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673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673A
KR20160100673A KR1020150023427A KR20150023427A KR20160100673A KR 20160100673 A KR20160100673 A KR 20160100673A KR 1020150023427 A KR1020150023427 A KR 1020150023427A KR 20150023427 A KR20150023427 A KR 20150023427A KR 20160100673 A KR20160100673 A KR 20160100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p
connection member
battery ce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778B1 (ko
Inventor
노헌태
이대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778B1/ko
Priority to US14/994,174 priority patent/US10446806B2/en
Publication of KR2016010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01M2/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2/02
    • H01M2/046
    • H01M2/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9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외면에 연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형성함에 의해 용접 및 배터리 셀의 튜빙(tubing)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위치되는 캡업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캡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외면 일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셀의 케이스 외면 일 영역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 팩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 조립 후 배터리 셀의 교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으로 인하여 근래에 그 개발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사용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 중, 전극 활물질로 리튬이온(Li-ion)을 사용하는 리튬이온(Li-ion)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캔형과 파우치형으로 나눌 수 있다.
캔형 리튬 이차 전지에서는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Aluminum) 등을 함유한 금속으로 형성된 캔에 내장된다. 통상적으로 캔형 이차 전지 구조에서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다.
한편, 캔형 이차 전지는 형태에 따라 각형과 원통형 전지로 나뉠 수 있다. 각형은 용기를 직육면체로 얇게 성형하여,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전기 기기에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원통형은 비교적 대용량의 전자 전기 기기에 많이 사용되며, 원통형의 이차 전지가 복수 개 결합되어 배터리 팩을 형성하는 형태로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외면에 연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형성함에 의해 용접 및 배터리 셀의 튜빙(tubing)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캡업 상에 상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절연부재를 형성함에 의해 배터리 셀의 양극과 음극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위치되는 캡업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캡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외면 일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셀의 케이스 외면 일 영역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스크류(screw)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 하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억지끼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업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일 영역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업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 및 고정홈에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캡업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상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캡업에는 스크류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제2 결합부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업의 상부면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업은 양극을 띠며, 상기 케이스는 음극을 띨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외면에 연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형성함에 의해 용접 및 배터리 셀의 튜빙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 팩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 조립 후 배터리 셀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캡업 상에 상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절연부재를 형성함에 의해 배터리 셀의 양극과 음극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 팩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도 3a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C-C'에 따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5a의 D-D`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 구성의 두께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1), 제1 연결부재(100, 도 3a 참조) 및 제2 연결부재(200, 도 3a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 셀(1)은 제1 전극판(25)과 제2 전극판(26) 및 세퍼레이터(23)가 권취된 전극조립체(20)와, 전극조립체(20)가 수용되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터리 셀(1)은 케이스(10) 상부에 위치되는 캡업(70)을 구비하며, 전극조립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케이스(10)에 결합되는 캡조립체(80)를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셀(1)의 케이스(10) 외면 일 영역에는 체결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00)는 배터리 셀(1)의 캡업(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연결부재(200)는 체결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1)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1)는 인접한 배터리 셀(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 시 제2 연결부재(200)와의 용접을 생략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a 내지 도 6을 통하여 후술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배터리 셀(1)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된 제1 전극판(25) 및 제2 전극판(26)과, 제1 전극판(25)과 제2 전극판(26) 사이에 세퍼레이터(23)가 개재되어 제1 전극판(25)과 제2 전극판(26) 간의 단락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판(25), 세퍼레이터(23) 및 제2 전극판(2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권취되어 젤리롤로 통칭되는 전극조립체(20)를 이룬다.
제1 전극판(25) 및 제2 전극판(26)은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지는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전극판(25) 및 제2 전극판(26)이 감기는 방향으로 집전체의 시작단과 끝단에는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가 존재한다. 제1 전극판(25) 및 제2 전극판(26)의 각 무지부에는 통상 하나씩의 제1 전극탭(27) 및 제2 전극탭(29)이 설치된다. 제1 전극탭(27) 및 제2 전극탭(29)은 원통형 케이스(10) 및 케이스(10)와 절연된 캡 조립체(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방전 시 전극조립체(20)와 외부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전극조립체(20)에서 제1 전극탭(27)은 케이스(10)의 개구부 방향인 상부 측으로, 제2 전극탭(29)은 케이스(10)의 하부 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20)는 각각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 하부 절연판(13a, 13b)과 차례로 케이스(10) 개구부를 통해 원통형 케이스(10)에 투입된다. 그리고 나서, 케이스(10) 내부로 전해액이 주입된다. 케이스(10)의 개구부 내측 벽에 절연 가스켓(30)이 설치되고, 가스켓(30) 내측으로 케이스(10)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캡조립체(80)가 설치된다.
캡조립체(80)는 제1 전극탭(27)이 연결되며 과충전 시 형태가 반전되는 벤트(40)와, 벤트(40)의 반전 시 회로가 끊어지도록 설치된 인쇄회로기판(50)과, 설정 온도 이상이 될 경우 회로가 끊어지는 양성온도소자(PTC:Positive Thermal Coefficient:60) 및, 전류를 인가할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캡업(7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캡업(70)은 양극을 띠며, 케이스(10)는 음극을 띨 수 있다. 이때, 그 반대의 극성을 띠는 구조로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가스켓(30) 내측에 투입된 캡업(70) 등을 마개로 원통형 케이스(10)의 개구부 벽체의 내측 및 하부측으로 압력을 가하여 케이스(10)를 밀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케이스(10) 외면에 튜빙(tubing) 공정을 생략함에 의해 케이스(10) 외면이 음극을 띠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20) 상부로 인출되는 제1 전극탭(27)과 벤트(40) 간의 용접 편의성을 위하여 제1 전극탭(27)은 여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전극탭(27)이 절곡되면서 벤트(40)와 용접된 후, 캡 조립체(80)가 케이스(10)의 개구부 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캡업(70)의 상부면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절연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부재(90)에 의하면 배터리 팩 구현 시 양극을 띠는 캡업(70)과 음극을 띠는 케이스(10)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배터리 셀의 케이스(10) 외면 일 영역에는 체결부(11)가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부(11)는 케이스(10)의 상부 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80) 중 외부로 노출되는 캡업(70)은 양극을 띠며, 케이스(10)는 음극을 띤다. 이때, 캡업(70)에는 제1 연결부재(100)가 연결되고, 케이스(10)의 체결부(11)에는 제2 연결부재(2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100) 및 제2 연결부재(200)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연결부재(100)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업(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캡업(70)은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전극 단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캡업(70)의 전극 단자에 제1 연결부재(100)가 연결됨에 의해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11)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200)는 제1 결합부(210)와 제1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0)는 체결부(11)에 결합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부(220)는 제1 결합부(210) 하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케이스(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부(210)는 체결부(11)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케이스(10)에 고정되며, 제1 연결부(220)는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외면에 제2 연결부재(200)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11)를 형성함에 의해 용접 및 배터리 셀의 튜빙 공정을 생략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의 일 영역에 체결부(11)를 형성함에 따라 배터리 팩 제작을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의 조립 후에도 배터리 셀을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와 제2 연결부재(200)가 별도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하였지만, 케이스(10)와 제2 연결부재(20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셀의 케이스(10) 외면 일 영역에는 스크류 형상의 체결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11)에는 제1 결합부(210) 및 제1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200)가 결합된다. 제1 결합부(210)는 케이스(10)의 체결부(110)에 결합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부(220)는 제1 결합부(210) 하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케이스(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300)는 일 영역에 삽입홀(3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홀(301)과 대응하는 위치의 캡업(70)에는 고정홈(71)이 형성되어, 삽입홀(301) 및 고정홈(71)에 별도의 고정부재(310)가 삽입됨에 의해 제1 연결부재(300)와 캡업(7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10)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홈(71) 내측은 스크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와 대응하는 너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재(300)가 삽입홀(301)을 구비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홀(301)과 대응하는 캡 업(70)에 고정홈(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홀(301) 및 고정홈(71)을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부재(310)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재(300)와 캡업(7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300)는 캡업(70)의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절연부재(9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10)와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셀의 케이스(10) 외면 일 영역에는 스크류 형상의 체결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11)에는 제1 결합부(210) 및 제1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200)가 결합된다. 제1 결합부(210)는 케이스(10)의 체결부(110)에 결합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부(220)는 제1 결합부(210) 하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케이스(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400)는 제2 결합부(410)와 제2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10)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부(420)는 제2 결합부(410) 상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케이스(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410)와 대응하는 위치의 캡업(70)에는 스크류 형상의 돌출부(72)가 형성되어, 돌출부(72)에 제2 결합부(410)가 체결됨에 의해, 캡업(70)과 제1 연결부재(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400)의 제2 연결부(420)는 캡업(70)의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절연부재(9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10)와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업(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캡업(70)은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전극 단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캡업(70)의 전극 단자에 제1 연결부재(100)가 연결됨에 의해 외부 기기 또는 인접하는 배터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500)는 배터리 셀의 케이스(10) 외면 일 영역에 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체결부는 케이스(10)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1b)일 수 있으며, 돌기부(11b)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형상의 돌기부(11b)를 구비한 체결부에는 제2 연결부재(500)가 결합된다. 제2 연결부재(500)는 제3 결합부(510) 및 제3 연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결합부(510)는 케이스(10) 외면의 체결부를 둘러싸는 영역으로, 돌기부(11b)와 대응하는 제3 결합부(520)의 내측에는 돌기부(11b)를 수용하는 홈부(5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연결부(520)는 제3 결합부(510) 하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케이스(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스(10) 외면의 체결부에는 제2 연결부재(500)가 돌기부(11b) 및 홈부(530)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접 없이 인접한 배터리 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 팩의 제작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 조립 후 배터리 셀의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체결부의 돌기부(11b)와 제2 연결부재(500)의 홈부(530)가 체결됨에 의해 케이스(10)에 제2 연결부재(500)가 고정되었지만, 케이스(10)와 제2 연결부재(500)는 별도의 구성 없이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원형 배터리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1 : 배터리 셀 10 : 케이스
11 : 체결부 20 : 전극조립체
30 : 가스켓 40 : 벤트
50 : 인쇄회로기판 60 : 양성온도소자
70 : 캡업 71 : 고정홀
80 : 캡조립체 90 : 절연부재
100, 300, 400 : 제1 연결부재
200, 500 : 제2 연결부재
210 : 제1 결합부 220 : 제1 연결부
301 : 삽입홀 310 : 고정부재
410 : 제2 결합부 420 : 제2 연결부
510 : 제3 결합부 520 : 제3 연결부
11a : 돌기부 530 : 홈부

Claims (15)

  1.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부에 위치되는 캡업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캡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외면 일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셀의 케이스 외면 일 영역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스크류(screw)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 하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억지끼움에 의해 체결되는 배터리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일 영역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업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 및 고정홈에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캡업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배터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상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캡업에는 스크류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제2 결합부가 체결되는 배터리 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업의 상부면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업은 양극을 띠며, 상기 케이스는 음극을 띠는 배터리 팩.
KR1020150023427A 2015-02-16 2015-02-16 배터리 팩 KR10238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27A KR102381778B1 (ko) 2015-02-16 2015-02-16 배터리 팩
US14/994,174 US10446806B2 (en) 2015-02-16 2016-01-13 Battery pack having adjacent battery cells connected without we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27A KR102381778B1 (ko) 2015-02-16 2015-02-16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673A true KR20160100673A (ko) 2016-08-24
KR102381778B1 KR102381778B1 (ko) 2022-04-01

Family

ID=5662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427A KR102381778B1 (ko) 2015-02-16 2015-02-16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46806B2 (ko)
KR (1) KR102381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0991B2 (en) 2020-08-14 2023-11-28 Korea Power Cel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neural network for pre-diagnosing defect and fire in battery ce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62A (ko) * 2016-11-22 2018-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1564577B (zh) * 2020-05-12 2022-08-12 路华置富电子(深圳)有限公司 具有盖帽支架的电池结构
DE102021207360A1 (de) * 2021-07-12 2023-01-1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tteriezelle, Batteriezellenadapter, System mit Batteriezelle und Batteriezellenadapter, sowie Batteriemodulzellenhal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9872B2 (ja) * 2000-05-12 2006-03-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セルモジュール
JP2008034318A (ja) * 2006-07-3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KR100869803B1 (ko) * 2007-01-31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30089290A (ko) * 2012-01-05 2013-08-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419A (ja) 2004-04-19 2005-11-04 Tocad Energy Co Ltd 電池パックの構造
JP5015455B2 (ja) * 2005-12-27 2012-08-29 株式会社エムアンドジーエコバッテリー 二次電池単電池間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9872B2 (ja) * 2000-05-12 2006-03-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セルモジュール
JP2008034318A (ja) * 2006-07-3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KR100869803B1 (ko) * 2007-01-31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30089290A (ko) * 2012-01-05 2013-08-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0991B2 (en) 2020-08-14 2023-11-28 Korea Power Cel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neural network for pre-diagnosing defect and fire in battery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778B1 (ko) 2022-04-01
US10446806B2 (en) 2019-10-15
US20160240825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3113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retainer
US9136524B2 (en) Secondary battery
EP2768069B1 (en) Battery module
EP3046160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pack of the same
US8642197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812676B2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EP2597705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225002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unit
KR102408824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CN106450407B (zh) 二次电池
CN106356490B (zh) 可再充电电池和包括可再充电电池的电池模块
KR101912963B1 (ko) 축전 소자
KR101724006B1 (ko) 이차 전지
US9312531B2 (en) Secondary battery
US9559341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vent unit at a joint in a cap plate
EP3544078B1 (en) Secondary battery
US9692034B2 (en) Secondary battery
KR20160100673A (ko) 배터리 팩
US9023517B2 (en) Secondary battery
US10205154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short-circuit protrusion
EP2922116B1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91533A (ko) 이차전지
JP2018535507A (ja) 蓄電素子
US20140004388A1 (en) Battery pack and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