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269A - 잔류 농약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잔류 농약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269A
KR20160099269A KR1020150021516A KR20150021516A KR20160099269A KR 20160099269 A KR20160099269 A KR 20160099269A KR 1020150021516 A KR1020150021516 A KR 1020150021516A KR 20150021516 A KR20150021516 A KR 20150021516A KR 20160099269 A KR20160099269 A KR 20160099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unit
amount
electrod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진
김민건
Original Assignee
(주) 텔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텔트론 filed Critical (주) 텔트론
Priority to KR102015002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269A/ko
Publication of KR2016009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3Devices therefor, e.g. test element readers,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 농약 검출 장치는 농약의 양에 따라 해당 양의 전자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농약 감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자의 이동을 이용하여 전류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의 양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측정부, 상기 신호 측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농약의 양을 판정하여 판정된 농약의 양에 대한 농약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농약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잔류 농약 검출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PESTICIDE RESIDUE}
본 발명은 잔류 농약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잔류농약 검출장치는 연구분석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자연현장에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형으로 잔류농약을 측정하는 장치는 일반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 바로 원하는 작물의 잔류 농약 상태를 판정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효소를 이용해 측정된 농약의 양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의 양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측정기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소형화의 요구가 있으며, 비용의 문제로 인해 개인이 용이하게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잔류 농약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잔류 농약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장치는 농약의 양에 따라 해당 양의 전자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농약 감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자의 이동을 이용하여 전류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의 양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측정부, 상기 신호 측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농약의 양을 판정하여 판정된 농약의 양에 대한 농약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농약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USB 통신부인 것이 좋다.
상기 특징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농약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약 감지 장치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 위에 위치하고 농약과의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전자를 생성하는 효소가 도포되어 있는 효소 도포부, 상기 효소 도포부와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제1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1 전극, 그리고 상기 효소 도포부와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제1 극성과 반대인 제2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잔류 농약 측정 장치에서 표시부를 제거하므로, 잔류 농약 장치의 크기와 무게가 감소하여 사용자의 휴대가 좀더 용이해진다.
또한, 제조 비용이 비싼 표시부가 생략되므로, 잔류 농약 측정 장치의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농약 감지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시스템은 원하는 작물에 묻어 있는 농약의 양을 측정하기 해당 양의 전자를 출력하는 농약 검출 장치(1)와 농약 검출 장치(1)와 통신을 하여 원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사용자 단말(2)을 구비한다.
농약 검출 장치(1)는 농약 감지 장치(10), 농약 감지 장치(10)와 연결된 전원 공급부(100), 전원 공급부(100)와 연결된 신호 측정부(200), 그리고 신호 측정부(200)와 연결된 신호 처리부(300)를 구비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100), 신호 측정부(200) 및 신호 처리부(3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잔류농약 검출 장치 본체 내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전원 공급부(100), 신호 측정부(200) 및 신호 처리부(300)는 잔류농약 검출 장치의 본체를 구성한다.
농약 감지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휴대가 가능하고, 전원 공급부(100), 신호 측정부(200) 및 신호 처리부(300)와 분리되게 존재한다. 따라서, 농약 감지 장치(10)는 잔류농약 검출 장치의 본체와는 별개로 구성된다.
농약 감지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가느다란 띠(strip)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농약 감지 장치(10)는 피이티(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절연 물질인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11) 위에 복수의 전극(12, 14a, 14b)과 효소 도포부(13)가 위치한다.
예를 들어, 본체(11) 위에 위치한 삽입인식용 전극(11), 본체(11) 위에 위치하고 삽입 인식용 전극(11)과 분리되게 위치하며 서로 나란히 뻗어 있는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 그리고 제1 전극(14a)의 일부, 작용전극(14b)의 일부 위 및 본체(11)의 일부 위에 위치한 효소 도포부(13)를 구비한다.
삽입인식용 전극(11)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농약 감지 장치(10)의 앞 쪽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부면에서 하부면쪽으로, 즉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때, 삽입인식용 전극(11)은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의 접할 때까지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 중 다른 하나와는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인식용 전극(11)은 사용자에 의한 삽입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전극(14a)은 도 2에서 농약 감지 장치(10)의 상부면 쪽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앞쪽에서 뒷쪽으로, 즉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때, 앞쪽에 인접하게 위치한 삽입인식용 전극(12)과 분리되어 있고, 농약 감지 장치(10)의 뒤쪽 면과 분리되어 있다.
제2 전극(14b)은 제1 전극(14a)과 이격되어 제1 전극(14a)과 나란하게 뻗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제2 전극(14b)은 농약 감지 장치(10)의 하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전극(14a)과 동일하게, 적용 전극(14b)은 삽입인식용 전극(12) 및 농약 감지 장치(10)의 뒤쪽 면과 분리되어 있다.
본 예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의 길이는 동일하지만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은 사용자에 의해 농약 감지 장치(10)가 잔류 농약 검출 장치의 본체에 삽입될 때 신호 측정부(200)와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동작에 의해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에는 신호 측정부(200)나 전원 공급부(100)에 의해 서로 극성이 전압이 인가된다. 본 예에서, 제1 전극(14a)에는 (-)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14b)에는 (+)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일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의 형성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12, 14a 및 14b)은 본체(11) 위의 원하는 위치에 구리(Cu)나 금(Au)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효소 도포부(13)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11)의 동일면에서 삽입 인식용 전극(12)과 마주보는 위치, 예를 들어, 농약 감지 장치(10)의 뒤쪽에 인접하게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 위, 그리고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 사이의 본체(11) 위에 끊김 없이 도포되어 있다.
본 예에서, 효소 도포부(13)는 사각형 형상으로 도포되어 있지만, 이러한 효소 도포부(13)의 도포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효소 도포부(13)는 농약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효소 도포부(13) 위에는 농약과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효소가 건조 분말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농약이 효소 도포부(13) 위에 도포된 효소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면 전자가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전자의 양은 농약의 양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서, 효소 도포부(13)에 도포되는 효소는 유기인계나 카바메이트(carbamate)계와 반응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단백질 물질일 수 있다.
효소 도포부(13)의 동작에 의해 전자가 생성되면,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에 해당하는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면, 생성된 전자는 제1 전극(14a)에서 제2 전극(14b)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전자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은 효소 도포부(13)에서 생성된 전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 사이에도 효소 도포부(13)가 위치하여 제1 전극(14a) 위에 도포된 효소 도포부(13)의 일부와 제2 전극(14b) 위에 도포된 효소 도포부(13)의 일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 사이에도 전자의 경로가 형성된다.
전원 공급부(100)는 농약 감지부(10)의 삽입인식용 전극(12)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부(100)는 도시되지 않은 단자와 삽입인식용 전극(12)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신호 측정부(200)와 신호 처리부(300)의 동작에 필요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신호 측정부(200)는 농약 감지부(10)가 잔류 농약 검출 장치의 본체로 삽입되면 농약 감지부(10)의 제1 전극(14a) 및 제2 전극(14b)과 연결되는 전류 측정부(210), 전류 측정부(210)에 연결된 전류-전압 변환부(220), 그리고 전류-전압 변환부(220)와 연결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를 구비한다.
이러한 농약 감지부(10)의 삽입 동작을 위해 잔류 농약 검출 장치의 본체에는 신호 측정부(200)의 잔류 측정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농약 감지부(10)의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전류 측정부(210)는 농약 감지부(10)의 삽입에 의해 제1 전극(14a) 및 제2 전극(14b)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에 의한 이동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류의 양을 측정한다.
전류-전압 변환부(220)는 전류 측정부(210)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해당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전압의 크기는 전류의 양에 따라 정해진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는 전류-전압 변환부(220)를 통해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부(300)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신호 측정부(300)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310), 제어부(310)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320), 그리고 제어부(310)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330)를 구비한다.
제어부(31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에서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 형태의 전압을 인가받아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검출된 농약의 양을 측정하다.
저장부(320)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따라서, 제어부(310)에 의해 판정된 농약의 양을 저장부(320)에 저장된다.
통신부(340)는 유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외부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2)과 유선을 통해 제어부(310)에 의해 판정된 농약의 양에 대한 데이터는 농약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
따라서, 유선 통신부는 다른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USB 포트(USB port)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통신부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테블릿(smart tablet)과 같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개인 단말기로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입력부(21), 입력부(21)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22), 제어부(22)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23), 제어부(22)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24), 그리고 제어부(22)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25)를 구비한다.
입력부(11)는 사용자 단말(2)의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와 명령어 등을 입력하는 장치이다.
제어부(22)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1)로부터 농약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에 의해 측정된 농약의 양을 판정하고, 판정된 농약의 양을 표시부(25)로 출력한다.
저장부(23)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의 저장부(330)와 같은 저장 매체로서, 사용자 단말(2)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한 데이터 그리고 잔류 농약 검출 장치(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통신부(24)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잔류 농약검출 장치(11)의 통신부(340)와 동일하게 유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25)는 제어부(22)의 제어 동작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표시부(25)는 제어부(22)의 제어 동작에 의해 잔류 농약 측정 장치(1)에서 측정된 농약의 양을 표시한다.
본 예에서, 잔류 농약 측정 장치(1)와 사용자 단말(2) 간의 통신 가능한 연결을 위하여, 잔류 농약 측정 장치(1)에는 사용자 단말(2)의 통신 포트(예, USB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connector)(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여, 커넥터가 통신 포트에 삽입되면, 두 통신부(330, 24)를 통한 유선 통신 방식으로 잔류 농약 측정 장치(1)와 사용자 단말(2) 간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잔류 농약 측정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원하는 작물에 존재하는 잔류 농약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는 알코올(alcohol)과 같은 용매를 적신 손이나 면봉을 이용해 원하는 작물에 존재하는 농약을 약을 손이나 면봉을 이용해 채취한 후, 효소 도포부(13) 위에 채취한 농약을 묻힌다.
이때, 농약 성분을 좀더 잘 추출할 수 있게 용매 역할을 하는 알코올을 이용할 경우, 좀더 많은 양의 농약이 채취될 수 있지만,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야채나 과일 등의 농산물의 표면에 남아있는 농약의 채취가 용이할 경우는 위에 기재한 것처럼 면봉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지만, 곡류, 과일의 내부 또는 토양의 경우에는 알코올에 원하는 시료를 일정시간 동안 담가 놓은 후, 알코올을 면봉 등으로 채취한 후 효소 도포부(13) 위에 도포함으로써, 잔류 농약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효소 도포부(13) 위에 묻혀진 채취된 농약은 효소 도포부(13)의 효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해당 양의 전자를 생성한다.
이때, 효소 도포부(13) 위에 존재하는 농약의 양이 많을수록 효소 도포부(13)에서 생성되는 전자의 양은 증가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농약 감지부(10)를 전원 공급부(100), 신호 측정부(200) 및 신호 처리부(300)가 내장된 잔류농약 검출 장치의 본체 속에 삽입한다.
이로 인해, 농약 감지부(10)의 삽입 인식용 전극(12)은 전원 공급부(100)와 전원 공급부(100)과 연결된 단자(도시되지 않음)과 접하게 되고, 이러한 전극(12)과 단자간의 접촉 동작은 스위칭 동작으로 작용한다.
또한, 제1 전극(14a)의 일부와 제2 전극(14)의 일부 역시 잔류농약 검출 장치의 본체속으로 삽입되어 전류 측정부(210)의 해당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농약 감지부(10)의 인식용 전극(12)이 전원 공급부(100)에 삽입됨에 따라 전원 공급부(100)로는 인식용 전극(12)의 삽입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도시하지 않음)가 정해진 단자로 입력되어, 전원 공급부(100)는 해당 단자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가 삽입 상태일 경우 신호 측정부(200)와 신호 처리부(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전원 공급부(100)는 농약 감지부(10)가 정상적으로 전원 공급부(100)로 삽입될 경우에만, 신호 측정부(200)와 신호 처리부(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00)의 동작에 의해 전원이 생성되어 신호 측정부(200)와 신호 처리부(300)로 생성된 전원이 인가되면, 신호 측정부(200)와 신호 처리부(300)의 동작이 시작된다.
따라서, 전원 공급부(100)은 전류 측정부(210)에 해당 크기의 전원을 공급하고, 이로 인해, 전류 측정부(210)는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에 각각 연결된 단자에 서로 극성이 반대인 전원을 인가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본 예에서, 제1 전극(14a)에는 (-)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며 제2 전극(14b)에는 (+)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인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효소 도포부(13)에서 생성된 전자는 제1 전극(14a)과 제2 전극(14b)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이용하여 이동하고 되고, 이러한 전자 이동에 따라 전류계로 기능하는 전류 측정부(210)는 전자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한 후, 측정된 전류의 양을 전류-전압 변환부(220)로 출력한다.
전류-전압 변환부(220)는 전류 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전류를 해당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로 출력한다. 이때, 전압의 크기는 전류의 양에 비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에 의해 전압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300)로 인가된다.
도 3과 같이, 신호 처리부(300의 제어부(310)는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을 시작한다(S10).
따라서,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310)는 신호 측정부(200)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30)로부터 제어부(310)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10)는 입력된 신호(즉, 전압)의 크기를 판정한다(S12).
다음, 동작 제어부(310)는 판정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부(330)로부터 판독하여,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농약의 양을 판정한다(S13). 이미 신호 처리부(300)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농약의 양이 정해져 있는 테이블(table)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입력된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전압의 크기에 해당하는 농약의 양을 측정한다.
다음, 제어부(310)는 측정된 농약의 양에 해당하는 농약 측정 데이터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S14).
이때, 농약 측정 데이터가 저장부(330)에 저장될 때 농약 측정 데이터의 저장 일시, 데이터 크기 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이처럼, 해당 농산물에 대한 농약 측정 데이터를 저장부(3200에 저장한 후,제어부(310)는 저장된 농약 측정 데이터를 통신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 이때, 농약 측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도 함께 사용자 단말(2)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의 통신부(330)와 사용자 단말(2)의 통신부(24)는 각 해당 통신 포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와 사용자 단말(2)은 서로 유선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잔류 농약 검출 장치(1)로부터 사용자 단말(2)와 농약 측정 데이터와 그에 관련된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면, 도 4를 참고로 하여 사용자 단말(2)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고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 단말(2)의 제어부(22)는 통신부(2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1)로부터 농약 측정 데이터 및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는지 판단한다(S21).
잔류 농약 검출 장치(1)로부터 농약 측정 데이터와 데이터 정보가 전송된 상태로 판단되면(S21), 입력된 데이터 농약 측정 데이터를 표시부(25)로 출력한다(S22).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를 통해 해당 농작물에 대한 잔류 농약이 양의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에 표시부를 장착하는 대신 필수품인 휴대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2)에 장착된 표시부(25)를 통해 측정 결과를 확인하므로,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또한, 제조 원가가 비싼 표시부의 설치를 생략하므로 잔류 농약 검출 장치(1)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22)는 전송된 농약 측정 데이터와 데이터 정보를 저장부(23)에 저장하여, 때와 장소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원할 경우 측정된 농약의 양을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2)의 표시부(25)를 통해 측정된 농약 측정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다양한 형태로 측정된 농약 측정 데이터를 표시부(25)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잔류 농약 검출 장치 10: 농약 감지 장치
200: 신호 측정부 300: 신호 처리부
2: 사용자 단말 22, 310: 제어부
23, 320: 저장부 24, 330: 통신부
25: 표시부

Claims (4)

  1. 농약의 양에 따라 해당 양의 전자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농약 감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자의 이동을 이용하여 전류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의 양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측정부,
    상기 신호 측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농약의 양을 판정하여 판정된 농약의 양에 대한 농약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농약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통신부는 USB 통신부인 잔류 농약 검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농약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농약 감지 장치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 위에 위치하고 농약과의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전자를 생성하는 효소가 도포되어 있는 효소 도포부,
    상기 효소 도포부와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제1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1 전극, 그리고
    상기 효소 도포부와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제1 극성과 반대인 제2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2 전극
    을 포함하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
KR1020150021516A 2015-02-12 2015-02-12 잔류 농약 검출 장치 KR20160099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516A KR20160099269A (ko) 2015-02-12 2015-02-12 잔류 농약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516A KR20160099269A (ko) 2015-02-12 2015-02-12 잔류 농약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269A true KR20160099269A (ko) 2016-08-22

Family

ID=5685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516A KR20160099269A (ko) 2015-02-12 2015-02-12 잔류 농약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2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0258A (zh) * 2017-01-17 2017-05-31 深圳市安鑫宝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数码型农药残留速测装置和方法
WO2019053737A1 (en) * 2017-09-15 2019-03-21 Esvaraiya V PESTICIDE RESIDUE EXTRACTOR AND CONCENTRATOR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0258A (zh) * 2017-01-17 2017-05-31 深圳市安鑫宝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数码型农药残留速测装置和方法
CN106770258B (zh) * 2017-01-17 2019-03-19 深圳市安鑫宝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数码型农药残留速测装置和方法
WO2019053737A1 (en) * 2017-09-15 2019-03-21 Esvaraiya V PESTICIDE RESIDUE EXTRACTOR AND CONCENTRATO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5219B2 (ja) 応答が改善された電気化学的分析における静電容量検出
CN108731853B (zh) 基于柔性材料的压力分布测量分析系统及方法
MX2016009127A (es) Biosensores salivales y celdas de biocombustible.
AU730668B2 (en) Handheld bioelectric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CN101002086B (zh) 电化学传感器
WO2010135072A3 (en) Device with proximity detection capability
US9099436B2 (en) Sensor probe for bio-sensing and chemical-sensing applications
AU2016261226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nitrate levels, and method for measuring ion concentration with a standard deviation correction
JP2013520672A (ja) 電気化学的分析における静電容量の検出
KR20150114683A (ko) 잔류농약 검출 장치
WO2005092180A1 (ja) 生体情報計測装置
KR20160099269A (ko) 잔류 농약 검출 장치
CN105849556B (zh) 分析物测试仪测试条检测
CN106461637A (zh) 带有身体部位接近传感器模块的手持式测试仪
JP2015004676A (ja) 配向非依存性メーター
EP3845629A1 (en) Measurement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KR20140001420A (ko) 농약 감지 장치 및 잔류농약 검출 장치
FR2951547B1 (fr) Dispositif capteur de biomasse reference electriquement.
CN102121914B (zh) 电化学供电方法及其装置
Pechlivanidis et al. Towards a smartphone-aided electronic ELISA for real-time electrochemical monitoring
US20230228699A1 (en) Disposable self-sensing signal test strip and electrochemical sensing method thereof
US12000793B2 (en) Disposable self-sensing signal test strip and electrochemical sensing method thereof
KR20180024108A (ko) 피부 수화도 측정 장치
TW202223355A (zh) 拋棄式自感測訊號試片及電化學感測方法
Lombardo et al. A compact electronic interface for electrochemical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