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001A -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001A
KR20160099001A KR1020160097814A KR20160097814A KR20160099001A KR 20160099001 A KR20160099001 A KR 20160099001A KR 1020160097814 A KR1020160097814 A KR 1020160097814A KR 20160097814 A KR20160097814 A KR 20160097814A KR 20160099001 A KR20160099001 A KR 20160099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houlder
auxiliary
spring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찬
Original Assignee
김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찬 filed Critical 김승찬
Priority to KR102016009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001A/ko
Publication of KR2016009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 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아이디어 IP이다. 상기 발명에 앞서서 만보계장치, 맥박측정도구, 등이 발명되었다. 기존 발명과는 달리 용수철과 가력을 하여 현대사회에 발맞추어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과학기술 세부분야는 체육분야이다.
1. 용수철을 변경 사용할 수 있다.
2. 위 공식에 있어서 오차 계산 범위에서 f=kx test 및 통계검증을 하여 운동가능 수준을 체크
3. 상기 공식을 실생활에 접합하여 지속적인 계산값을 공식 1에 넣는다.

Description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omitted}
본 발명은 과학기술 세부분야는 체육분야이다.
상기 발명에 앞서서 만보계장치, 맥박측정도구, 등이 발명되었다.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본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1. 편리성 2. 실용성 3. 지속성 측면에서 검증하고, 이를 실사품에 이용한다.
기존 발명과는 달리 용수철과 가력을 하여 현대사회에 발맞추어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가력 용수철 장치의 예시 도면
1. 용수철을 변경 사용할 수 있다.
2. 위 공식에 있어서 오차 계산 범위에서 f=kx test 및 통계검증을 하여 운동가능 수준을 체크
3. 상기 공식을 실생활에 접합하여 지속적인 계산값을 공식 1에 넣는다.

Claims (1)

  1. 푸쉬업에 있어서 용수철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60097814A 2016-08-01 2016-08-01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KR20160099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814A KR20160099001A (ko) 2016-08-01 2016-08-01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814A KR20160099001A (ko) 2016-08-01 2016-08-01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001A true KR20160099001A (ko) 2016-08-19

Family

ID=5687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814A KR20160099001A (ko) 2016-08-01 2016-08-01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0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8067405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detectar esgotamento de elementos passivantes e equipamento portátil para avaliação no local de teor de fase deletéria
FR3005733B1 (fr) Banc d'essai en fatigue oligocyclique ou en fatigue oligocyclique et polycyclique
KR20160099001A (ko) 어깨 기반 용수철 푸쉬업 보조 또는 가력 운동기구
KR20160099023A (ko) 미세 부력을 이용한 이온측정 링겔기
KR20160003217U (ko) 용수철 의료용 기립기구
KR20160003205U (ko) 시각력 측정을 통한 효율적인 공책 생성기
KR20160098999A (ko) 키와 손목두께를 이용한 새로운 성장 지표
KR20160099000A (ko) 손목두께와 배꼽기준 배 평균 둘레 를 기반으로 한 비만도 측정지표
KR20160003219U (ko) 의료 용어 만국어 단어 번역 종합공식 생성기
KR20160003254U (ko) 생각의 상대성 측정을 위한 알파파기반 뇌파도구
KR20160003231U (ko) 카르만 필터링 투석기
KR20160003208U (ko) 물을 이용한 감성 측정기
KR20160003230U (ko) 두께 변형 용수철을 보합한 인공심장
KR20160003245U (ko) 원뿔 진자의 감쇠로 공기 밀도 측정, 각 공기지표 측정하는 장치
KR20160003250U (ko) 기름 이용한 핵산 합성 전달기 장치
KR20160003229U (ko) 미니 용수철 재감음을 이용한 인공박동장치
KR20160003201U (ko) motion을 일으키는 노래의 집합
KR20160099016A (ko) 스티로폼기반 강물 오염도 측정장비
KR20160099041A (ko) 1 기반 소수점 셋째자리 기반 치료예후 미세평가 알고리즘
KR20160003241U (ko) 이산화탄소 헬륨음압식 배액 장치
KR20160003251U (ko) 저온 기름이용한 온도 측정기
KR20160003225U (ko) 용수철 목발
KR20160003221U (ko) 미래예측 시스템에서 통계와 현실의 오차통계
KR20170007837A (ko) 감성맵과 음성맵의 결합
KR20160099032A (ko) 습도와 상대습도의 곱을 이용한 새로운 불쾌지수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