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927A -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927A
KR20160097927A KR1020150020421A KR20150020421A KR20160097927A KR 20160097927 A KR20160097927 A KR 20160097927A KR 1020150020421 A KR1020150020421 A KR 1020150020421A KR 20150020421 A KR20150020421 A KR 20150020421A KR 20160097927 A KR20160097927 A KR 2016009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pickup roller
photo print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재
유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927A/en
Publication of KR2016009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6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print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 printer comprises: a loading unit into which paper is loaded; a pickup roller which feeds the paper loaded in the loading unit in a paper feeding direction; a press unit which presses, a part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paper feeding direction based on a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ickup roller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downwards; and a guide unit which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unit and has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downwards in the paper feed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 printer which can reduce paper jams.

Description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0001]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photo prin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소형화된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 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촬영한 사진을 어디서든 바로 출력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가능한 인쇄 방식을 채용하는 휴대 가능한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iniaturized cameras have been installed in various mobile devices including mobile terminals. Thus, the user can easily take a picture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Furthermore, a portable printer has been developed that adopts a printing system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be miniaturized, in accordance with a demand of a user who wants to output a photographed image immediately from anywhere.

이 중 하나인 염료 승화 방식은 인쇄 헤드에 열을 가해 열전사용 잉크리본을 녹인 후 이를 전사하여 용지에 소정 형상을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염료 승화 방식은 포토 프린터 내에 잉크 리본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 및 이를 구동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In the dye sublimation method, heat is applied to the print head to dissolve the thermosensitive ink ribbon, and the ink ribbon is transferred to print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paper. The dye sublimation method may include a space for mounting the ink ribbon in the photo printer and a separate means for driving the ink ribbon.

이와 달리, 열에 반응하여 소정의 색상을 발현하는 특수한 용지인 감열지를 이용하는 방식인 감열 방식은 감열지에 이미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적층되어 있는 관계로 잉크 리본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열전사 프린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since the thermal printing method using a thermal paper, which is a special paper that expresses a predetermined color in response to heat, ink of different colors is already laminated on the thermal paper, the ink ribbon is not necessary. The disadvantages can be solved.

이러한 감열 방식을 채용한 포토 프린터는 소형화를 위해 이송부와 화상 형성부가 급지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포토 프린터에 용지가 안착될 경우, 용지는 이송부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많은 수의 용지가 동시에 안착될수록, 중력에 의해 용지 간의 마찰력은 증가하며, 용지 이송부가 이와 직접적으로 맞닿은 용지(즉, 적재부의 가장 아래에 투입된 용지)를 이송할 경우, 그 상부에 적층된 용지까지 동시에 이송되어 이송 경로에서 용지 걸림 현상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order to miniaturize the photo printer employing such a direct thermal method, the transfer part and the image forming part can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When the sheet is placed on the photo printe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shee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portion. The larger the number of sheets is seated at the same time, the great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heets due to the gravity, and when the sheet conveying section directly feeds the sheet (i.e., the sheet placed at the bottom of the stacking s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aper is jammed in the conveyance path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 걸림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oto prin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paper j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픽업 롤러, 상기 픽업 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픽업 롤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기 급지방향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급지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ick-up roller for picking up a sheet, a pick-up roller for picking up a sheet placed on the pick- A pressing portion which presses downward a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n the paper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a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and a guide portio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ich has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A photo printe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hoto printer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적재부, 이송부, 화상 형성부를 급지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포토 프린터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size of the photo printer can be miniaturized by disposing the stacking portion, the conveying portion, and the image forming portion side by side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픽업 롤러에 대한 가압부의 가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포토 프린터의 용지 걸림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per jamming phenomenon of the photo printer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ickup roll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이드부에 소정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동시에 이송되는 둘 이상의 용지가 가이드부에 맞닿는 경우,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paper sheets fed at the same tim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vibrations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are generated in the gu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용지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부의 진동 발생을 제어함으로써, 용지 분리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가용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vibration of the guide portion based on the sheet detec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heet separation performance and utilize the available power efficientl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의 용지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지 걸림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용지 이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용지 이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가 용지의 이송 위치에 따라 진동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용지를 이송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 print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utsid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B shown in FIG. 3 (a) for explaining a sheet feeding process of the photo print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n image on a sheet of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paper jam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the paper feeding process of the photo printer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eeding a sheet of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paper of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hoto printer shown in FIG. 8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onveying position of the paper to convey the paper.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는 통신부(110), 조작부(120), 출력부(130), 센싱부(140), 메모리(150), 전원부(160), 이송부(170), 화상 형성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1, a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operation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 memory 150, a power unit 160, A transfer unit 170, an image forming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90. [

통신부(110)는 포토 프린터(100)를 외부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는 물론 데스크탑과 같이 고정형 전자기기일 수 있는바, 포토 프린터(10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예, 촬영한 사진 파일)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근거리통신 모듈(111) 및 유선 통신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nnects the photo printer 100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Here, the external device is not limit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but may be a fixe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esktop,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device can communicate with the photo printer 1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can transmit / receive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mage data (e.g., photographed photo file)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module that enables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12.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외부 장치와의 비접촉식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포토 프린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 내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111 supports contact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be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Fi It is possible to receive image data and various commands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hoto printer 100 from an external apparatus by suppor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one.

유선 통신 모듈(112)은 외부 장치와의 접촉식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유선 통신 모듈(112)에는 메모리(150) 카드 포트, USB 포트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근거리통신 모듈(111)과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한다.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112 supports contact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include a memory card port, a USB port, and the like,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suppor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mage data, as in the cas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111.

조작부(120)는 포토 프린터(100)의 동작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모듈을 포함한다. 예컨대, 조작부(120)는 제1 조작 모듈(121) 및 제2 조작 모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 기능과 연동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슬라이드 스위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물리적 방식으로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우측으로 이동 시켜 전원을 끌 수 있다. 제2 조작 모듈(122)은 리셋 버튼일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operation module operatively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photo printer 100. [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module 121 and a second operation module 122. [ The first operation module 121 can be interlocked with the power on / off function of the photo printer 100. The first operation module 121 can operate power on / off of the photo printer 100 in a physical manner such as a slide switch method or a button method. For example, the user can move the first operation module 121 to the left side to turn the power of the photo printer 100 on or move the power to the right side to turn off the power. The second operation module 122 may be a reset button.

메모리(150)는 포토 프린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포토 프린터(100)에서 구동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화상 인쇄와 관련된 여러 동작의 수행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과 함께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출고 당시부터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의하여 포토 프린터(100)에 설치될 수 있다.The memory 15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photo printer 100. [ The memory 150 may store appli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driving the photo printer 100, data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image printing, and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gether with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50 from the time of shipment. Alternatively, at least a part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or an external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50 may be installed in the photo print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90. [

센싱부(140)는 포토 프린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40)는 용지 검출 센서(141), 온도 센서(142), 개폐 센서(143), 수평 센서(144), 마크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이송 경로 내에 용지의 유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16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지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여 용지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발광부를 통해 방출되는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로 되돌아오는 거리 또는 시간에 따라 적재부에 용지가 안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90)는 용지 검출 센서(141)를 통해 용지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출력부(130)를 통해 용지없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 내의 온도에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The sensing unit 140 may sense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side or outside the photo printer 100.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aper detection sensor 141, a temperature sensor 142, an opening and closing sensor 143, a horizontal sensor 144, and a mark recognition sensor. First, the paper detection sensor 141 is disposed in the paper conveyance path,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per in the conveyance path. For example, the paper detecting sensor 14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ading unit 165 on which the paper is load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lluminance value, which varies as the paper is covered by the pap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Can be detected. Alternatively, the paper detecting sensor 141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The paper detecting sensor 141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paper is seated in the loa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or time that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reflected and returned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have. If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the print command for the predetermined imag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paper is not detected through the paper detection sensor 141, the control unit 190 can guide the user to the absence of paper through the output unit 130 . The temperature sensor 142 detects whether the battery or the motor is operating at a temperature within the normal range.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온도(즉, 저온 또는 과열)에서 작동 중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달하고, 제어부(190)는 출력부(130)를 통해 온도 센서(1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or 142 transmi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90 when the battery or the motor is operating at a temperature outside the normal range (i.e., low temperature or superheat), and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output unit 130,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42 can be output in a form recognizable to the user.

수평 센서(144)는 포토 프린터(10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놓여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수평 센서(144)는 중력 방향과 포토 프린터(100) 본체가 이루는 각도를 감지하고, 제어부(190)는 수평 센서(14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포토 프린터(100)의 본체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의 판단 결과 포토 프린터(100)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된 상태가 아닌 경우, 출력부(130)를 통해 소정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100)의 기울기 내지는 자세를 변경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sensor 144 detects whether the photo printer 100 is plac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e angle of the gravi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photo printer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orizontal sensor 144, It can be judged whether or not it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ground. When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photoprinter 100 is not horizontally mounted on the ground,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inclination of the photoprinter 100 You can be guided to change your posture.

개폐 센서(143)는 후술할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 간의 체결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190)는 개폐 센서(143)를 통해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화상 형성부(18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The opening / closing sensor 143 senses whether or not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astened together. The control unit 190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unit 180 when it senses that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sensor 143. [

마크 인식 센서(미도시)는 용지에 표시된 마크를 판독하여 용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예컨대, 용지의 하면에는 용지의 특징과 관련된 정보가 바코드 형식으로 표시된 상태일 수 있으며, 마크 인식 센서는 용지의 바코드 정보를 급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읽어들이고, 제어부(190)는 마크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화상 형성부(18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용지에 맞는 최적의 화질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A mark recognition sensor (not shown) reads the mark displayed on the paper and recognizes information about the paper. For examp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may be displayed in a barcode format. The mark recognition sensor sequentially reads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paper along the paper feed direction. The image forming unit 180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barcode information, so that an image can be printed with an optimum image quality suited to the sheet.

출력부(130)는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발광 모듈(131), 디스플레이 모듈(132), 햅틱 모듈(133), 음향 모듈(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30 outputs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photo printer 100 to the outside.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odule 131, a display module 132, a haptic module 133, a sound module 134, and the like.

발광 모듈(131)은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점멸하거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131)은 포토 프린터(100) 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may flicker or change color at different period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hoto printer 100.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131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body of the photo printer 100.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포토 프린터(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인쇄 진행률, 고장 정보, 배터리 잔량, 배터리 정보, 형성할 화상의 미리보기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포토 프린터(100) 본체의 일 측을 따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32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hoto printer 100.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32 may display print progress, failure information, remaining battery power, battery information, a preview image of an image to be formed, and the like. The display module 132 may be coupled to the photo printer 100 so as to be tiltable along one side thereof.

음향 모듈(134)은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예, 충전 완료, 용지 걸림, 용지 없음, 인쇄 완료 등)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The sound module 134 outputs sound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photo printer 100 (e.g., completion of charging, paper jam, no paper, printing completion, and the like).

햅틱 모듈(133)은 미리 정해진 조건 또는 입력에 따라 소정의 세기나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모듈(212)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나 패턴은 포토 프린터(100)의 각 상태마다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햅틱 모듈(133)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제1 세기로 길게 한번 진동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따른 인쇄가 종료되면 제2 세기로 짧게 두번 진동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33 generates vibration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patter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or input. The intensity or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dule 212 may be different for each state of the photo printer 100. [ For example, when 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haptic module 133 vibrates once for a long time to the first intensity, and when the printing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data is completed, the haptic module 133 vibrates twice .

전원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6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른 배터리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 포트(16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포트는 마이크로 USB 방식의 포트일 있다. 충전 포트는 전원 공급 외에 유선 케이블과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6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upply or an internal power supp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include a battery. The battery may be an internal battery configured to be re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and replaced with another battery.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include a charging port 161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charging the battery. For example, the charging port may be a micro USB type port. The charging port can be connected to a wired cable in addition to the power supply, and can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이송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를 포함한다. 픽업 롤러(172)는 모터(171)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해 정방향(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모터(171)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하거나, 구동력을 달리하여 픽업 롤러(172)의 회전 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70 includes at least one motor 171 and a pickup roller 172. The pick-up roller 17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et is fed along the sheet feeding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171, Lt; / RTI > The motor 171 may be driven or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ickup roller 172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varying the driving force.

화상 형성부(180)는 이송부(17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를 통해 전원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러한 열 에너지를 용지에 인가한다. 용지는 이송부(170)를 통해 급지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화상 형성부(180)로부터 인가되는 열의 크기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발현함으로써, 전단부터 후단까지의 화상이 차례대로 형성된다.The image forming unit 180 forms an image on a sheet conveyed by the conveying unit 170. [ The image forming unit 180 converts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60 into heat energy through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esistors, and applies the heat energy to the paper. The paper is gradually conveyed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through the conveying unit 170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 color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ize and time of the heat applied from the image forming unit 180, so that the imag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re formed do.

제어부(190)는 포토 프린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용지에 제대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부(180)에서 처리 가능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써멀 헤드(181)의 각 발열 저항체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hoto printer 100. The control unit 190 processe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drives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50 so tha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can be properly formed on the paper . The control unit 190 generates print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image forming unit 180 based on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190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160 to supply appropriate power to the respective heating resistors of the thermal head 181 according to the print data.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포토 프린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포토 프린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1 are not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hoto printer 100, so that the photo printer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Lt; / RTI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분리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는 포토 프린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케이스의 외면을 통해 바깥으로 일부분이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는 포토 프린터(100)의 가장 외측에 마련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완충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2, various components may be mounted inside the case whil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photo printer 100, and some components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Such a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101A and a second case 101B.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are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hoto printer 100 to support internal components and function as a buffer.

제1 케이스(101A)는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제2 케이스(101B)는 제1 케이스(101A)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은 제1 케이스(101A)의 일단과 힌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은 제1 케이스(101A)의 타단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 전부 또는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ase 101A separates the various components disposed therein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case 101B may be formed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case 101A. For example, one end of the second case 101B may be hinged to one end of the first case 101A.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se 101A. All or a part of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1A)의 내부 공간에는 적재부(165), 이송부(170), 가이드부(210) 및 화상 형성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재부(165), 이송부(170) 및 화상 형성부(180)가 하나의 열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므로, 포토 프린터(100)의 전체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ading unit 165, the transfer unit 170, the guide unit 210, and the image forming unit 18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ase 101A. That is, since the stacking unit 165, the transferring unit 170, and the image forming unit 180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one row, the total size of the photo printer 100 can be reduced.

적재부(165)에는 용지가 안착된다. 용지의 크기는 소정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부(165)는 유격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해진 용지 크기보다 소정 값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65)는 제1 케이스(101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를 통해 복수 장의 용지의 좌측단, 우측단 및 후단이 지지되어, 적재부(16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단차의 높이는 한번에 안착할 수 있는 용지의 매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The paper is seated in the loading section 165. Since the paper size may have a predetermined error, the loading unit 165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alue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paper size so that the clearance can be provided. The mounting portion 165 may be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case 101A. The left end, the right end, and the rear end of a plurality of sheets are supported by such a step, and can be stably stowed on the stacking unit 165. The height of the step can be design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heets which can be set at one time.

이송부(170)는 급지 방향을 따라 적재부(165)의 전단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70)는 모터(171), 픽업 롤러(172), 기어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까지 이송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는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적재부(165)의 전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17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end of the loading unit 165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The conveyance unit 170 may include a motor 171, a pickup roller 172 and a gear assembly (not shown). The conveyance unit 170 may convey the paper, which is placed on the loading unit 165, And can be transferred to the image forming unit 180. The pickup roller 172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loading section 165 so that the paper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165 can be transported in the paper feeding direction.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는 전단 일부분이 폭 방향을 따라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함과 동시에 픽업 롤러(1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모터(171)가 구동되면, 모터(171)의 구동력이 픽업 롤러(172)로 전달되고,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한 용지가 급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tacking unit 165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heet, so that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sheet placed on the stacking unit 165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along the width direction, 172, respectively. When the motor 171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9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71 is transmitted to the pick-up roller 172, Can be fed in the feeding direction.

기어 어셈블리는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171)의 구동력을 픽업 롤러(172)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한다. 한편, 픽업 롤러(172)가 모터(171)의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기어 어셈블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The gear assembly is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171 and the pickup roller 172 and includes at least one gea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71 to the pickup roller 172.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ckup roller 172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directly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71, all or a part of the gear assembly may be omitted.

이때, 이송 경로의 상면 중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대략 나란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80)와 인접한 위치에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개시 여부를 결정하고,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이송 경로에서의 용지 걸림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ickup roller 172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path. Further,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mage forming unit 18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tart printing on the print data in accordance with whether or not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When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a paper jam has occurred in the path.

제2 케이스(101B)의 하면, 즉,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가압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200)는 가압 플레이트(201) 및 탄성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플레이부의 후단은 제2 케이스(101B) 후단 일측에 힌지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202)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 일측과 제2 케이스(101B)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 플레이트(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02)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가압부(200)는 탄성부재(202)가 제2 케이스(101B)의 하단과 가압 플레이트(201) 사이에서 변형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03)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가압 플레이트(201)와 제2 케이스(101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203)는 탄성부재(202)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200 can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01B,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A. The pressing portion 200 may include a pressing plate 201 and an elastic member 202.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play portion can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The elastic member 202 is inter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plate 201 and the second case 101B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essing plate 201. [ Such an elastic member 202 may be, for example, a coil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sing portion 20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203 for limiting a rang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202 is de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and the pressing plate 201. [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203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ressure plate 201 and the second case 101B respectively so that the stopper 203 is pushed by the auxiliary member 202 so that the elastic member 202 does not extend beyond a certain range. can do.

가이드부(210)는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의 전단을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0)의 단부는 이송부(17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며,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는 가이드부(210)와 이송부(17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될 수 있다. The guide unit 210 guides the front end of the sheet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unit 170 to the image forming unit 180. The paper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unit 17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unit 170 by a gap formed between the guide unit 210 and the conveying unit 170, To the image forming unit 180 through the intermediary of the image forming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는,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를 포함하는 염료계 컬러 잉크를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한 감열지일 수 있다. 이러한 용지에는 열용융성 보호부재가 컬러 잉크 층과 함께 적층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용지에 적층된 잉크층이 반응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용지에 열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써멀 헤드(181), 발열 부재 및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per on which the image is formed in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hermal paper having dye-based color ink including cyan (C), magenta (M), and yellow have. In this paper, a heat-meltable protective member can be laminated together with the color ink layer. The image forming unit 180 is configured to apply heat to the paper so that the ink layer stacked on the paper can react and form an image. The image forming unit 180 includes a thermal head 181, a heating member, And a roller 182.

구체적으로, 방열 부재는(18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방열체(183A)는 써멀 헤드(181)의 상면에 직접 또는 절열체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일부는 브라켓(184)에 의해 제1 케이스(101B)에 고정되며,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중 브라켓(184)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의 상부에는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84)은 제1 방열체(183A)를 고정함과 아울러 용지에 대한 써멀 헤드(181)의 가압 강도를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실리콘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속 등의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방열체(183A)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방열체(183C)의 상부에는 제4 방열체(183D)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를 거쳐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에 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이 중 일부를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제2 방열체(183B) 또는 제3 방열체(183C) 중 어느 하나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t radiating member 183 may include first to fourth heat radiating members 183A, 183B, 183C and 183D as shown in FIG. First, the first heat discharging body 183A abu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al head 181 directly or through a heat insulating body, so that the heat radiated from the thermal head 181 can be absorbed quickly.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eat discharging body 183A is fixed to the first case 101B by a bracket 184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eat discharging body 183A The second heat discharging body 183B and the third heat discharging body 183C may be sequentially stacked. At this time, the bracket 184 may serve to fix the first heat discharging body 183A and to maintain the pressing strength of the thermal head 181 against the paper to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The second heat discharging body 183B and the third heat discharging body 183C may b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In this c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st heat discharging body 183A The heat emitted from the thermal head 181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more effectively. The fourth heat discharging body 183D may be disposed above the third heat radiating body 183C and the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heat radiating bodies 183A, 183B and 183C Diffuse outward. For this, the fourth heat discharging body 183D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area than the first to third heat discharging bodies 183A, 183B and 183C. However, the first to fourth heat sinks 183A, 183B, 183C and 183D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of them may be omitted. For example, the second heat discharging body 183B and the third heat radiating body 183C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or may not include any one of the second heat radiating body 183B and the third heat radiating body 183C.

화상 형성부(180)에 대한 더욱 상세한 구조는 이하 도 4 등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image forming unit 180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like.

제1 케이스(101A) 또는 제2 케이스(101B)에는 배출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용지는 화상 형성부(180)에 의한 인쇄(즉, 화상 형성)가 가장 먼저 완료되는 전단부터 배출구(H)를 거쳐 케이스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outlet (H) may be formed in the first case (101A) or the second case (101B). The pap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front end through which the image forming unit 180 prints (that is, image formation) is completed first through the outlet H and out of the case.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utside.

도 3의 (a)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결합된 상태(즉, 커버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의 (b)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분리된 상태(즉, 커버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 (a)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se 101A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are engaged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losed), and FIG. 3 Fig. 1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one case 101A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are separated (i.e., the cover is opened).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101B)는 포토 프린터(100)의 커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커버 고정 상태에서 용지의 이탈 내지 이물질(예, 먼지, 수분 등)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second case 101B can function as a cover of the photo printer 100. In the cover fixing state, when the paper is separated or foreign matter (for example, dust, ) Can be blocked.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한 상태인 경우,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에는 암수 형태로 맞물리는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이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외측에는 고정 고리(102)와 연결된 고정 해제 버튼(104)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해제 버튼(104)이 가압되면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된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재부(165)에 용지를 투입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고리(102) 및 고정 해제 버튼(104)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고리(10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are hinged to each other,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are fixed to the other end with a locking ring 102 One or more fixing grooves 103 may be formed. Also, a fixing release button 104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10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ase 101A. When the release button 104 is press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retainer ring 102 and the fixing groove 103 is releas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can be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se 101A.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of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is released, the user can insert the paper into the loading section 165. [ 3 shows the first case 101A in which the fixing ring 102 and the fixing release button 104 are formed and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103 in the second case 101B,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xing ring 103 may be formed in the case 101A and the fixing ring 10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ase 101B.

또한,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는 각각 수용홈(105)과 삽입돌기(106)가 형성되고, 수용홈(105)의 내측에는 개폐 센서(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과 결합하면, 제2 케이스(101B)에 형성된 삽입돌기(106)가 제1 케이스(101A)에 형성되 수용홈(105)으로 삽입된다. 삽입돌기(106)가 수용홈(105)에 삽입됨에 따라 수용홈(105) 내측에 구비된 개폐 센서(143)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개폐 센서(143)는 제1 케이스(101A)가 현재 제2 케이스(101B)에 닫힌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case 101A and the second case 101B may each have receiving grooves 105 and insertion protrusions 106 and an opening and closing sensor 143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s 105 . Wh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se 101A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the insertion protrusion 106 formed in the second case 101B is formed in the first case 101A, do. When the insertion protrusion 106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0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nsor 14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05 is pressed downward, the opening and closing sensor 143 detects that the first case 101A The control unit 190 can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two cases 101B are closed.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131)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131)이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케이스(101B)에는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에 대향하는 위치에 투과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케이스(101A)에 대한 제2 케이스(101B)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제2 케이스(101B)의 투과홀(107)을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odule 13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se 101A.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A, a through hole 107 is formed in the second case 101B at a position fac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of the first case 101A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of the first case 101A is transm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second case 101B regardless of whether the second case 101B is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101A 107). ≪ / RTI >

제1 발광 모듈(131A)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화상 인쇄 중인 경우 빛을 방출하고, 화상 인쇄가 종료되면 빛의 방출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 모듈(131A)은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시작된 시점부터 배출구(H)를 통해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종료된 용지가 배출될 때까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발광 모듈(131B)은 전원부(160)와 연동하여, 전원부(160)의 배터리 잔량 또는 배터리 온도에 따라 깜빡이거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발광 모듈(131B)은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고, 배터리 온도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과열 상태에서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3 발광 모듈(131C)은 인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정 횟수 깜빡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각 발광 모듈은 포토 프린터의 상태 또는 인쇄 과정에 관한 정보를 빛을 통해 그 밖의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발광 모듈(131)은 LED, LC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빛의 점멸 또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1A emits light when the image is prin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and can terminate the emission of light when the image is printed. That is, the first light emitting module 131A can emit light until the printing of the image data is completed through the outlet H from the start of printing of the predetermined image data.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31B can blink or change the color depending o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r the battery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unit 160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supply unit 160. [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module 131B emits light of a first color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and emits light of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when the battery temperature exceeds the normal range can do. The third light emitting module 131C may blink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an error occurs in the printing process. However, it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each light emitting module can output th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photo printer or the printing process through light in various other ways.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may be an LED, an LCD,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 emitting module 1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light can be blinked or the color of light can be chan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는 제1 조작 모듈(121), 제2 조작 모듈(122) 및 전원 포트(161)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조작하여,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제2 조작 모듈(122)을 조작하여, 포토 프린터(100)를 리셋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포트(161)는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module 121, the second operation module 122, and the power supply port 16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se 101A. The user can turn on or off the photo printer 100 by operating the first operation module 121 and can reset the photo printer 100 by operating the second operation module 122. [ The power port 161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USB cable or the like to function as a connection path for charging the battery 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taken along the line A-B shown in FIG. 3 (a) to explain the sheet feeding process of the photo printer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복수개의 용지들이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재부(165)는 용지가 안착되는 상면과, 상면에 안착된 용지의 좌측, 우측 및 후단을 지지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 전단의 일부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70)에 구비되는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즉, 픽업 롤러(172)는 인쇄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적재부(165)의 기능을 일부 담당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sheets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ing unit 165. Specifically, the loading section 165 may have a top surface on which the paper is loaded, and side walls that support the left, right, and rear ends of the paper placed on the top surface.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loading section 165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per, and thus,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paper loaded on the loading section 165 may be a pickup roll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172. That is, the pickup roller 172 may partially take charge of the function of the loading unit 165 in a state in which printing is not in progress.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후단에 체결되는 경우(즉, 커버 닫힘 상태),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은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 상에서 픽업 롤러(172)을 일측을 향하게 되며, 탄성부재(202)의 탄성력을 통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의 일 영역을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0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위치하는 용지는 탄성부재(202)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적재부(165)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1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경우에도 용지는 가압부(200)의 가압력에 의해 적재부(165)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rear end of the second case 101B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case 101A (i.e., the cover is in the closed state), the front end of the pressurizing plate 201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feed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can be pressed downward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ickup roller 172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2. [ The paper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201 and the pickup roller 172 can be press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2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ection 165. [ For example, even when the user wiggles or tilts the photo printer 100, the sheet can be stably held in the loading unit 165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unit 200. [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픽업 롤러(172)가 회전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상하로 안착된 복수개의 용지 중 픽업 롤러(172)에 직접적으로 접한 용지(P1)는 픽업 롤러(17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부(210)의 안내를 따라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다. The paper P1 directly contacting the pick-up roller 172 among the plurality of sheets vertical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ing unit 165 is guided by the pickup roller 172, And is conveyed to the image forming portion 180 along the guide of the guide portion 210 by a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guide portion 210 and the image forming portion 180. [

화상 형성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급지 경로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써멀 헤드(181)와 하부에 배치되는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한다. 도 4의 (b)와 같이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 용지(P1)는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 사이에 개재되며, 급지 방향을 따라 써멀 헤드(181)에서 방출하는 열을 인가받으면서 화상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image forming unit 180 includes a thermal head 181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per feeding path and a platen roller 182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sheet P1 conveyed to the image forming unit 180 through the guide unit 210 is interposed between the thermal head 181 and the platen roller 182 as shown in FIG. An image is formed while being applied with the heat radiated from the thermal head 181.

구체적으로, 써멀 헤드(181)는 가이드부(210)를 거쳐 이송된 용지(P1)에 열을 가하고, 열이 가해진 부분을 변색시켜 용지(P1)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써멀 헤드(181)는 기판 상에 발열 저항체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발열 저항체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각 발열 저항체에는 기판에 형성된 전극이 연결되며, 제어부(190)는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용지에 형성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각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발열 저항체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발생시킬 열을 산출하며, 산출된 열에 대응하는 전력을 각 발열 저항체로 전달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ermal head 181 applies heat to the sheet P1 conveyed through the guide portion 210, discolors the heat applied portion, and forms an image on the sheet P1. The thermal head 181 can be formed by laminating a heat generating resistor on a substrate.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esistor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a line orthogonal to the sheet feeding direction. An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is connected to each heat generating resistor. The control unit 190 adjusts the power supplied to each electrode according to a color to be formed on the sheet through each heat generating resistor, so that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converts electric energy into heat energy . The control unit 190 may calculate the heat to be generated through each heat generating resistor based on the print data and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160 to transmit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heat to each heat generating resistor.

방열 부재(183)는 써멀 헤드(18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방열 부재(183)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radiating member 183 is configured to radiate heat generated in the thermal head 181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art of the heat radiating member 183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air.

플래튼 롤러(182)는 써멀 헤드(18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래튼 롤러(182)와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서로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는 용지의 하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용지를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상부로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써멀 헤드(181)와 플래픈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된 용지에 써멀 헤드(181)의 발열 저항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인가될 수 있다. The platen roller 18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head 181. That is, the platen roller 182 and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up and down along a line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The platen roller 182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paper and also presses the paper toward the thermal head 181 upward. Accordingly, the heat released from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of the thermal head 181 can be applied to the paper interposed between the thermal head 181 and the plastic pick-up roller 172. [

이때, 플래튼 롤러(182)는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인쇄가 완료된 용지(P1)를 배출구(H)를 통하여 포토 프린터(10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은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한 것이거나,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 속도는, 써멀 헤드(181)에 의한 용지의 인쇄 속도에 대응되는 속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aten roller 182 rotates at a predetermined speed to discharge the printed paper P1 through the discharge port H to the outside of the photo printer 100. The rotation of the platen roller 182 may be caused by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a motor or may be caused by a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contact with a sheet conveyed along the sheet feed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laten roller 182 may be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speed of the paper by the thermal head 181. [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n image on a sheet of paper by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써멀 헤드(18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S) 각각에 대한 발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190 can calculat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esistors S included in the thermal head 181 based on the image data.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소정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m행 및 n열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90 can generate print data of m rows and n columns by sampling imag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예를 들어, 써멀 헤드(181)에 n개의 발열 저항체(S)가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인쇄 데이터는 b행(m≥b≥1)에 대한 인쇄 중에 a열(n≥a≥1)에 대응하는 a번째 발열 저항체(S)를 어느 정도로 발열시킬지에 대한 정보, 즉 각 발열 저항체(S)의 발열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n heat generating resistors S are provided in the thermal head 181, the print data is written in the column a (n? A? 1) during printing for the row b (m? B? 1) Information about how much heat is to be generated for the a-th heat generating resistor S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S,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each heat generating resistor S.

써멀 헤드(181)로부터 급지 방향의 반대편의 소정 거리의 아래에는 픽업 롤러(172)가 배치되어 용지를 이송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172)와 근접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가 배치되어, 급지 경로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A pickup roller 172 is disposed below the thermal head 181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aper feed direction to feed the paper.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ickup roller 172, so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per on the paper feeding path can be detected.

이러한 구조에서, 제어부(190)는 b행(m≥b≥1)의 제1 내지 n열에 대한 화상 형성이 완료되면, 모터를 통해 플래튼 롤러(182)를 인쇄 데이터의 단일 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회전시켜, 써멀 헤드(181)가 인쇄 데이터의 다음 행(즉, b+1행)에 대응하는 부분의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1행부터 m행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용지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인쇄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image formation for the first to n-th rows of the b-th row (m? B? 1)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90 causes the motor to drive the platen roller 182 at a distance So as to control the thermal head 181 to form an imag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ext row (i.e., row b + 1) of the print data on the sheet. The control unit 190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from the first row to the mth row, and can prin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on the sheet.

한편, 제어부(190)는 동일한 화상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급지 속도(또는 인쇄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90 can generate different print data according to the feeding speed (or the printing speed) even if the same image data is used.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의 용지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지 걸림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paper jam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the paper feeding process of the photo printer 100 shown in FIG.

포토 프린터(100)에서 적재부(165)에 안착된 복수개의 용지 중 픽업 롤러(172)와 직접 접하는 용지(P1)만이 항상 한장씩 이송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요인(예, 적층된 용지의 하중)에 의해 두 장 이상의 용지(예, P1 및 P2)가 함께 이송됨에 따라, 급지 경로 상(특히, 가이드부(210)와 급지 경로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각종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Only the paper P1 directly contacting the pick-up roller 172 among the plurality of sheets placed on the stacking unit 165 in the photo printer 100 is not always fed one by one, and various factors (e.g., load of stacked sheets) (Particularly, the interval between the guide portion 210 and the paper feed path is formed) on the paper feed path as the two or more paper sheets (e.g., P1 and P2) , Which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도 6의 (a)를 참조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달리,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픽업 롤러(172)에 접한 용지(P1)가 이송될 때, 픽업 롤러(172)에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은 다른 용지(P2)까지 함께 가이드부(210)를 향하여(특히, 가이드부(210)와 이송부(170) 사이의 간격을 향하여) 이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용지의 하중 및 가압부(200)의 가압에 따른 용지(P1)와 용지(P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재부(165)에 안착된 복수개의 용지 중 가장 아래의 두 용지(P1, P2)가 동시에 이송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A, when the paper P1 in contact with the pickup roller 172 is conveyed by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172, as shown in FIG. 4B, (Particularly, toward the gap between the guide portion 210 and the conveyance portion 170) to the other portion of the paper P2 tha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210. This is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paper P1 and the paper P2 due to the load of the paper and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200.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wo sheets of paper P1 and P2, which are the bottom one of the plurality of sheets placed on the stacking unit 165, are simultaneously transported.

가이드부(210)에는 급지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두 용지(P1, P2)의 전단은 경사면(211)에 접한 후 경사면(211)의 기울기에 의해 이송부(170)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경사면(211)의 기울기가 급지 경로의 상면에 대하여 45도를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지 두께, 설계 비용 등에 따라, 경사면(211)의 기울기가 다른 각도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guide part 210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11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The front ends of the two sheets P1 and P2 conveyed through the conveyance unit 170 can be guided at intervals formed between the conveyance units 170 by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11 afte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211. [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11 forms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feeding pat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11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eet thickness, the design cost, and the like.

가이드부(210)는 이송 경로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바, 이러한 간격은 용지 한장의 두께보다는 크고, 두장의 두께보다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두 장 이상의 용지가 함께 이송는 경우, 가이드부(210)와 이송 경로의 상면에 형성되는 틈에 끼일 수 있고, 용지의 전단이 화상 형성부(180)를 향하여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현상, 즉 용지 걸림 현상이 발생한다. The guide part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path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one sheet of paper an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wo sheets of paper. Accordingly, when two or more sheets of paper are f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172, they can be caught in the gap formed on the guide part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path, That is, a paper jam phenomenon occurs.

제어부(190)는 센싱부(140)를 통해 용지 걸림 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축과 대략 나란한 위치 또는 플래튼 롤러(182)와 픽업 롤러(172) 사이의 위치에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전술한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조합하여 용지 걸림 현상의 발생 유무를 검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 용지가 검출된 후, 픽업 롤러(172)를 회전시킴에도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 용지가 미검출되는 경우, 이송 경로 중 일부분(예, 가이드부(210))에서 용지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an determine whether a paper jam has occurr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For example,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laten roller 182 or at a position between the platen roller 182 and the pickup roller 172. [ This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to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paper jamming phenomen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paper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even though the pickup roller 172 is rotated after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It can be determined that a paper jam phenomenon has occurred in a part of the path (e.g., guide unit 210).

용지 걸림 현상이 발생하면, 픽업 롤러(172)는 물론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가이드부(210)에 정체된 용지를 빼내기 위해 억지로 힘을 가하는 경우, 가이드부(210)를 비롯한 다른 구성에 심각한 손상을 끼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용지 걸림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If the paper jamming occurs, the pickup roller 172 as well as the motor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roller can be inflicted. In addition, if the user forcibly exerts a force on the guiding portion 210 to pull out the stagnant paper, the guiding portion 210 and other components may be severely damag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aper jam I suggest a way to do that.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용지 이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porting a sheet of paper by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01B)와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이 분리된 커버 열림 상태에서, 도 7a의 (b)와 같이 커버 닫힘 상태가 되면, 제2 케이스(101B)에 장착된 가압부(200)의 가압 플레이트(201)가 적재부(165)에 안착된 복수개의 용지를 픽업 롤러(172)를 향하여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7A, when the cover is opened with the second case 101B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se 101A and the cover is closed as shown in FIG. 7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ssing plate 201 of the pressing portion 200 mounted on the second case 101B presses down a plurality of sheets placed on the loading portion 165 toward the pickup roller 172 downward.

이때,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가압 플레이트(201)는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 중 픽업 롤러(17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V)을 중심으로 급지 방향의 반대측 부분(즉, 픽업 롤러(172)의 1사분면)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예컨대, 급지 방향이 도 7과 같이 좌측 방향인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픽업 롤러(172)의 1사분면에 대응하는 0~45도 범위의 어느 일 지점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6 (a) and 6 (b), the pressing plate 201 rotates about the vertical axis V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ickup roller 172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That is, the first quadrant of the pickup roller 172). For example, when the paper feeding direction is the left direction as shown in Fig. 7, the pressing plate 201 can press down one point in the range of 0 to 45 degre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adrant of the pickup roller 172 downward.

가압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20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된 용지는 폭 방향을 따라 휨 응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휨 응력에 따라 용지의 전단부가 도 7a의 (b)와 같이 이송 경로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가이드부(210)를 향하여 휘어지게 된다. The paper sandwich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201 and the pick-up roller 172 by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unit 200 may cause a bending stress along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bending stress, The guide portion 21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path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bent toward the guide portion 210 as shown in FIG.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 중 가압부(200)에 의한 압력이 인가되는 지점의 접선 방향으로 용지의 전단부가 휘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컨대, 급지 방향이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인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가 픽업 롤러(172)의 중앙 수직축(V)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θ도에 대응하는 지점을 가압하면, 용지의 전단부는 가압 지점으로부터 θ도만큼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per is bent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oint where the pressure by the pressing portion 200 is appli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 For example, when the paper feeding direction is the direction from the right to the left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pressing plate 201 presses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central vertical axis V of the pickup roller 172, May be spaced upward with a slope of &thetas; degrees from the pressing point.

가이드부(210)에는 이송 경로(즉, 급지 방향)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면(211)이 구비된다. 이러한 경사면(2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경로로부터 4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용지의 전단과 경사면(211)이 이루는 각도는 (45+θ)도가 되며, θ는 0 초과 45 미만의 크기를 가지므로, 용지의 전단 모서리와 경사면(211)은 45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게 된다. 즉, 용지의 전단 모서리와 경사면(211)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으로 제한되므로, 용지가 경사면(211)에 의해 이송 경로를 벗어나 상방으로 잘못 안내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210 is provided with a slope 211 protruding downward along a conveyance path (i.e., a paper feeding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 211 may be at an angle of 45 degrees from the conveyance path,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heet and the inclined surface 211 is (45 +?) Degrees and? Has a size larger than 0 and less than 45 so that the front edge of the sheet and the inclined surface 211 are larger than 45 degrees and 90 The angle becomes smaller than the angle. That is, since the angle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sheet and the inclined surface 211 is limited to less than 90 degre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eet from being misdirected upward from the conveyance path by the inclined surface 211.

경사면(211)은 용지의 전단부와 접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이 용지 간의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은 이에 접한 용지 사이의 마찰력이 경사면(211)과 용지의 전단부가 접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픽업 롤러(172) 외주면과 용지 사이의 마찰력은 제1 값, 용지와 경사면(211) 사이의 마찰력은 제2 값, 용지 간의 마찰력은 제3 값인 경우, 제1 값->제2 값->제3 값의 순서로 마찰력의 작다.The inclined surface 21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frictional force between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frictional for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p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r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slant surface 211 and the front end of the she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and the paper is a first valu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aper and the slope surface 211 is a second value,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aper is a third value, > The frictional force is small in order of the third value.

이에 따라, 경사면(211)과 용지의 전단부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픽업 롤러(172)가 계속 회전하면, 도 7b의 (a)와 같이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과 용지 사이의 마찰력인 제1 값에 따라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접한 용지(P1)는 경사면(211)의 하방으로 안내되고, 가이드부(210)와 이송 경로 사이에 마련되는 간격을 통해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ickup roller 172 continues to rotat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per and the slope surface 21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7B, the first value, which i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and the paper, The paper P1 directl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is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11 and is guided to the image forming unit 180 through a gap provided between the guide unit 210 and the conveying path Lt; / RTI >

반면, 중복 이송된 용지(P2)는 아래에 위치한 용지(P1)와의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을 제공하는 경사면(211)에 의해 급지 방향을 따라 더 이상의 진입이 저지된다. 중복 이송된 용지(P2)는 도 7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용지(P1)가 후단까지 픽업 롤러(172)를 모두 통과한 후에야 비로소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며, 이후 추가적인 인쇄 명령에 따라 픽업 롤러(172)가 구동되기 전까지 이송되지 않고 적재부(165)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verlapped fed paper P2 is prevented from further entering along the feeding direction by the inclined surface 211, which provides greater frictional force with the underlying paper P1. The overlapped paper P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172 only after the paper P1 positioned at the bottom passes through the pickup roller 172 to the rear end as shown in FIG. , And then remains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loading section 165 without being conveyed until the pickup roller 172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an additional print comman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용지 이송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heet feeding process of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 7a 및 7b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가이드부(210)는 진동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212)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소정 강도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듈(212)에 의해 출력되는 진동은 경사면(211)으로 전달된다. 진동 모듈(212)의 진동에 의해 경사면(211)에 접한 두 장의 용지(P1, P2) 사이는 소정의 유격이 발생하며, 이러한 유격에 따라 두 용지(P1, P2)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따라 두 용지(P1, P2)가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unlike that shown in FIGS. 7A and 7B, the guide portion 210 may include a vibration module 212. The vibration module 212 can output a vibration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 The vibration output by the vibration module 212 is transmitted to the inclined surface 211. A predetermined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two sheets of paper P1 and P2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211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212.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wo sheets of paper P1 and P2 is reduced according to the clearance, The two sheets of paper P1 and P2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172. [

또한, 제어부(190)는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개시하는 경우에 한하여 진동 모듈(212)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90)는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개시되어, 픽업 롤러(172)를 회전시킨 후 또는 픽업 롤러(17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진동 모듈(212)을 통해 경사면(211)에 진동을 인가하고, 용지(P1)에 대한 화상 형성이 종료되는 시점 이전에 진동 모듈(21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can activate the vibration module 212 only when printing for predetermined image data is started.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90 starts printing of predetermined image data, and rotates the pickup roller 172 or the pickup roller 172, and at the same time, drives the inclined surface 211 , And stop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module 212 before the end of the image formation on the paper P1.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의 이송 위치에 따라 진동 모듈(212)의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module 212 according to the conveyance position of the paper by the photo printer 100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제어부(190)는 용지 검출 센서(141)에서 용지가 검출되는 경우에 한하여 진동 모듈(212)을 활성화하고, 용지 검출 센서(141)에서 용지가 미검출되는 경우 진동 모듈(21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of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vibration module 212 only when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on sensor 141, The vibration module 212 can be deactivated.

구체적으로, 센싱부(14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를 포함할 수 있는바,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로부터 제공되는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진동 모듈(212)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paper detection sensor 141A and a second paper detection sensor 141B. The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a first paper detection sensor 141A and a second paper detection sensor 141B.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ibration module 212 is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etection sensor 141B.

이때,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가이드부(21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는 용지가 가이드부(210)로 진입하기 전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가이드부(210)를 기준으로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 의해 검출된 후 급지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210)를 거쳐 이송된 용지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and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guide unit 21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is disposed at a position before the paper enters the guide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is disposed at a position before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141A. ≪ / RTI > Thus,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per conveyed through the guide unit 210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after being detected by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한편, 도 9에는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써멀 헤드(181)(또는 플래튼 롤러(182)) 진입 전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써멀 헤드(181)(또는 플래튼 롤러(182)) 진입 후 위치(예컨대, 배출구(H)와 써멀 헤드(18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9,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is disposed at a position before the thermal head 181 (or the platen roller 182) enters,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thermal head 181 (E.g., between the outlet H and the thermal head 181) after entry of the platen roller 182 (e.g., platen roller 182).

우선,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적재부(165)에 안착된 복수장의 용지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용지(P1)가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 의해 검출됨에 따라, 제어부(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롤러(172)는 정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진동 모듈(212)를 구동하여 경사면(211)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장 이상의 용지(P1, P2)가 한꺼번에 가이드부(210)를 향하여 이송되더라도, 경사면(211)의 진동에 의해 상호 쉽게 분리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9A, as the sheet P1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sheets placed on the stacking unit 165 is detected by the first sheet detecting sensor 141A, 190 may rotate the pickup roller 172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drive the vibration module 212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inclined surface 211 as shown in FIG. Accordingly, even if two or more sheets of paper P1 and P2 are conveyed toward the guide portion 210 at a time,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vibr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11. [

가이드부(210)에 의해 상부의 용지(P2)와 분리된 용지(P1)는, 계속되는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0)와 이송 경로의 틈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sheet P1 separated from the upper sheet P2 by the guide portion 210 is guided by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172 by the guide portion 210 And can be guided in the gap of the conveyance path.

이때, 가이드부(210)를 거쳐 이송되는 용지(P1)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데, 제어부(190)는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로부터 용지(P1)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진동 모듈(212)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용지(P1)를 검출하였다는 것은, 가이드부(210)와 이송 경로의 틈에서 용지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중복 이송된 용지(P1, P2)가 가이드부(210)에 의해 정확히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paper P1 conveyed through the guide unit 210 can be detected by the second paper detection sensor 141B. The control unit 190 detects the paper P1 from the second paper detection sensor 141B Upon receipt of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ibration has been detected, the vibration module 212 can be stopped. The fact that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detects the paper P1 means that paper jamming does not occur in the gap between the guide unit 210 and the conveying path, Is correctly separated by the guide portion 210. [0157]

이후, 제어부(190)는 용지(P1)의 전단 모서리가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에 개재되면, 플래튼 롤러(18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써멀 헤드(181)를 통해 용지(P1)에 화상을 형성한 후, 이를 배출구(H)를 통해 포토 프린터(100) 외부로 배출시킨다.When the front edge of the sheet P1 is interposed between the thermal head 181 and the platen roller 182, the controller 190 rotates the platen roller 182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otates the thermal head 181 through the thermal head 181 After forming an image on the sheet of paper P1,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hoto printer 100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H.

한편, 제어부(190)는 용지(P1)가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에 개재되면, 픽업 롤러(172)의 회전은 정지시키고, 플래튼 롤러(182)만 회전시켜 용지(P1)를 이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와 플래튼 롤러(182)가 용지(P1)를 동일한 거리만큼 이송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픽업 롤러(172)와 플래튼 롤러(182)의 기구적 오차 등에 의해, 실제 이송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는바, 이 경우 실제 이송 거리의 차이에 따라 용지(P1)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sheet P1 is interposed between the thermal head 181 and the platen roller 182, the control unit 190 stops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172 and rotates only the platen roller 182, P1. The control unit 190 may be set such that the pickup roller 172 and the platen roller 182 transport the paper P1 by the same distance but the mechanical error of the pickup roller 172 and the platen roller 182 The actual conveying distanc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aper P1 may be deformed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actual conveying distanc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제어방법 보여주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S0110). 인쇄 명령에는 인쇄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인쇄 명령에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각종 설정 정보(예, 축소 비율, 회전량, 시각 효과 등)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a print comm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0110). The print command may include image data as well as a signal indicating the start of printing. In addition, the print command may additionally include various setting information (e.g., reduction ratio, amount of rotation, visual effect, etc.) for image data.

이어서,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 용지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020).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는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유무, 즉 화상 형상을 수행할 용지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Next,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detects paper (S1020).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per placed on the loading section 165, that is, whether there is paper to perform the image shape.

단계 S1020에서의 판단결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 의해 어떠한 용지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90)는 출력부(130)를 통해 '용지 없음'을 알리는 소정의 경고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S1025), 통신부(110)를 통해 인쇄 명령을 송신한 기기로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20, if no paper is detected by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the control unit 190 outputs a predetermined warning signal indicating 'no paper' through the output unit 130 to the outside (S1025),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rint comm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반면, 단계 S1020의 판단결과,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 및 가이드부(210)의 진동 모듈(212)를 구동한다(S103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모터(171)의 구동력을 통해 픽업 롤러(17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지가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며, 두 장 이상의 용지가 한꺼번에 중복 이송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진동 모듈(212)에서 출력되는 진동을 통해 중복 이송된 용지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용지만이 가이드부(210)와 이송 경로 사이의 틈을 통해 전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20 that the pap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165 is detected, the controller 190 drives the pickup roller 172 and the vibration module 212 of the guide unit 210 (S103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90 rotates the pick-up roller 172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71 to feed the paper along the paper feed direction. In contrast to the case where two or more paper sheets are fed at a time, Only the pape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overlapped paper sheets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from the module 212 is controlled to advanc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guide portion 210 and the conveyance path.

이후, 제어부(190)는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 용지가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040). 이때,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상호 이격된 거리 이상으로 픽업 롤러(17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 의해 용지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 검출된 용지와 동일한 용지를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검출할 수 있으려면,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 검출된 용지를 두 센서(141A, 141B)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이송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Then,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detects paper (S104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90 rotates the pickup roller 172 in the forward direction by a distan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and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and then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paper is detected. In order for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to detect the same paper as the paper detected by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the paper detected by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141A is detected by the two sensors 141A and 141B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단계 S1040에서의 판단결과, 용지가 미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인쇄를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으며, 출력부(130)를 통해 '용지 걸림'을 알리는 소정의 경고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S1045), 통신부(110)를 통해 인쇄 명령을 송신한 기기로 해당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40, if the paper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190 can temporarily suspend printing and output a predetermined warning signal to the outside via the output unit 130 S1045), and the corresponding warn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rint comm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한편, 단계 S1040에서의 판단결과,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 용지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진동 모듈(212)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화상 형성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S1050). 또한,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화상 형성부(180)의 플래튼 롤러(182)를 인쇄 속도에 상응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용지가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에 개재된 이후에는, 픽업 롤러(172)와 플래튼 롤러(182)가 동시에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40 that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141B, the control unit 190 stops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module 212 and can drive the image forming unit 180 (S1050). The control unit 190 can also stop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172 and rotate the platen roller 182 of the image forming unit 180 in accordance with the printing speed. That is, after the paper is interposed between the thermal head 181 and the platen roller 182, the control unit 190 can control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172 and the platen roller 182 so as not to be simultaneously rotated.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화상 형성부(180)를 제어하여,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S1060). Next,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180 according to the print data to form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sheet (S1060).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이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hoto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9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포토 프린터 101A: 제1 케이스
101B: 제1 케이스 110: 통신부
111: 근거리통신 모듈 112: 유선 통신 모듈
120: 조작부 121: 제1 조작 모듈
122: 제2 조작 모듈 130: 출력부
131: 발광 모듈 132: 디스플레이 모듈
133: 햅틱 모듈 134: 음향 모듈
140: 센싱부 141: 용지 검출 센서
142: 온도 센서 143: 개폐 센서
144: 수평 센서 150: 메모리
160: 전원부 165: 적재부
170: 이송부
171: 모터 172: 픽업 롤러
180: 화상 형성부 181: 써멀 헤드
182: 플래튼 롤러 183: 방열 부재
184: 브라켓
190: 제어부 200: 가압부
201: 가압 플레이트 202: 탄성부재
203: 스토퍼 210: 가이드부
211: 경사면 212: 진동 모듈
H: 배출구 S: 발열 저항체
100: Photo printer 101A: First case
101B: first case 110:
111: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12: Wired communication module
120: Operation part 121: First operation module
122: second operation module 130: output section
131: light emitting module 132: display module
133: Haptic module 134: Acoustic module
140: sensing unit 141: paper detection sensor
142: temperature sensor 143: opening / closing sensor
144: Horizontal sensor 150: Memory
160: power supply unit 165:
170:
171: Motor 172: Pickup roller
180: Image forming unit 181: Thermal head
182: Platen roller 183: Heat dissipating member
184: Bracket
190: control unit 200:
201: pressing plate 202: elastic member
203: stopper 210: guide portion
211: slope 212: vibration module
H: Outlet S: Heat generating resistor

Claims (13)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픽업 롤러;
상기 픽업 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픽업 롤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기 급지방향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급지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A loading portion on which the paper is seated;
A pick-up roller for conveying the sheet placed on the stacking portion along the sheet feeding direction;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ownwar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aper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a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ickup roller;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ortion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픽업 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전단에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generates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at a front end of the paper conveyed through the pick-up 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용지의 전단 사이의 마찰력은 용지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front end of the sheet is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hee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의 외주면과 용지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경사면과 용지 전단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and the paper is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paper front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이송 경로의 상면에 대하여 45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has an inclinatio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픽업 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픽업 롤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으로부터 45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ckup roller which is located within a range of 45 degrees from a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ickup roller is pressed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의 일 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Elastic member; And
A pressing plat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to press down one area of the sheet placed on the stacking uni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는,
용지 한장 두께보다 크고 용지 두장 두께보다 작은 간격만큼 상기 적재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ection by an interval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one sheet of paper an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wo sheets of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거쳐 이송되는 용지에 열을 인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를 더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mage form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paper fed through the guide unit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to form an image;
Further comprising a photo prin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써멀 헤드; 및
상기 용지를 상기 써멀 헤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플래튼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써멀 헤드는,
상기 급지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열 저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thermal head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And
And a platen roller for pressing the paper toward the thermal head,
Wherein the thermal head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resistors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per feed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를 포함하는 염료계 컬러 잉크와 열용융성 보호부재를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한 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paper is a paper in which a dye-based color ink including cyan (C), magenta (M) and yellow (Y) and a heat-meltable protective member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경사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A vib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ibration on the inclined surface;
Further comprising: an image forming unit that prints the image on the recording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 용지 검출 센서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지 검출 센서는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며, 상기 제2 용지 검출 센서는 상기 급지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거쳐 이송된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and a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the guide por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paper detecting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per placed in the loading section and the second paper detecting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per fed through the guide section along the paper feeding direction. printer.
KR1020150020421A 2015-02-10 2015-02-10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79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21A KR20160097927A (en) 2015-02-10 2015-02-10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21A KR20160097927A (en) 2015-02-10 2015-02-10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27A true KR20160097927A (en) 2016-08-18

Family

ID=5687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421A KR20160097927A (en) 2015-02-10 2015-02-10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92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499A1 (en) * 2017-12-26 2019-07-04 디에스글로벌 (주) Paper feeder for prin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499A1 (en) * 2017-12-26 2019-07-04 디에스글로벌 (주) Paper feeder for printer
KR20190077768A (en) * 2017-12-26 2019-07-04 디에스글로벌 (주)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0657B1 (en) Recording sheet containing cassette and printer apparatus using the same cassette
JP4669406B2 (en) cassette
US200700403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aper feeding cassette installing device
US7973816B2 (en)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US7036815B2 (en) Sheet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KR20170070645A (en) Portable Printer
KR20160097927A (en)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256974B2 (en) Cassette for a printer
KR20160104297A (en) Photo printer
US20170368843A1 (en)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643688B1 (en) Printing device
KR20160097928A (en)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7930A (en)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197179A (en) Image scanner
KR20160097929A (en) 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04154A (en) Sheet carrying device
JP2007076891A (en) Card conveying device and card printer
JP2009292123A (en) Printer
KR20160104465A (en) Thermosensitive sheet
JP6750939B2 (en) Image reader
US20120038728A1 (en) Printing device with marking function
US11174120B2 (en) Printing device and ejection control module
JP2022011684A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18104155A (en) Sheet carrying device
JP2022011683A (en) Image rea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