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693A - 공기조화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693A
KR20160097693A KR1020150019735A KR20150019735A KR20160097693A KR 20160097693 A KR20160097693 A KR 20160097693A KR 1020150019735 A KR1020150019735 A KR 1020150019735A KR 20150019735 A KR20150019735 A KR 20150019735A KR 20160097693 A KR20160097693 A KR 2016009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air
chamb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윤
류명석
최재혁
유윤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9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693A/ko
Publication of KR2016009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흡입챔버;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흡입챔버;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챔버모듈;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들을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들 중 일부를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들 중 나머지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시키는 히트펌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은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1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1 열교환기챔버;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2 열교환기챔버; 및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3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3 열교환기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히트펌프유닛은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1개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개수가 비대칭되게 구성하고, 이를 통해 증발기 및 응축기의 교대시간을 길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장치{Air conditioner appars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환기기능이 없는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다.
여기서 외부공기의 유입이 없는 공기조화장치는 필터 등을 통해 실내공기를 여과한다. 그러나 실내공기만으로 공기조화를 실시하는 경우, 실내 공기의 질이 서서히 저하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실내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8812
본 발명은 실외공기유로 및 실내공기유로가 간결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름철에는 제습될 뿐만 아니라 냉각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고, 겨울철에는 가습될 뿐만 아니라 히팅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개수 또는 용량을 비대칭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및 습도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흡입챔버;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흡입챔버;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챔버모듈;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들을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들 중 일부를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들 중 나머지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시키는 히트펌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은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1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1 열교환기챔버;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2 열교환기챔버; 및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3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3 열교환기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히트펌프유닛은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1개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된다.
제습으로 작동될 경우,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증발기로 작동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시키고, 나머지 1개가 응축기로 작동되어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습으로 작동될 경우,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응축기로 작동되어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나머지 1개가 증발기로 작동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또는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순차적으로 전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공급하는 실내흡입댐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외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흡입댐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내토출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내토출댐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외토출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외토출댐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흡입챔버;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흡입챔버;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챔버모듈;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들을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들 중 일부를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들 중 나머지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시키는 히트펌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은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1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1 열교환기챔버;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2 열교환기챔버;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3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3 열교환기챔버; 상기 실내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공급하는 실내흡입댐퍼부; 상기 실외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흡입댐퍼부;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내토출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내토출댐퍼부;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외토출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외토출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유닛은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1개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된다.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또는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순차적으로 전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개수가 비대칭되게 구성하고, 이를 통해 증발기 및 응축기의 교대시간을 길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열교환기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교번 운전될 때, 3회 중 1회는 나머지 2회보다 응축기로 작동되는 시간을 길게 형성하여 차후 증발기로 작동될 때 수분의 흡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열교환기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될 때, 수분의 흡착 및 증발 속도가 서로 달라서 발생되는 교번 주기를 보다 길게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교번 주기를 길게 형성하여 냉매 유로 전환 시 발생되는 냉매 안정화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개수 또는 용량을 비대칭되게 형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및 습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의 열교환기들의 교대주기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장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흡입챔버(10)와,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흡입챔버(20)와,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어느 하나가 흡입되어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챔버모듈(50)과,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50)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챔버(30)와,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50)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토출챔버(40)와,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50)에 설치된 열교환기들을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들 중 일부를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들 중 나머지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시키는 히트펌프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흡입챔버(10)는 실내와 직접 연결되거나 덕트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실외흡입챔버(20)는 실외와 직접 연결되거나 덕트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실내토출챔버(30)는 실내와 직접 연결되거나 덕트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실외토출챔버(40)는 실외와 직접 연결되거나 덕트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50)는 복수개의 챔버가 구비되고, 각 챔버마다 적어도 1개의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50)가 제 1 열교환기챔버(51), 제 2 열교환기챔버(52) 및 제 3 열교환기챔버(5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챔버(51)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고, 제 2 열교환기챔버(52)에는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고, 상기 제 3 열교환기챔버(53)에는 제 3 열교환기(63)가 배치된다.
상기 실내흡입챔버(10) 및 열교환챔버모듈(50) 사이에는 실내흡입댐퍼부(70)가 배치된다.
상기 실내흡입댐퍼부(70)는 실내에서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제 1 열교환기챔버(51), 제 2 열교환기챔버(52) 또는 제 3 열교환기챔버(53) 중 어느 곳에 공급될지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흡입댐퍼부(7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챔버(51), 제 2 열교환기챔버(52) 또는 제 3 열교환기챔버(53) 중 어느 하나에만 실내공기가 공급되게 개폐될 수도 있고, 제 1, 2 열교환기챔버(51)(52), 제 1, 3 열교환기챔버(51)(53), 제 2, 3 열교환기챔버(52)(53)에 실내공기가 공급되게 개폐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흡입댐퍼부(70)에는 각 열교환기챔버(51)(52)(53)를 개폐시키는 3개의 댐퍼(미도시)들이 배치된다.
상기 각 댐퍼는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해당 상기 열교환기챔버를 개폐시킨다.
상기 실외흡입챔버(20) 및 열교환챔버모듈(50) 사이에는 실외흡입댐퍼부(80)가 배치된다.
상기 실외흡입댐퍼부(80)는 실외에서 흡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 1 열교환기챔버(51), 제 2 열교환기챔버(52) 또는 제 3 열교환기챔버(53) 중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챔버에 실외공기가 공급되도록 개폐된다.
상기 실외흡입댐퍼부(80) 역시 실내흡입댐퍼부(70)와 같이 3개의 댐퍼(미도시)가 구비되고, 각 댐퍼는 해당 열교환챔버를 개폐시킨다.
상기 실내토출챔버(30) 및 열교환챔버모듈(50) 사이에는 실내토출댐퍼부(90)가 배치된다.
상기 실내토출댐퍼부(9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열교환챔버모듈(50)에서 공급된 제습공기 또는 재생공기를 상기 실내토출챔버(30)로 안내한다.
상기 실내토출댐퍼부(90)도 3개의 댐퍼가 구비되고, 각 댐퍼는 해당 열교환챔버를 개폐시킨다.
상기 실외토출챔버(40) 및 열교환챔버모듈(50) 사이에는 실외토출댐퍼부(100)가 배치된다.
상기 실외토출댐퍼부(100)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열교환챔버모듈(50)에서 공급된 제습공기 또는 재생공기를 상기 실외토출챔버(40)로 안내한다.
상기 실외토출댐퍼부(100)에도 3개의 댐퍼가 구비되고, 각 댐퍼는 해당 열교환기챔버를 개폐시킨다.
상기 히트펌프유닛(60)은 압축기(64),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61)(62)(63), 사방밸브(65), 팽창밸브(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유닛(60)은 상기 사방밸브(65)를 제어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61)(62)(63) 중 일부는 응축기로 작동시키고, 나머지는 증발기로 작동시킨다.
상기 히트펌프유닛(60)에 의한 냉매의 히트펌프사이클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61)(62)(63)의 개수 또는 용량을 비대칭하게 설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조화를 보다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예를 들어, 여름철과 같이 실내온도가 높게 형성될 때에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의 개수가 더 많도록 제어한다.
즉, 여름철의 경우, 열교환기(61)(62)(63) 중 2개를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1개를 응축기로 작동시킨다.
이 경우, 실내공기를 제습하는 것과 동시에 실내공기의 온도를 낮춰 실내를 보다 쾌적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겨울철과 같이 실내온도가 낮게 형성될 때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의 개수가 더 많도록 제어한다.
겨울철의 경우, 열교환기(61)(62)(63) 중 2개를 응축기로 작동시키고, 1개를 증발기로 작동시킨다.
이 경우, 실내공기에 가습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응축열을 부가하여 실내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61)(62)(63)의 표면에는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데시칸트 코팅이 실시된다.
상기 데시칸트 코팅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열을 가할 경우 흡수된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방출 시킬 수 있는 재질이다. 상기 데시칸트 코팅은 열교환기(61)(62)(63)가 응축기로 작동될 때,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상기 데시칸트 코팅 및 재질은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소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된 열교환기(61)(62)(63)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될 때의 증발 또는 흡착 효율이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기(61)(62)(63)는 응축기로 작동될 때 수분을 증발시키는 ㅂ속도 및 수분량과, 증발기로 작동될 때 흡착되는 속도 및 수분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서 2개의 열교환기가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교대 작동되는 경우,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에서의 단위시간 당 증발된 수분량과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에서의 단위시간 당 흡착된 수분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그래서 2개의 열교환기를 서로 교대시키는 공기조화기장치에서는 효율이 낮은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응축기/증발기의 교대시간이 결정된다.
이 경우, 효율이 낮은 쪽을 기준으로 교대시간이 결정되기 때문에 제습 또는 가습을 실시할 때 응축기/증발기의 빈번한 교대가 발생되고,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증발기의 개수가 더 많거나 응축기의 개수가 더 많도록 제어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열교환기(61)(62)(63)가 균등하게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도록 히트펌프유닛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열교환기(61)(62)(63) 중 2개가 증발기로 작동되고 나머지 1개가 응축기로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되는 단위시간을 1증발기작동시간(1Et)을 정의하고, 응축기로 작동되는 단위시간을 1응축기작동시간(1Ct)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6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 1 열교환기(61), 제 2 열교환기(62) 및 제 3 열교환기(63)는 소정의 시간 차를 두고, "3증발기작동시간(3Et)-2응축기작동시간(2Ct)-3증발기작동시간(3Et)-3응축기작동시간(3Ct)-2증발기작동시간(2Et)-2응축기작동시간(2Ct)"순으로 작동된다.
이 경우, 3개의 열교환기 중에서 적어도 1개는 응축기로 작동된다.
특히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작동될 때, 적어도 1번은 다른 2번보다 길게 응축기로 작동되게 하여 흡착된 수분이 충분히 증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작동시간(Et) 및 응축기작동시간(Ct)이 같도록 설정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지만, 1사이클을 기준으로 보면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들의 시간이 더 많게 형성된다.
순환모드
순환모드에서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하도록 댐퍼부들이 조작된다.
그래서 실내공기는
(1) 실내흡입챔버(10) -> 실내흡입댐퍼부(90) -> 열교환기챔버모듈(50) -> 실내토출댐퍼부(90) -> 실내토출챔버(30)
순서로 이동된다.
그리고 실외공기는
(2) 실외흡입챔버(20) -> 실외흡입댐퍼부(80) -> 열교환기챔버모듈(50) -> 실외토출댐퍼부(100) -> 실외토출챔버(40)
순서으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제습을 원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50)에서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그래서 실내공기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되고, 실외공기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다.
사용자가 가습을 원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50)에서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그래서 실외공기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되고, 실내공기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다.
여기서 제습 및 가습을 위한 상기 각 열교환기(61)(62)(63)의 제어는 앞에서 서술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환기모드
환기모드에서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킨다.
그래서 실외공기는
(3) 실외흡입챔버(20) -> 실외흡입댐퍼부(80) -> 열교환기챔버모듈(50) -> 실내토출댐퍼부(90) -> 실내토출챔버(30)
순서로 이동된다.
그리고 실내공기는
(4) 실내흡입챔버(10) -> 실내흡입댐퍼부(70) -> 열교환기챔버모듈(50) -> 실외토출댐퍼부(100) -> 실외토출챔버(40)
순서로 이동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습을 원하는 경우, 상기 실내로 토출되는 실외공기에 대해 제습을 실시한다.
상기 실외공기를 제습할 때, 상기 실외공기는 증발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습을 원하는 경우, 상기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한다.
상기 실외공기를 가습할 때, 상기 실외공기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실내흡입챔버 20 : 실외흡입챔버
30 : 실내토출챔버 40 : 실외토출챔버
50 : 열교환기챔버모듈 60 : 히트펌프유닛
61 : 제 1 열교환기 62 : 제 2 열교환기
63 : 제 3 열교환기 70 : 실내흡입댐퍼부
80 : 실외흡입댐퍼부 90 : 실내토출댐퍼부
100 : 실외토출댐퍼부

Claims (10)

  1.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흡입챔버;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흡입챔버;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챔버모듈;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들을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들 중 일부를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들 중 나머지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시키는 히트펌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은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1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1 열교환기챔버;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2 열교환기챔버; 및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3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3 열교환기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히트펌프유닛은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1개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공기조화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습으로 작동될 경우,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증발기로 작동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시키고, 나머지 1개가 응축기로 작동되어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공기조화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습으로 작동될 경우,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응축기로 작동되어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나머지 1개가 증발기로 작동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데시칸트 코팅에 흡착시키는 공기조화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또는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공급하는 실내흡입댐퍼부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흡입댐퍼부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내토출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내토출댐퍼부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외토출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외토출댐퍼부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장치.
  9.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실내흡입챔버;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실외흡입챔버;
    복수개의 열교환기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공급받아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챔버모듈;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실외토출챔버;
    상기 열교환기들을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들 중 일부를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들 중 나머지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시키는 히트펌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챔버모듈은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1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1 열교환기챔버;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2 열교환기챔버; 및
    온도에 따라 수분을 흡착 또는 증발시키는 데시칸트 코팅이 형성되고, 제 3 열교환기가 배치된 제 3 열교환기챔버;
    상기 실내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공급하는 실내흡입댐퍼부;
    상기 실외흡입챔버 및 열교환챔버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에 선택적으로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흡입댐퍼부;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내토출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내토출댐퍼부;
    상기 열교환챔버모듈 및 실외토출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챔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토출챔버에 공급하는 실외토출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유닛은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2개가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동되고,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 중 1개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되는 공기조화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열교환기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또는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공기조화기장치.
KR1020150019735A 2015-02-09 2015-02-09 공기조화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97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735A KR20160097693A (ko) 2015-02-09 2015-02-09 공기조화기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735A KR20160097693A (ko) 2015-02-09 2015-02-09 공기조화기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693A true KR20160097693A (ko) 2016-08-18

Family

ID=5687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735A KR20160097693A (ko) 2015-02-09 2015-02-09 공기조화기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6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812A (ko) 2009-05-29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812A (ko) 2009-05-29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8042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793089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10192182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AU200625346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4857901B2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AU2012313765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EP2224181A1 (en) Humidity adjustment device
JP5862266B2 (ja) 換気システム
KR101980549B1 (ko) 공기조화 장치
KR20160086693A (ko) 공기조화기장치
US1087674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312939B (zh) 调湿装置
US10823435B2 (en) Air conditioner
EP3256790B1 (en) Air conditioner
CN112944477B (zh) 新风系统以及包含该新风系统的空调器
KR101973648B1 (ko)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07327684A (ja) デシカント空調機
KR101957240B1 (ko) 공기조화기
KR20160048469A (ko)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10078245A (ja) 調湿システム
KR20190024394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160097693A (ko) 공기조화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4311110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8005081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