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854A -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854A
KR20160098854A KR1020150021000A KR20150021000A KR20160098854A KR 20160098854 A KR20160098854 A KR 20160098854A KR 1020150021000 A KR1020150021000 A KR 1020150021000A KR 20150021000 A KR20150021000 A KR 20150021000A KR 20160098854 A KR20160098854 A KR 2016009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ode
mobile device
pins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854A/ko
Publication of KR2016009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가지는 출력부,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검출부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에 해당하는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제공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MOBILE DEVICE FOR PROVIDING MULTI-MOD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은 TV(100) 및 AV 전송 장치(102)를 포함한다.
TV(100)의 입력부는 HDMI 인터페이스 또는 MHL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동시에 HDMI 인터페이스와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입력부를 가질 수도 있다. AV 전송 장치(102)의 출력부(120)는 일반적으로 HDMI 인터페이스 또는 MHL 인터페이스 중 하나만을 지원한다.
AV 전송 장치(102)의 출력부(120)가 HDMI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경우 컨텐츠는 AV 전송 장치(102)의 인터페이스와 TV(1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되나, AC 전원은 USB 포트(122)를 통하여 AV 전송 장치(102)로 공급된다. 다만, TV(100)와 AV 전송 장치(102)가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AV 전송 장치(102)의 출력부(120)가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경우 전원이 TV(100)로부터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AV 전송 장치(102)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TV(100)가 지원하는 모드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충전을 위해서는 항상 벽에 있는 AC 전원을 USB 포트(122)를 통하여 공급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AV 전송 장치(102)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또한, AV 전송 장치(102)가 하나의 모드만을 지원하므로, 컨텐츠 송수신 및 전원 공급 방법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00034호 (공개일 : 2013년 1월 2일)
본 발명은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컨텐츠 송수신 및 전원 공급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소자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가지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검출부;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소의 지원 모드에 해당하는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제공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소자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는 HDM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핀들; 및 상기 핀들을 통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전송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핀들 중 일부가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컨텐츠부는 HDMI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 또는 MHL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를 상기 핀들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전송한다.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소자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는 복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출력핀들; 및 USB 포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로의 전원 공급 방법이 달라진다.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소자와 유선으로 연결된 모바일 기기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지원 모드에 따라 전원 공급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HDMI 인터페이스, MHL 인터페이스, DP 인터페이스 및 myDP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2개를 지원하고, 전원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공급되거나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다중 모드를 지원하므로, 컨텐츠 송수신 및 전원 공급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가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므로, 감지 결과에 따라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게다가, 상기 모바일 기기가 HDMI 핀들 중 일부를 MHL 인터페이스를 위해 사용하므로, 핀들의 활용도 또한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을 동시에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안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소자, 예를 들어 TV 또는 모니터 등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기기, 젠더, 동글 등일 수 있으며, HDMI 및 MHL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는 HDMI 인터페이스 또는 MHL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고해상도의 영상 및 음향을 디스플레이 소자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등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소자에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영상 및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제공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지원하는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적절한 모드로 영상 및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제공하거나 전원 제공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HDMI, MHL 뿐만 아니라 DP(DisplayPort), myDP(mobile DP) 등의 다른 모드들도 지원할 수 있다.
HDMI는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이며, 비압축 방식이므로 디코더 칩이나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다. MHL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기술로서 컨텐츠 송수신뿐만 아니라 충전이 가능하다.
DP는 디지털 영상 및 디지털 음성을 하나의 케이블로 출력할 수 있으며, 주로 PC용 영상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myDP는 1080P 풀HD 해상도, 24비트 색상 및 60㎐ 기준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3D 영상의 출력도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 출력 외에도 1Mbps 사이드 밴드 채널이 제공되어 멀티 터치, 키보드, 마우스, 리모컨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영상 및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약어 A/V를 사용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가 HDMI 및 MHL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202)는 다중 모드, 예를 들어 HDMI 모드 및 MHL 모드를 지원하며, 디스플레이 소자(200)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202)와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202)는 HDMI 모드 및 MHL 모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마이크로 커넥터 기기, 젠더 또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으며, 출력부(212) 및 USB 포트(214)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입력부(210)에 연결되며, HDMI 모드를 위한 HDMI 인터페이스 및 MHL 모드를 위한 MHL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들은 포트들(Ports)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소자(200)는 HDMI 모드 및 MHL 모드 중 하나만 지원하거나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가 제조사별로 알 필요가 있으나, 현재 지원 모드에 대한 정보가 모바일 기기(202)로 제공되지 않는다. 즉,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알 수가 없으며, 그 결과 디스플레이 소자(200)에 연결되었을 때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202)에 기설정된 메뉴얼에 따라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결정하므로,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최적화할 수 없고 사용자도 모바일 기기(202)를 사용하기가 불편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지원하는 모드를 감지하는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하여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2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들 사이의 저항을 감지하는 방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출력부(212)가 MHL 모드를 지원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컨텐츠를 출력부(2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이 출력부(2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2)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MHL 기술은 표준에 의해 정하여져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212)는 표준에 의해 정해진 HDML 핀들 중 일부를 MHL 핀들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출력부(212)는 특정 세트의 핀들로 HDML 모드와 MHL 모드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USB 포트(214)는 전원이 공급되는 통로일 수도 있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USB 포트(214)는 전원이 공급되는 통로로 가정하겠다. 한편, 도 2에는 하나의 USB 포트(214)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USB 포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202)는 HDMI 모드 및 MHL 모드 등과 같이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모드에 따라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최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202)가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202)는 감지 결과에 따라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종래에는, 커넥터가 하나의 모드만을 지원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와 호환되는 커넥터를 구입하여야 했으며 충전을 위하여 커넥터를 AC 전원에 항상 연결하여야만 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상당히 불편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기기(202)가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여 최적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고도 모바일 기기(202)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202)가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충전을 위하여 모바일 기기(202)를 AC 전원에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202)는 구글 크롬캐스트(Chromecast), 아마존의 파이어 TV 스틱(fire TV stick), 에스케이텔레콤의 스마트 미러링(smart mirroring) 등의 미러링 기술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만, 모바일 기기(202)는 HDMI 모드와 MHL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202)를 디스플레이 소자(200)에 연결할 수 있다(S300). 이 때, 모바일 기기(202)와 디스플레이 소자(20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S302).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202)는 자체적으로 내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지원 모드 정보를 요청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처음 연결될 때에만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여 저장하고, 이후에는 저장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와 연결될 때마다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모바일 기기(202)는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304). MHL 모드를 지원하는 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HDMI 모드 등 대부분의 모드는 해당 포트를 통하여 전원 공급이 안되지만, MHL 모드는 해당 포트를 통하여 컨텐츠 전송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면, 전원이 디스플레이 소자(200)로부터 입력부(210) 및 출력부(212)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2)로 제공된다(S306). 이 때, 모바일 기기(202)는 컨텐츠를 출력부(212) 및 입력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전송 및 전원 공급의 경로가 동일하다.
반면에,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면, 전원은 모바일 기기(202)의 USB 포트(214)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202)로 공급된다(S308). 물론, 모바일 기기(202)는 컨텐츠를 출력부(212) 및 입력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전송과 전원 공급의 경로가 다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특정 모드, 예를 들어 MHL 모드를 지원하는 지의 여부를 표시부(4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면 표시부(400)가 파란색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표시부(400)가 파란색 광을 출력하면, 디스플레이 소자(2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2)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전원 케이블을 별도로 연결할 필요가 없음을 인지할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기기(202)가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적색 광으로 출력하면, 사용자는 충전을 위해서는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표시부(40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에 관한 정보를 광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정보를 모바일 기기(202)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소자의 도면 부호를 200으로 하고 모바일 기기의 도면 부호를 202로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소자(200) 및 모바일 기기(202)가 모두 HDMI 모드 및 MHL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즉, 입력부(210) 및 출력부(212)가 모두 HDMI 모드 및 MHL 모드를 지원한다.
이 경우, 컨텐츠(A/V)는 모바일 기기(202)의 출력부(212)와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입력부(210) 사이의 연결 경로(connection path)를 통하여 전송되고, 전원 또한 상기 연결 경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2)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A/V) 및 전원이 상기 연결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기 전,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먼저 감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며,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HDMI 모드는 지원하나 MHL 모드는 지원하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A/V)는 모바일 기기(202)의 출력부(212)와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입력부(210) 사이의 연결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나, 전원은 상기 연결 경로를 통하여는 제공될 수 없으므로 USB 포트(214)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원은 AC 전원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202)로 공급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2)가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지 못함을 표시하면, 사용자는 충전을 위해서는 AC 전원을 이용해야 함을 즉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HDMI 모드만을 지원하므로, 외부 기기(미도시)로부터 모바일 기기(202)로 MHL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가 제공되면 모바일 기기(202)는 제공된 컨텐츠를 HDMI 포맷으로 변환한 후 HDMI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A/V)를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외부 기기로부터 HDMI 포맷의 컨텐츠가 전송되면, 모바일 기기(202)는 포맷 변환없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며,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HDMI 모드는 지원하나 MHL 모드는 지원하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A/V)는 모바일 기기(202)의 출력부(212)와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입력부(210) 사이의 연결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나, 전원은 상기 연결 경로를 통하여는 제공될 수 없으므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공급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USB 포트(700)를 가지고 있으면,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USB 포트(700)와 모바일 기기(202)의 USB 포트(214) 사이에 다른 연결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전원은 상기 다른 연결 경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2)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전원은 AC 전원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202)로 공급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202)의 출력부(212)는 다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12)는 HDMI 모드를 지원하도록 표준에서 결정된 19개의 핀들(특정 세트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HDMI 규격서를 참조하면, HDMI는 세가지 타입을 가진다. 타입 A는 19핀이고 SDTV, EDTV, HDTV 대역폭을 지원하며, 타입 B는 29핀이며 HDMI 1.0 버전에서 정의된 고해상도 규격이다. 타입 C는 미니 HDMI이며 주로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고, 19핀이다.
19핀을 사용하는 HDMI의 핀들의 기능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번호 이름
1 TMDS Data2 +
2 TMDS Data2 Shield
3 TMDS Data2 -
4 TMDS Data1 +
5 TMDS Data1 Shield
6 TMDS Data1 -
7 TMDS Data0 +
8 TMDS Data0 Shield
9 TMDS Data0 -
10 TMDS Clock +
11 TMDS Clock Shield
12 TMDS Clock -
13 CEC
14 Reserved (HDMI 1.0~1.3c), Utility/HEC/ARC (optional,HDMI1.4+)
15 SCL (I2C serial clock for DDC)
16 SDA (I2C serial data for DDC)
17 DDC/CEC/ARC/HEC Ground
18 +5V (max. 0.05 amp)
19 HPD(all versions), HEC/ARC (optional, HDMI 1.4+)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202)는 HDMI 모드를 지원하는 핀들 중 일부, 예를 들어 5개의 핀들을 MHL 모드를 지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HDMI 모드를 지원하는 핀은 19핀일 수도 있고 29핀일 수도 있다. 또한, MHL 모드를 지원하는 핀은 5핀일 수도 있고 11핀일 수도 있다.
물론, HDMI 모드 및 MHL 모드로 핀들을 설명하였지만, DP 모드, my DP 모드 등 다른 모드에서도 위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부(212)가 특정 세트의 핀들로 2개의 모드들을 지원할 때 컨텐츠(A/V) 송수신 방법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겠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출력부(212)의 핀들 중 일부를 컨텐츠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고, 다른 일부를 전원을 공급받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HDMI 포맷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기(202)의 모드 검출부는 출력부(212)의 핀들 중 기설정된 핀들 사이의 저항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2)의 핀들과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핀들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에 따라 모바일 기기(202)의 핀들 사이의 저항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202)는 기지정된 핀들 사이의 저항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 감지 방법을 사용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로부터 지원 모드에 대한 정보를 받지 않아도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2)의 컨텐츠부는 모드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특정 포맷으로 된 컨텐츠(A/V)를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HDMI 모드만을 지원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MHL 포맷으로 된 컨텐츠의 포맷을 HDMI 포맷으로 변경한 후 변경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소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소자(200)가 MHL 모드를 지원하고 USB 포트를 포함하는 경우, 전원은 특정 핀과 USB 포트(214)를 통하여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2)는 전원 선택부를 포함하여 상기 특정 핀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과 USB 포트(214)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202)는 특정 세트의 핀들로 다중 모드들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202)는 제어부(1000), 통신부(1002), 컨텐츠부(1004), 출력 단자부(1006), USB 단자(1008), 모드 검출부(1010) 및 전원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디스플레이 소자(200) 및 외부 기기와의 연결 통로이다.
컨텐츠부(1004)는 컨텐츠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MHL 포맷의 컨텐츠를 HDMI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출력 단자부(1006)는 출력부(212)에 해당하며, 다중 모드들을 지원하는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USB 단자(1008)는 USB 포트(214)에 해당하며, 데이터 및 전원이 공급되는 통로이다.
모드 검출부(1010)는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며, 예를 들어 내부 핀들 사이의 저항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소자(200)의 지원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전원부(1012)는 전원 공급의 동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특정 핀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과 USB 단자(1008)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모바일 기기(202)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 : 디스플레이 소자 202 : 모바일 기기
210 : 입력부 212 : 출력부
214 : USB 포트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소자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가지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검출부;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에 해당하는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제공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모드 검출부는 상기 핀들 중 기지정된 핀들 사이의 저항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HDMI 인터페이스 및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상기 HDM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HDM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핀들 중 일부가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핀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HDMI 인터페이스 및 MHL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지원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HDMI 모드 및 MHL 모드를 모두 지원하면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의 연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USB 포트; 및
    전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가 HDMI 인터페이스 및 MHL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지원할 때 상기 전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과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스마트폰, 젠더 또는 동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검출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모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되,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모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9. 디스플레이 소자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HDM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핀들; 및
    상기 핀들을 통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전송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되,
    상기 핀들 중 일부가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컨텐츠부는 HDMI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 또는 MHL 포맷을 가지는 컨텐츠를 상기 핀들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검출부는 상기 핀들 중 기지정된 핀들 사이의 저항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USB 포트; 및
    전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핀들을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과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2. 디스플레이 소자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출력핀들; 및
    USB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로의 전원 공급 방법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핀들 중 기지정된 핀들 사이의 저항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핀들은 HDMI 인터페이스 및 MHL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제 1 모드를 지원하면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출력핀들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공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제 2 모드를 지원하면 전원이 내부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전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출력핀들을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과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5. 디스플레이 소자와 유선으로 연결된 모바일 기기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지원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지원 모드에 따라 전원 공급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기기는 HDMI 인터페이스, MHL 인터페이스, DP 인터페이스 및 myDP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2개를 지원하고, 전원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공급되거나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구동 방법.




KR1020150021000A 2015-02-11 2015-02-11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98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00A KR20160098854A (ko) 2015-02-11 2015-02-11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00A KR20160098854A (ko) 2015-02-11 2015-02-11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54A true KR20160098854A (ko) 2016-08-19

Family

ID=5687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00A KR20160098854A (ko) 2015-02-11 2015-02-11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8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034A (ko) 2011-06-22 2013-01-02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핸드폰용 도킹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034A (ko) 2011-06-22 2013-01-02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핸드폰용 도킹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0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DMI
US100388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using HDMI
CN101573977B (zh) 发送设备、发送设备的视频信号发送方法、接收设备和接收设备的视频信号接收方法
US8255583B2 (en) Digital interface system to support ethernet and cable connection state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269899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responding to message, and program
US201700063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dmi
CN108293149B (zh) 影像显示装置
US7123248B1 (en) Analog multi-display using digital visual interface
US9955112B2 (en) Digital-image transmission apparatus which performs communication, self-diagnosis, and control
CN103533269A (zh) 发送设备和发送方法
US20080155639A1 (en) Data receiving apparatus
CN101166251A (zh) 显示装置、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702449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hdmi
US20080165291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put through various connectors
US20100020245A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8067024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20170016845A (ko)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162727A1 (en) Signal conversion device,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051179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using HDMI and apparatus therefor
US7990404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switching video signals on a monitor
US20120005381A1 (en)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device having functions of high definition conversion and audio supporting
KR20130099505A (ko) 다중 모니터 출력 해상도 감지장치
CN205490969U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多媒体播放系统
US20100169517A1 (en) Multimedia Switch Circuit and Method
KR20160098854A (ko)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