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810A - 새싹 재배기 - Google Patents

새싹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810A
KR20160101810A KR1020150024415A KR20150024415A KR20160101810A KR 20160101810 A KR20160101810 A KR 20160101810A KR 1020150024415 A KR1020150024415 A KR 1020150024415A KR 20150024415 A KR20150024415 A KR 20150024415A KR 20160101810 A KR20160101810 A KR 20160101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germinating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456B1 (ko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김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진 filed Critical 김희진
Priority to KR102015002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을 발아시키고 재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새싹 재배기는 케이스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탱크와; 발아되는 씨앗이 안착되는 복수의 발아부재와;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부재와; 상기 발아부재를 경유한 물을 수용하는 저수조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아부재의 선단에서 탈부착되는 관찰판;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속에 공기 방울을 생성하는 기포발생기 및 상기 투명창에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단막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발아되는 새싹이 청결하게 성장할 수 있고, 상기 투명창과 상기 관찰판에 의하여 새싹의 발아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상기 차단막에 의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씨앗의 종류에 따라 햇빛을 조사할 수도 있으므로 새싹을 녹색이나 노란색으로 선택하여 재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새싹 재배기{CULTIVATING APPARATUS FOR SEEDS}
본 발명은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결하게 새싹을 발아할 수 있고 외부에서 새싹의 발아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내부의 습도를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새싹에 녹색을 띠게 하거나 노란색을 띠게 할 수 있는 새싹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채소용 씨앗을 재배하여 수확하는 방법으로는 물에서 씨앗을 재배하는 수경재배와 흙에서 씨앗을 재배하는 토양재배가 있다.
수경재배의 경우에는 영양소가 첨가된 물을 용기에 채워놓고 그 위에 얹어놓게 되는 씨앗 재배판에 씨앗을 뿌려주어 재배하게 되며, 토양재배의 경우에는 흙이 담긴 용기에 씨앗을 뿌려서 재배하게 된다.
한편, 새싹 채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배시 새싹 채소가 썩지 않게 하기 위한 방부제나, 빠른 시간 내에 성장하도록 하기 위한 촉진제 등의 인체 유해약품을 투입하게 되어 식품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이 새싹을 가정 내에서 재배함으로써, 새싹에 농약 및 유해물질 사용에 따른 불신을 말끔히 해결할 수 있고, 또한 가정 내에서 새싹을 재배함으로써, 공기정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자녀들의 좋은 학습교재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새싹 재배기의 구조는 새싹 재배통에 재배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씨앗을 뿌리고 그 위에 뚜껑 또는 물통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씨앗을 발아시켜서 성장한 새싹을 먹는다.
종래의 새싹 재배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게 구성된 새싹 재배통과, 씨앗을 파종하는 재배판과, 재배판을 덮을 수 있도록 뚜껑으로 구성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여 일반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첫째, 씨앗에 공급되는 물을 재사용하므로 물이 새싹 재배기 내부에서 정체되고 이와 같이 정채되는 물에 의하여 물이끼가 발생하여 발아되는 새싹이 청결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새싹 재배기 내부에서 새싹의 발아 상태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개폐문을 개방하고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기술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햇빛을 차단한 상태로만 발아시킴으로서 발아 환경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물에 염소가 포함되어서 재배되는 새싹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10-0788149호(2007.12.31 공고)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09-0087193호(2009.08.17 공개) 문헌3: 등록특허공보 10-1212130호(2012.12.13 공고) 문헌4: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5482호(2011.06.01 공개)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첫째, 씨앗에 공급되는 물을 재사용하므로 물이 새싹 재배기 내부에서 정체되고 이와 같이 정채되는 물에 의하여 물이끼가 발생하여 발아되는 새싹이 청결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새싹 재배기 내부에서 새싹의 발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폐문을 개방하고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기술에 따른 새싹 재배기는 햇빛을 차단한 상태로만 발아시킴으로서 발아 환경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물에 염소가 포함되어서 재배되는 새싹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 재배기 내부에서 새싹의 발아 상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씨앗의 종류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거나 햇빛을 조사할 수 있고, 적당한 온도의 물을 균일하게 분사하고, 특히 분사되는 물속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새싹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새싹 재배기는 육면체 형성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폐문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고, 뜨개에 의하여 일정한 수위로 물을 수용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다단으로 장착되며, 발아되는 씨앗이 안착되는 복수의 발아부재와; 상기 발아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발아부재의 상부로 분사시키는 물분사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상기 발아부재를 경유한 물을 수용하는 저수조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아부재의 선단에서 탈부착되는 관찰판과; 상기 저수탱크에 안착되어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에 의하여 가열된 물이 상기 물분사부재 상부면으로 한번에 이동하도록 하는 단속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문에는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하부면과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기 발아부재는 사각모양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반원형상으로 면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홈과; 복수의 상기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환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전후로 활주가능하고,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물분사부재로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과; 상기 이동관에서 물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하는 작동구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속에 공기 방울을 생성하는 기포발생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에는 오버플러우관이 추가로 장착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물이 수용되고, 상기 투명창에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첫째, 씨앗에 공급되는 물을 재사용하지 않으므로 발아되는 새싹이 청결하게 성장할 수 있고, 둘째 상기 투명창과 상기 관찰판에 의하여 새싹 재배기 내부에서 새싹의 발아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개폐문의 개방에 의한 온도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상기 차단막에 의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씨앗의 종류에 따라 햇빛을 조사할 수도 있고, 햇빛을 차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단막에 의하여 새싹을 녹색이나 노란색으로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기에 의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를 기화시키고, 상기 가열기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새싹 재배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새싹 재배기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발아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기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새싹 재배기의 요부 분리 사시도와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새싹 재배기는 케이스(20), 저수탱크(30), 발아부재(40), 물분사부재(50), 저수조(60) 및 단속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육면체 형상이고 내부에는 여러 구성품이 내장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에는 개폐문(25)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25)에는 투명창(27)이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3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저수탱크(30)에는 뜨개(85)에 의하여 일정한 수위로 물이 수용되게 된다. 상기 저수탱크(30)에 수용되는 물은 수도관을 직접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저수탱크(30)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분사부재(50) 상부면으로 한번에 쏟아지게 되는데,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저수탱크(30)와 상기 물분사부재(50)를 연통하는 이동관(83)의 상단부에 안착하는 밸브(81)와, 상기 밸브(81)를 작동하는 작동구(87)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탱크(30)에는 뜨개(85)가 장착되어서 수용되는 물이 일정한 높이에 이르면 수돗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 뜨개(85)와 상기 단속부재의 작동은 화장실 변기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저수탱크(30)에는 가열기(31)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가열기(31)는 전기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상기 저수탱크(30)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에 이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물을 씨앗에 분사하여서 발아가 용이하게 이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30)에는 기포발생기(33)가 장착된다. 상기 기포발생기(33)는 상기 저수탱크(30)에 수용되는 수돗물 포함된 염소가 기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이 염소가 제거된 물을 씨앗에 분사하게 된다.
상기 가열기(31)와 상기 기포발생기(33)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고 염소가 제거된 물은 상기 물분사부재(50) 상부로 한꺼번에 하강하게 된다.
상기 물분사부재(50)는 하부면과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물분사부재(50)로 한꺼번에 쏟아진 물은 상기 물분사부재(50) 전체면으로 퍼지게 되고, 이와 같이 균일하게 퍼진 물은 상기 관통공에 의하여 하부로 분사되게 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물분사부재(50)의 전체 하부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발아부재(40)는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아부재(40)는 사각모양의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의 상단부에 반원형상으로 면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홈(45)과 복수의 상기 안착홈(45)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환봉(4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아부재(40)는 상기 케이스(20) 내부 공간에서 전후로 활주가 가능하고, 상기 환봉(47)과 환봉(47) 사이에 발아시킬 씨앗(땅콩)이 안착 된다. 따라서 상기 환봉(47)과 상기 환봉(47) 사이의 이격된 길이는 발아시킬 씨앗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게 된다.
상기 발아부재(40)의 전면에는 관찰판(49)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관찰판(49)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걔폐문(25)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투명창(27)과 상기 관찰판(49)을 통하여 상기 발아부재(40)에 안착된 씨앗의 발아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찰판(49)에 의하여 상기 발아부재(40)로 분사되는 물이 상기 투명창(27)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찰판(49)은 상기 발아부재(4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다.
복수의 상기 발아부재(40)에 분사된 물은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수조(60)에 모이게 된다. 상기 저수조(60)에는 오버플러우관(61)이 장착되어서 상기 오버플러우관(61) 상단부에 수위가 다다르게 되면, 상기 오버플러우관(6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저수조(60)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가 유지되고, 이와 같이 수용되는 물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 내부의 습도가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서 씨앗의 발아와 새싹의 성장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25)의 전방에는 천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단막(7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차단막(70)은 상기 개폐문(25)의 상부에서 권취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차단막(70)을 파지한 후에 하부로 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발아부재(40)에 안착된 씨앗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차단막(70)으로 상기 투명창(27)을 차단하여서 햇빛이 상기 케이스(20) 내부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차단막(7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 내부를 암실 상태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아부재(40)에는 독립하여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탱크(30)에 수용된 물을 급수관(140)과 복수의 분사관(142)에 의하여 상기 발아부재(40)로 물이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60)에 수용된 물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필터(144)에 의하여 정화되고,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상기 저수조(60)로 회수관(146)에 의하여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새싹 재배기, 20: 케이스,
25: 개폐문, 27: 투명창,
30: 저수탱크, 40: 발아부재,
49: 관찰판, 50: 물분사부재,
70: 차단막, 80: 단속부재

Claims (3)

  1. 육면체 형성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폐문이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고, 뜨개에 의하여 일정한 수위로 물을 수용하는 저수탱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다단으로 장착되며, 발아되는 씨앗이 안착되는 복수의 발아부재;
    상기 발아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발아부재의 상부로 분사시키는 물분사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상기 발아부재를 경유한 물을 수용하는 저수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아부재의 선단에서 탈부착되는 관찰판;
    상기 저수탱크에 안착되어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에 의하여 가열된 물이 상기 물분사부재 상부면으로 한번에 이동하도록 하는 단속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문에는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하부면과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기 발아부재는 사각모양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반원형상으로 면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홈과; 복수의 상기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환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전후로 활주가능하고,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물분사부재로 물이 이동하는 이동관과; 상기 이동관에서 물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작동하는 작동구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속에 공기 방울을 생성하는 기포발생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오버플러우관이 추가로 장착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물이 수용되고, 상기 투명창에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








KR1020150024415A 2015-02-17 2015-02-17 새싹 재배기 KR10171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15A KR101710456B1 (ko) 2015-02-17 2015-02-17 새싹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15A KR101710456B1 (ko) 2015-02-17 2015-02-17 새싹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810A true KR20160101810A (ko) 2016-08-26
KR101710456B1 KR101710456B1 (ko) 2017-02-27

Family

ID=5688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415A KR101710456B1 (ko) 2015-02-17 2015-02-17 새싹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45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49B1 (ko) 2006-09-25 2007-12-21 송유천 점토광물로 제조된 재배용기를 사용하는 새싹채소재배용기세트
KR20080020081A (ko) * 2006-08-30 2008-03-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싹 재배 장치
KR20090087193A (ko) 2008-02-12 2009-08-17 구동회 초음파 관수 새싹재배기
KR20090123393A (ko) * 2008-05-28 2009-12-02 민정민 자화수 및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수경식물의 재배장치
KR20110005482U (ko) 2009-11-26 2011-06-01 박희철 서랍형 새싹 재배기
KR101212130B1 (ko) 2012-06-18 2012-12-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새싹채소 재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새싹채소 자동재배 장치
KR20130098091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물 재배 장치
KR101330101B1 (ko) * 2011-02-17 2013-11-15 대한민국 접목·삽목묘 생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081A (ko) * 2006-08-30 2008-03-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싹 재배 장치
KR100788149B1 (ko) 2006-09-25 2007-12-21 송유천 점토광물로 제조된 재배용기를 사용하는 새싹채소재배용기세트
KR20090087193A (ko) 2008-02-12 2009-08-17 구동회 초음파 관수 새싹재배기
KR20090123393A (ko) * 2008-05-28 2009-12-02 민정민 자화수 및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수경식물의 재배장치
KR20110005482U (ko) 2009-11-26 2011-06-01 박희철 서랍형 새싹 재배기
KR101330101B1 (ko) * 2011-02-17 2013-11-15 대한민국 접목·삽목묘 생산장치
KR20130098091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물 재배 장치
KR101212130B1 (ko) 2012-06-18 2012-12-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새싹채소 재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새싹채소 자동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456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087B1 (ko) 분무 수경재배 장치
US2005024123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 air roots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CN111343860B (zh) 水培栽培装置以及水培栽培方法
KR102154034B1 (ko) 인삼 수경 재배장치
KR101433088B1 (ko) 양액 재배기
KR20130124756A (ko) 관수와 이식이 용이한 육묘용 포트
KR100979343B1 (ko) 식물재배장치
JP5216614B2 (ja) 養液栽培ユニット
CN205408881U (zh) 一种植物防虫罩
KR101710456B1 (ko) 새싹 재배기
KR101128924B1 (ko) 기능성채소 생산장치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WO2017104703A1 (ja) 露地水耕栽培キット、露地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体の製造方法
US20160324086A1 (en) Aeroponic growth unit for growing plants, system, greenhouse and methods thereof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101177676B1 (ko) 식물 재배기
KR200460987Y1 (ko) 계영배 원리를 이용한 새싹 재배기
KR101584624B1 (ko)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KR101864596B1 (ko)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20100097370A (ko) 육묘판, 육묘판을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및 화분
JP2014030377A (ja) 栽培装置
JP5981494B2 (ja) 植物栽培万能ポットと収納トレー
KR102568166B1 (ko) 뿌리주머니가 있는 식물 수경재배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