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290A -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290A
KR20160101290A KR1020150023311A KR20150023311A KR20160101290A KR 20160101290 A KR20160101290 A KR 20160101290A KR 1020150023311 A KR1020150023311 A KR 1020150023311A KR 20150023311 A KR20150023311 A KR 20150023311A KR 20160101290 A KR20160101290 A KR 20160101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ttern
fs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165B1 (ko
Inventor
심동욱
곽상일
권종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165B1/ko
Priority to US15/044,480 priority patent/US9960860B2/en
Publication of KR2016010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47Casings being rigid plastic containers having conductive particles, fibres or mesh embedded therei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6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dis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grid, perforated metal foil, film, aggregated flakes,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버 액세서리는 상기 무선 통신 기기에서 전자파가 방사되는 적어도 일면과 접하는 면에 전자파 저감 패턴층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제 1 유전체층과 특정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되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단위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패턴은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에칭한 후 패턴 소재를 주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상기 패턴 소재를 직접 인쇄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COVER ACCESARY OF RADIO COMMUNICATION DEVICE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WAV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인간의 통신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용 휴대용 단말기 등 무선 통신 기기들은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통신 기기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기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신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의 등장에 따라 휴대폰 전자파가 머리에 미치는 영향을 넘어 인체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휴대폰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파는 백혈병, 뇌종양, 두통, 시력저하, 인체에 누적된 경우 뇌파 혼란 초래, 남성 생식기능 파괴 등 각종 질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2011년 6월 1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연구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는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일부 뇌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발표하면서 휴대전화 통화를 암 유발 물질 2B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암 유발 물질 등급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 것이며 같은 등급에 자동차 엔진 배기가스가 속해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그동안 휴대전화 이용과 암 발병 사이에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는 입장이었으나 이번 연구로 이를 뒤집은 것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어린이들은 긴급한 경우가 아니면 휴대폰을 사용하지 말 것, 가능하면 휴대폰을 몸 가까이 두지 말 것, 장시간 통화시에는 유선전화를 이용할 것, 그리고 가능하면 문자메시지를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화 통화 시 발생하는 전자파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는, 상기 무선 통신 기기에서 전자파가 방사되는 적어도 일면과 접하는 면에 전자파 저감 패턴층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제 1 유전체층과 FSS 패턴으로 구성되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단위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FSS 패턴은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에칭한 후 FSS 패턴 소재를 주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상기 FSS 패턴 소재를 인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FSS 패턴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패치 형상, 루프 형상, 힐버트 곡선, 및 시에르핀스키 공간 채우기 곡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단위 셀은, 상기 제 1 유전체층 및 상기 FSS 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 2 유전체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재질은 폴리 에틸렌(PET) 또는 우레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상기 단위 셀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형상, 상기 단위 셀과 상기 FSS 패턴 사이의 거리,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유전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단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는 상기 무선 통신 기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제 1 커버, 그리고 상기 제 1 커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무선 통신 기기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의 일면에는 전자파 저감 패턴층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제 1 유전체층과 FSS 패턴으로 구성되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단위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기 FSS 패턴은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에칭한 후 패턴 소재를 주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상기 패턴 소재를 인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FSS 패턴 소재는, 산화인듐주석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FSS 패턴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패치 형상, 루프 형상, 힐버트 곡선, 및 시에르핀스키 공간 채우기 곡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제 1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과 상기 제 2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의 FSS 패턴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제 1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과 상기 제 2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의 FSS 패턴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단위 셀은 상기 제 1 유전체층 및 상기 FSS 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 2 유전체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재질은 폴리 에틸렌(PET) 또는 우레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상기 단위 셀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형상, 상기 단위 셀과 상기 FSS 패턴 사이의 거리,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유전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단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의 상기 제 1 커버의 전자파 저감 패턴층과 상기 제 2 커버의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서로 다른 차단 주파수와 대역폭은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기기의 사용시 인체로 방사되는 전자파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기기의 통신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무선 통신 기기의 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를 감소시킬 수 있어 통신 주파수 대역이 다른 해외에서의 로밍 시에도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SS 구조가 형성된 패턴층(PL)에 대한 전자파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FSS 패턴층(PL)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 패턴으로 가능한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을 금속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FSS 패턴층(PL)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하였을 경우 FSS 패턴층(PL)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커버 액세서리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커버 액세서리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FSS 패턴층이 단일인 경우와 이중으로 적층된 경우의 전자파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주파수 선택 표면(Frequency Selective Surface, 이하 FSS)은 수직 또는 임의의 각도로 입사하는 전자파에 대해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투과 혹은 차단시킬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표면이다. FSS는 도체 또는 개구면을 공간적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도록 배치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FSS에서 공간적으로 단일주기에 해당하는 영역을 단위 셀(unit cell)이라 한다.
또한, 이 단위 셀 내부의 도체 또는 개구면의 형상을 단위 셀 패턴(pattern) 혹은 FSS 패턴이라 한다. 사각형, 삼각형, 원형 패치 등 단순한 모양에서부터 힐버트 곡선(Hilbert curve) 및 시에르핀스키 공간 채우기 곡선(Sierpinski space filling curve)을 이용한 모양까지 다양한 패턴이 있을 수 있다. FSS는 단위 셀 패턴의 기하학적인 모양뿐만 아니라, 단위 셀의 배열 형태 및 주기 그리고 위아래로 사용된 유전체 및 패턴의 재질 특성 등에 따라 주파수 응답 특성이 결정된다.
이러한 FSS는 유전체 위에 금속 도체 패턴이 에칭(etching)된 구조가 일반적이다. 패턴을 형성하는 각 설계 파라미터들을 조절하여 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대역은 반사시킬 수도 있다. 만약, 전자파를 차단을 하지만 전반사를 원하지는 않는 경우에는 FSS 패턴을 순수 금속 도체가 아닌 표면 저항(Surface resistance)을 갖는 물질로 제작하면 흡수와 반사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SS 구조가 형성된 패턴층(PL)에 대한 전자파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턴층(PL)은 제 1 유전체층(DL1)과 제 2 유전체층(DL2) 그리고 단위 셀(U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전체층(DL1)과 제 2 유전체층(DL2)은 유전율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전체층(DL)과 제 2 유전체층(DL2)의 소재, 두께 등은 패턴층(PL)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2 유전체층(DL2)은 공기일 수 있다. 제 1 유전체층(DL)과 제 2 유전체층(DL2)은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 2 유전체층(DL2)은 제 1 유전체층(DL1) 상에 형성된 주기 패턴(PTN)을 보호하기 위해 주기 패턴(PTN)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단위 셀(UC)은 제 1 유전체층(DL1)과, 제 1 유전체층(DL1) 상에 형성되어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주기 패턴(PTN)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셀(UC)은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패턴층(PL)을 형성한다. 즉, 단위 셀(UC)은 패턴층(PL)을 형성하는 최소 반복 단위이다.
단위 셀(UC)은 주파수 선택 표면(FSS)에 손실(loss)이 추가된 구조로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을 통해 단위 셀(UC)은 특정 입사파를 반사시키고 유전체 내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단위 셀(UC)은 전자파를 저지하는 형상으로써 주기 패턴(PTN)의 전기적 길이가 인덕턴스(inductance, L)를 결정하고, 주기 패턴(PTN)의 선 간격과 단위 셀(UC) 사이의 간격이 커패시턴스(capacitance, C)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층(PL)은 전체적으로 L-C 회로를 구성하며 L과 C의 크기 조절을 통해 통과 또는 차단 주파수와 대역폭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층(PL)으로 전자파가 입사되는 경우 입사된 전자파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설명한다.
입사파는 복수의 주파수들(f1, f2, f3, f4, ...)로 구성될 수 있다. FSS 패턴층으로 입사된 입사파는 FSS의 주기 구조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입사파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주파수의 입사파는 통과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f1 주파수를 가지는 입사파는 반사되며, 나머지 주파수들인 f2, f3, f4,...의 입사파들은 투과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사되는 f1 주파수 대역은 WCDMA의 1.9 GHz 대역일 수 있다. 즉, FSS 패턴층(PL)은 1.9GHz의 주파수 대역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차단된 f1 주파수 대역은 전반사를 하게 되며, FSS 패턴층(PL)이 원하는 표면 저항을 가지도록 제작한다면, f1 주파수 대역의 입사파는 FSS 주기 구조에서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반사되는 방향으로 반사파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자 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100)는 바닥면에 FSS 주기 구조가 형성되어 무선 통신 기기의 뒷면으로 방사하는 전자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는 FSS 패턴층(PL)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의 일부 영역(AR)을 확대하는 경우, FSS 패턴층(PL)은 복수의 단위 셀(UC)들이 반복되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셀(UC)은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고 있어, 무선 통신 기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특정 주파수를 차단하거나, 또는 특정 주파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기적 표면 저항이란 단위 셀(UC)의 표면이 전기적 표면 저항(surface resistance, Rs(ohm/sq)) 또는 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FSS 패턴층(PL)을 형성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 반사, 전 투과, 부분 반사, 또는 부분 투과 등의 다양한 전자파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층(PL)은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을 설정된 주기 구조로 에칭한 후,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를 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층(PL)은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를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 커버 액세서리(100)를 구성하는 소재가 유전층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층(PL)은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유전체층을 에칭한 후, 에칭된 부분에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를 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층(PL)은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 제 1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 1 유전체층을 에칭한 후, 에칭된 부분에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를 주입하고, 그 위에 제 2 유전체층을 형성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유전체층은 플라스틱 소재, 직물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얇은 필름 형상으로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액세서리(100)는 무선 통신 기기의 뒷면으로 방사하는 전자파를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FSS 패턴층(PL)을 이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FSS 패턴층(PL)은 FSS 패턴층(PTN)의 기하학적 형상 및 재질 특성, 단위 셀(UC)의 배열 형태 및 주기, 그리고 사용된 유전체의 소재 등에 따라 주파수 응답 특성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FSS 패턴층(PL)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FSS 패턴층(PL)은 단위 셀(UC)이 주기 구조로 반복되어 형성된다. FSS 패턴층(PL)은 유전체를 FSS 패턴(PTN) 형상으로 에칭한 후 에칭된 영역에 특정 재질의 FSS 패턴(PTN)을 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유전체 상에 직접 FSS 패턴(PTN)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FSS 패턴층(PL)은 그 표면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를 전 반사, 전 투과, 부분 반사, 또는 부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 패턴으로 가능한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며, 단위 셀(UC)은 유전체층(DL) 상에 사각형 구조의 FSS 패턴(PTN)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FSS 패턴(PTN)은 삼각형, 원형 등의 다각형 패턴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단위 셀(UC)은 유전체층(DL) 상에 테두리 형상의 FSS 패턴(PTN)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테두리 형상의 FSS 패턴(PTN)은 루프(loop)형상, 힐버트 곡선(Hilbert curve) 형상, 또는 시어핀스키 공간 채우기 곡선(Sierpinski space filling curve) 형상 등 다양한 형상들로 형성될 수 있다.
즉, FSS 패턴(PTN)의 형상에 따른 전기적 길이가 인덕턴스(L)를 결정하고 FSS 패턴(PTN)의 선 간격과 단위 셀(UC) 사이의 간격이 커패시턴스(C)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셀(UC)은 L-C공진 회로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L-C 공진 회로에 의해 차단 주파수 또는 통과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SS 패턴층(PL)의 구조는 표면 저항(Rs)을 가지기 때문에 L-C 회로에 저항(Resistance: R)이 삽입된 R-L-C 공진 회로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FSS 패턴(PTN)의 구조가 적절한 L과 C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도 4a 내지 도 4b의 FSS 패턴(PTN))은 매우 작은 커패시턴스(C)로 인해 공진 대역을 생성하기 힘든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FSS 패턴(PTN)은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또는 고역 통화 필터(High pass filter)로만 동작할 수 있어 선택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차단 또는 투과시킬 수 없다.
이에, 도 4c 내지 도 4e는 보다 큰 커패시턴스(C)를 위한 구조이다. 도 4c와 도 4d 모두 FSS 패턴PTN)이 개구부를 가지는 사각 패치 형상이다. 도 4c는 FSS 패턴(PTN)과 단위 셀(UC) 사이에 간격(g)가 있는 구조이고, 도 4d는 FSS 패턴(PTN)과 단위 셀(UC) 사이에 간격이 없는 구조이다. 또한 도 4e는 FSS 패턴(PTN)이 구불구불한 형상이다. 도 4c 및 도 4d와 같은 구조의 경우, FSS 패턴(PTN)이 개구부를 가지는 사각 패치 형상이며, 이로 인해 도 4a 및 도 4b에 비해 더 큰 커패시턴스(C)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e는 도 4c 및 도 4d에 비해 더 큰 커패시턴스(C)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c 내지 도 4e 구조는 공진 대역을 형상하기에 충분한 커패시턴스(C) 값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FSS 패턴(PTN)을 도 4c 내지 도 4e로 형성하는 경우 공진 대역 내에 있는 주파수의 전자파를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성능을 가질 수 있다.
결국, 단위 셀(UC)의 크기(p 또는 a)와 FSS 패턴(PTN)의 전기적 길이, 간격(q), 그리고 단위 셀(UC) 사이의 간격(g), 패턴의 재질(Rs(Ohm/sq)), 유전체층(DL)을 구성하는 유전체의 유전율 등이 차단 주파수 및 대역폭을 결정하는 설계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차단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을 금속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FSS 패턴층(PL)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즉, FSS 패턴층(PL)이 유전체 위에 금속 소재의 FSS 패턴(PTN)이 에칭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상술한 설계 파라미터들을 조정하여 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반사시키거나 반대로 그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대역은 반사시킬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3.5GHz 근방의 입사파는 본 발명에 따른 FSS 주기 구조를 투과하지 못하고 거의 반사되는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3.5GHz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투과가 이루어지고 반사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FSS 패턴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하였을 경우 FSS 패턴층(PL)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FSS 패턴(PTN)이 금속 소재로 형성된 경우인 5a에 비해 입사파의 반사와 투과가 적절하게 공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전자기적 표면 저항의 크기가 커질수록 주기 구조가 가지는 손실이 커지므로 전자파의 투과량은 줄어들게 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200)는 제 1 커버(220)와 제 2 커버(21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200)는 휴대폰의 커버 액세서리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제 1 보호 커버(220)는 휴대폰의 뒷면 즉, 배터리가 탈부착되는 면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보호 커버(220)는 배터리를 직접 덮는 배터리 커버일 수 있다. 또는, 제 1 보호 커버(220)는 배터리 커버가 결합된 휴대폰의 뒷면을 덮는 커버 액세서리일 수 있다.
제 2 보호 커버(210)은 제 1 보호 커버(220)의 일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휴대폰의 앞면 즉, 디스플레이 영역이 위치하는 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보호 커버(210)는 플립 커버(flip cover)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보호 커버(220)의 바닥면에는 상술한 FSS 주기 구조의 제 1 패턴층(PL1)이, 그리고 제 2 보호 커버(210)의 바닥면에는 상술한 FSS 주기 구조의 제 2 패턴층(PL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의 일부 영역(AR)을 확대하는 경우, 제1 패턴층(PL1)은 제 1 단위 셀(UC1)이 반복되어 형성되며, 제 2 패턴층(PL2)은 제 2 단위 셀(UC2)이 반복되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단위 셀(UC1, UC2)은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며, 무선 통신 기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특정 주파수를 차단하거나, 또는 특정 주파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기적 표면 저항이란 단위 셀(UC)의 표면이 전기적 표면 저항(surface resistance, Rs(ohm/sq)) 또는 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단위 셀(UC1)과 제 2 단위 셀(UC2)는 도 4a 내지 도 4e의 단위 셀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제 1 단위 셀(UC1)과 제 2 단위 셀(UC2)의 형상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단위 셀이 제 1 단위 셀(UC1)과 제 2 단위 셀(UC2)의 형상일 수 있다.
제 1 단위 셀(UC1)과 제 2 단위 셀(UC2)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패턴층(PL1)과 제 2 패턴층(PL2)의 차단 또는 통과 주파수와 대역폭이 서로 같을 수 있다.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패턴층(PL1)과 제 2 패턴층(PL2)의 차단 또는 통과 주파수와 대역폭은 서로 다를 것이다. 이 경우, 하나의 커버 액세서리(200)로 이중 대역의 주파수 응답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국내의 송신 주파수 대역과 다른 외국 구가에서의 로밍 시에도 전자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로밍 시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커버 액세서리(200)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도 7은 도 6의 커버 액세서리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립 커버(flip cover)가 휴대폰 본체(body)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의 일면에 제 1 패턴층(PL1)이 형성되며, 플립 커버(flip cover)의 일면에는 제 2 패턴층(PL2)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패턴층(PL1)이 형성된 플립 커버가 휴대폰의 앞면을 덮는 경우, 통화시 사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향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동시에, 제 2 패턴층(PL2)이 형성된 배터리 커버가 휴대폰의 뒷면을 덮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 방향으로 향하는 전자파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액세서리(200)를 도 7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시 사용자의 손 방향뿐만 아니라 머리 방향으로 향하는 전자파도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커버 액세서리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립 커버(flip cover)가 휴대폰 본체(body)의 뒷면 즉, 배터리 커버를 덮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는 통화시 플립 커버를 휴대폰 본체의 뒷면으로 접어 사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즉, 휴대폰 본체의 뒷면에 패턴층이 이중으로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패턴층(PL1)과 제 2 패턴층(PL2)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유전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액세서리(200)를 도 8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시 사용자의 손 방향으로 향하는 전자파를 도 7에 비해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FSS 패턴층이 단일인 경우와 이중으로 적층된 경우의 전자파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이중으로 적층된 경우는 배터리 커버와 플립 커버에 형성된 패턴층이 서로 동일한 구조 패턴일 경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FSS 패턴층이 단일 구조인 경우보다 이중으로 적층된 경우 전자파의 차단 및 반사 특성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FSS 패턴의 형상 및 패턴층의 설계 파리미터를 조절하는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를 감소 및 반사시킬 수 있는 이중 대역 주파수 응답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210: 제 1 커버 220: 제 2 커버
PL: FSS 패턴층 DL: 유전체층
PTN: FSS 패턴 UC: 단위 셀

Claims (15)

  1.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커버 액세서리는 상기 무선 통신 기기에서 전자파가 방사되는 적어도 일면과 접하는 면에 전자파 저감 패턴층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제 1 유전체층과 FSS 패턴으로 구성되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단위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며, 상기 FSS 패턴은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에칭한 후 FSS 패턴 소재를 주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상기 FSS 패턴 소재를 인쇄하여 형성된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SS 패턴 소재는,
    산화인듐주석 또는 탄소나노튜브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SS 패턴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패치 형상, 루프 형상, 힐버트 곡선, 및 시에르핀스키 공간 채우기 곡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은 상기 제 1 유전체층과 상기 FSS 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 2 유전체층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재질은 폴리 에틸렌(PET) 또는 우레탄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상기 단위 셀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형상, 상기 단위 셀과 상기 FSS 패턴 사이의 거리,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유전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단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7.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제 1 커버; 그리고
    상기 제 1 커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무선 통신 기기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의 일면에는 전자파 저감 패턴층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제 1 유전체층과 FSS 패턴으로 구성되어 전자기적 표면 저항을 가지는 단위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기 FSS 패턴은 상기 제 1 유전체층을 에칭한 후 FSS 패턴 소재를 주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유전체층에 상기 FSS 패턴 소재를 인쇄하여 형성된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FSS 패턴 소재는,
    산화인듐주석 또는 탄소나노튜브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FSS 패턴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패치 형상, 루프 형상, 힐버트 곡선, 및 시에르핀스키 공간 채우기 곡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과 상기 제 2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의 FSS 패턴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과 상기 제 2 커버에 형성된 전자파 저감 패턴층의 패턴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상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은 상기 제 1 유전체층 및 상기 FSS 패턴 상에 형성되는 제 2 유전체층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재질은 폴리 에틸렌(PET) 또는 우레탄인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상기 단위 셀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크기, 상기 FSS 패턴의 형상, 상기 단위 셀과 상기 FSS 패턴 사이의 거리,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유전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층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단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의 전자파 저감 패턴층과 상기 제 2 커버의 전자파 저감 패턴층은 서로 다른 차단 주파수와 대역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KR1020150023311A 2015-02-16 2015-02-16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KR10230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311A KR102302165B1 (ko) 2015-02-16 2015-02-16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US15/044,480 US9960860B2 (en) 2015-02-16 2016-02-16 Cover accessory including electromagnetic wave suppression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311A KR102302165B1 (ko) 2015-02-16 2015-02-16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290A true KR20160101290A (ko) 2016-08-25
KR102302165B1 KR102302165B1 (ko) 2021-09-16

Family

ID=5662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311A KR102302165B1 (ko) 2015-02-16 2015-02-16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60860B2 (ko)
KR (1) KR102302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1749A (zh) * 2017-03-31 2017-09-2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济南特种结构研究所 基于频率选择表面的小型卫星隐身天线罩及其制备方法
SE544048C2 (en) * 2018-09-17 2021-11-23 Aluminium Radiation Prot Sweden Ab Case for mobile device
US11431377B1 (en) * 2019-09-10 2022-08-30 The Board of Regents for the Oklahoma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s Methods and tunable apparatuses for dynamic dispersion compensation of wireless terahertz signals
CN112688052B (zh) * 2019-10-18 2022-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共孔径天线及通信设备
EP4084225A4 (en) * 2019-12-25 2023-05-17 FUJIFILM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HIELDING ELEMENT
JP2021195278A (ja) * 2020-06-12 2021-12-27 Agc株式会社 保護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通信端末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83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체를 구비한 운송수단 용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운송용 장치, 건물형 구조물, 전자기기, 전자파 무반사실
KR20130037948A (ko) * 2011-10-07 2013-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저감 투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전자파 저감 투명 필름
KR101428461B1 (ko) * 2013-01-30 2014-08-13 이창수 전자파 차단 및 항균 성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3778B2 (ja) 2001-12-19 2008-0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磁波遮蔽用シート
US8569948B2 (en) * 2004-12-28 2013-10-2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electroluminescent devices including an optical spacer
KR100791227B1 (ko) 2005-12-09 2008-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주파수 대역 투과/차단용 fss 공간 필터
KR101042601B1 (ko) 2008-05-14 2011-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항성 재질을 이용한 공진형 전자파 흡수체
KR101286091B1 (ko) * 2009-12-07 2013-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방향성 공진형 전자파 흡수체, 그것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성능 조정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9223B1 (ko) * 2009-12-18 2013-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폐식 전자파 흡수 장치
KR101311212B1 (ko) * 2010-12-23 2013-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 장치
KR101758917B1 (ko) * 2010-12-23 2017-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잔향실
KR101826355B1 (ko) * 2011-08-22 2018-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잔향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83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체를 구비한 운송수단 용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운송용 장치, 건물형 구조물, 전자기기, 전자파 무반사실
KR20130037948A (ko) * 2011-10-07 2013-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저감 투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전자파 저감 투명 필름
KR101428461B1 (ko) * 2013-01-30 2014-08-13 이창수 전자파 차단 및 항균 성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60860B2 (en) 2018-05-01
US20160241690A1 (en) 2016-08-18
KR102302165B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290A (ko) 전자파 저감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의 커버 액세서리
US8624788B2 (en) Antenna assembly utilizing metal-dielectric resonant structures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compliance
TW201220600A (en) Structure for adjusting EM wave penetration response and antenna structure for adjusting EM wave radiation characteristic
US9030373B2 (en) Transparent film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104782A1 (en) Antenna with virtual magnetic wall
Manapati et al. SAR reduction in human head from mobile phone radiation using single negative metamaterials
US10218079B2 (en) Periodic array assembly comprising arrays of periodic elements having inwardly extending protrusions
Sivasamy et al. Polarization-independent single-layer ultra-wideband frequency-selective surface
CN206349513U (zh) 一种单陷波超宽带单极子天线
CA2775414C (en) Antenna assembly utilizing metal-dielectric resonant structures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compliance
US20100156739A1 (en)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method thereof
KR100971931B1 (ko)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JP2021532667A (ja) 波吸収メタマテリアル
CN111403899B (zh) 多频天线结构
Brizzi et al. Design of a cylindrical resonant cavity antenna for BAN applications at V band
Hakim et al. Frequency integration of dual-band hexagonal metamaterial resonator antenna for Wi-Fi and 5G wireless communication
Shakib et al. Design of a compact tuning fork-shaped notched ultrawideband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
Thongyoy et al. Compact thin-film UWB antenna with round corner rectangular slot and partial circular patch
Thomas et al. 5G mobile handset multi, wideband antenna with inductor operating at mm wave: design and analysis
CN210167509U (zh) 一种吸波结构
Eskandari et al. ASCCC Fractal and its application in antenna miniaturization
JP6474869B2 (ja) 電磁波制御用導電性薄板
US20160294064A1 (e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Zhou et al. A smart mobile handset plastic case with integrated split ring resonators to reduce SAR
Abd-Elrazzak et al. Design of circular patch antennas for bluetooth, HIPERLAN, and X band (8.4 GHz)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