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764A -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764A
KR20160098764A KR1020150020766A KR20150020766A KR20160098764A KR 20160098764 A KR20160098764 A KR 20160098764A KR 1020150020766 A KR1020150020766 A KR 1020150020766A KR 20150020766 A KR20150020766 A KR 20150020766A KR 20160098764 A KR20160098764 A KR 2016009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transformer
coils
pow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459B1 (ko
Inventor
박종연
김진구
유진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4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H05B33/0806
    • F21Y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구동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은, AC 전원을 인가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DC 전원을 입력받아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정현파를 출력하는 LLC 공진형 인버터; 1차 권선에 인가된 상기 정현파를 기설정된 권선비로 변압하여 2차 권선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그 일단이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일단에 각기 병렬로 연결되되, 각기 정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와, 역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의 타단에 각기 연결된 제1 내지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밸런싱 변압기;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기설정된 기준의 차에 대응하는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궤환 회로; 및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인버터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System for Driving High Efficiency Parallel LED}
본 발명은 LED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다중 LED 열 간의 전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LED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기기는 형광등 및 백열전구를 많이 사용했지만, 조명기기의 적용 분야가 많아짐에 따라 소비전력을 절감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행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LED는 소비전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길고 효율이 높으며,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며,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등 많은 장점이 있어 조명기기의 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이어서 동일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되어도 각 소자별 전기적, 광학적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다중열로 LED를 연결할 경우에도 소자별 편차로 인해 열 간 전류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LED 접합부의 온도편차와 불균일한 광 출력을 야기할 수 있다.
종래의 LED 열간 전류편차를 줄일 수 있는 LED 구동 회로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방식, 스위칭 레귤레이터 방식, 수동 소자와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트랜스포머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밸런싱 변압기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아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이하,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밸런싱 변압기를 이용한 LED 구동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과 같이, 종래의 밸런싱 변압기를 이용한 LED 구동 회로는 하나의 변압기에 두 LED 열이 병렬 연결되어, 두 LED 열 간 전류 편차를 보상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밸런싱 변압기는 이중 LED 열에만 적용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도 6b과 같이, 삼중 LED 열 간의 전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종래의 Y형 밸런싱 변압기를 이용한 LED 구동 회로가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LED 열간의 전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LED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은, AC 전원을 인가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DC 전원을 입력받아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정현파를 출력하는 LLC 공진형 인버터; 1차 권선에 인가된 상기 정현파를 기설정된 권선비로 변압하여 2차 권선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그 일단이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일단에 각기 병렬로 연결되되, 각기 정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와, 역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의 타단에 각기 연결된 제1 내지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밸런싱 변압기;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기설정된 기준의 차에 대응하는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궤환 회로; 및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인버터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으로 복수의 LED 열간의 전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기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다중 LED 열간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과 도 5와 같이 다중 LED 열에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의 전력 효율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출력 단에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사용한 경우의 다중 LED 열의 회로도.
도 6a 및 6b는 종래의 LED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상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은 정류기(210), 역률 보상기(220), 공진형 인버터(240), 인버터 제어기(230), 제1 변압기(T1),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 및 궤환 회로(250)를 포함한다.
정류기(210)는 AC 전원을 인가받아 전파 정류하여 DC 전원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정류기(210)에 인가되는 AC 전원이 주파수 60Hz, 220Vac인 경우, 그 출력은 DC311V일 수 있다. 여기서, 정류기(210)에는 예컨대, 브릿지 다이오드 등의 통상의 전파 정류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역률 보상기(220)는 정류된 DC 전원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보정하여 입력 전원의 역률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역률 보상기(220)가 MC33262 IC를 사용하는 경우, 역률 보상기(220)는 도 2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인버터 제어기(230)는 피드백 경로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공진형 인버터(240)의 두 개의 스위칭 소자를 교대로 스위칭시키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는 그 위상이 서로 반(Half) 주기의 차이가 나는 fs 주파수의 구형파 신호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인버터 제어기(230)로 FSFR2100을 사용하는 경우의 회로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공진형 인버터(240)는 두 개의 스위칭 소자(Q2, Q3), 공진 인덕터(LR) 및 공진 커패시터(CR)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 개의 스위칭 소자가 N 타입 FET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스위칭 소자는 다른 형태의 스위칭 소자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공진형 인버터(240)는 역률 보정된 DC 전원을 입력받아, 인버터 제어기(230)의 제어에 따라 교대로 두 개의 스위칭 소자(Q2, Q3)를 스위칭함에 따라 fs 주파수의 AC 전원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AC 전원의 크기는 스위칭 주파수(fs)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두 개의 스위칭 소자(Q2, Q3)로부터 출력된 구형파 신호는 공진 커패시터(CR)와 공진 인버터(LR)에 의해 정현파로 변환되어 제1 변압기(T1)의 일차 권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변압기(T1)는 하나의 일차 권선을 통해 공진형 인버터(240)에 의해 스위칭된 fs 주파수의 AC 전원을 입력받아, 일차 권선과 이차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변압된 fs 주파수의 AC 전원을 2차 권선으로 전달한다.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에는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이 연결되므로, 변압된 fs 주파수의 AC 전원을 각기 병렬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변압기(T1)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은 전기적으로 절연됨은 물론이다.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은 각기 정방향 LED 열과 역방향 LED 열이 병렬로 연결되되, 그 일단이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각기 밸런싱 변압기(T2)의 제1 내지 제3 코일의 일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정방향 LED 열에는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에 정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가 포함되고, 역방향 LED 열에는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가 포함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서 정방향 LED 열에는 fs 주기의 정현파 양 주기의 신호가 전달되고, 역방향 LED 열에는 정현파 음 주기의 신호가 전달된다. 따라서, 정방향 LED열에는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의 일단으로 전달된 스위칭 주파수 fs의 정방향 정현파 전류(i11, i21, i31)가 흐르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과 역방향으로 연결된 역방향 LED열에는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의 타단과 밸런싱 변압기(T2)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주파수 fs의 역방향 정현파 전류(i12, i22, i32)가 흐른다.
밸런싱 변압기(T2)는 제1 내지 제3 코일이 Y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에 의해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Y형 밸런싱 변압기일 수 있다. Y형 밸런싱 변압기의 이러한 특징은 선행문헌(10-2014-0048117)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밸런싱 변압기(T2)의 제1 내지 제3 코일의 타단은 상호 연결되어,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은 밸런싱 변압기(T2)에 연결되고,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은 센싱 저항(Rsense)에 연결되어, 밸런싱 변압기(T2)의 낮은 결합도로 인해 발생하는 누설 인덕턴스를 상쇄시킨다.
궤환 회로(250)는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 저항(Rsense)에 의해 검출하고, 센싱 저항(Rsense)에 걸리는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를 확인하고,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공진형 인버터(240)의 스위칭 주파수 fs를 제어함에 따라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걸리는 전류를 일정하게 맞추는 LED 정전류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궤환 회로(250)는 센싱 저항(Rsense), 정류회로(D2, R3, C3), 오차 검출부(OP1), 포토커플러(PD)를 포함한다. 이하, 궤환 회로(250)의 각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싱 저항(Rsense)은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에 연결되어, 누설 인덕턴스가 상쇄된 fs 주파수의 정현파 전압인 센싱 전압을 감지한다. 여기서, 센싱 저항(Rsense)은 오차율이 매우 낮은 0.1Ω이하의 저항치를 가지는 저항일 수 있다.
정류회로(D2, R3, C3)는 센싱 저항(Rsense)에 걸리는 fs 정현파 전원을 정류하여 정형파 전원의 크기에 대응하는 DC 전압인 검출전압을 출력한다.
오차 검출부(OP1)는 예컨대, 오피앰프로서, 입력되는 검출전압(VDI)과 기준전압(Vref)을 차에 대응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오차 검출부(OP1)는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오차 검출부(OP1)가 검출전압(VDI)과 기준전압(Vref)의 차를 증폭하는 차 전압 증폭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토커플러(PD)는 오차 검출부(OP1)의 출력전압을 제1 변압기(T1)의 1차 측에 있는 인버터 제어기(230)로 전달한다. 여기서, 포토커플러(PD)는 오차 검출부(OP1)의 출력전압을 절연하여 제1 변압기(T1)의 1차측에 있는 인버터 제어기(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인버터 제어기(230)의 입력에는 포토커플러(PD)의 출력이 전달될 수 있다. 포토커플러(PD) 내 LED에 인가되는 전원은 제1 변압기(T1)의 2차측 전원으로부터 재변환된 소정 레벨(예컨대, 15V)의 DC 전원일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다중 LED 열에 대한 정전류 제어 과정을 종합해 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다중 LED 열간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 내지 제3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면, 센싱 저항(Rsense)에 걸리는 센싱 전압(Vsense)은 커져 센싱 전압의 DC 값인 검출전압(VDI)은 커진다.
그러다가, 검출전압(VDI)이 기준전압보다 크면(S310의 예), 즉,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또는,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가 0보다 크면), 오차 검출기(OP1)의 출력전압(VDO)은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작아진다(S320).
그러면, 포토커플러(PD)의 출력전류는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커지고, 인버터 제어기(230)에 입력되는 스위칭주파수 제어신호의 크기는 커진다(S330).
그에 따라, 공진형 인버터(240)의 스위칭 주파수 fs가 커지고, 스위칭 주파수가 커지면,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줄어든다(S340). 이때,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흐르는 전류이 줄어들면, 센싱 전압()에 걸리는 센싱 전압(Vsense)은 작아지고 센싱 전압의 DC 값인 검출전압(VDI) 또한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검출전압(VDI)이 기준전압보다 작으면(S350), 즉,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전류가 흐를 경우(또는,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가 0보다 작으면), 오차 검출기(OP1)의 출력전압은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커진다(S360).
그러면, 포토커플러(PD)의 입력전압도 작아지고, 그에 따라 포토커플러(PD)의 출력전압은 작아진다(S370).
그러면, 스위칭주파수 제어신호는 작아져, 스위칭 주파수 fs는 작아지고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LED1~LED3)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한다(S380)
만약, 검출전압과 기준전압이 동일하면, 스위칭 주파수 fs를 동일하게 유지한다(S390). 이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속적으로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함에 따라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런싱 변압기와 다중 LED 열에 대한 정전류 제어 회로에 의해 LED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LLC 공진 인버터를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함에 따라 제1 변압기와 밸런싱 변압기를 포함하는 자성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더불어,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LED 열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출력단에 정류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출력 단에 정류 다이오드의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른 효율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과 도 5와 같이 다중 LED 열에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의 전력 효율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 시스템의 변형 예로서, LED 열에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사용한 경우의 다중 LED 열의 주변 회로도이다.
도 5에서, 세 개의 다중 LED 열(e~f, e~g, e~h)에는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의 일단에서 전달되어 정방향 다이오드를 통과한 정방향 전류와 제1 변압기(T1)의 2차 권선의 타단에서 전달되어 역방향 다이오드를 통과한 역방향 전류가 모두 흐른다.
도 4와 같이, 출력 전력(Output Power)에 크게 영향 없이 도 1과 같은 구조로 다중 LED 열을 구동할 경우, 정류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효율(Efficiency)이 8~9%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LED 열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출력단에 정류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AC 전원을 인가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DC 전원을 입력받아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는 정현파를 출력하는 LLC 공진형 인버터;
    1차 권선에 인가된 상기 정현파를 기설정된 권선비로 변압하여 2차 권선으로 전달하는 제1 변압기;
    그 일단이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일단에 각기 병렬로 연결되되, 각기 정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와, 역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
    그 일단이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의 타단에 각기 연결된 제1 내지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밸런싱 변압기;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기설정된 기준의 차에 대응하는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궤환 회로; 및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인버터 제어기
    를 포함하는 LED 구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환 회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싱 저항;
    상기 센싱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상기 정류 회로에 의해 정류된 검출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의 차를 반전 증폭하는 오차 검출기; 및
    상기 오차 검출기의 출력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
    를 포함하는 LED 구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변압기의 타단과 상기 센싱 저항 사이에는,
    상기 밸런싱 변압기의 누설 리액턴스를 상쇄하는 커패시터가 더 포함되는 것인 LED 구동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검출기는, 상기 검출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차가 0보다 크면, 상기 검출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그 크기가 감소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포토커플러의 입력과 출력은 상기 오차 검출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증가하며,
    상기 인버터 제어기는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인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인 LED 구동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검출기는, 상기 검출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차가 0보다 작으면, 상기 검출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그 크기가 증가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포토커플러의 입력과 출력은 상기 오차 검출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감소하며,
    상기 인버터 제어기는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신호인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감소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인 LED 구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변압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이 Y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의 리액턴스 성분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흐르는 전류를 균일하게 맞추는 것인 LED 구동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다중 LED 열에 각기 포함된,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과 상기 정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에는,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일단으로 전달된 상기 스위칭 주파수의 정방향 정현파 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과 상기 역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LED에는,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의 타단과 상기 밸런싱 변압기를 통해 전달된 상기 스위칭 주파수의 역방향 정현파 전류가 흐르는 것인 LED 구동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와 상기 공진형 인버터 사이에는,
    상기 DC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는 역률 보상기가 더 포함되는 LED 구동 시스템.
KR1020150020766A 2015-02-11 2015-02-11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 KR10165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66A KR101654459B1 (ko) 2015-02-11 2015-02-11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66A KR101654459B1 (ko) 2015-02-11 2015-02-11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764A true KR20160098764A (ko) 2016-08-19
KR101654459B1 KR101654459B1 (ko) 2016-09-05

Family

ID=5687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766A KR101654459B1 (ko) 2015-02-11 2015-02-11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4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424A (ja) * 2000-04-28 2001-11-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KR101026392B1 (ko) * 2010-12-21 2011-04-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Led 조명 구동회로 및 그의 led 열간 전류오차 보상 방법
KR101424420B1 (ko) * 2014-04-23 2014-07-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c 초퍼와 밸런싱 변압기를 이용한 led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424A (ja) * 2000-04-28 2001-11-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KR101026392B1 (ko) * 2010-12-21 2011-04-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Led 조명 구동회로 및 그의 led 열간 전류오차 보상 방법
KR101424420B1 (ko) * 2014-04-23 2014-07-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c 초퍼와 밸런싱 변압기를 이용한 led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459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2497B (zh) 可調光型電源供應器
JP5067443B2 (ja) Led点灯装置
US9614450B2 (en) Control voltage adjusting circuit, feedback signal generating circuit, and control circuit including the same
US9572224B2 (en) Bleeder protection using thermal foldback
US8222825B2 (en) Dimmer for a light emitting device
EP2770623B1 (en) Resonant converter
TWI493859B (zh) 轉換器與降低節點電壓的方法
US9787195B1 (en) Primary current sensing method for isolated LED driver
US106601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source comprising voltage feedback circuit and current feedback circuit
TWI466594B (zh) 發光二極體電路及方法
KR20150098430A (ko) 전원 공급 장치
TWI701442B (zh) 一次側恆定電流調節
US9357602B1 (en) LED dimming and driving method and circuit using the same
TW201434349A (zh) 發光二極體驅動器
US7282871B1 (en) Backlight inverter for inductively detecting current
US9425699B2 (en) Multi-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enhancing a power imbalance between multiple outputs
US8912732B2 (en) Current sensing for LED drivers
US20150137707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KR101654459B1 (ko) 고효율 led 구동 시스템
KR101752444B1 (ko) 교류 발광 장치를 위한 조광 장치
KR101339621B1 (ko) 다중출력 직류/직류 컨버터
JP2016093063A (ja) インバータ装置
KR20120003350A (ko) Led 차동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