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048A -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 Google Patents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048A
KR20160100048A KR1020150022525A KR20150022525A KR20160100048A KR 20160100048 A KR20160100048 A KR 20160100048A KR 1020150022525 A KR1020150022525 A KR 1020150022525A KR 20150022525 A KR20150022525 A KR 20150022525A KR 20160100048 A KR20160100048 A KR 20160100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reaming data
terminal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441B1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41B1/ko
Priority to PCT/KR2016/001459 priority patent/WO2016129965A1/ko
Priority to JP2017554231A priority patent/JP6877358B2/ja
Priority to CN201680007756.6A priority patent/CN107211021B/zh
Publication of KR2016010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41B1/ko
Priority to US15/622,934 priority patent/US1029194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3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the control of the source by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04L65/6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04L65/4069
    • H04L65/6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이용하여,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정 부분을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연동 노드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 및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METHOD FOR PROVIDING STREAMING DATA THROUGH NODE LINKING WITH BASE STATION, AND NOD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이용하여,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정 부분을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의 인터넷 환경에서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고화질 라이브 방송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더하여, 최근에는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서비스 방식에 따라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서 단말로 비디오 또는 오디오와 같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마치 물이 흐르는 것처럼 처리된다고 해서 스트리밍이라고 한다. 서버는 비디오를 네트워크로 보낼 수 있도록 패킷으로 분리하며, 단말은 그 패킷들을 다시 모아서 원래 형태로 복원한 후에 재생한다. 이때, 재생과 패킷 수신은 동시에 일어나며, 연관된 일련의 패킷들을 스트림(stream)이라하며, 일련의 패킷들의 집합을 스트리밍 데이터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스트리밍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접근 제어가 어려워 스트리밍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MPEG-2 TS(Transport System)는 표준화 이후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방송, DMB, IPTV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미디어 전송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나 블루레이 장비에서의 미디어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등 그 사용 분야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네트워크 환경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 등 새로운 요구 사항들이 필요시 되고 있다. 이에, 고도화된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표준이 요구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MMT(MPEG Media Transport)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25274호, 2014년 10월 28일 공개 (명칭: 방송 시스템에서 동적 큐 관리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기술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가 단말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정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을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이벤트 유닛을 통해 광고 컨텐츠 제공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각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별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가 단말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정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을 사용자 정보에 타겟화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연동 노드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 및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은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시그널링이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의 헤더 또는 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여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디어 처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유닛으로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을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디어 처리 모듈은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의 헤더 정보를 통해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의 블록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블록 크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의 블록 크기를 조절한 후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상기 블록 크기가 조절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미디어 처리 모듈은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바이패스(bypass)시켜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연동 노드가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바이패스(bypass)시켜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이용하여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방식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가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가 단말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정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을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이벤트 유닛을 통해 광고 컨텐츠 제공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가, 각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별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가 단말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정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을 사용자 정보에 타겟화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MMT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 또는 "통신망"은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은 MPEG MMT(MPEG Media Transport) 기술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MMT 기술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컨텐츠 컴포넌트(content component) 또는 미디어 컴포넌트(media component)는 단일 종류의 미디어(media of a single type) 또는 단일 종류의 미디어의 부분 집합(subset of the media of a single type)으로 정의되며, 예를 들어, 비디오 트랙(video track), 영화 자막(movie subtitles), 또는 비디오 향상계층(enhancement layer of video)이 될 수 있다.
컨텐츠(content)는 컨텐츠 컴포넌트의 집합으로 정의하며, 예를 들어 영화(movie), 노래(song)등이 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송(hybrid delivery)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 컴포넌트들이 하나 이상의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망(network)을 통하여 동시에 전송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표현(presentation)은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 컴포넌트 또는 하나의 서비스를 경험(예를 들어 영화 감상)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operation)으로 정의한다.
서비스(service)는 표현(presentation) 또는 저장(storage)을 위해 전송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컴포넌트로 정의한다.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는 하나의 서비스, 상기 서비스의 특성(characteristics) 및 컴포넌트들을 기술하는 메타 데이터로 정의한다.
넌 타임드 데이터(Non-timed data)는 시간을 명시하지 않고 소비되는 모든 데이터 요소를 정의한다. 넌 타임드 데이터는 그의 미디어 유닛의 디코딩 및/또는 표현을 위한 고유의 동기화 정보를 가지지 않는 데이터다.
타임드 데이터(timed data)는 그의 미디어 유닛의 디코딩 및/또는 표현을 위한 고유의 동기화 정보를 가는 데이터로, 디코딩 및 프리젠테이션되는 특정한 시간과 연관된 데이터 요소를 정의한다.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Media Fragment Unit; MFU)는 어떠한 특정 코덱에도 독립된 일반적인 컨테이너로, 미디어 디코더에 의해 독립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를 수용한다. 액세스 유닛(AU)은 타임드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액세스 유닛(AU)의 전부 또는 일부와 같이 미디어 디코더에 의해 독립적으로 디코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 또는 넌타임드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하나의 파일을 포함한다. 이는 액세스 유닛(AU)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지고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수용한다.
MMT 개체(MMT entity)는 MMT 프로파일을 따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구현이다.
MMT 패킷(MMT packet)은 MMT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 또는 소비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유닛(formatted unit)이다.
MMT 페이로드(MMT payload)는 패키지를 나르거나 MMT 프로토콜이나 인터넷 응용 계층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가 있다)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시그널링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유닛이다.
MMT 프로토콜은 MMT 페이로드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응용 계층 전송 프로토콜이다.
MMT 페이로드 포맷(MMT payload format)은 MMT 프로토콜 또는 인터넷 응용 계층 프로토콜(예를 들면, RTP)에 의해 전달될 MMT 패키지 또는 MMT 시그널링 메시지의 페이로드를 위한 포맷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MMT 패키지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MMT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MT 패키지(500)는 MMT 기능 영역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 중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가장 큰 MMT 개체(entity)로서 영화 한편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콘텐츠를 의미한다. 스트리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는 이러한 MMT 패키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데, MMT 패키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체들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컬렉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MMT 패키지(500)는 하나 이상의 애셋(505), 구성 정보(502), 전송 특성(503) 및 설명적인(descriptive) 정보, 즉 패키지 정보(5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구성 정보(Composition Information, 502)는 MMT 애셋(505)들 사이의 관계(relationship), 즉 공간적 및 시간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하나의 컨텐츠(content)가 복수개의 MMT 패키지로 이루어질 경우 복수의 MMT 패키지간의 관계(relationship)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 특성(ADC; Asset Delivery Characteristics, 503)은 애셋(505)의 전달을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및 통계를 나타낸다. 복수의 애셋(505)은 하나의 전송 특성(503)에 관련될 수 있다. 이때의 전송 특성(503)은 애셋(505)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패키지를 캡슐화하는 개체에 의해 MMT 페이로드 및 MMT 프로토콜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송 특성(503)은 MMT 애셋(505) 또는 MMT 패킷의 전달 조건(delivery condition)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달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래픽 기술 파라미터(traffic description parameter) 및 QoS 기술자(QoS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 특성 정보는 통신망 환경에 무관한 파라미터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애셋(505)은 타임드 또는 넌 타임드 성질을 가진 오디오, 비디오 또는 웹페이지 데이터와 같은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패키지의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큰 논리적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애셋(505)은 동일한 전달 특성으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개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MMT 패키지(500)는 MMT 기능 영역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 중 가장 큰 개체(entity)로서 영화 한편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콘텐츠를 의미한다면, 애셋(505)은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스크립트 데이터와 같은 MMT 패키지(500)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애셋(505)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애셋(50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MPU(50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PU(506)는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 이하 MPU로 지칭하도록 함)을 의미하며, 논리적인 데이터 객체로, 하나의 애셋(505)을 구성하는 복수의 MPU(506)는 동일한 애셋 ID를 포함한다.
또한, MPU(506)는 어떠한 특정 미디어 코덱에도 독립된, 타임드 또는 넌 타임드 데이터에 대한 포괄적인 컨테이너일 수 있다. 이러한 MPU(506)은 완전하고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로, MPU의 프로세싱은 패키지로의 인캡슐레이션 또는 전달을 위한 패킷화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MPU(506)는 타임드 데이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유닛(AU; Access Unit)은 시간 정보를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데이터 개체이다. 또한 MPU(506)은 넌 타임드 데이터를 위한 액세스 유닛 경계들이 없는 데이터의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MPU(506)는 완전하고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코드된 미디어 데이터 유닛으로, 헤더(507)와 코드된 데이터(508)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MPU(506)는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MFU; Media Fragment Unit)으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MMT 패키지(500)는 MPU 기반으로 적용되고 동작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 단위로 처리가 이뤄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미디어 프래그먼트 유닛 단위로 본 발명의 처리가 이뤄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10)과 접속망(20) 및 코어망(50) 그리고 인터넷망(60)을 거쳐 다수의 단말(10)로 스트리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접속망(20)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30)과 연동 가능한 기지국 연동 노드(40)를 포함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 즉 접속망(20), 코어망(50) 및 인터넷망(60)을 거쳐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은 접속망(20), 코어망(50) 및 인터넷망(6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 스트리밍 데이터(이하, 'MMT 스트리밍 데이터'로 지칭하도록 함)를 재생하고 처리할 수 있는 단말(10)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접속망(20), 코어망(50) 및 인터넷망(60)을 거쳐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로 이용될 수 있다.
접속망(20)은 단말(10)의 코어망(50)으로의 접근을 지원하는 것으로,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단말(10)의 코어망(50) 접근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망(20)은 복수의 기지국(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30)은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으며,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30)은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접속망(20)과 함께 통신망을 구성하는 코어망(50)은 접속망(20)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6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20)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50)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20) 및 코어망(50)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60)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50)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60)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와 연결되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단말(10)로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코어망(50) 및 접속망(20)을 거쳐 단말(10)로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단말(10)은 접속망(20) 및 코어망(50) 그리고 인터넷망(60)을 거쳐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 MMT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을 위한 각종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은 코어망(5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코어망(50)을 운용하는 사업자와 동일한 사업자 또는 서로 다른 사업자에 의해 운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네트워크가 접속망(20), 코어망(50) 및 인터넷망(60)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단말(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MMT 스트리밍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MMT 패킷 형태로 단말(10)로 전달될 수 있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는 단말(10)로 MMT 스트리밍 데이터 형식에 따라 예컨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MMT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여 단말(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30)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40)를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접속망(20) 및 코어망(50) 사이에 위치하며, 접속망(20) 및 코어망(50) 사이에 송수신되는 각종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지정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단말(10)로 전달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트리밍 데이터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 스트리밍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성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 단위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이 스트리밍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해당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게 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은 예컨대, 광고와 같은 부가 서비스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기지국(30)과 연동함으로써, 해당 기지국(30)에 연결된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정보별로 맞춤화된 이벤트 유닛을 선택한 후, 선택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사업자 정보 수집 시 코어망(50) 내에 위치하는 홈 가입자 서버(미도시) 등과 더 연동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단말(10)로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해당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단말(10)로의 전송을 차단하더라도,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해,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되는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은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40)가 교체하는 이벤트 유닛 또한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 규격에 따른 유닛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제공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서 일부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을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단말(10)은 끊김없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재생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데이터 재생 중에 기지국 연동 노드(40)가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 정보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말(10), 기지국 연동 노드(40) 및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의 주요 구성 및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통신부(11), 입력부(12), 제어부(13), 저장부(14) 및 표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는 코어망(50) 접속을 위해, 인근의 접속망(20)에 접속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기지국(30)을 탐색하고, 탐색된 기지국(30)의 접속 요청을 하여, 기지국(30)과 접속되는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접속망(20)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의 통신부(11)가 접속망(20)의 기지국(30)에 접속되는 과정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통신부(11)가 기지국(30)과 통신 절차를 수행 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과 같은 단말 식별번호 등을 기지국(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30)이 코어망(50)과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단말 식별번호 등을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은 접속망(20)의 기지국(30)을 통해 정상적으로 코어망(50)에 접속하게 되면, 인터넷망(60)을 거쳐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 MMT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부(13)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3)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입력을 지원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채널에 대한 선택 명령 정보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1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과정 수행을 처리하기 위해 단말(1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제어부(13)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를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13)는 통신부(11), 입력부(12), 저장부(14) 및 표시부(15)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는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모듈(13a)은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모듈(13a)_은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 스트리밍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MPEG-2 TS 처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으로 구성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데이터가 복수의 애셋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애셋을 타임 정보에 따라 동기화하여 재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모듈(13a)은 MMT 프로토콜에서 정의하는 다양한 동작 수행을 위한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발생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2)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2)와 함께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부(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를 통해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4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10)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원 출력부(미도시)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된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생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통해 도시된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3)를 구성하는 모듈은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모듈(13a)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모듈로 제어부(13)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5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인터페이스부(410), 노드 제어부(420) 및 노드 저장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인터페이스부(41)는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한다. 특히, 인터페이스부(41)는 관리자 장치(미도시)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본 발명의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받아 노드 제어부(42)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이벤트 유닛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장치(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41)는 관리 장치(미도시)로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장치(미도시)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될 수 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와 운용 주체가 상이한 별도의 서버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4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30)과 연결된 상태에서, 기지국(30)으로부터 상기 기지국(30)에 연결된 단말(1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노드 제어부(4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410)는 코어망(50)에 위치하는 홈 가입자 장치(미도시)로부터 기지국(30)에 연결된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노드 제어부(4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41)는 접속망(20)의 기지국(30)과 코어망(50)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기지국(30)에 연결된 단말(10)로 전달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집하여 노드 제어부(4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노드 제어부(42)의 제어에 따라, 스트리밍 데이터 중 일부 MPU를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변경된 스트리밍 데이터가 단말(1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노드 제어부(4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4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노드 제어부(42)는 모니터링 모듈(42a), 이벤트 감지 모듈(42b), 미디어 처리 모듈(42c) 및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42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모듈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모니터링 모듈(42a)은 인터페이스부(41)을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단말(10)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링 모듈(42a)은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단말(10)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차단하지 않고, 그대로 단말(10)로 전달함과 동시에 이벤트 감지 모듈(42b)에 의해 상기 MMT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모니터링 모듈(42a)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다음에 따라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와 별도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기 설정된 이벤트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MPU 중 이벤트 시그널링을 위해 지정된 MPU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시그널링을 위해 지정된 MPU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에 의해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각 MPU 단위로 헤더 또는 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MPU는 헤더(507)와 데이터(508)로 구성되는 데, 헤더(507)의 정보의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508)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MPU가 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영상처리 방식으로 해당 MPU가 기 정의된 워터마크를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부터 광고 방송이 시작됩니다'와 같은 워터마크를 포함하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MPU가 자막 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자막 데이터의 스크립트를 확인하여 기 정의된 자막을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MPU가 시그널링을 위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상기 시그널링을 위한 데이터에 관리자의 중지 명령과 같은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MPU 단위로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MPU가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미디어 처리 모듈(42c)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특정 MPU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그 이후의 전달되는 MPU를 지속적으로 검사하여,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특정 MPU가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찬가지로 이를 미디어 처리 모듈(42c)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이벤트 감지 모듈(42b)에 의해 특정 MPU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MPU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단말(10)로 MMT 스트리밍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은 광고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42d)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적합한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유닛으로 해당 MPU부터 교체하여 단말(10)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10)의 사용자가 '20대', '여성'일 경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42d)은 이러한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42d)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단말(10)로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해당 MPU부터 '20대', '여성'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추출하게 된다. 이때,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현재 시간 정보,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최적의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이벤트 유닛으로 MPU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MPU의 헤더 정보를 참고하여, MPU의 블록 크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MPU를 교체할 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이 MPU의 블록 크기에 맞춰 교체되도록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의 블록 크기를 조절한 후 교체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U1, MPU2, MPU3, MPU4, MPU5...등의 복수의 MPU로 구성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단말(10)로 전달되는 상황에서, (a)에 도시된 바대로, 이벤트 감지 모듈(42b)에 의해 MPU1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해당 MPU부터, 즉 MPU1, MPU2, MPU3, MPU4, ...를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 예컨대 광고 블록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교체되기 이전의 MPU1, MPU2, MPU3, MPU4, ... 는 단말(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미디어 처리 모듈(42c)에 의해 교체된 MPU가 단말(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되더라도,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지속적으로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전달되는 MPU를 검사하여,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MPU5가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벤트 감지 모듈(42b)은 이를 미디어 처리 모듈(42c)로 안내하고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MPU5부터 별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단말(10)로 전달되도록 바이패스(bypass)시키게 된다.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42d)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30)에 연결된 단말(10)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42d)은 코어망(50)의 위치하고 있는 홈 가입자 장치(미도시)와 연동하여 기지국(30)에 연결된 단말(10)의 가입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노드 저장부(43)에 단말(10)의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미디어 처리 모듈(42c)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미디어 처리 모듈(42c)로 전달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단말(10)이 기지국(30)과의 접속이 종료되었다면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단말(10)에 대응하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42d)은 추가적으로 기지국(30)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할 수도 있다.
노드 저장부(4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노드 저장부(43)는 이벤트 유닛(43a)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유닛(43a)은 예컨대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관리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아울러, 이벤트 유닛(43a)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 존재하는 이벤트 유닛(43a)은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유닛(43a)이 A, B 존재하는 경우, A 이벤트 유닛은 '20대, 여성, A 기지국, 12~2시 송출'로 설정되어 있고, B 이벤트 유닛은 '30대, 남성, A 기지국, 12~2시 송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미디어 처리 모듈(42c)은 MPU 교체 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벤트 유닛을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시에 A 기지국에 연결되고 현재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10)의 사용자 정보가 '20대, 여성'일 경우, 복수의 이벤트 유닛 중 A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A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단말(10)이 상기 A 이벤트 유닛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드 저장부(43)는 사용자 정보, 기지국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4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는 서버 통신부(71), 서버 제어부(72) 및 서버 저장부(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71)는 단말(10)과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서버 통신부(71)는 단말(10)로부터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10)로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MMT 스트리밍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애셋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애셋은 복수 개의 MPU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71)는 복수 개의 MPU로 구성되는 복수의 애셋을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하나의 채널을 통해 단말(1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 통신부(71)가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서버 통신부(71)는 특정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7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 모듈(72a) 및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 모듈(7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 모듈(72a)은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를 MMT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스트리밍 데이터 형태로 변환 처리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데이터 생성 모듈(72a)은 MMT 스트리밍 데이터 변환 시, MPU의 블록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MPU의 블록 크기에 따라 각 MPU를 구성하여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MPU별로 재생 타임 정보를 삽입하여, 단말(10)이 이를 동기화하여 재생되도록 필요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 모듈(72b)은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한 단말(10)로 해당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이 요청한 MMT 스트리밍 데이터가 복수의 MPU로 구성되는 복수의 애셋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순차적으로 단말(10)이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서버 제어부(72)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한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단말(10)이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한 경우, 해당 단말(10)이 자신이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 경우에만, MMT 스트리밍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서버 저장부(7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장치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단말(10)은 특정 접속망(20)의 기지국(30)에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기지국(30)을 거쳐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하여 이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이다. 아울러,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상기 기지국(30)에 연결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단말(10)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01).
그리고,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단말(10)로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MPU 단위로 분석하여(S103).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지 판단한다(S105).
판단 결과, 특정 MPU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면,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해당 MPU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단말(10)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S107~S109). 즉,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단말(10)로 전달하는 MPU는 차단하고, 자신이 교체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을 단말(10)이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 도 8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어느 하나의 기지국(30)과 접속된 상태이다(S201). 여기서, 단말(10)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지국(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기지국(30)가 연결된 상태이다. 기지국 연동 노드(40)에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30)의 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주기적으로 기지국(30)에 접속된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집하고 이를 저장한다(S203 ~ S207). 이때,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연결된 기지국(30)으로 현재 접속된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30)에 연결된 단말(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코어망(50)에 위치한 홈 가입자 장치(미도시) 또는 빅 데이터(big data) 서버(미도시)와 같은 추가 장치와 연동하여 단말(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복수 개의 기지국(30)과 연결된 상태일 경우, 기지국(30) 자체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10)이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하면(S209),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는 단말(10)이 요청한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단말(10)로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기지국(30)과 연결되어 단말(10)과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이를 모니터링하고(S213),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단말(10)로 전달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17). 여기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다음에 따라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별도의 기 설정된 이벤트 시그널링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MPU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각 MPU 중 이벤트 시그널링을 위해 지정된 MPU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시그널링을 위해 지정된 MPU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에 의해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MT 스트리밍 데이터의 각 MPU 단위로 헤더 또는 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MPU는 헤더(507)와 데이터(508)로 구성되는 데, 헤더(507)의 정보의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508)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MPU가 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영상처리 방식으로 해당 MPU가 기 정의된 워터마크를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부터 광고 방송이 시작됩니다'와 같은 워터마크를 포함하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MPU가 자막 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자막 데이터의 스크립트를 확인하여 기 정의된 자막을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MPU가 시그널링을 위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상기 시그널링을 위한 데이터에 관리자의 중지 명령과 같은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MPU 단위로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MPU가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해당 MPU부터 단말(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해당 MPU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S219), 교체된 이벤트 유닛을 포함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단말(1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S221).
이때,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S207 단계에서 미리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적합한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유닛으로 해당 MPU부터 교체하여 단말(10)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10)의 사용자가 '20대', '여성'일 경우,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단말(10)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단말(10)로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해당 MPU부터 '20대', '여성'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전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상기 정보 이외의 현재 시간 정보,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최적의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이벤트 유닛으로 MPU를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MPU의 헤더 정보를 참고하여, MPU의 블록 크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해당 MPU부터 교체할 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이 MPU의 블록 크기에 맞춰 교체되도록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의 블록 크기를 조절한 후 교체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된 MMT 스트리밍 데이터가 단말(10)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지속적으로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로부터 단말(10)로 전달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S223), 상기 MMT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225). 여기서,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분석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MPU부터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70)가 전달한 MPU 그대로 단말(10)이 수신하도록 MMT 스트리밍 데이터를 바이패스 할 수 있다(S227).
상기 과정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MPU1, MPU2, MPU3, MPU4, MPU5...등의 복수의 MPU로 구성되는 MMT 스트리밍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단말(10)로 전달되는 상황에서, (a)에 도시된 바대로, 기지국 연동 노드(40)가 MPU1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해당 MPU1부터, 즉 MPU1, MPU2, MPU3, MPU4, ...를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 예컨대 광고 블록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교체되기 이전의 MPU1, MPU2, MPU3, MPU4, ...는 단말(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교체된 MPU가 단말(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더라도, 지속적으로 MPU를 검사하여,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MPU5가 이벤트 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 연동 노드(40)는 MPU5부터는 별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단말(10)로 전달되도록 바이패스(bypass)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어느 하나의 기지국와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연동 노드가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이용하여,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정 부분을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이용하여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방식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 11: 통신부 12: 입력부
13: 제어부 13a: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모듈
14: 저장부 15: 표시부 20:접속망
30: 기지국 40: 기지국 연동 노드
41: 인터페이스부 42: 노드 제어부
42a: 모니터링 모듈 42b: 이벤트 감지 모듈
42c: 미디어 처리 모듈 42d: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43: 노드 저장부 43a: 이벤트 유닛
50: 코어망 60: 인터넷망
70: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

Claims (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연동 노드는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 모듈; 및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처리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은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시그널링이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의 헤더 또는 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 여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단말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을 선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유닛으로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을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 모듈은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의 헤더 정보를 통해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의 블록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블록 크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의 블록 크기를 조절한 후 상기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상기 블록 크기가 조절된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미디어 처리 모듈은
    상기 이벤트 감지 모듈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바이패스(bypass)시켜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와 연결되는 기지국 연동 노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연동 노드가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달되는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rt) 스트리밍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 설정된 이벤트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MPU; Media Processing Unit)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 유닛으로 교체한 후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 설정된 이벤트 해제 정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디어 프로세싱 유닛부터 바이패스(bypass)시켜 상기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9.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22525A 2015-02-13 2015-02-13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KR10174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525A KR101743441B1 (ko) 2015-02-13 2015-02-13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PCT/KR2016/001459 WO2016129965A1 (ko) 2015-02-13 2016-02-13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JP2017554231A JP6877358B2 (ja) 2015-02-13 2016-02-13 基地局連動ノード及びこれを介した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提供方法
CN201680007756.6A CN107211021B (zh) 2015-02-13 2016-02-13 与基站交互的节点和用于通过该节点提供流数据的方法
US15/622,934 US10291943B2 (en) 2015-02-13 2017-06-14 Node interworking with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aming data through the n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525A KR101743441B1 (ko) 2015-02-13 2015-02-13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48A true KR20160100048A (ko) 2016-08-23
KR101743441B1 KR101743441B1 (ko) 2017-06-05

Family

ID=5661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525A KR101743441B1 (ko) 2015-02-13 2015-02-13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1943B2 (ko)
JP (1) JP6877358B2 (ko)
KR (1) KR101743441B1 (ko)
CN (1) CN107211021B (ko)
WO (1) WO2016129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546A (ko) 2016-02-18 2017-08-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134727B (zh) * 2019-04-03 2023-11-14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服务于制造执行层的数据采集与分析系统
KR102647646B1 (ko) * 2019-05-15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엣지 컴퓨팅에 기초한 이동체 동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274A (ko) 2013-04-18 2014-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동적 큐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3441A1 (en) 2000-08-31 2002-06-27 Flickinger Gregory C. Advertisement filtering and storage for targeted advertisement systems
CA2383352C (en) * 1999-04-20 2008-07-08 Charles A. Eldering Advertising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video streams
US20020147990A1 (en) * 2001-04-10 2002-10-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video and audio packets into a video transport stream
AU2003286487B2 (en) * 2002-10-18 2007-07-26 Opentv, Inc. iChoose video advertising
US8561109B2 (en) * 2006-04-03 2013-10-15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TV program information from different live TV feeds
CN100493038C (zh) * 2006-05-26 2009-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通话过程中的媒体流替换方法及系统
US8611428B1 (en) * 2008-05-08 2013-12-17 Velti USA, Inc. Transparent insertion of multimedia content in real-time streaming sessions
GB2468878B (en) * 2009-03-24 2014-11-19 Strategy & Technology Ltd A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receiver for a testing device
US8935359B2 (en) * 2009-10-07 2015-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dia system with social awareness
KR20120084234A (ko) *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Mpeg media transport(mmt)에서 mmt au를 전송하는 방법
US20130144723A1 (en) * 2011-11-17 2013-06-06 Abacast, Inc.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to automatically expose and place material in streams of programming
US10356143B2 (en) * 2012-10-10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data delivery control
EP2962468A1 (en) * 2013-03-14 2016-01-06 Arris Technology,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or translating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to http live streaming (hls)
JP6331670B2 (ja) * 2014-05-12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方法
KR102196492B1 (ko) * 2014-07-04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3223526B1 (en) * 2014-11-20 2019-0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274A (ko) 2013-04-18 2014-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동적 큐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77358B2 (ja) 2021-05-26
JP2018509862A (ja) 2018-04-05
WO2016129965A1 (ko) 2016-08-18
CN107211021B (zh) 2020-09-08
US10291943B2 (en) 2019-05-14
US20170289592A1 (en) 2017-10-05
CN107211021A (zh) 2017-09-26
KR101743441B1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8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view streaming service
KR102072344B1 (ko) 적응형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275148A1 (en) Event-Based Content Replacement In Live Media Services
EP28003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supply device an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supply method
KR101743441B1 (ko)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US202002964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170097547A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3001926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to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240054009A1 (e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81217B1 (ko)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63269A (ko) 라이브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인터랙티브 제어 구현
KR102209783B1 (ko) 스트리밍 제공 서버와 기지국 연동 노드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패킷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지국 연동 노드
KR101746378B1 (ko) 휴대 단말을 통한 융합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융합방송 모니터링이 가능한 휴대 단말
KR102209782B1 (ko)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18603A (ko)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9784B1 (ko) Mmt 패킷 캐싱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캐싱 처리를 위한 mmt 패킷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13585A (ko)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9785B1 (ko) Mmt 패킷 캐싱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캐싱 처리를 위한 mmt 패킷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54706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to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649721B1 (ko) 휴대 단말을 통한 융합방송 수신 장치 및 융합방송 출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
CN117837151A (zh) 流媒体数据传输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170009106A (ko) 복수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10019446A (ko) 휴대형 vod 서비스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