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758A - Rotating accessory - Google Patents

Rotating access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758A
KR20160098758A KR1020150020749A KR20150020749A KR20160098758A KR 20160098758 A KR20160098758 A KR 20160098758A KR 1020150020749 A KR1020150020749 A KR 1020150020749A KR 20150020749 A KR20150020749 A KR 20150020749A KR 20160098758 A KR20160098758 A KR 20160098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rnamental
airbag
mini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8744B1 (en
Inventor
최동권
Original Assignee
최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권 filed Critical 최동권
Priority to KR102015002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744B1/en
Priority to CN201520314255.5U priority patent/CN204820870U/en
Publication of KR2016009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namental pie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otatable ornamental piece in which a main body of the ornamental piece is rotatable and includes a mounting unit attachable to any curved or flat surface. The rotatable ornamental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of the ornamental piece; a hinge axis which is joined by a hinge with the main body, such that the hinge axis and the main body are freely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 mounting unit including a curved contact board disposed on one end of the hinge axis, wherein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al piece is made freely rotatable by a small bearing and a hinge axis to thus have a unique display effect compared with static ornamental pieces, and the mounting unit can elastically shift shape and thereby allowing the rotatable ornamental piece to be removably attached to any site regardless of the surface shape. Moreover, since the mounting unit can be intimate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site, only a minimal amount of an adhesive is required to achieve complete adhesion, and since a minimal amount of the adhesive is used, the ornament piece can be easily removed from and reattached to any site preferred by the user.

Description

회전 장신구{Rotating accessory}Rotating accessory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신구 본체가 회전 가능하며, 곡면과 평면에 모두 부착 가능한 안착부를 갖는 회전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ting accessory having an accessory part rotatably mounted on a curved surface and a flat surface.

많은 사람들이 멋을 내고 개성 있는 연출을 위하여 몸이나 의복 등에 장신구를 부착한다. 특히 최근에는 남자도 여자 못지않게 개성 있는 연출을 위하여 각종 장신구를 부착하는 추세이다.Many people attach their ornaments to body and clothing for stylish and individualistic production. Especially recently, men are attaching various kinds of ornaments in order to produce personality as well as women.

장신구는 몸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부착되는 경우도 있지만, 장신구의 효과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부착 위치에서 흔들리도록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In some cases, the ornaments are attached to the body so that they do not move, but in many cases, the ornaments are made to shake at the attachment position to emphasize the effect of the ornaments.

그러나 장신구는 부착 위치에서 단지 진자 운동 방식으로 흔들리기만 할 뿐 회전되는 장신구는 찾아볼 수 없다.However, the ornaments can not be found in the attachment position simply by shaking the pendulum movement.

장신구가 회전 가능하다면 보다 다채로운 개성의 연출이 가능하며, 특히 반짝이는 보석이나 유리류의 물건이 부착되면 환상적인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If the ornaments are rotatable, a more colorful personality can be produced. Especially, if a jewel or glitter object is attached, a fantastic atmosphere can be produced.

또한 장신구는 모두 고정될 부착 위치가 정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부착 위치의 형상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찾아보기 힘들다.In addition, most of the ornaments are fixed positions to be fixed, and it is hard to find ornaments that can be attached freel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mounting position.

특히 회전 가능하면서도 어느 위치든지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있다면 외출할 때 멋을 낼 수 있는 장식효과는 종래에 비하여 훨씬 다채로워 질 수 있을 것이다.Especially, if you have an accessory that is rotatable and can be attached to any position freely, the decoration effect that can be fashioned when going out can be much more diverse than the conventional one.

이와 유사한 문제의식으로 개시된 종래 기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제10-1010602호(등록일자: 2011. 01. 18)에 개시된 '진동 장신구'를 들 수 있다.The conventional art disclosed as a similar problem consciousness includes a 'vibrating ornament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010602 (registered on January 18, 2011) shown in FIG. 1.

상기 종래기술은 신체의 특정 부위가 관통 되면서 삽입 부착되고, 신체를 치장하는 목적과 배터리에 의한 진동으로 상대를 자극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진동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구멍에 조립되거나 또는 연결수단으로서의 커넥팅멤버(3)를 포함하고, 커넥팅멤버(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터리(9)와 진동자(7)가 직접 접속되게 나란히 배치되고, 배터리(9)가 수납되는 배터리하우징(13)과 진동자(7)가 수납되는 진동자하우징(11)이 나선 회전 방식으로 조립되어 조임 회전 및 풀림 회전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 및 단락이 실현되는 전기연결수단(5a,19,9a)이 구성되고, 진동자하우징(11)에 커넥팅멤버(3)가 연결되고, 커넥팅멤버(3)의 다른쪽 단부에 리테이너(5)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relates to a vibration ornamental used for inserting a specific part of a body while penetrating the body and for stimulating the other by the purpose of decorating the body and the vibration of the battery, A battery housing 13 in which the battery 9 and the vibrator 7 are disposed so as to directly connect the battery 9 and the vibrator 7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member 3, 19 and 9a in which the oscillator housing 11 in which the oscillator housing 11 accommodating the oscillator housing 11 and the oscillator housing 11 are housed is assembled in a helical rotation manner to realize electrical connection and short circuit by tightening rotation and loosening rotation, And the retainer 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 The retainer 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고유의 장식효과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상대편인 파트너에게 성적 호기심과 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진동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과 차단이 용이하고, 배터리 단락이 확실하여 접촉 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t is possible to induce sexual curiosity and stimulation not only of a unique decoration effect but also to a partner who is a partner of the wearer, to easily supply power and cut off for vibration operation, .

다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진동 장신구는 착용 부위가 피어싱 부위로 고정되어 자유로운 착용 위치 선택이 불가능하고, 진동만 가능하여 회전이 되지 못하여 다채로운 연출이 이루어지기 힘든 단점이 있다.However, the vibration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impossible to freely select the wearing position because the wearing part is fixed to the piercing part, and it is not possible to rotate due to vibration only.

등록특허공보 제10-1010602호(등록일자: 2011. 01. 18)Patent Registration No. 10-1010602 (Registration date: 2011. 01. 18)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악세사리가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부착 부위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한편 용이하게 회전을 유발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회전에 의한 색다른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극대화 될 수 있는 회전 장신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rotating an accessory while freely selecting an attachment sit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otating ornaments that can maximize the advantage of directing.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장신구는 기본적으로, 장신구 본체와, 장신구 본체와 서로 자유 회전 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탄성 재질인 만곡 형상의 접촉판이 구비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rotary accessory comprising: a main body of an ornamental main body; and a seating portion hinged to free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이때 상기 안착부는 힌지축과, 힌지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접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신구 본체의 중심에 베어링이 배치되어, 베어링에 상기 힌지축이 결합됨으로써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eat portion includes a hinge shaft and a contact plat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nge shaft, and a bearing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ornament body, and the hinge shaft is engaged with the bearing to enable rotation.

그리고 상기 접촉판의 만곡면은 볼록하거나 또는 평평한 사물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접착제로 고정됨으로써 접착제로 고정되는 면에서 소량의 접착제로도 최대한 견고한 접착이 가능하게 되며, 접착제가 소량 사용됨으로써 탈착도 용이하게 된다.The curved surface of the contact plate is firmly adhered to the surface of a convex or flat object and is fixed with an adhesive so that the adhesive can be firmly adher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dhesive on the surface fixed with the adhesive. do.

한편, 본 발명에서 원활한 회전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장신구 본체는 장신구의 탈부착 및 회전이 좀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본체 중앙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a first embodiment of means for enabling smooth ro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rota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장신구 본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에서 돌출되어 장신구 본체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암과, 회전암 끝단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여, 회전암을 간단하게 타격하는 동작만으로도 장시간의 회전이 보장되어 회전 연출이 극대화 될 수 있다.Further, the ornamental main body further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rotary arm projecting from the handle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al piece, and a weight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ry arm,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ry arm is ensu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can be maximized.

그리고 원활한 회전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착부는 회전축에서 접촉판의 반대측 끝단에 구비되는 미니 에어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 본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게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만곡형상의 칸막이를 더 포함하고, 장신구 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상기 칸막이로 구획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미니 에어백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는 장신구 본체 내주면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형성됨으로써 미니 에어백을 압축시킴으로써 미니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칸막이의 만곡 형상에 충돌되어 장신구 본체가 미니 에어백의 압축 동작 만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means for enabling smooth rotation, the sea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mini airbag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contact plate at the rotation axis, and the ornamental body is arranged spirally symmetrically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n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a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al main body, and the air outlet formed in the mini airbag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al main body, By compressing the airbag, the air inside the mini-airbag collides with the curved shape of the partition, so that the ornamental body can be rotated only by th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mini-airbag.

이 경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니 에어백의 소정 부위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일방향 밸브가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모두 장신구 본체의 회전을 위해 사용되며 미니 에어백 내부로의 공기 보충도 원활하게 될 수 있다.In this case, more preferably, the mini airbag is provided with an air intake port and a one-way valve disposed in the air intake port, so that all of the discharged air is used for rot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accessory, .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소형 베어링과 힌지축에 의하여 장신구 본체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지된 장신구와 다른 색다른 효과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First, since the ornamental body can be rotated smoothly by the small bearing and the hinge shaf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ifferent effect from the stopped ornaments.

둘째,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부착 지점의 표면 형상에 제한 없이 회전 장신구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며, 안착부와 부착 지점 간의 밀착이 가능하여 최소한의 접착제만으로도 견고한 접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접착제가 최소한의 양만 사용되므로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탈부착 될 수 있다.Secondly, the elastically deformable seat portion allows the rotating ornaments to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limitation to the surface shape of the attachment point,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attachment point is possible, so that the adhesive is firmly secured even with a minimum amount of adhesive, Since only a minimal amount is used,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can be freely attached and detached at a desired position.

셋째, 간단한 동작으로도 장신구 본체의 회전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회전 도움 수단이 구비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의 잇점이 극대화 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dvantage of the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by providing a rotation assist means capable of long-lasting rotation of the ornamental body even with simple operation.

도 1은 종래기술인 진동 장신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기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및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장신구가 안착되는 부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기본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정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b는 6a의 실시예에서 장신구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c는 6a의 실시예에서 회전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도 6a 내지 6c 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단방향 밸브의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prior art vibrating accessory,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ic embodiment of Fig. 2, and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portion where the rotat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ated;
Figure 4 is a front section view of the basic embodiment of Figure 2,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5A,
6A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al article in the embodiment 6a,
Fig. 6C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ional operation principle in the embodiment of 6a,
FIG. 7 is a conceptual view of a one-way valve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S. 6A to 6C;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기본 실시예와 두 개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comprised of one basic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wo modified embodiments.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2를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2 to 5 show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and FIG. 5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2 .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FIGS. 5A and 5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장신구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5a의 정단면도를 작동 원리로 표현한 정단면도이다.
Fig. 5A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ain body of an ornamental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C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Fig.

본 발명의 이하 설명은 본 발명에서 장신구 본체(10)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원리와 표면 형상에 제한 없이 부착 가능한 접촉판(31)을 가지는 안착부(30)에 관한 기본 실시예와, 장신구 본체(10)의 회전을 극히 용이하게 유발시키는 수단에 관한 두 가지 실시예로 이루어진다.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a rotatabl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ic embodiment of a mounting part 30 having a contact plate 31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ithout restric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면의 순서와 동일하게 먼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다음으로는 장신구 본체(10)의 회전을 극히 용이하게 유발시키는 두 가지 실시예를 도면 순서대로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followed by two embodiments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0 is extremely easily caused, in the order of the drawings do.

먼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 본체(10)와, 장신구 본체의 중앙에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 내로 삽입되며 조립되는 베어링(20)과, 장신구 본체(10)와 서로 자유 회전 되도록 베어링(20)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31) 및 힌지축(31)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결합되는 탄성 재질인 만곡 형상의 접촉판(31)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30),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상은 기본 실시예의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도면의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s shown in FIGS. 2 to 5,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of an ornamental body, a bearing 20 having an insertion port (not show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insertion port, A hinge shaft 31 hinged to the bearing 20 so as to freely rotate with the main body 10 and a curved contact plate 31 of an elastic material integrally attached to one end of the hinge shaft 31 (Not shown). However, the shapes shown in Figs. 2 to 5 are merely examples of the basic embodiment,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s of the drawings.

기본 실시예에서 힌지축(32)에는 베어링(20)이 체결되며, 장신구 본체(10)는 베어링(20)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힌지축(32)의 일단에는 접촉판(31)이 구비된다. 따라서 안착부(30)는 힌지축(32)과 접촉판(31)으로 이루어진다.In the basic embodiment, the bearing 20 is fastened to the hinge shaft 32, and the ornamental body 1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bearing 20. A contact plate 3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nge shaft 32. Therefore, the seating part 30 is composed of the hinge shaft 32 and the contact plate 31.

따라서 물체에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장신구가 안착될 경우 접촉판(31)과 힌지축(32)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30)는 고정되며 회전되는 것은 힌지축(32)에 체결된 베어링(20)과 장신구 본체(10)가 된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the object, the seating portion 30 including the contact plate 31 and the hinge shaft 32 is fixed, and the bearing is rotated by the bearing 20, which is fastened to the hinge shaft 32 Thereby becoming the main body 10 of the accessory.

접촉판(31)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contact plate 31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S. 2 to 5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접촉판(31)은 장신구 본체(10)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볼록하며 장신구 본체(10)의 반대 방향으로는 만곡되게 형성되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볼록한 형상의 물체에 안착될 수 있으며, 또한 유연한 재질이므로 평면에도 접촉판(31)은 밀착 되면서 안착 가능하다.The contact plate 31 is convex in the direction of the accessory body 10 and cur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ccessory body 10 so that it can be seated on a convex object as shown in FIG. The contact plate 31 can be se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도 3에는 접촉판(31)이 손톱 또는 인조네일(1), 반지(2), 휴대폰(3)에 각각 밀착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도 옷의 단추, 가방 기타 악세사리에 부착될 수 있다.3 shows the contact plate 31 as being able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nail or the artificial nail 1, the ring 2 and the cell phone 3, respectively, but it can also be attached to buttons, bags and other accessories of clothes .

접촉판(31)은 접촉판(31)이 안착되는 물체와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고정 부착된다. 이때 접촉판(31)은 도 3과 같이 안착되는 물체에 넓게 펴지면서 접촉되므로 소요되는 접착제의 양은 최소화될 수 있다.The contact plate 31 is fixedly attached to the object on which the contact plate 31 is seated by an adhesive. 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plate 31 is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eated as shown in FIG. 3 while being widely spread, the amount of adhesive required can be minimized.

특히 접착제는 얇게 도포될수록 접착력은 오히려 강해지므로 접촉판(31)이 안착되는 물체와 전 면적에 걸쳐서 고르게 접촉되는 성질에 따라 접착제는 최소한의 양 만으로도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장신구의 고정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as the adhesive is thinly applied, the adhesive force is rather strong, so that the rotat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with a minimal amount of adhesive according to the property that the contact plate 31 is evenly contacted with the object to which the contact plate 31 is mounted.

이처럼 접착제의 양이 적게 소요되면, 필요에 따라 회전 장신구를 떼어 낼 때에도 접착제 제거를 위한 약품은 극히 소량만 있어도 충분하게 된다.
When the amount of the adhesive is small, it is sufficient that even a small amount of the agent for removing the adhesive can be removed even when the rotating ornaments are removed as needed.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두 가지 변형 실시예 중 첫 번째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modified embodiment among two modifi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는 도 5a와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5A and 5B.

두 번째 실시예는 장신구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41)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기본 실시예와 구별된다.The second embodiment is distinguished from the basic embodiment by having the handle 41 integrally form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accessory.

손잡이(41)는 장신구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장신구 본체(1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된다.The handle 4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rnamental main body 10, so that the ornamental main body 10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main body 10 is rotated.

따라서 손잡이(41)의 작용은 크게 두 가지가 된다. 손잡이(41)는 첫째로는 작은 크기의 회전 장신구를 파지하거나 부착시킬 때 작은 크기로 인하여 손에서 놓치기 쉬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구비되므로, 회전 장신구를 좀 더 손쉽게 다룰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handle 41 is largely two. The handle 41 is provid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point that is easily missed from the hand due to its small size when grasping or attaching a small size rotating ornaments, thereby making it easier to handle the rotating ornaments.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장신구가 원하는 부위에 적절하게 안착되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의 회전 장신구를 정밀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하므로 손잡이(41)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rotat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placed on a desired site, the rotating ornaments of a small size can be precisely handled, so that the handles 41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다만 손잡이(41)로 인하여 회전 장신구의 미적인 감각에 손상이 있으면 안되므로 손잡이(41)의 크기는 최소화 되어야 하고, 손잡이(41) 자체에도 장식품이 결합되어 장식되거나 또는 손잡이(41) 형상이 미적인 감각을 살릴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knob 41 must be minimized and the knob 41 may be decorated with ornaments or the shape of the knob 41 may be aesthetically pleasing because the knob 41 may not damage the aesthetic sense of the rotating ornaments. Can be made to be saved.

손잡이(41)의 또 다른 작용은 장신구 본체(10)의 회전이 더욱 쉽도록 도와주는 역할이다. 장신구 본체(10)는 여러 가지 형상일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회전시키기 힘든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41)가 구비되면 팽이의 손잡이와 유사한 원리로 손잡이(41)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신구 본체(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nother function of the handle 41 is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ornamental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of the accessory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y be a shape that is difficult to rotate in some cases. Therefore, when the knob 41 is provided, the main body 10 can be rotated by rotating the knob 41 on a principle similar to the handle of the top.

한편, 손잡이(41)의 회전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회전암(43)과 회전암(43) 끝단의 중량체(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otary arm 43 and the weight 42 at the end of the rotary arm 43 may be further provided to maximize the rotary action of the knob 41. [

도 5a와 도 5b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41) 뿐만아니라 회전암(43)과 중량체(42)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손잡이(41)와, 회전암(43)과, 중량체(42)가 함께 회전 촉진부(40)를 이루게 된다.5A and 5B, it is shown that both the rotary arm 43 and the weight 42 as well as the handle 41 are provided. The handle 41, the rotary arm 43, and the weight member 42 constitute the rotation promoting unit 40 together.

손잡이(41)는 회전 장신구의 전체 외관과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크기가 다소 작게 제작되므로 회전을 유발시키기에는 다소 미흡할 수 있다.The handle 41 may be somewhat inadequate to cause rotation since the handle 41 is made to be somewhat smaller in size to match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tating ornaments.

이때 회전암(43)과 중량체(42)가 구비되면 회전 장신구의 사용자가 장신구 본체(10) 근처를 손가락으로 튕기거나 살짝 건드리기만 하더라도 장신구 본체(10)가 수월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는 바로 회전암(43)이 도 5a 및 5b에 도시된 손잡이(41)로부터 길게 횡방향으로 돌출됨에 의하여 굳이 장신구 본체(10)를 건드리지 않더라도 회전암(43)이 손가락에 걸리게 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rotating arm 43 and the weight 42 are provided, the ornamental main body 10 can be rotated easily even if the user of the rotating ornamental object bites or touches the vicinity of the ornamental main body 10 with his fingers.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rotary arm 43 is hooked on the fingers even if the rotary arm 43 does not touch the main body 10 of the ornament by protruding lengthwise from the handle 41 shown in Figs. 5A and 5B.

특히 회전암(43)의 끝단에 중량체(42)가 부착되면 손가락이 장신구 본체(10)를 건드리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회전 장신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량체(42)는 두 가지 작용을 하게 된다. 첫째는 장신구 본체(10)와의 간섭 없이도 손가락이 수월하게 장신구 본체(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힘차게 퉁겨서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weight 42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rotary arm 43, the rotary ornaments can be smoothly rotated even if the fingers do not touch the main body 10 of the accessory. Therefore, the weight 42 has two functions. First, since the accessory body 10 can be easily rotated by the finge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ccessory body 10,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accessory body 10 at a high speed by banging it vigorously.

중량체(42)의 또 다른 작용은 중량체(42)의 무게로 인하여 일단 장신구 본체(10)의 회전이 유발되면 원심력으로 인하여 장신구 본체(10)의 회전이 오래 지속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nother action of the weight 42 is that the rotation of the ornamental body 10 can be continu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0 is caused due to the weight of the weight 42. [

따라서 결국 중량체(42)로 인하여 장신구 본체(10)를 강력하게 회전 시킬 수 있으면서도 회전이 오래 지속될 수 있게 되어 장신구 본체(10)의 회전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42)의 작용은 회전암(43)의 작용과 함께 이루어질 때 상승효과를 발휘한다.As a result, the main body 10 can be rotated strongly due to the weight 42, and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0 can be maximized. The action of the weight 42 exerts a synergistic effect when it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action of the rotary arm 43. [

중량체(42)의 재질은 무거운 금속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상관없으며, 중량체(42)의 형상은 반드시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중량체(42)와 회전암(43)의 형상으로 인하여 회전 장신구의 장식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도 있다.
The material of the weight 42 may be any material as long as it is made of heavy metal, and the shape of the weight 4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Therefore,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rotating ornaments can be doubled due to the shape of the weight 42 and the rotary arm 43.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로서 두 가지 변형 실시예 중 두 번째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two modifi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도 5a 내지 도 6c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안착부(30)에는 미니 에어백(50)이 더 구비되고 장신구 본체(10)는 칸막이(173)에 의하여 내부에 공기가 나선형으로 흐를 수 있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덕트형 장신구 본체(17)가 된다.Figures 5A-6C and 6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30 further includes a mini air bag 50, and the main body 10 of the ornamental body is provided with a duct 173 in which an air flow path, in which air can flow spirally, Shaped ornamental main body 17.

미니 에어백(50)은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일종의 공기주머니로서 힌지축(32)의 타단에 고정 부착되므로 안착부(30)의 구성요소가 된다. 따라서 안착부(30)는 힌지축(32)의 일단에 부착되는 접촉판(31)과 타단에 부착되는 미니 에어백(50)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mini airbag 50 is a kind of air bag as shown in FIG. 5A, and is a component of the seat part 30 because it is fixedly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shaft 32. Therefore, the seat portion 30 is composed of the contact plate 31 attached to one end of the hinge shaft 32 and the mini airbag 50 attached to the other end.

미니 에어백(50)은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을 가하면 내부의 공기가 덕트형 장신구 본체(17)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미니 에어백(50)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하면 미니 에어백(50)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데, 이때 미니 에어백(50)의 형상 복원은 미니 에어백(5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공기 흡입구로 공기가 들어오면서 이루어진다. 6A. When the mini airbag 50 is pressurized as shown in FIG. 6C, the air in the mini airbag 50 enters th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like ornamental main body 17.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ini-airbag 50 is removed, the shape of the mini-airbag 5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t this time, .

공기 흡입구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공기 흡입구에는 일방향 밸브(52)가 부착될 수 있다. 일방향 밸브(52)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한 방향, 즉 미니 에어백(50)의 내부 방향으로만 공기가 통과되도록 한다.The air inlet is shown in Figure 5A. Way valve 52 may be attached to the air inlet. The one-way valve 52 allows air to pass only in one direction, i.e., the interior direction of the mini-airbag 50, as shown in Fig.

세 번째 실시예에서 덕트형 장신구 본체(17)는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도 5b에 덕트형 장신구 본체(17)의 내부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duct-type ornamental main body 17 has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Fig. 5B shows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duct-type ornamental main body 17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세 번째 실시예에서 덕트형 장신구 본체(17)는 하부판(171) 및 상부판(172)과, 하부판(171) 및 상부판(172) 사이에서 중심으로부터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는 만곡 형상의 칸막이(173)와, 베어링(20)과 결합되는 베어링 지지판(174)으로 이루어진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duct type ornamental main body 17 includes a lower plate 171 and an upper plate 172, and a curved partition 17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lower ") 173 which is rotationally symmetrically arranged from the center between the lower plate 171 and the upper plate 172 And a bearing support plate 174 coupled to the bearing 20.

베어링 지지판(174)은 그 높이가 칸막이(173)보다 낮게 형성되어 덕트형 장신구 본체(17)는 베어링(20)과 접촉되는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공기가 연통될 수 있다.The bearing support plate 174 is formed lower than the partition 173 so that air can be communic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type ornamental main body 17 in contact with the bearing 20.

따라서 미니 에어백(50)의 공기 배출구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는 덕트형 장신구 본체(17) 내부를 통과하여 덕트형 장신구 본체(17)의 외주면으로 빠져나오게 된다.Therefore, the air escaping from the air outlet of the mini airbag 50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duct-like ornamental main body 17 and exit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like ornamental main body 17.

미니 에어백(50)으로부터 덕트형 장신구 본체(17)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는 칸막이(173)와 부딪히게 되는데, 칸막이(173)의 볼록한 면은 공기 방향과 거의 접선 각도로 접촉되므로 공기가 볼록한 면에 가하는 압력은 미미한 반면, 오목한 칸막이(173)의 면에는 접선 각도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덕트형 장신구 본체(17)는 전체적으로는 칸막이(173)가 볼록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Air entering into the duct-shaped ornamental main body 17 from the mini airbag 50 collides with the partition 173 because the convex surface of the partition 173 is in contact with the air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angent to the air, On the other hand, the duct-type ornamental main body 17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rtition 173 is convex as a whole, since the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ncave partitioning wall 173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angential angle.

따라서 미니 에어백(50)을 회전 장신구 사용자가 연속해서 누르게 되면 회전 장신구는 쉬지 않고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보는 이에게 신기함과 재미를 줄 수 있다.
Therefore, if the user pushes the mini airbag 50 continuously, the rotating ornaments can be rotated without stopping,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new airbag 50 with a lot of fu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손톱 또는 인조네일 2: 반지
3: 휴대폰 10: 장신구 본체
17: 덕트형 장신구 본체 20: 베어링
30: 안착부 31: 접촉판
32: 힌지축 40: 회전 촉진부
41: 손잡이 42: 중량체
43: 회전암 50: 미니 에어백
51: 미니 에어백 본체 52: 일방향 밸브
171: 하부판 172: 상부판
173: 칸막이 174: 베어링 지지판
1: nail or artificial nail 2: ring
3: Cell phone 10: Accessory body
17: Duct type ornamental body 20: Bearing
30: seat part 31: contact plate
32: hinge shaft 40: rotation promoting part
41: handle 42: weight
43: rotary arm 50: mini airbag
51: Mini airbag main body 52: One-way valve
171: Lower plate 172: Upper plate
173: partition 174: bearing support plate

Claims (6)

중앙에 삽입구가 형성되며 보석 또는 심미감을 주는 장식편들이 표면에 삽입 또는 부착되어 장식되는 장신구 본체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내주면에 삽입되면서 체결되어 장신구 본체와 서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과, 힌지축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부착되며 사물에 안착되는 면이 오목하게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판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전 장신구.
An ornamental main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its center and decorated with decorative ornamental pieces inserted or attached to the surface thereof;
A bearing which is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 hinge shaft which is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and is hinged to be fre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al body, a contact plate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one end of the hinge shaft and is formed into a concave curved shape, And a seating portion formed there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은 탄성재질로서, 사물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신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lat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fixed with an adhesive while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본체는 본체 중앙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신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rnamental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handl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본체는 손잡이에서 돌출되어 장신구 본체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암과, 회전암 끝단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신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rnamental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arm protruding from the handle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al piece, and a weight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a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회전축에서 접촉판의 반대측 끝단에 구비되는 미니 에어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 본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게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만곡형상의 칸막이를 더 포함하고, 장신구 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상기 칸막이로 구획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미니 에어백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는 장신구 본체 내주면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신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a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mini-airbag provided at an opposite end of the contact plate on a rotation axis,
Wherein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 further comprises a curved partition which is spirally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a rotation axis,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a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outlet formed in the mini airbag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에어백의 소정 부위에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일방향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장신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ini-airbag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and a one-way valve disposed in the air inlet.
KR1020150020749A 2015-02-11 2015-02-11 Rotating accessory KR101698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49A KR101698744B1 (en) 2015-02-11 2015-02-11 Rotating accessory
CN201520314255.5U CN204820870U (en) 2015-02-11 2015-05-15 Novel rotatory orna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49A KR101698744B1 (en) 2015-02-11 2015-02-11 Rotating access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758A true KR20160098758A (en) 2016-08-19
KR101698744B1 KR101698744B1 (en) 2017-01-23

Family

ID=5467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749A KR101698744B1 (en) 2015-02-11 2015-02-11 Rotating accesso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8744B1 (en)
CN (1) CN20482087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63B1 (en) * 2018-03-19 2019-08-21 손휘성 Luminous nail deco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0782A (en) * 1989-07-18 1991-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ircuit module
KR20090010854U (en) * 2008-04-21 2009-10-26 이숙현 .The accessory which has the rotary body.
KR101010602B1 (en) 2005-10-26 2011-01-24 김대현 Vibratory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782B2 (en) * 1995-11-08 2000-06-12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Cassette transfer method and automatic warehouse used in th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0782A (en) * 1989-07-18 1991-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ircuit module
KR101010602B1 (en) 2005-10-26 2011-01-24 김대현 Vibratory accessories
KR20090010854U (en) * 2008-04-21 2009-10-26 이숙현 .The accessory which has the rotary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63B1 (en) * 2018-03-19 2019-08-21 손휘성 Luminous nail dec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744B1 (en) 2017-01-23
CN204820870U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598B2 (en) Miniature clothing attachable vibrator
US4253178A (en) Decorative or ornamental appliance for use with articles such as wrist watches
US20030181835A1 (en) Miniature finger ring vibrator
US20110000052A1 (en) Elasticized Button Cover for Children
WO2009126168A1 (en) Decorative and removable earbud cover
JPH0956430A (en) Ornamental tool for housing ring
US20020020044A1 (en) Clothing protective device
KR20160098758A (en) Rotating accessory
US20160119706A1 (en) Earring with enhanced functionality
JP3228989U (en) Chain connector for jewelry
JP2007142538A (en) Accessory for earphone/headphone
JP3141848U (en) Decorative cover
CN208192386U (en) A kind of separable Multifunctional ornament
JP2009207842A (en) Decorative cover
JP3189655U (en) mascot
JPH11262404A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umbrella or the like
CN209403779U (en) A kind of jewelry pendant
JPH0756077Y2 (en) Accessory toys and accessory set toys
USD529714S1 (en) Holster
KR200335246Y1 (en) Multiful Use Vibration Ring
KR20220077752A (en) Cell phone accessory with anti-lost function
JP3159379U (en) Decoration
JP2013055487A (en) Earphone accessory attachment
JP3088496U (en) Mobile Phone Decoration Goods
KR100440744B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