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771A -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771A
KR20160099771A KR1020150021632A KR20150021632A KR20160099771A KR 20160099771 A KR20160099771 A KR 20160099771A KR 1020150021632 A KR1020150021632 A KR 1020150021632A KR 20150021632 A KR20150021632 A KR 20150021632A KR 20160099771 A KR20160099771 A KR 2016009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emory
memory device
portable terminal
secure usb
sec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294B1 (ko
Inventor
강성인
이주원
강병관
우승헌
유현주
주해인
남재현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2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USB 메모리에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을 추가하여 USB 메모리 사용 시 사전에 USB 메모리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와 같은 고유 인증코드 등록하고, 이후 USB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매번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사전 등록한 휴대 단말기에서 송신 하는 비콘 인증 신호만 있으면 USB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케 하고 USB 메모리를 분실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앱을 통해 USB 사용 기록과 사용 장소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APPARATUS FOR SECURE USB MEMORY USING BEACON SIGNAL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SB 메모리에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을 추가하여 USB 메모리의 사용 시 사전에 USB 메모리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와 같은 고유 인증코드를 등록하고, 이후 USB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매번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사전 등록한 휴대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비콘 인증 신호만 있으면 USB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하다. 만약 USB 메모리를 분실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앱을 통해 USB 사용 기록과 사용 장소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 중 자료보관 및 이동형으로 흔히 사용되는 USB메모리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반인이라면 최소 1개 정도는 갖고 있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작은 크기에 다양한 파일을 간편하게 담아 휴대할 수 있는 유용성과 휴대폰 액세서리, 열쇠고리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 제품이 보급되고, 인터넷뱅킹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공인증서의 저장 공간으로 USB 메모리의 활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또한 USB 메모리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의 증가 및 가격 하락은 최근 고용량 USB 메모리의 사용을 더욱 일반화 시키고 있다.
그러나 USB 메모리의 사용 중 분실 및 도난에 의한 재구매의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USB 메모리의 분실은 단순히 USB 메모리 자체의 분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 정보의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USB 메모리의 이동 편의 특성상 사용자가 USB 메모리에 업무의 내용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회사의 기밀 유출 등으로 이어져 그 피해는 실로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USB 메모리의 분실로 인한 피해를 방지 하고자, USB 메모리에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을 추가하여 USB 메모리 사용시 비콘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USB 메모리 간에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USB 사용 기록에 대한 로그와 사용 장소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134081호(2012.03.30.)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USB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블루투스 기능 갖는 USB를 통해 클라이언트 PC와 스마트폰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되, USB가 스마트폰과 기 설정된 범위를 이탈하거나 USB의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 알람을 출력하여 USB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블루투스와 접속된 USB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함으로써, USB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USB에 저장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6155호(2014.09.03.)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식 메모리의 보안 및 분실방지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블루투스 통신으로 정보교환을 이루는 이동식 메모리와 스마트폰과의 RSSI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이동식 메모리 간의 설정된 간격 내에서만 이동식 메모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설정된 간격을 초과하면 이동식 메모리의 사용을 제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여 USB 메모리의 보안과 분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제시는 있으나,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매번 페어링 과정을 거쳐야 하고, 또한 USB 메모리의 분실의 경우 USB 메모리를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제시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통해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초기 등록만 하면, 이후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의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사용자가 매번 해 주지 않아도 USB 메모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USB 메모리의 사용시 사용 로그와 사용 위치를 휴대 단말기의 앱을 통해 기록하여 USB 메모리의 위치를 파악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입장에서는 USB에게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USB로부터 확인 신호를 받는 과정에서 별도의 커넥션을 필로로 하지 않기 때문에 USB를 사용하는 도중에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나 인터넷을 이용하여도 상기 USB의 인증으로 인해 지장을 받을 염려가 없다. 즉,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에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동승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더라도 기존의 블루투스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USB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비콘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통화나 인터넷과 USB의 이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데이터의 저장 장치로 작은 크기와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USB 메모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보안에 취약하고 분실 시 USB 메모리에 담긴 내용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개인정보나 회사 기밀 내용이 유출되어 피해가 우려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장치가 없는데 착안하여, USB 메모리에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을 추가하여 USB 메모리 사용 시 사전에 USB 메모리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 코드나 전화번호 등을 인증하여 등록하고, 이후 USB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매번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사전 등록한 휴대 단말기에서 송신 하는 비콘 인증 신호가 있을 경우만 USB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케 하여 USB 메모리를 분실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앱을 통해 USB 사용 기록과 사용 장소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USB 메모리와 동일한 의미임)는, 컴퓨팅 장치(PC라고도 함)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 USB 인터페이스부; 플래시 메모리, DRAM, SSD 또는 HDD를 포함한 메모리로 구성되는 저장부;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외부 휴대 단말기와 비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콘 통신부;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가도록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시 사전에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고유 인증코드를 등록하고, 이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경우 매번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인증은 휴대 단말기에서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한 비콘 신호에서 추출한 인증코드를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인증코드를 키 값으로 하여 암호화를 수행한 후 비콘 신호를 통해서 송수신되며, 상기 인증코드는,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또는 미리 설정된 암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는,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휴대 단말기와 비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콘 통신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에 관한 등록,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로그 및 사용 위치정보의 검색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앱제어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사용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팅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비콘 신호에 실어서 상기 비콘 통신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전송하여 매번 사용자가 번거롭게 USB 메모리와 추가적인 연동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팅 장치와 연결한 경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비콘 신호를 주고받는 비콘 신호 송수신 단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코드를 추출하는 인증코드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인증코드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추출된 인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동일한 경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읽기와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의 데이터 쓰기를 허용하는 데이터 액세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시 사전에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와 같은 고유 인증코드 등록하고, 이후 USB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매번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액세스 단계는,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인증코드를 키 값으로 하여 암호화를 수행한 후 비콘 신호를 통해서 송수신되며, 상기 인증코드는,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또는 미리 설정된 암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등록되지 않은 번호라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라는 메시지를 비콘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의 앱제어부가 휴대 단말기에 기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등록된 번호라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증코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게 상기 휴대 단말기의 비콘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를 포함한 인증코드를 상기 보안 USB 메모리의 저장부에 저장등록하고, 이후 휴대 단말기는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 비콘 인증 신호를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SB 메모리의 제어부는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로그 및 사용 위치정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비콘 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추후 사용자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분실하였을 경우 휴대 단말기의 앱을 통해 검색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을 종료하게 되면, USB 메모리와의 연결이 끊겼다는 정보를 메시지 팝업으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USB 메모리에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을 추가하여 USB 메모리 사용 시 사전에 USB 메모리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 코드나 전화번호를 포함한 특정 인증번호를 고유 인증코드로 등록하고, 이후 USB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매번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사전 등록한 휴대 단말기에서 송신 하는 비콘 인증 신호만 있으면 USB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케 하고 USB 메모리를 분실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앱을 통해 USB 사용 기록과 사용 장소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의 동작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의 휴대 단말기 앱의 예시화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100)는, 일례로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이 장착된 USB 메모리 장치(100)가 되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100)는 비콘 신호를 통해 USB 메모리의 사용을 인증해 주는 휴대 단말기(200)와 접속되며, 상기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 태블릿 등 PC(300)를 포함하는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WiFi, Zigbee, RFID를 포함한 NFC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에서 사용하는 비콘 신호를 포함한다. 특히 RFID의 경우 RFID 수신 칩을 USB 메모리 장치에 장착하여 휴대 단말기가 테그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할 경우에 한해서 USB 메모리 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는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RFID 테그를 가지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가 특정 ID를 RF로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감지하여야 USB가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비콘 신호는 RFID의 신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보안 USB 메모리(100)는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저장 장소로 1GB부터 1TB까지 다양한 데이터 저장 용량, 다양한 사이즈 및 디자인의 외형을 갖추고 있으며, USB 커넥터를 통해 상기 PC와 접속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USB 메모리 내부에는 기존 USB 메모리에는 없는 저전력의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보안 USB 메모리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PC(300)의 USB 단자에 꼽아주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100) 내부에 탑재 되어 있는 비콘 모듈에서 사용 등록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출하게 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와 같은 ID를 상기 비콘 신호에 실어서 USB 메모리에게 보내면 USB 메모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게 된다. 이후 상기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자동으로 USB 메모리에 전송되면 사용자는 별도의 암호 입력 같은 연동과정 없이 USB 메모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메모리를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추가로 상기 과정의 휴대 단말기 등록 과정을 통해 자유롭게 추가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ID로는 사용자가 임의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상기 PC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는 USB 메모리의 사용로그와 사용 PC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PC명 등과 같은 사용 위치정보를 포함한 소정의 정보를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게 되고, 이 기록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앱을 통해 저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이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100)는 PC와 파일을 송수신한 로그 정보에 대해서도 보관할 수 있어, 향 후 필요에 따라 보안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USB 메모리의 사용을 위한 등록과정, 사용자 추가등록 과정, 상기 USB 메모리의 사용로그 및 사용 위치 정보 조회 과정, USB 메모리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을 경우 분실 방지를 경고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사용자 친화적인 UI를 제공하는 앱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비콘 신호를 통해 상기 USB 메모리를 휴대 단말기가 자동으로 인증하는 과정을 통해 USB 메모리의 데이터 보안 및 분실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휴대 단말기의 고유정보만 등록해 두면, 별도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페어링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며, 복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고유정보를 등록해 두었을 경우에도, 해당 휴대 단말기의 확인 즉, 페어링이나 별도의 연결과정이 필요 없이 비콘 신호에 대한 인식만으로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USB 메모리 장치(100)는 USB 인터페이스부(110), 저장부(120), 비콘 통신부(130), 제어부(140)로 구성되며, 휴대 단말기는 비콘 통신부(210), 앱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SB 메모리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PC(300)와 연결되고, USB 인터페이스부는 USB 3.0표준을 지원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입출력을 지원하고, USB 메모리가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원 공급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USB 메모리의 사용 시 등록한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어드레스나 전화번호와 같은 ID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후 USB 메모리의 사용하기 위해 상기 PC(300)의 USB 포트에 꽂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비콘 신호로 전송되는 휴대 단말기의 MAC어드레스를 상기 저장부(120)에 등록 시 저장된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일치 하는 경우에 한하여 저장부의 데이터에 접근하여 사용 가능케 한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반드시 플래시 메모리일 필요는 없으며, SSD(Solid State Drives)나 HDD(Hard Disk Drives)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포터블 저장장치이면 모두 활용 가능하다.
상기 USB 메모리의 비콘 통신부(130)는 USB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PC(300)의 USB포트에 꽂으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등록 안내 비콘 신호를 보내고, 휴대 단말기는 이 비콘 신호를 받아서 상기 USB 메모리의 MAC 어드레스나 제조번호와 같은 고유 등록번호 입력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시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와 같은 ID를 비콘 신호로 USB 메모리에 전송함으로써 USB 메모리에 휴대 단말기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고 이후 사용자가 페어링 같은 별도의 설정 과정 없이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가 일정 비콘 신호가 미치는 범위 내라면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다.
상기 USB 메모리의 제어부(140)는 USB 메모리가 PC에 연결될 때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또한 저장부(120)에 저장된 USB 메모리의 사용로그, 사용 위치 정보, 휴대 단말기의 등록정보 등을 상기 비콘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비콘 신호와 비교하여 USB 메모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기능에 대한 종합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보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USB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정보와 휴대 단말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보안정보를 비교하는 것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더욱 강력한 보안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와 같은 ID를 키 값으로 사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한 후 암호화된 키 값을 서로 송수신하고, 복호화한 다음 서로 비교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나 복호화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그 제한이 없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비콘 통신부(210)는 저전력 블루투스을 기반으로 한 비콘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USB 메모리로부터 최초 휴대 단말기 등록에 관한 비콘 신호가 전송되면 이 신호를 상기 앱제어부(220)에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게 하거나, 상기 USB 메모리가 사용될 때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를 비콘 신호의 형태로 상기 USB 메모리에 전송하여 USB 메모리의 끊김없는 보안사용이 가능케 한다.
상기 앱제어부(220)는 USB 메모리의 사용에 관한 등록, USB 메모리의 사용로그 및 사용 위치 정보의 검색 등을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UI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일예로 상기 USB 메모리의 최초 사용시 USB 메모리로부터 비콘 신호를 통해 전송된 휴대 단말기의 최초 등록에 대한 메시지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팝업 형태의 메시지를 띄워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USB 메모리의 사용 종료 후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에도 경고 메시지를 띄우도록 제어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을 예방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지원하는 구성요소로 USB 메모리의 최초 사용 시 등록 화면을 팝업을 통해 알려주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으로 USB 메모리의 고유 등록번호를 입력하여 USB 메모리의 휴대 단말기 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USB 메모리를 사용한 로그기록과 사용위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UI 화면을 제공하며, 또한 USB 메모리의 사용 종료 시 USB 메모리와의 연결이 끊겼다는 정보를 화면을 통해 알려 주어 사용자가 USB 메모리를 분실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24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비콘 통신부(210)과 앱제어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 사이의 상호 유기적인 데이터 교환이나 연결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USB 메모리를 PC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비콘 신호에 실어서 비콘 통신부(210)를 통해 주기적으로 USB 메모리에 전송하여 매번 사용자가 번거롭게 USB 메모리와 추가적인 연동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USB 메모리의 최초 사용시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상기 비콘 통신부(210)를 통해 USB 메모리에 전송하여 USB 메모리에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도록 제어한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USB 메모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PC의 USB포트를 통해 상기 PC에 연결한다(S100). 이후 휴대 단말기로부터 비콘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10), 만약 비콘 인증 신호가 제대로 수신 되지 않는다면 USB 메모리는 사용금지 되어 사용할 수 없다(S111), 반면 휴대 단말기에서 비콘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이 비콘 신호에 실린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번호가 USB 메모리 기 등록된 번호인지 여부를 상기 USB 메모리의 저장부(120)의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한다(S120). 만약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USB 메모리에 등록되지 않은 번호라면 USB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라는 메시지를 비콘을 통해 전송하고(S130), 상기 USB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의 상기 앱제어부(220)는 휴대 단말기에 기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USB 메모리의 제조일련번호와 같은 고유의 등록번호를 입력하면(S131), 휴대 단말기의 앱제어부(220)는 USB 메모리의 등록번호와 입력된 등록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S132), 일치하지 않는다면 USB 메모리는 사용금지 되어 사용할 수 없다(S111). 반면 등록번호가 상호 일치 한다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240)은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 등 고유번호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USB 메모리에게 상기 휴대 단말기의 비콘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S133). 이후 상기 USB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 등 고유번호를 USB 메모리의 저장부(120)에 저장등록하게 된다(S134). 이후 휴대 단말기는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USB 메모리로 비콘 인증 신호를 전송한다(S135).
상기 S12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에서 전송된 비콘신호가 기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등록번호와 일치 한다면 이후 사용자의 어떠한 추가적인 설정 과정 없이 보통 USB 메모리를 사용하듯이 사용하면 된다(S140). 이후 USB 메모리의 제어부(140)는 USB 메모리의 사용로그 및 사용 위치정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USB 메모리의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비콘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추후 사용자가 USB 메모리를 분실하였을 경우 휴대 단말기의 앱을 통해 검색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S150).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USB 메모리의 사용을 종료하게 되면(S160), USB 메모리와의 연결이 끊겼다는 정보를 메시지 팝업으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알려 주어 사용자가 USB 메모리를 분실하지 않도록 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의 휴대 단말기 앱의 예시화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a)는 사용자가 상기 USB 메모리의 제조일련번호와 같은 고유의 등록번호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앱 화면이며, 도 4의 (b)는 정상적으로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가 USB 메모리에 비콘 인증 신호를 보내서 USB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의 앱 예시화면이다. 또한 도 4의 (c)는 USB 메모리의 사용 종료후 USB 메모리와의 연결이 끊겼다는 정보를 화면을 통해 알려 주어 사용자가 USB 메모리를 분실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앱 예시 화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USB 메모리에 블루투스 기반 비콘 모듈을 추가하여 USB 메모리 사용 시 사전에 USB 메모리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와 같은 고유 인증코드 등록하고, 이후 USB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매번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사전 등록한 휴대 단말기에서 송신 하는 비콘 인증 신호만 있으면 USB 메모리의 사용이 가능케 하고 USB 메모리를 분실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앱을 통해 USB 사용 기록과 사용 장소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USB 메모리 110 : USB 인터페이스부
120 : 저장부 130 : USB 메모리 비콘 통신부
140 : USB 메모리 제어부 200 : 휴대 단말기
210 : 휴대 단말기 비콘 통신부 220 : 앱제어부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휴대 단말기 제어부
300 : PC

Claims (11)

  1. 컴퓨팅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 USB 인터페이스부;
    플래시 메모리, DRAM, SSD 또는 HDD를 포함한 메모리로 구성되는 저장부;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외부 휴대 단말기와 비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콘 통신부;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가도록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시 사전에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고유 인증코드를 등록하고, 이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경우 매번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은 휴대 단말기에서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 전송한 비콘 신호에서 추출한 인증코드를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인증코드를 키 값으로 하여 암호화를 수행한 후 비콘 신호를 통해서 송수신되며,
    상기 인증코드는,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또는 미리 설정된 암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USB 메모리 장치.
  4.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휴대 단말기와 비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콘 통신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에 관한 등록,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로그 및 사용 위치정보의 검색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앱제어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사용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팅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비콘 신호에 실어서 상기 비콘 통신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전송하여 매번 사용자가 번거롭게 USB 메모리와 추가적인 연동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컴퓨팅 장치와 연결한 경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비콘 신호를 주고받는 비콘 신호 송수신 단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코드를 추출하는 인증코드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인증코드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추출된 인증코드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동일한 경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읽기와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의 데이터 쓰기를 허용하는 데이터 액세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 시 사전에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고유 MAC 어드레스와 같은 고유 인증코드 등록하고, 이후 USB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매번 USB 메모리와 휴대 단말기 간에 번거로운 페어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액세스 단계는,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서로 연동이 되지 않으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인증코드를 키 값으로 하여 암호화를 수행한 후 비콘 신호를 통해서 송수신되며,
    상기 인증코드는,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또는 미리 설정된 암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등록되지 않은 번호라면,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라는 메시지를 비콘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의 앱제어부가 휴대 단말기에 기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 등록된 번호라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인증코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에게 상기 휴대 단말기의 비콘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휴대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나 전화번호를 포함한 인증코드를 상기 보안 USB 메모리의 저장부에 저장등록하고, 이후 휴대 단말기는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로 비콘 인증 신호를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의 제어부는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로그 및 사용 위치정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비콘 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추후 사용자가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를 분실하였을 경우 휴대 단말기의 앱을 통해 검색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사용을 종료하게 되면, USB 메모리와의 연결이 끊겼다는 정보를 메시지 팝업으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50021632A 2015-02-12 2015-02-12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632A KR101659294B1 (ko) 2015-02-12 2015-02-12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632A KR101659294B1 (ko) 2015-02-12 2015-02-12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771A true KR20160099771A (ko) 2016-08-23
KR101659294B1 KR101659294B1 (ko) 2016-09-26

Family

ID=5687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632A KR101659294B1 (ko) 2015-02-12 2015-02-12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32A1 (ko) * 2015-10-27 2018-05-03 주식회사 리움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KR20210029967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시티캣 보안단말기를 이용한 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720B1 (ko) 2018-08-24 2020-10-29 주식회사 심플한 플래시메모리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플래시메모리의 보안설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2961A (ja) * 2001-02-07 2002-08-16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と周辺携帯端末機器との接続システム
KR20060040000A (ko) * 2004-11-04 2006-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능 확장용 에스디 메모리 카드
KR20070048558A (ko) * 2005-11-04 2007-05-0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핸드폰과 연동한 컴퓨터보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2961A (ja) * 2001-02-07 2002-08-16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と周辺携帯端末機器との接続システム
KR20060040000A (ko) * 2004-11-04 2006-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능 확장용 에스디 메모리 카드
JP2006134291A (ja) * 2004-11-04 2006-05-25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機能拡張用sdメモリカード
KR20070048558A (ko) * 2005-11-04 2007-05-09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핸드폰과 연동한 컴퓨터보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32A1 (ko) * 2015-10-27 2018-05-03 주식회사 리움 이어폰잭 플러그인 블루투스 메모리 장치
KR20210029967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시티캣 보안단말기를 이용한 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294B1 (ko) 201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64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conduct mobile payment transactions
US11971967B2 (en) Secure access device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mechanisms
US921073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pairing between wireless devices
US93441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airing of bluetooth devices
US8467770B1 (en) System for securing a mobile terminal
US8112066B2 (en) System for NFC authentication based on BLUETOOTH proximity
US8521134B2 (en) Proximity based security protocol for processor-based systems
US20130298208A1 (en) System for mobile security
US20120171959A1 (en) Storage device
JP2008512738A (ja) データを交換するための携帯型記憶装置及び方法
WO2013078796A1 (zh) 手机及其通信方法
GB2580549A (en) Data security system with encryption
US9667412B2 (en) Key, system and method of unlock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
KR102545375B1 (ko)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07303A (ko) 스마트 보안을 위한 페어링 수행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3488920A (zh) 一种无线信息安全设备的实现方法及系统
KR101659294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보안 usb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085152B2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KR102033980B1 (ko) 보안 usb 동글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30676B1 (ko)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1063929B2 (en) Body area network for authentication and service provision
KR102018294B1 (ko) 무선 통신 연결 방법, 장치 및 구조
CN1933635B (zh) 控制无线设备的可见性
KR20100117455A (ko) Rfid보안장치가 구비된 usb 대용량 저장장치
CN103401865A (zh) 终端和数据传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