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381A -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 Google Patents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381A
KR20160102381A KR1020160106567A KR20160106567A KR20160102381A KR 20160102381 A KR20160102381 A KR 20160102381A KR 1020160106567 A KR1020160106567 A KR 1020160106567A KR 20160106567 A KR20160106567 A KR 20160106567A KR 20160102381 A KR20160102381 A KR 20160102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drones
flight
shoo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65480B1 (en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주)창조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조인프라 filed Critical (주)창조인프라
Priority to KR102016010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480B1/en
Publication of KR2016010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3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2201/127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vulnerable using an object chasing drone. The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vulnerable using an object chasing drone comprises: a receiving unit for sensing a signal of a terminal; a capturing unit directed at the terminal and capturing an image of an object; a drone which includes a control unit allowing a camera to be continuously directed at the object while the drone moves in an optimal direction, returning the drone to a condition of initial flight and shooting and storing images in a storage unit in a shortest time, and transmi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pturing unit to an operator server in real time by sensing an object in a direction of drone movement during shooting and maintain a stopping state and flies in every direction; a drone mooring device storing the drone to be charged and including a server call device; a terminal transceiving signals with the drone and being a reference point of the capturing condition; and an operator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pturing unit (12)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setting the conditions of the flight of the drone and the image capturing, and commanding the return of the drone to the drone mooring device. Therefore, the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vulnerable using an object chasing drone can protect the vulnerable from a crime by simply inputting a cell phone number and calling a server to return to home while the vulnerable is protected by the police or a guardian and can quickly call the police if a crime occurs.

Description

피사체 추적형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Background Art] [0002]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using a subject-

본 발명은 피사체 추적형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론이 피사체(범죄취약자)가 소유한 단말(리모컨 및 휴대폰을 비롯 모든 무선단말기 포함)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 즉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항상 동일한 간격 및 위치 등을 유지한 상태로 장애물을 피해가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해 범죄취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tecting a crime suspect using a subject-tracking type dr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tecting a crime suspect by using a subject- The user can shoot the subject while avoiding the obstacle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a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at i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door.

무선 기술의 발달로 최근 군사용이 아닌 개인이 소장한 소형의 무선 정찰용 비행 물체인 드론(drone)이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chnology, a small wireless reconnaissance flying object, which is owned by a non-military person, is now commercially available.

상기 드론은 화재 진압시 또는 재난 지역들에 접근하거나, 또는 지형 정보를 캡쳐하거나, 방송용, 군사용 등의 목적으로 카메라들이 장착되어 비행할 수 있도록 조작된다.The drones are manipulated so that the cameras can be mounted and flies for fire suppression, access to disaster areas, terrain information capture, broadcasting, military use, and the like.

대개 드론은 GNSS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조종장치에 의해 조작되며, 대개의 드론은 헬리콥터와 수평 회전익을 다수개 사용하여 위치 및 방향을 조절이 매우 용이한 구조이다.Generally, the drone is operated by a radio control device based on the GNSS location information, and most drones are structured to easily control the position and direction by using a plurality of helicopters and horizontal rotor blades.

특히 정지상태에서의 촬영도 가능하여 셀카용이나 방송을 위한 동영상 촬용 등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셀카 촬영은 사용자가 스스로 단말로 드론을 조작하여야하고, 동영상촬영은 별도의 드론조정자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in a still state, and it is also used for a self-portrait or a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for broadcasting. However, the self-photographing is a structure in which a user himself / herself must operate the drones with a terminal, .

물론 드론 스스로 촬영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아니면 드론에 진행경로를 미리 설정하고, 드론의 진행경로를 따라가면서 피사체가 촬영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Of course, a device has been developed to allow the drone himself to be able to shoot a photographer, bu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r to set a progress path in advance in the drone, So that it can be photographed.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이어서 비행체의 떨림과 속도로 인해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피사체와 카메라, 즉 드론 간에 정확한 간격과 위치의 설정이 곤란하며, 무엇보다 드론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는 속수무책인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is method is a method of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camera mounted on the drone, so that the accuracy is significantly lowered due to the shake and speed of the object, and it is difficult to set the precise interval and posi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camera, that is, If there is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of the drones,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a helpless one.

또 드론을 이용하는 활용방법이 다양하지 못하고, 특히 범죄취약자들을 보호하는데에 드론을 활용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있지 않다.There are not many ways to use drones, and there is no way to utilize eDRONs to protect crime victims.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iton)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80723호)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ito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8072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드론이 촬영하는 대상(이하 '피사체'라 한다)이 휴대한 단말(본 발명에서는 드론 조종 리모컨과 무선으로 드론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에 탑재된 센서 및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위치, 즉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촬영자가 미리 정해둔 촬영조건, 즉 드론과 단말의 간격, 단말에 대한 드론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등을 유지한 상태로 연속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활용하여 범죄에 노출되기 쉬운 범죄취약자들을 보호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to and from a drone,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and the terminal,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protects crime suspects who are likely to be exposed to crime by utilizing a dron that can continuously photograph a subject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drones and the direction of the camera.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단말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수신부와, 단말을 향하도록 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 촬영 도중 드론이 진행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이를 감지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피하면서도 카메라는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최초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최단의 시간 내에 돌아가도록 하되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실시간으로 운용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지상태 유지 및 상하전후좌우 비행이 가능한 드론; 상기 드론이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되고 서버호출장치를 구비하는 드론계류장치; 상기 드론과 신호를 주고받고 드론의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점이 되기 위한 단말; 상기 촬영부(12)가 습득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표시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과 사진촬영 조건 설정하고 드론계류장치로의 드론 복귀를 지시하기 위한 운용사 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putted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a receiving unit for sensing a signal of the terminal,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so as to face the terminal, If there is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of the drones, the camera detects the obstacle in the direction of the drones and avoids the optimum direction, but keeps the camera constantly aiming at the subject and returning within the shortest time in the first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dron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ionary state and having a top-bottom, front-back, left-right, and up-and-down fligh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a management company server in real time; A dron mooring device in which the drones are stored in a chargeable state and provided with a server calling device; A terminal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drones and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for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And an operating company serv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a monitor in real time, set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and photographing conditions, and instructing the drones to return to the drone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하되, 상기 드론이 피사체(범죄취약자)가 소유한 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 즉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항상 동일한 간격 및 위치 등을 유지한 상태로 촬영할 수 있고, 심지어는 장애물을 피하는 순간에도 카메라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장애물을 피하는 과정 중에 달라진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에 맞춰 스스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재조정함으로써 피사체가 이동하더라도 자연스럽게 동일한 각도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A drones for tracking a subject-based self-go-go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wherein the drones are always spaced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at i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owned by a subject (crime suspect) The camera can be photographed with the camera facing the subject even when the obstacle is avoided, so that continuous observa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case, during the process of avoiding the obstacle, By adjusting the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by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even if the subject moves, it is possible to naturally photograph at a constant interval from the same angle.

본 발명은 촬영조건, 즉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촬영각도, 카메라의 높이, 방향, 기타 촬영에 필요한 조건들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수행하도록 하면 드론은 피사체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을 기준으로 스스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므로 피사체는 촬영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장소의 위험 여부를 떠나서 어떠한 구속을 받지 않고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서 자유로운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graphing condition, that is, the photographing angl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ubject,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camera, and other conditions necessary for photographing are set in advance, the dron can set the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by himself Since the subject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shooting, the subject can be taken freely without the help of others without any restriction, regardless of the danger of the place.

또 범죄취약자는 서버의 호출과 휴대폰번호의 입력만으로도 경찰 및 보호자의 관찰을 받는 상태에서 이동 및 귀가가 가능하게 되어 범죄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며, 혹시라도 범죄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하게 경찰이 출동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crime suspects can be protected from crime by being able to move and return home with the police and guardian observing by simply calling the server and inputting the mobile phone number. If a crime occurs, the police will be dispatched promptly This is a very useful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ones and a terminal for a subject tracking type self-contain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crime suspect using a drone for a subject-tracking type self-c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10)과 단말(100)을 보이기 위한 블럭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ones 10 and a terminal 100 for a subject-tracking type self-containe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운항기본센서부(11)와, 입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2)와,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도중 드론(10)이 진행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이를 감지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피하면서도 카메라(12a)는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고 최단의 시간 내에 저장부(15)에 저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맞추기 위한 제어부(14)와,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는 정지상태 유지 및 상하전후좌우 비행이 가능한 드론(10); 상기 드론(10)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고,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점이 되는 단말(1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ncludes a navigation basic sensor unit 11 for providing all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flying a drones, a storage unit 15 for storing input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And a camera 12a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s 10 travel in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2 while avoiding the camera 12a in an optimal direction, A control unit 14 for adjusting the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for receiving information serving as a reference of the shooting and shooting conditions, A dron 10 capable of flying back and forth; And a terminal (100)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drones (10) and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for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10).

이때 상기 드론(10)은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팬, 틸트, 요잉을 수행함으로써, 정지상태, 전후좌우상하 자유롭게 운항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drones 10 may be constituted by at least one propeller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by a driving unit. By performing pan, tilt, yaw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Operation is possible.

상기 촬영부(12)는 카메라(12a)는 물론 조명(12b), 마이크(12c)를 포함하는데, 상기 카메라(12a)와 조명(12b), 마이크(12c)도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촬영부(12)는 카메라(12a)와 조명(12b), 마이크(12c)는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피사체, 즉 단말(100)를 향하도록 방향전환 및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2 includes a camera 12a as well as a light 12b and a microphone 12c so that the camera 12a, the light 12b and the microphone 12c are continuously directed toward the subject. desirable. At this time, the camera 12a, the illumination 12b, and the microphone 12c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urning and rotating the subject toward the subject 100, that is, the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It is possible.

상기 단말(100)은 드론 조종을 위한 무선조종장치 및 리모컨, 휴대폰(블루투스 기능 포함)은 물론 R/F 송신 및 수신장치는 물론 무선으로 드론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무선단말기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100 includes a radio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one, a remote control, a cellular phone (including a Bluetooth function) as well as R / 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as well as all wireless terminals capable of exchanging signals with a drone wirelessly.

상기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기로써 블루투스 표준안(Bluetooth Protocol)에 기초한다. 상기 블루투스 표준안은 근거리에서 통신의 주체를 마스터로 하여 이의 요구를 수용하여 블루투스 표준안에 따라 다른 블루투스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The "Bluetooth" is based on the Bluetooth Protocol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Bluetooth standard accepts the request as a master of communication at a short distance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other Bluetooth devices according to the Bluetooth standard.

상기 드론(10)과 단말(100)은 무선통신부(13a, 13b)에 의해 드론(10)과 단말(10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무선통신부(13a, 13b)에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BT)를 구비된다.The drones 10 and the terminal 100 are configured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drones 10 and the terminals 100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are provided with a short- (BT).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BT)은 R/F 송수신 및 휴대폰의 블루투스 기능, 또 휴대폰이 기지국과 송신하는 자체 전파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제어부(14)는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BT)을 이용해 드론(10)과 단말(10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진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T uses the R / F transmission / reception and the Bluetooth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and the self-propagation transmitted by the mobile phone to the base station. The controller 14 uses the short-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100 is maintained.

즉 단말(100) 및 서버(200)에 의해 피사체추적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4)는 드론(10)을 비행시키면서 동시에 피사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ubject tracking mode is set by th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the control unit 14 moves while moving along the subject while flying the drones 10.

이때 제어부(14)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BT)을 제어하여 상기 단말(100), 즉 휴대폰과 드론(10)간의 컨넥션(Connection)을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론(10)과 단말(110) 사이에 컨넥션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4)는 단말(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단말의 무선 주파수(RF) 전력레벨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T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i.e., the mobile phone and the drones 10. Accordingly, when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rones 10 and the terminal 110, the controller 14 periodically checks the RF power level of the terminal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100.

상기 휴대폰과 드론(10)간의 컨넥션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A connection setting method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drones 10 is as follows.

죽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BT)은 RF 송/수신부, 기저대역 처리부, 링크 제어부2 및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및 링크 제어부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휴대폰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HCI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서버(200)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갈 수 있도록 한다. The base st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link control unit ar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of the mobile phone by HCI (Host Control Interface), and the HCI So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of the server 200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by transmitting / receiving a packet.

상기 HCI로는 RS232C를 비롯하여 USB, 표준 PC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HCI패킷은 커맨드(command), 이벤트(event), 데이터 패킷으로 구분된다.As the HCI, RS232C, USB, and standard PC interface can be used. The HCI packet is divided into a command, an event, and a data packet.

상기 RF 송/수신부는 송신시 기저대역 처리부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하며, 수신시에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인가한다.The RF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modulates and amplifies the wireless transmission data packet generated by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during transmission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while suppressing the noise amplification of the received frequency signal as much as possible. Amplifies the amplified signal to a low frequency band, and applie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baseband processor.

또 기저대역 처리부는 호스트인 휴대폰의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액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패킷으로 변경하여 전송한다.In addition, the baseband processor changes the HCI data packet to a packet format for adding an access code and a header to various HCI data packets applied from a control unit of a host cellular phone, changes the packet format to a predetermined data packet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transmits the data packet by changing the received data packet to the HCI packet.

또 링크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의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커맨드 패킷의 명령에 의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BT)을 제어한다.The link control unit control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T) based on a command packet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cellular phone.

이때 상기 단말(100)과 드론(10)간의 컨넥션(Connection)을 위해 단말(100)과 드론(10)에는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and the dron 10 may be provided with a program or an application for enab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drones 10.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단말(100)의 무선주파수 전력레벨 측정 결과 상기 단말(100)의 전력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하가 되면 드론(10)을 단말(100)에 가깝게 비행시키고, 전력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드론(10)을 단말(100)로 부터 멀어지도록 비행시키게 된다.When the power level of the terminal 10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s a result of the RF power level measurement of th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4 causes the dron 10 to fly close to the terminal 100, Level, the drone 10 is caused to fly away from the terminal 100.

또한 상기 제어부(14)가 휴대폰이 기지국과 송신하는 자체 전파에 의해 드론(10)과 단말(100)의 간격을 유지하는 경우는 휴대폰이 기지국으로 전파를 송신할 때 상기 기준이 되는 전파의 세기를 저장부(15)에 저장하였다가, 휴대폰으로 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가 기준 이하로 약해지면 이는 드론(10)과 휴대폰의 거리가 멀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드론(10)을 단말(100)에 가깝게 비행시키고, 기준 이상으로 강해지면 이는 드론(10)과 휴대폰의 거리가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하여 드론(10)을 단말(100)로 부터 멀어지도록 비행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4 maintains the interval between the drones 10 and the terminal 100 by self propag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the control unit 14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radio wave when the cellular phone transmits the radio wave to the base st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10 and the mobile phone is dista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10 and the mobile phone 10 is shortened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10 and the mobile phone is determined to be clos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10 and the mobile phone 100,

특히 상기 제어부(14)는 단말(100)의 무선주파수의 방향을 측정하여 항상 촬영부(12)가 단말(100), 즉 피사체를 향하도록 드론(10)을 운항하는 기능도 구비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때 단말(100)의 방향 측정은 무선주파수가 아닌 공지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측정하게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control unit 14 must also have a function of always measuring the direction of the radio frequency of the terminal 100 and always operating the photographing unit 12 to operate the drones 10 toward the terminal 100, Do. In this ca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measurement of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by various known means other than radio frequency.

이처럼 제어부(14)는 입력되는 모든 정보를 비교하여 항상 드론(10)이 단말(100)과 최초 설정된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 촬영부(12)는 피사체를 향하고 있는지를 수시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센싱정보에 의해 입력되는 모든 정보를 비교하여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과 다르다면 이를 원상으로 복귀하기 위한 노력을 스스로 수행하게 된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14 compares all the inputted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drones 10 are constantly maintaining the initial set interval with the terminal 100 and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2 is facing the subject. Also, all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ared, and if it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ly set flying and photographing conditions, it is made an effort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즉 최초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드론(10)과 단말(100)과의 간격을 3m로 하고, 드론(10)의 위치는 단말(10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다면 드론(10)은 단말(100)로 부터 3m 높이에서 위에서 아래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될 것이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 10 and the terminal 100 is 3 m and the position of the dron 10 is positioned above the terminal 100 under the initial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You will shoot your subject from top to bottom at a height of 3m.

그러나 드론(10)이 비행하면서 이동하다 보면 대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드론(10)은 제어부(14)에 의해 최적의 장애물 회피경로를 이용해 피해가게 된다. 상기 최적의 장애물 회피경로는 제어부(14)에 내장된 장애물 회피모듈(14a)에 의해 결정된다. However, when the dragon 10 is moving while flying, there may be a case where an obstacle is usually present. In this case, the drone 10 is obstructed by the controller 14 by using the optimum obstacle avoidance path. The optimal obstacle avoidance path is determined by the obstacle avoidance module 14a built in the control unit 14. [

또 상기 제어부(14)는 드론(10)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장애물감지센서부(16)에 의해 파악하여 최적의 장애물 회피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장애물 회피 모듈(14a)과, 상기 장애물 회피 모듈(14a)에 의해 장애물을 피함으로 인해 달라진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과,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과 현재 비행 및 촬영상태의 비교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를 드론의 비행에 반영하여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드론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15)에 저장하거나 휴대폰 또는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촬영모듈(14c);을 더 포함한다.The controller 14 includes an obstacle avoidance module 14a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es 10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unit 16 and setting an optimal obstacle avoidance path, A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for comparing the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s of the changed drones 10 due to the avoidance of the obstacle by the avoidance module 14a with the initially set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s, A flight and shooting management module for adjusting the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 so that the difference caused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module 14b and the current flying state and the shooting state is reflected in the flight of the drones, And a photographing module 14c for stor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storage unit 15 or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mobile phone or the server 200. [

상기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은 드론(10)의 기본적인 운항 및 촬영을 가능하게 하고, 장애물 회피 모듈(14a)에 의해 전송된 장애물 정보를 파악하여 드론(10)이 최적의 경로로 피할 수 있도록 드론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조절하며, 촬영부(12)의 방향이 항상 단말(100)을 향하도록 하되 드론이 장애물을 피하는 순간에도 촬영부(12)의 방향이 단말(100)을 향하도록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한다.The flight and shooting management module 14d enables basic navigation and shooting of the drones 10 and grasps the obstacl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obstacle avoidance module 14a so that the drones 10 can avoid the optimal rout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2 always faces the terminal 100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2 faces the terminal 100 even when the drones avoid an obstacle And also controls the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 10.

또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은 드론의 정렬 상태, 속도, 비행방향, 높이, 각도, 카메라의 방향 모든 것을 고려하여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는 촬영자의 초기 촬영조건 설정됨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또한 이 모든 것은 기본은 피사체의 위치 및 속도를 기준으로 감안하여 결정되어짐은 당연하다. The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all of the drones in terms of alignment, speed, flight direction, height, angle, and camera direction. However, Only.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all of these are basically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subject.

상기 저장부(15)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 is a non-volatile memory (NVM) that does not lose power even if the power is not supplied. The storage unit 15 is a flash memory,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FRAM), ferroelectric RAM (FRAM), and the like.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부(16)는 공지된 수많은 센서들을 포함하며, 드론(10)이 설정된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을 수행하면서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진다.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unit 16 includes a number of sensors and includes various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existence of obstacles existi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while performing shooting according to the shooting conditions set by the drones 10.

참고로 레이저빔을 발산하고 반사된 빔을 수신하여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는 레이저 센서, 열감지에 의해 동물 및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는 적외선 및 열감지 센서, 초음파센서, 근접센서, 영상분석방식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For example, a laser sensor that emits a laser beam and receives a reflected beam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present; an infrared and thermal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animal or human by heat sensing; an ultrasonic sensor; Lt; / RTI >

물론 드론(10)의 운항에 필요한 기본적인 센서부, 즉 위치센서(16) 및 거리센서, GPS 위치 수신기, G-센서, 고도 센서, 자력센서, 고도센서, 속도센서, 각도센서, 가속도계, 레이트 센서, GNSS 모듈 들은 당연히 구비됨은 당연하다.Of course, a basic sensor part necessary for operating the drone 10, namely, a position sensor 16 and a distance sensor, a GPS position receiver, a G-sensor, an altitud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ltitude sensor, a speed sensor, , GNSS modules are of course natural.

또한 단말(10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로도 대체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원격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드론에 모든 촬영조건은 다른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가능토록 하고, 단지 휴대폰은 드론과 무선통신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so, the terminal 100 may be replaced with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may be configured with a general remote control device. Also, for convenience of carrying, all the shooting conditions may be input to the drones by other input devices, and the mobile phone may be configured to have only a function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rones.

상기 제어부(14)의 장애물 회피 모듈(14a)은 장애물감지센서부(16)에 의해 센싱된 장애물의 크기, 높이, 방향 등을 인식하고, 이를 피할 수 있도록 비행 및 촬영조건을 바꾸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장애물감지센서부(16)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근거로 제어부(14)는 드론의 운항 조건을 바꾸게 된다.The obstacle avoidance module 14a of the control unit 14 recognizes the size, height, and direction of an obstacle sensed by the obstacle sensor unit 16 and changes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so as to avoid the obstacle, The control unit 14 changes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drones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unit 16,

이처럼 드론의 운항 방향이 바뀌게 되면 당연히 처음 설정된 촬영조건, 즉 드론과 휴대폰의 간격, 휴대폰에 대한 드론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등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달라진 비행 및 촬영조건과 처음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이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이다. When the direction of the dron is changed, the first shooting condition,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 and the mobile phone, the position of the drones with respect to the mobile phone, and the direction of the camera are changed. At this time, Is a flying and photograph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따라서 비교의 대상이 되는 것은 현재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상태와,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에을 맞추기 위한 그 당시의 비행 및 촬영상태가 될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comparison will be the flight and shooting state of the current drone 10 and the flying and shooting state at that time to match the initially set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이는 운항기본센서부(11)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에 의해 드론(10)의 운항 조건이 조절된다. This is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navigation basic sensor unit 11.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the flight and photographing management module 14d controls the drones 10, Is controlled.

*결국 무엇보다 피사체를 촬영함에 있어 장애물을 피한 뒤 처음 설정한 촬영조건대로 다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본 발명의 핵심인바, 이를 위해 드론(10)의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드론(10)은 이를 피하면서 촬영은 계속하도록 하기 위하여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은 최적의 장애물 회피코스를 파악하여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에 의해 드론의 운항 조건이 신속하게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f the obstacle is present in the path of the drone 10, the drone 10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obstacle is present in the path of the drone 10, The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should grasp the optimal obstacle avoidance course so that the flight and shooting management module 14d can quickly adjus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Do.

이때 드론(10)이 장애물에 의해 달라진 비행 및 촬영조건을 최초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복귀함에 있어 시간적인 딜레이는 불가피한 것이므로,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은 이 점도 감안하여 프로그래밍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delay time is inevitable in returning the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changed by the obstacle to the first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the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must be programm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는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운항기본센서부(11)와, 입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2)와,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도중 드론(10)이 진행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이를 감지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피하면서도 카메라(12a)는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고 최단의 시간 내에 저장부(15)에 저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맞추기 위한 제어부(14)와,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는 정지상태 유지 및 상하전후좌우 비행이 가능한 드론(10); 상기 드론(10)이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되고 서버호출장치를 구비하는 드론계류장치(300); 상기 드론(10)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고,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점이 되는 단말(100); 상기 촬영부(12)가 습득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220)에 표시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과 사진촬영 조건 설정하고 드론계류장치(300)로의 드론 복귀를 지시하기 위한 운용사 서버(200);로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protecting a crime suspect using a dron for a subject-tracking type self-contained c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vigation basic sensor unit 11 for providing all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a dron to fly, (12)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s (10) travel during shoot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12) The camera 12a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4 for continuously aiming the subject and adjusting the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within the shortest time, A dron 10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ionary state and capable of up, down,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A dron mooring device 300 in which the drones 10 are stored in a chargeable state and provided with a server calling device; A terminal 100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drones 10 and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for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10;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displayed on the monitor 220 in real time and displayed on the monitor 220 in order to set the conditions for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the drones and instructing the drones 300 to return to the drones Management company server 200 as shown in FIG.

상기 운용사 서버(200)는 무선통신망에 의해 드론(10)과 정보를 주고 받게 되며, 모니터(220)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내오는 촬영부(12)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범죄취약자가 범죄에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manager server 200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drone 1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2 that is sent in real time via the monitor 220. This will allow the criminal suspects to see whether they have been exposed to the crime.

동시에 촬영부(12)가 보내주는 정보, 즉 영상 및 소리는 DB(210)에 저장되어 범인의 범죄행위를 입증하는 증거로 사용할 수도 있다.At the same time, the information sent by the photographing unit 12, that is, the image and sound, is stored in the DB 210 and can be used as evidence for proving the criminal behavior of the criminal.

상기 드론계류장치(300)는 드론(10)이 보관되고, 충전을 하기 위한 곳으로, 경찰서의 옥상 등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대개 범죄취약지구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drone mooring device 300 may be installed on the roof of a police station or the like for storing and charging the drones 10, but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vulnerable zone for crime.

따라서 전지의 충전을 위해 충전지(32) 및 태양전지판(310) 및 충전접지(340) 등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330) 위에 드론(10)이 얹혀서 보관되도록 하되 상기 드론(10)의 촬영부(12)가 상시 작동하게 함으로써 방범카메라로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rechargeable battery 32, the solar panel 310 and the charging ground 340 for charging the battery. In addition, the drones 10 are placed on the pillars 330, and the photographing unit 12 of the drones 10 is always operated.

결국 드론(10)은 이동이 가능한 방범카메라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고정식 방범카메라가 갖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드론(10)을 드론계류장치(300)에서 부터 시작하여 비행경로을 설정해 주므로써 순찰을 하게 할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drone 10 functions as a security camera capable of moving, thereby minimizing the blind spot of the fixed security camera. Of course, the drone 10 may be set to start a patrol by setting the flight path starting from the drone mooring device 300.

또한 상기 드론계류장치(300)에는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보호서비스를 범죄취약자가 요청할 수 있는 서버호출장치(3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rone mooring device 300 may include a server calling device 350 that can request a crime suspect for a protection service using the inventive drones.

본 발명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protecting a crime suspect using a drones for tracking a subject-type self-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범죄취약자가 단말(100)을 이용해 운용사 서버(200)를 호출하는 단계(S1)와, 호출된 서버(200)는 범죄취약자의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을 설정하는 단계(S2)와, 상기 컨넥션이 설정되면 서버(200)가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3)와, 상기 범죄취약자, 즉 휴대폰의 이동에 따라 드론(10)은 비행하면서 피사체, 즉 범죄취약자를 촬영하는 단계(S4)와, 상기 촬영된 영상은 서버(200)로 전송하여 모니터(220)에 출력하고 영상 및 소리는 DB(210)에 저장하는 단계(S5)와, 서버(200)의 서비스종료신호에 의해 드론(10)은 드론계류장치(300)로 복귀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진다.A step S1 of calling the management company server 200 using the terminal 100 by a crime suspect and a step S2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drones 10 of the crime suspect, (S3) of setting the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10) when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a step S3 of setting the flying conditions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10) (S5) of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server (200) and outpu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monitor (220), and storing the image and sound in the DB (210) The drones 10 return to the drone mooring unit 300 in response to a service end signal from the drones 300 (S6).

이때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수단이 될수도 있으나, 드론계류장치(300)에 설치된 서버호출장치(350)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but it may be a server calling apparatus 350 installed in the drone mooring apparatus 300.

또한 상기 드론(10)이 서버(200)의 서비스종료신호에 의해 드론계류장치(300)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듈이 제어부(14)에 구비되어짐은 당연하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ontrol unit 14 is provided with a module for allowing the drones 10 to return to the drone mooring unit 300 by a service termination signal of the server 200. [

본 발명에 의해 구동되는 드론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operating the drones driven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휴대폰을 포함하는 입력수단에 의해 촬영자가 정한 최초 비행 및 촬영조건이 설정된다.First, the initial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set by the photographer are set by the input means including the cellular phone.

이때 가장 기본적인 비행 및 촬영조건은 촬영자(피사체)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100)을 기준으로 휴대폰과 드론(10)의 간격, 즉 이격거리 및 드론(카메라) 높이 및 방향 등이 될 것이다. 드론(10)의 이동속도는 휴대폰(100)의 이동속도와 동일하므로 이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는 한 큰 의미 없다.In this case, the most basic flying and shooting conditions will be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drones 10, that is, the distance and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drones (camera) based on the mobile phone 100 owned by the photographer (subject). Since the moving speed of the drone 10 is the same as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phone 100, there is no significant meaning unless it is set separately.

좀더 상세한 촬영조건으로는 카메라의 촬영 시간 가변적 거리 및 높이 조절 등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For more detailed shooting conditions, various conditions can be set such as the variable shooting distance of the camera and the height adjustment, but this can be set as needed.

따라서 촬영자가 최초 촬영조건으로 휴대폰과 드론의 간격을 3m로 설정하고, 드론(카메라)의 위치는 피사체 전방 45°로 정했다고 하면, 드론은 항상 카메라를 피사체를 향한 체로 전방 45°위치에서 3m의 높이로 피사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photographer sets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dron as 3 m in the initial photographing cond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dron (camera) is set at 45 ° in front of the subject, the dron always moves the camera toward the subject, The subject is photographed while mov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ject.

이처럼 전방 45°위치에서 3m의 높이로 피사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운항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본 발명 드론은 이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카메라의 방향은 피사체를 향하면서 지속적으로 촬영을 하게 된다.When there is an obstacle in the navigation path that mov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ject at a height of 3m from the front 45 ° position, the inventive drones continuously shoot the direction of the camera while aiming the subject while avoiding the obstacle.

본 발명에서 드론(10)의 제어부(14)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휴대폰(100)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정보를 센서부(101)와 무선통신부(13a)로 부터 수신하여 이를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에 의해 역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에과 비교하고, 설정된 조건과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 서로 일치시키기 위한 제어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The control unit 14 of the drones 10 continuously and repeatedly receiv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mobile phone 100 from the sensor unit 10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a, The module 14b must also continuously and repeatedly compare with the initially set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and to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control the parts that differ from the set conditions to be consisten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a method for protecting a crime suspect using a drones for tracking a subject-based self-contained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범죄취약자, 예를 들면 범죄취약지구에 사는 여자 또는 현금을 운반하는 사람 등이 경찰 또는 보호자에게 보호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서버호출장치(350)를 누르게 되면 운용사의 서버(200)가 호출되고, 호출된 서버(200)는 범죄취약자의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을 설정하게 된다.When a crime suspect, for example, a woman living in a fraudulent district or a person carrying cash, or the like presses the server calling apparatus 350 to request a protection service to the police or a guardian, the manager's server 200 is called, The called server 200 establishes a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of the crime suspect and the drones 10.

이때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은 휴대폰의 전화번호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dron 10 is made possible by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phone.

이처럼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이 설정되면 서버(200)는 범죄취약자의 환경 및 상황에 맞게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게 된다.When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drones 10, the server 200 sets the flying conditions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10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circumstances of the crime suspect.

이와 같은 설정이 끝나면 범죄취약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드론(10)이 설정된 위치에서 범죄취약자를 촬영하여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crime suspect is photographed at the location where the drone 10 is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rime suspect moves, and the crime suspec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이처럼 촬영된 영상은 서버(200)의 모니터로 전송되어 모니터로 전송된 정보에 의해 범죄취약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photograph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 of the server 200 and can be grasped by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onitor.

물론 범죄취약자가 목표지에 도착하게 되면 서비스는 종료되고, 상기 서비스종료신호를 서버(200)가 전송하면 드론(10)은 자신이 머물렀던 드론계류장치(300)로 복귀하게 된다.Of course, when the crime suspect arrives at the target site, the service is terminated. When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service end signal, the drone 10 returns to the drone mooring apparatus 300 where the crime suspect has been staying.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Herein,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For example, the module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a kind of hardware. Can be easily deduced to the average expert in the field of < / RTI >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드론
11: 운항 기본 센서부
12: 촬영부
13: 무선통신부
14: 제어부
14a: 장애물 회피 모듈
14b: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
14c: 촬영모듈
14d: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
15: 저장부
16: 장애물감지센서
100: 단말
200: 운용사 서버
300: 드론계류장치
10: Drones
11: Operation basic sensor unit
12:
13:
14:
14a: Obstacle avoidance module
14b: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comparison module
14c: photographing module
14d: Flying and shooting management module
15:
16: Obstacle detection sensor
100: terminal
200: Manager server
300: Drone mooring device

Claims (2)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운항기본센서부(11)와, 입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2)와,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도중 드론(10)이 진행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이를 감지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피하기 위한 제어부(14)와,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는 정지상태 유지 및 상하전후좌우 비행이 가능한 드론(10)을 구비하는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10)이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되고 서버호출장치(350)를 구비하는 드론계류장치(300);
상기 드론(10)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고,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점이 되는 단말(100);
상기 촬영부(12)가 습득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220)에 표시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과 사진촬영 조건 설정하고 운항 후 드론계류장치(300)로의 드론 복귀를 지시하기 위한 운용사 서버(200);
상기 드론(10)이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카메라(12a)는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고 단말(100)로 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피사체와 일정간격 유지하면서 드론(10)을 운항하게 하기 위한 제어부(14):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
A navigation basic sensor unit 11 for providing all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flight of the drones, a storage unit 15 for storing the inputted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a photographing unit 12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A control unit 14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 10 advances during shoot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12 and avoiding the obstacle in an optimum direction,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crime suspect using a dron comprising a dron (10)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ionary state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and capable of up, down,
A drones mooring device 300 in which the drones 10 are stored in a chargeable state and having a server calling device 350;
A terminal 100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drones 10 and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for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10;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 is received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displayed on the monitor 220 in real time and the operation of the drones and the photographing conditions are set and the drones are returned to the drones 300 A management company server 200 for performing management;
A controller 12a for causing the dron 10 to navigate while keeping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while measu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while keeping the camera 12a constantly facing the object while avoiding obstacles; (14):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ri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드론(10)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장애물감지센서부(16)에 의해 파악하여 최적의 장애물 회피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장애물 회피 모듈(14a)과,
상기 장애물 회피 모듈(14a)에 의해 장애물을 피함으로 인해 달라진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과,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과 현재 비행 및 촬영상태의 비교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를 드론의 비행에 반영하여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드론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
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14) comprises an obstacle avoidance module (14a)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is present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 (10) by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unit (16) and,
A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for comparing the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s of the changed drones 10 due to obstacle avoidance by the obstacle avoiding module 14a with the initially set flight and photographing condi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ight and shooting condition comparison module 14b and the difference caused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current flying state and the shooting state is reflected in the flight of the drones so as to adjust the flight and shooting state of the dron And a flight and shooting management module (14d) for controlling the shooting of the cricket.
KR1020160106567A 2016-08-22 2016-08-22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KR101765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567A KR101765480B1 (en) 2016-08-22 2016-08-22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567A KR101765480B1 (en) 2016-08-22 2016-08-22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919A Division KR101692018B1 (en) 2015-01-02 2015-01-22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81A true KR20160102381A (en) 2016-08-30
KR101765480B1 KR101765480B1 (en) 2017-08-11

Family

ID=5688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567A KR101765480B1 (en) 2016-08-22 2016-08-22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4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71613A1 (en) * 2016-02-11 2019-03-07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Fuel Additives
KR101967103B1 (en) * 2018-07-23 2019-04-09 정성실 CCTV maintenanc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80B1 (en) 2019-04-04 2019-07-09 정일 System of drone for suppressing violence by disturbing eyesight
KR102020913B1 (en) 2019-07-01 2019-09-16 정일 System of drone for suppressing violence by disturbing eyesigh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71613A1 (en) * 2016-02-11 2019-03-07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Fuel Additives
KR101967103B1 (en) * 2018-07-23 2019-04-09 정성실 CCTV mainten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480B1 (en)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018B1 (en)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US11790741B2 (en) Drone based security system
US10642264B2 (en) Security drone system
KR101765480B1 (en)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TWI436035B (en) Emergency guiding system and server
JP6635529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bile robot device
KR101756603B1 (en) Unmanned Security System Using a Drone
US20180067502A1 (en) Drone security system
JP6859241B2 (en) Aircraft, biological search systems, biological search methods, programs, and recording media
KR101802669B1 (en) Auto Monitoring System Using a Drone
KR101786718B1 (en)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JP671156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1111279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a position of a drone
WO2019041633A1 (en) Communication relay method, relay aerial vehicl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067617A (en) A kind of method for safety monitoring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unmanned plane
KR20180040255A (en) Airport robot
KR101746579B1 (en) Car black box system using the drones
KR20210057694A (en) Moving security robot for outdoor guard, and method thereof
KR102203292B1 (en) Cctv surveillance system using cctv combined drones
KR101933428B1 (en) A drone system which receiving a real time image from a drone and executing a human recognition image analyzing program
KR102661212B1 (en) Firefighting drone with thermal imaging camera
JP6723126B2 (en) Security system
KR20230090206A (en) Operating method of smart drone for crime prevention
KR20210068368A (en) System of safety control service using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2503849B1 (en) Mobile Base St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Using Mobile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