(120)에 전송한다(S1110).
이후, 사용자 단말(110)은 응원 메시지에 따른 응원 결과를 표시한다(S1112).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서비스 장치에서의 응원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수신한다(S1202).
그리고 분석부(320)는 응원 로봇(130)을 통해 응원할 응원 메시지를 선택한다(S1204).
이어서, 분석부(320)는 선택된 응원 메시지로부터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1206).
이후, 제어부(330)는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에 대응되는 응원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S1208).
제어부(330)는 응원 메시지 및 응원 동작을 기초로 하여 응원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210).
그리고 제어부(330)는 응원 제어신호를 응원 로봇(130)에 전송하여 응원 로봇(130)을 제어한다(S1212).
이후, 제어부(330)는 응원 로봇(130)으로부터 로봇 구동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1214).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로봇 통신부(410)는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한다(S1302).
그리고 신호 분석부(420)는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한다(S1304).
이어서, 로봇 표시부(440)는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1306).
그리고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확인한다(S1308).
이후,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로봇(130)을 구동시키도록 로봇 구동부(450)를 제어한다. 그러면, 로봇 구동부(450)는 응원 동작에 따라 응원 로봇(130)을 구동시킨다(S1310).
그리고 로봇 제어부(430)는 로봇 구동 결과를 생성하여 응원 서비스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S1312).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압식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각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로봇 구동부(450)가 공압식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진 응원 로봇(130)에 대한 응원 서비스 방법이 도 14에 나타나 있다. 공압식 액추에이터는 각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개별 스위치와 연결되고, 각 스위치는 로봇 제어부(430)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공압식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진 응원 로봇(13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3의 1310 단계 이후에, 로봇 제어부(430)는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확인한다(S1402).
그리고 로봇 제어부(430)는 상기 확인된 스위치가 스위치 1 내지 7 중에서 어느 스위치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여 그 판별된 스위치를 온(ON)시킨다(S1404 내지 S1416).
이후, 로봇 구동부(450)는 상기 판별된 스위치에 해당하는 응원 동작에 따라 응원 로봇(130)의 각 부위를 구동시킨다(S1420 내지 S1432). 여기서, 응원 동작에는 제1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팔 올리기 동작(S1420), 제2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팔 올리기 동작(S1422), 전체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팔 올리기 동작(S1424), 전체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팔 내리기 동작(S1426), 순차적인 팔 올리기 동작(S1428), 순차적인 팔 내리기 동작(S1430) 및 랜덤한 팔 올리기 및 내리기 동작(1432)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로봇 제어부(430)는 상기 확인된 스위치가 비상 스위치이면 그 비상 스위치를 온(ON)시킨다(S14018).
로봇 제어부(430)가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로봇 구동부(450)는 각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130)의 응원 동작을 정지시킨다(S1434). 응원 로봇(130)은 응원 동작시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응원 동작을 정지시켜 비상 정지하게 된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 서비스 장치에서의 응원 통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응원 서비스 장치(120)의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응원 메시지를 카운트한다(S1502).
그리고 제어부(330)는 응원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10)을 확인한다(S1504).
이어서, 제어부(330)는 상기 확인 결과(S1504)를 기초로 하여 응원 서비스에 대한 응원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S1506).
이후, 제어부(330)는 응원 통계 정보를 운영자 단말에 송부하여 표시한다(S1508).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응원 서비스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응원 서비스 장치
130: 응원 로봇
210: 단말 통신부
220: 오디오 처리부
230: 단말 입력부
240: 단말 표시부
250: 단말 제어부
260: 단말 저장부
310: 통신부
320: 분석부
330: 제어부
340: 저장부
410: 로봇 통신부
420: 신호 분석부
430: 로봇 제어부
440: 로봇 표시부
450: 로봇 구동부
460: 로봇 저장부

Claims (10)

  1. 응원 서비스 장치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로봇 통신부;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하는 신호 분석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로봇 표시부;
    응원 로봇의 각 부위를 구동시키는 로봇 구동부; 및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상기 로봇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응원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로봇 표시부를 제어하는 응원 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복수의 응원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설정하여 상기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로봇 표시부를 제어하는 응원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도록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하는 응원 로봇.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동작을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여 순차적 응원 동작 또는 랜덤한 응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하는 응원 로봇.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제어부는
    기설정된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스위치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여 응원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로봇 구동부를 제어하는 응원 로봇.
  7. 응원 서비스 장치로부터 응원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로부터 응원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포함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응원 로봇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응원 제어신호를 기초로 하여 응원 동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로봇을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상기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응원 메시지에 따라 복수의 응원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설정하여 상기 추출된 응원 문구 또는 응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 로봇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응원 동작 정보에 따라 응원 동작을 해당 열에 위치한 응원 로봇과 연동하여 순차적 응원 동작 또는 랜덤한 응원 동작을 수행하는 응원 로봇의 제어 방법.
KR1020150025798A 2015-02-24 2015-02-24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3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98A KR20160103582A (ko) 2015-02-24 2015-02-24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5/002428 WO2016137049A1 (ko) 2015-02-24 2015-03-13 응원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98A KR20160103582A (ko) 2015-02-24 2015-02-24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582A true KR20160103582A (ko) 2016-09-02

Family

ID=5694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798A KR20160103582A (ko) 2015-02-24 2015-02-24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11A1 (ko) * 2018-02-20 2019-08-29 (주)원익로보틱스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11A1 (ko) * 2018-02-20 2019-08-29 (주)원익로보틱스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69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ugmented reality using scalable frames to pre-existing media
US20020023265A1 (en) Wireless controller with publicly-accessible communications link for controlling the content seen on large-screen systems
US201502489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selected object as marked based on its context in a program
CN110574105B (zh) 用于基于语音发起定制装置动作的系统和方法
CN105430455A (zh) 信息呈现方法及系统
US20130316316A1 (en) Dynamic exercise content
CN105530548A (zh) 智能电视及其节目互动方法、服务器
CN105260116B (zh) 一种在游戏中实时截取图像的方法
US1192451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user interface
L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anks War Game Based on the Android Platform
CN109587509A (zh) 直播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CN105709416A (zh) 对多用户操作游戏的个性化配音方法及系统
CN105847995A (zh) 一种通过弹幕锚点跳转视频位置的方法
CN113810732B (zh) 直播内容显示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4466209A (zh) 直播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09729367B (zh) 提供直播媒体内容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768779B2 (en) Instant messenger method, client and system based on dynamic image grid
CN112383802A (zh) 焦点切换方法、投影显示设备及系统
CN107888846A (zh) 新接入信源的信号预览方法及电视机
KR102145370B1 (ko) 화면을 제어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화면을 분석하는 서버
CN109788327B (zh) 多屏互动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775309A (zh) 一种显示房源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60103582A (ko)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JP6899724B2 (ja) 試合観戦装置、試合観戦端末、試合観戦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357901B1 (ko) N-스크린 환경에서 체감형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