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611A -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611A
KR20160097611A KR1020150019500A KR20150019500A KR20160097611A KR 20160097611 A KR20160097611 A KR 20160097611A KR 1020150019500 A KR1020150019500 A KR 1020150019500A KR 20150019500 A KR20150019500 A KR 20150019500A KR 20160097611 A KR20160097611 A KR 20160097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ine
user
discharge
hospit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242B1 (ko
Inventor
조춘래
이관표
하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1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2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62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 복용 관리 방법은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진단에 따른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처방 정보에 따른 약의 복용 정보를 사용자에 알리고, 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약의 배출 정보를 결정한 후, 결정된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약 복용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Description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USER DEVICE AND MEDICATION STORAGE APPARATUS FOR PERFORMING OF THE METHOD}
아래의 설명은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약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약의 복용 정보를 기반으로 약을 배출함으로써, 복용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약 복용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에 감염된 사용자는 질병 치료를 위해 의사의 처방 정보에 따라 처방된 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크게 단기적인 처방이 요구되는 사용자와 장기적인 처방이 요구되는 사용자로 구분이 가능하다.
단기적인 처방이 요구되는 사용자는 감시나 몸살 등과 같이 상황에 따라 3일에서 5일 정도의 치료 기간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동일한 약이 처방된다. 또한, 장기적인 처방이 요구되는 사용자는 당뇨, 암 등과 같이 한달 이상의 치료 기간이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 등과 같이 복약 시간에 따라 다르게 약이 처방되기도 한다.
사용자는 의사로부터 처방된 처방 정보에 따른 복용 방법에 따라 스스로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약을 복용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고령이거나, 약 복용에 대한 인식이 크지 않은 경우 또는 심신이 미약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약을 복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약의 미복용으로 인하여 질병에 대한 회복이 늦어지거나 질병을 오히려 더 키우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관리사들이 일일이 약제 투약시간 및 투약량을 확인하여 환자의 복용을 직접 도와주거나, 통보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보호자 또는 관리사가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을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약을 배출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약을 복용할 수 있는 약 배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약 배출 장치는 사용자의 약 복용 방법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가 복용할 약을 배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약을 복용함에 있어 보다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약 배출 장치는 아침, 점심, 저녁 별로 투약하는 약이 다른 환자이거나 정해진 시간에 불가피하게 약을 복용하지 못한 미 복용 약에 대한 확인 확인이 불가피하다. 다시 말해, 약 배출 장치는 사용자가 약을 미 복용함에 따라 해당 약의 회수가 어렵고, 이로 인한 약 관리가 소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약의 오복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장기간 출장 또는 여행 등으로 인하여 추후에 복용할 약제를 미리 배출하여 지참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약 배출 장치는 이미 설정된 약 배출 시간에 대응하여 약을 배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간에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약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약의 복용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의료진과 약 배출 장치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중개동작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사용자가 약을 복용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의 복용 정보에 따른 약의 배출 여부를 관리하여 사용자의 약 복용 이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의료진으로부터 처방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시작으로 약의 복용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약 복용 이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관리할 수 있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에 따른 요구 사항에 따라 실시간으로 약의 복용 정보를 변환함에 따라 보다 유연한 복약 관리를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른 약 수납 장치로부터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여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 정보는, 상기 병원 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증상에 따라 처방된 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이 센서에 가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의 무게를 측정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약 수납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 정보는 상기 복용 정보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약의 출납 여부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약 수납 장치에 보관된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병원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 정보 또는 처방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가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시지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방 정보는 상기 병원 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증상에 따라 처방된 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정보는 상기 복용 정보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약의 출납 여부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이 센서에 가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의 무게를 측정하여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방법은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조정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한 약의 배출 정보에 따라 상기 약 수납 장치에 보관된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약의 잔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약의 잔여 정보에 따라 병원 또는 약국으로 방문할 것을 알리는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달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를 인지할 필요가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를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은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의료진을 통해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약 수납 장치에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약 수납 장치로부터 복용 여부에 대한 약의 배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약 복용에 따른 건강 상태 또는 개인 스케쥴과 관련된 개인 상태 정보를 상기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조정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복용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른 약 수납 장치로부터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배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병원 시스템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복용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배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배출 정보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의료진을 통해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약 수납 장치에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정보 제공부; 상기 약 수납 장치로부터 복용 여부에 대한 약의 배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배출 정보 전달부;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에 따른 건강 상태 또는 개인 스케쥴과 관련된 개인 상태 정보를 상기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개인 상태 정보 전달부; 및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조정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복용 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약 복용 관리 방법은 약의 복용 정보에 따른 약의 배출 여부를 관리하여 사용자의 약 복용 이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처방된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도록 유도하여 빠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약 복용 이력을 약 수납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개인스케줄에 따라 유연하게 병원 시스템과 접촉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된 약 수납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약 수납 장치 및 약 수납 장치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에 따른 변경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가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에 따른 변경된 복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약 수납 장치(101)는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03)을 이용하여 병원 시스템(102)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의 복용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3)은 병원 시스템(102)으로부터 사용자의 진단에 대응하는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 정보는 의료진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증상에 대응하여 진료한 진단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처방 정보는 진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한 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처방 정보는 사용자의 감기 증상에 대응하여 해열제, 진통제, 위 보호제 등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병원 시스템(102)으로부터 전달된 처방 정보를 페어링된 약 수납 장치(101)에 제공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병원 시스템(102)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에게 처방 정보에 따른 약의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3)은 외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처방 정보 및 처방 정보에 기초한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의 바코드로써, 처방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조제 단말은 약 수납 장치(101)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식별 정보에 포함된 처방 정보에 따라 약을 조제하여 조제된 약을 약 수납 장치(101)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약 조제 단말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약을 조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약국과 연계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약 수납 장치(101)는 약 조제 단말로부터 처방 정보에 따라 조제된 약이 수납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수납 공간을 통해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의 종류, 약의 처방 시간, 요일 등을 고려하여 약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납 동작은 약 조제 단말을 조작할 수 있는 약사에 의해 약 수납 장치(101)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입력된 데이터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103)과 병원 시스템(102)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의 복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복용 정보는 약의 복용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약 복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복용 정보는 현재 복용하는 약에 대응하여 약의 종류, 약의 개수, 투약 시간, 투약 방법 등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약에 대한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3)은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이 배출구로 배출되면서 통로에 가하는 터치 또는 약의 무게를 기반으로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101)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 배출구에 배출된 약을 꺼내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01)는 배출된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약 수납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결과에 분석하여 약의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3)은 생성된 배출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는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한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 (102)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3)은 병원 시스템(102)으로 수신된 처방 정보를 약 수납 장치(10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01)는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101)는 처방 정보에 따른 복용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알람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약을 복용하는 시간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약 수납 장치(101)는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수납 장치(101)는 복용 정보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수납된 약을 배출함에 따라 가해진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배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이 배출됨에 따라 배출구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정보 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배출구는 약이 수납된 공간과 연결된 통로로, 약 수납 장치(10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이 배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복용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복용 시간에 약을 복용한 것으로 인지한 후,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101)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3)과 통신하여 생성된 된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10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의 배출 정보를 기반으로 남은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01)는 판단된 약의 잔여 정보를 외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병원 시스템(102)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의 개인 스케줄에 따라 약을 복용해야되는 복용일수, 복용량 등의 변경에 대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개인 상태 정보를 병원 시스템(102)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개인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변경된 사용자의 복용 정보를 병원 시스템(102)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재 전달된 복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은 약 수납 장치(101) 및 사용자 단말(103) 간에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및 병원 시스템으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된 약 수납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4)은 페어링된 약 수납 장치(201)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약에 대한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4)은 식별 정보 표시부(205), 복용 정보 표시부(206), 배출 정보 생성부(207) 및 병원 시스템 전달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4)의 식별 정보 표시부(205)는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4)의 식별 정보 표시부(205)는 병원 시스템과의 통신을 연결하는 서버(209)를 통해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4)의 식별 정보 표시부(205)는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4)의 식별 정보 표시부(205)는 약 조제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약을 조제받기 위해 처방 정보를 식별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약 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204)의 식별 정보 표시부(205)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에 포함된 처방 정보에 따라 약 수납 장치(201)에 약을 삽입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201)는 약 조제 단말에 의해 내부에 포함된 수납 공간에 처방 정보에 따른 약이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4)의 복용 정보 표시부(206)는 약 수납 장치에 약이 삽입된 이후, 처방 정보에 따른 복용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복용 정보는 사용자의 증상에 따른 사용자의 복약과 관련된 안내 정보로, 사용자의 증상, 약의 종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4)의 복용 정보 표시부(206)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용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빛, 소리, 진동, 문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를 감안하여 사용자가 약 복용 시기를 전달하기 위하여 빛, 소리, 진동, 문자 등 다른 안내 경로를 통해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201)는 사용자 단말(204)의 복용 정보 표시부(206)가 표시하는 복용 정보에 대응하여 수납 공간에 삽입된 약을 배출시키고, 이에 대한 센싱 결과를 사용자 단말(204)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 수납 장치(201)는 배출 센싱부(202) 및 전달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배출구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통해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약이 배출구를 통과하면서 터치 센서에 가하는 압력을 통해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배출구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통해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약이 수납 공간에서 배출됨에 따른 약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약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하중 센서에 통해 측정된 무게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내부에 위치한 수납 공간에 장착된 보호창 또는 배출구에 장착된 보호창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보호창은 수납 공간의 상면으로 배치된 뚜껑 또는 배출구의 입구에 배치된 뚜껑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201)의 배출 센싱부(202)는 보호창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를 통해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하는 구체적인 사항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약 수납 장치(201)의 전달부(203)는 약의 배출 여부에 따른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 결과를 사용자 단말(204)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4)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은 약 수납 장치(201)로부터 센싱된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약에 대한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4)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은 센싱 결과에 따라 수납 공간에서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4)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은 약이 배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4)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은 표시된 복용 정보에 대응하여 센싱된 센싱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복용한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복용된 횟수를 카운팅한 결과로써,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4)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은 배출 정보에 따른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약의 복용 정보에 대하여 하루에 배출되는 약의 횟수가 3회, 총 복용 일수가 5일로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204)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은 약을 배출해야 되는 15번을 기준으로 배출 정보를 차감함으로써, 현재 약 수납 장치에 남아있는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4)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는 생성된 배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배출 정보에 따라 약의 복용 여부에 따른 누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는 센싱 결과를 기초하여 약 수납 장치(201)의 오동작에 따른 오차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배출 정보 생성부(207)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수납공간의 보호막 또는 배출구의 보호막이 오픈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하중 센서 또는 터치 센서가 센싱되면, 약 수납 장치(201)의 오동작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오차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4)의 병원 시스템 전달부(208)는 생성된 배출 정보 및 약의 잔여 정보를 서버(209)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4)의 병원 시스템 전달부(208)는 약 수납 장치(201)의 오동작에 의한 오차도 서버(209)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4)은 병원 시스템과의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서버(209)에 배출 정보 및 잔여 정보를 전달하고, 서버(209)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4)로부터 수신된 배출 정보 및 잔여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9)는 사용자 단말(204)과 병원 시스템에서 송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메모리(211)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4) 또는 병원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211)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4)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줄,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4)은 입력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는 데이터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직접적으로 병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시스템은 전달된 데이터에 따라 실시간으로 답변을 전달해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병원에 방문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시간 이용에 대하여 효율적이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적극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4)은 서버로부터 약 수납 장치와 관려된 사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약 수납 장치 및 약 수납 장치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약 수납 장치(301)는 처방 정보 수신부(302), 식별 정보 표시부(303), 복용 정보 알림부(304), 배출 정보 결정부(305), 병원 시스템 전달부(306) 및 복용 정보 수신부(309)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310)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310)은 처방 정보 수신부(311), 처방 정보 제공부(312), 배출 정보 전달부(313), 개인 상태 정보 전달부(314) 및 복용 정보 수신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310)과 페어링된 약 수납 장치(310)를 통해 사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310)의 처방 정보 수신부(311)는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병원 시스템은 의사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맞춤형 진단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시스템은 생성된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310)의 처방 정보 수신부(31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약을 처방할 수 있는 단말들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기 처방된 약의 복용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의 처방 정보 제공부(312)는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처방 정보를 약 수납 장치(312)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10)과 약 수납 장치(312)는 페어링되어 장치 간에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301)의 처방 정보 수신부(302)는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310)을 통해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진단에 대응하는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처방 정보 수신부(302)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응하여 의사에 의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처방 정보는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약의 종류, 약의 성분, 약의 효능, 사용자의 부작용 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301)의 식별 정보 표시부(303)는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약 조제 단말을 통해 상기 처방된 약을 조제하고, 이를 약 수납 장치에 수납받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이후, 약 조제 단말은 식별 정보에 포함된 처방 정보를 인식하고, 처방 정보에 따른 약을 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조제 단말은 조제된 약을 약 수납 장치에 조제된 약을 수납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301)의 복용 정보 알림부(304)는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약 수납 장치에 수납된 약을 복용하도록 복용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 때, 약 수납 장치(301)의 복용 정보 알림부(304)는 처방 정보에 따른 약 복용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빛, 소리 등을 이용하여 약의 복용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301)의 복용 정보 알림부(304)는 사용자 단말(31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복용 정보를 텍스트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10)은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부착 또는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310)은 스마트 폰, PDA,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약 수납 장치(301)의 배출 정보 결정부(305)는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301)의 배출 정보 결정부(305)는 약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복용 정보에 따른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약 수납 장치(301)의 배출 정보 결정부(305)는 약이 배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을 복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3)이 약 수납 장치(301)으로부터 약의 배출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병원 시스템(102)에 전달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배출 정보는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카운팅한 결과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약 수납 장치(301)의 배출 정보 결정부(305)는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된 경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복용된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배출 정보 결정부(305)는 하루에 배출되는 약의 횟수에 따른 시간별, 요일별로 배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301)의 병원 시스템 전달부(306)는 사용자 단말(310)을 통해 결정된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병원 시스템 전달부(306)는 잔여 정보 판단부(307) 및 전달부(30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잔여 정보 판단부(307)는 결정된 배출 정보를 이용하여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잔여 정보 판단부(307)는 하루에 배출되는 약의 횟수 및 복용일수를 기반으로 현재 남아 있는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잔여 정보 판단부(307)는 하루에 배출되는 약의 복용 시간 별로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잔여 정보 판단부(307)는 아침, 점심, 저녁 별 복용 시간에 대응하여 배출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복용 시간 별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전달부(308)는 판단된 약의 잔여 정보를 약 수납 장치(301)의 외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308)는 사용자 단말(310)로 약의 잔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308)는 약의 잔여 정보 및 생성된 약의 배출 정보를 사용자 단말(3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10)의 배출 정보 전달부(313)는 전달부(308)로부터 전달된 약의 잔여 정보 및 약의 배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병원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병원 시스템은 배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약의 배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받음에 따라 사용자의 약 복용 이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병원 시스템은 확인된 약의 잔여 정보 및 약의 배출 정보를 기반으로 병원 또는 약국을 방문하거나 재진찰 여부를 알리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1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은 전달된 안내 정보를 전달부(308)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전달부(308)는 사용자 단말(310)을 통해 전달된 안내 정보에 따라 약의 잔여 정보에 따라 병원 또는 약국으로 방문할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308)는 안내 정보의 세부 사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가 굳이 내용을 확인하지 않아도 변경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전달부(308)는 병원에 재 방문해야 되는 안내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텍스트 색상, 배경 색상 등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약 수납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함에 따라 현재 복용중인 약의 부족 현상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의사가 처방한 약을 복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호전되지 않는다거나 또는 사용자의 일정이 변경됨에 따라 추가적인 약의 전달받아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10)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10)의 개인 상태 정보 전달부(314)는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10)의 개인 상태 정보 전달부(314)는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병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1)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약의 종류 변경, 약의 개수 증가/감소, 복용 일수 증가 등 사용자의 복용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시스템은 변경된 복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301)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의 복용 정보 수신부(310)는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조정된 복용 정보를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약 수납 장치(30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1)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를 인지할 필요가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약을 복용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301)는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척, 친구들로 하여금 사용자가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기 위해 약의 복용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1)는 쇼셜 네트워크 또는 메시지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복용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309)는 사용자 단말(301)로부터 재 전달된 복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309)는 재 전달된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복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약 수납 장치는 약의 복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이 외부로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 수납 장치는 약 수납 장치의 배출구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통해 약이 배출되면서 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약 수납 장치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에 의한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는 터치가 감지되면 약이 배출되었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터치에 따른 압력의 크기에 따라 약에 의한 터치인지 사용자에 의한 터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의 (a)을 살펴보면 약 수납 장치는 수납된 약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약이 떨어지면서 터치 센서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약이 배출되는 통로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터치 센서는 약이 수납된 공간의 입구, 입구로부터 배출되는 통로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약 수납 장치는 약이 배출됨에 따라 터치 센서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약 수납 장치는 터치 센서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가 약을 꺼내기 위해 배출구에 가하는 충격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약 수납 장치는 수납된 약이 배출됨에 따라 가해지는 1차적인 터치를 감지하고, 배출구에 배출된 약을 사용자가 꺼내면서 가해지는 2차적인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약이 배출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약 수납 장치는 1차적인 터치만 감지되고, 사용자에 의한 2차적인 터치가 감지 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약을 복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는 복용 정보에 따라 배출된 약을 사용자가 복용할 수 있도록 재 알림 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는 복용 정보에 대하여 재 알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중 센서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전달된 상황을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여 병원 시스템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현재 약을 복용 하고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병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는 상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 또는 전화 안내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약 수납 장치는 약의 복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이 외부로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 수납 장치는 약 수납 장치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통해 약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약이 배출됨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배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약 수납 장치는 약의 복용 정보에 대응하여 약을 배출구에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약 수납 장치는 배출구에 약이 배출됨에 따라 약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약 수납 장치는 약이 배출구에 배출됨에 따라 하중 센서를 통해 약의 무게에 의한 하중 센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 수납 장치는 약이 외부로 배출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를 살펴보면,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배출구에 배출된 약이 꺼내짐에 따라 하중 센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는 배출구에 배출된 약이 사용자에 의해 없어짐에 따라 무게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약 수납 장치는 약이 배출됨에 따른 전/후에 발생하는 하중 센서의 변화를 감지하여 약이 배출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약 수납 장치는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을 배출한 이후에 추가적인 하중 센서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약을 복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는 복용 정보에 따라 배출된 약을 사용자가 복용할 수 있도록 재 알림 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는 복용 정보에 대하여 재 알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중 센서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전달된 상황을 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여 병원 시스템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현재 약을 복용하고 있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병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상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 또는 전화 안내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약 수납 장치는 약의 복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이 외부로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 수납 장치는 배출구의 출구에 설치된 보호막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통해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보호막 또는 배출구의 일정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는 보호막과 수납공간이 접촉하는 일정 부분에 위치하여 보호막 또는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는 보호막과 배출구가 접촉한 상태를 '0'으로 인식하고, 보호막과 배출구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1'로 인식할 수 있다. 결국, 약 수납 장치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배출구로부터 보호막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감지하여 약이 배출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약 수납 장치는 배출구의 뚜껑이 오픈되면, 적외선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살펴보면, 약 수납 장치는 보호막과 배출구가 접촉됨에 따라 약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는 보호막과 배출구가 접촉된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고, 배출에 따른 변화된 값을 센싱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살펴보면, 약 수납 장치는 보호막과 수납공간이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약이 배출될 수 있는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약 수납 장치는 디폴트값이 변화함에 따라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가 약을 꺼내기 위해 배출구의 보호막을 오픈하면서 배출구 주변에 가하는 터치 또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터치 또는 무게는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에 따른 변경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개인 스케쥴과 관련된 개인 상태 정보를 상기 병원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조정된 약의 복용 정보를 기초하여 약 수납 장치를 통해 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과 병원 시스템은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과 병원 시스템에 데이터를 전달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과 병원 시스템 입장에서만 동작을 설명하였다.
도 7의 (a)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개인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 및 개인 스케줄에 따른 일정, 이유 등의 약의 복용 정보를 수정하기 위해 해당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약의 잔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약의 과도복용 등 약의 오복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함일 수 있다. 그리고, 병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 및 약의 잔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살펴보면 병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 및 약의 잔여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약의 복용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시스템은 변경된 복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병원 시스템은 추가적인 처방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변경된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병원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 스케줄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증상에 따른 약의 복용일수가 증가되어야 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병원 시스템은 이전에 처방된 약의 잔여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처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시스템은 추가로 처방된 처방 정보에 따라 기존에 제공된 약의 복용 정보를 변경하여 변경된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처방 정보 또는 복용 정보를 수신하여 약 수납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는 처방 정보 또는 복용 정보에 따라 약 조제 단말을 통해 약 수납 장치에 약을 수납시키거나, 복용 정보를 재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801)에서 병원 시스템(102)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증상에 따른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한 진단에 따른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802)에서 병원 시스템(102)은 생성된 처방 정보를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병원 시스템(102)과 사용자 단말(103)은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서버를 통해 병원 시스템(103)으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병원 시스템(103)으로부터 전달된 처방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804)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약 조제 단말은 사용자 단말(103)에 표시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약 수납 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약을 조제할 수 있다.
단계(805)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약 조제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103)에 표시된 식별 정보에 따라 조제된 약이 삽입될 수 있다.
단계(806)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수납된 약의 복용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의 복약 안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 안내 정보는 처방 정보에 따라 약을 복용하기 위한 안내 정보로써, 약의 복용 일시, 기간, 식후, 식전 등 다양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복약 안내 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복용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약의 복용 일시로써, 복약 안내 정보는 i) 아침/점심/저녁 ii) 아침/저녁 iii) 기타(주 1회) 등의 방법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처방 정보에 따라 복약 안내 정보 중 i) 아침/점심/저녁으로 선택된 복용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807)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복용 정보가 표시됨에 따라 약을 배출하라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01)는 수신한 신호에 따라 수납된 약이 배출시키고, 센서를 통해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약 수납 장치(101)는 터치 센서, 하중 센서,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약의 배출과 관련된 신호들을 센싱할 수 있다.
단계(808)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 결과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되는 센싱 결과는 약이 배출됨에 따라 감지된 신호일 뿐, 이에 따른 배출 여부가 판단된 최종 결과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센싱 결과는 약 수납 장치(101)의 오동작에 따른 센싱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9)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약 수납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센싱 결과를 취합하여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3)은 각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하나의 센싱 결과를 통해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거나, 각각의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 결과를 통합하여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3)은 터치 센서, 하중 센서, 적외선 센서 중에 하중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 결과만을 이용하여 무게 변화에 따른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3)은 적외선 센서 및 하중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 결과를 통합하여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3)은 하나의 센서에 대한 센싱 결과를 이용한 배출 정보보다 복수의 센서에 대한 센싱 결과를 이용한 배출 정보가 약의 배출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지수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103)은 약 수납 장치(101)의 오동작을 고려하였을 때, 하나의 센서에서 센싱된 센싱 결과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복수의 센서에서 셍신된 센싱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 결과에 대한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3)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결과를 취합하여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배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약 수납 장치(101)의 오동작 및 사용자의 약 복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생성된 배출 정보를 서버를 통해 병원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가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901)에서 병원 시스템(102)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증상에 따른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한 진단에 따른 처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902)에서 병원 시스템(102)은 생성된 처방 정보를 약 수납 장치(101)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903)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병원 시스템(102)으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3)은 병원 시스템(102)과 약 수납 장치(101) 간의 통신이 이루질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904)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병원 시스템(102)으로부터 생성된 처방 정보를 약 수납 장치(101)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처방 정보에 따라 약을 구입하기 위해 약 조제 단말에 인식할 수 있도록 처방 정보가 변경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약 조제 단말은 표시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식별 정보에 따른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약을 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조제 단말은 조제된 약을 약 수납 장치(101)에 수납시킬 수 있다.
단계(906)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처방 정보에 따라 상기 약 수납 장치(101)에 수납된 약을 사용자가 복용할 수 있도록 복용 정보를 제공 수 있다.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의 복용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약의 복용 시간에 따라 복용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101)는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용 시간에 따른 복용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단계(907)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약 수납 장치로부터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약의 배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수납 장치(101)는 배출구에 설치된 터치 센서 또는 하중 센서 등 약이 배출됨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의 배출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약의 배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이 배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복용 정보에 따른 해당 약을 복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여 배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908)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의 배출 정보를 이용하여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약 수납 장치(101)는 하루에 배출되는 약의 횟수에 따른 복용일수를 기반으로 배출 정보에 따른 현재 남아 있는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909)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잔여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의 잔여 정보에 따라 병원 또는 약국으로 방문할 것을 알리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배출 정보 또는 잔여 정보를 실시간으로 병원시스템(102)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전달된 배출 정보 및 잔여 정보를 병원 시스템(102)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약 수납 장치(101)는 약의 복용 정보에 따른 약의 배출 여부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약 복용 이력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3)을 통해 사용자가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를 인지할 필요가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약을 복용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에 따른 변경된 복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를 병원 시스템(102)에 전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신속하게 약의 복용 정보를 조절할 수 있다.
단계(1001)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개인 스케쥴과 관련된 개인 상태 정보를 상기 병원 시스템(102)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3)은 개인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남아있는 약의 잔여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단계(1002)에서 병원 시스템(102)은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전달된 개인 상태 정보 및 잔여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사용자의 복용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원 시스템(102)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약의 종류 변경, 약의 개수 증가/감소, 복용 일수 증가 등 사용자의 약 복용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1003)에서 병원 시스템(102)은 변경된 복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병원 시스템(102)은 사용자의 개인 상태 정보 및 잔여 정보에 따라 추가적인 처방 정보 또는 변경된 복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1004)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병원 시스템(102)으로부터 변경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복용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약의 복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약 수납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수신한 복용 정보를 기초하여 복용 정보에 따른 약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 단말(103)은 약을 수납하는 약 수납 장치(101)와 약을 처방하는 병원 시스템(102) 간에 중개하는 역할로써, 약의 복용 정보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약 수납 장치(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탈부착 또는 장착되어 약의 복용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약 수납 장치(1101)는 약통, 하나 이상의 센서들,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수납 장치(1101)는 약 조제 단말로부터 약이 삽입될 수 있는 되는 약통(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약 수납 장치(1101)는 약이 배출됨에 따른 배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1102)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104)와 페어링되어 센서로부터 셍신된 센싱 결과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110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4)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4)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정보 및 복용 정보 등 사용자의 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표시부 및 복용 정보 표시부에 따른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4)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정보, 복용 정보, 및 약 수납 장치(1101)로부터 수신한 센싱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4)은 메모리에 저장된 계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센싱 결과에 따른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의 배출 정보 생성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4)는 병원 시스템 또는 약 수납 장치와 연동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가 리드하는 값을 읽은 RAM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4)는 프로세서를 통해 판단된 약의 배출 여부에 따른 배출 정보를 유무선 통신부(1107)을 통해 서버(1109)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유무선 통신부(1107)는 서버(1109), 약 수납 장치(1101)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 수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버(1109)는 유무선 통신부(1110) 및 데이터베이스(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유무선 통신부(1110)를 통해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4)에 전달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110)는 병원 시스템 전달부에 따른 통신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9)는 데이터베이스(1111)를 이용하여 병원 시스템 또는 사용자 단말(1104)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버(1109)는 저장된 데이터를 병원 시스템 또는 사용자 단말(1104)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약 수납 장치(1201)는 약통, 센서(1202), 디스플레이(1203), 프로세서(1204), 유무선 통신부(1205) 및 메모리(1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약 수납 장치(1201)는 도 11의 도시된 약 수납 장치(1201)와 다르게, 디스플레이(1203), 프로세서(1204) 및 메모리(12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1201) 센서(1202)를 통해 센싱된 센싱 결과를 메모리(1206)에 저장하고, 내부적으로 메모리(1206)에 저장된 센싱 결과에 따른 배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205)는 약 수납 장치의 처방 정보 수신부, 병원 시스템 전달부, 복용 정보 수신부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7)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는 메모리(1206)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3)는 약 수납 장치의 식별 정보 표시부, 복용 정보 표시부에 따른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4)는 약 수납 장치의 배출 정보 결정부 또는 잔여 정보 판단부에 따른 사용자의 약 복용과 관련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약 수납 장치(1201)는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7)은 유무선 통신부(1209) 및 메모리(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209)는 처방 정보 수신부, 처방 정보 제공부, 배출 정보 전달부, 개인 상태 정보 전달부, 복용 정보 수신부에 따른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약 수납 장치(1201)에 전달하거나, 약 수납 장치(12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10)는 서버 또는 약 수납 장치(1201)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207)은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 또는 약 수납 장치(1201)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약 수납 장치
102: 병원 시스템
103: 사용자 단말

Claims (24)

  1.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른 약 수납 장치로부터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여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는,
    상기 병원 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증상에 따라 처방된 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의 배출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약 수납 장치의 배출구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이 센서에 가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약 수납 장치의 배출구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의 무게를 측정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약 수납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약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정보는,
    상기 복용 정보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약의 출납 여부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내는 약 복용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약 수납 장치에 보관된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 정보 또는 처방 정보를 송수신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0. 약 수납 장치가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정보는,
    상기 병원 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증상에 따라 처방된 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정보는,
    상기 복용 정보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약의 출납 여부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내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이 센서에 가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된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배출된 약의 무게를 측정하여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조정된 복용 정보를 재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 정보에 기초한 약의 배출 정보에 따라 상기 약 수납 장치에 보관된 약의 잔여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약의 잔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약의 잔여 정보에 따라 병원 또는 약국으로 방문할 것을 알리는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를 인지할 필요가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를 공유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19.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의료진을 통해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약 수납 장치에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약 수납 장치로부터 복용 여부에 대한 약의 배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에 따른 건강 상태 또는 개인 스케쥴과 관련된 개인 상태 정보를 상기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조정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방법.
  22.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복용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른 약 수납 장치로부터 약의 배출 여부에 대한 센싱 결과를 수신하여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배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병원 시스템 전달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3.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병원 시스템을 통해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가 변환된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식별 정보를 통해 인식된 처방 정보에 따라 수납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복용 지시를 나타내는 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복용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복용 정보에 따라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약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배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약의 배출 정보를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병원 시스템 전달부
    를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24.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의료진을 통해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처방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약 수납 장치에 상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 정보 제공부;
    상기 약 수납 장치로부터 복용 여부에 대한 약의 배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배출 정보 전달부;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에 따른 건강 상태 또는 개인 스케쥴과 관련된 개인 상태 정보를 상기 병원 시스템에 전달하는 개인 상태 정보 전달부; 및
    상기 병원 시스템으로부터 개인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조정된 복용 정보를 수신하는 복용 정보 수신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50019500A 2015-02-09 2015-02-09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KR10177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500A KR101773242B1 (ko) 2015-02-09 2015-02-09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500A KR101773242B1 (ko) 2015-02-09 2015-02-09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611A true KR20160097611A (ko) 2016-08-18
KR101773242B1 KR101773242B1 (ko) 2017-09-12

Family

ID=5687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500A KR101773242B1 (ko) 2015-02-09 2015-02-09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511A (ko) * 2018-08-14 2020-02-24 한영훈 약 복용 리마인더 iot시스템
KR102451146B1 (ko) * 2021-05-20 2022-10-06 (주)아이케어닥터 원격 진료, 처방 및 의약품 배송 중개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27B1 (ko) * 2018-11-27 2021-06-16 장민석 증상 기록 및 공유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44646B1 (ko) 2020-06-02 2023-06-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및 복약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511A (ko) * 2018-08-14 2020-02-24 한영훈 약 복용 리마인더 iot시스템
KR102451146B1 (ko) * 2021-05-20 2022-10-06 (주)아이케어닥터 원격 진료, 처방 및 의약품 배송 중개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242B1 (ko)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893U (ja) 携帯型薬剤ディスペンサー
JP3213184U (ja) 点眼剤ディスペンサー
KR100620257B1 (ko) 의료 시스템 및 의학적 자가 치료를 위해 환자에 의해사용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AU2007351001B2 (en) Tablet dispenser system
US20110112686A1 (en) Devic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d/or indicating a medicament dosage regime
KR101773242B1 (ko)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US20140207278A1 (e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WO2010054205A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CN106029126A (zh) 治疗产品传输装置
KR20140028929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WO201507337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KR101732631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WO20201634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high risk substances
US20220211582A1 (en) Inhaler complianc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US20140006040A1 (en) Home healthcare system includ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of dispensing medicines
KR20170089623A (ko) 스마트 복약지도 케이스 및 그 관리방법
US20210398635A1 (en) Medication compliance device
WO20191024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dispensing of mini-tablets
US10409960B2 (en) Full cycle remote pharmacy
JP2017123991A (ja) 薬袋服薬管理装置、薬袋服薬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80391A1 (en)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and system
KR102161346B1 (ko) 약 복용 리마인더 iot시스템
KR20230033783A (ko) 약통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2720A (ko) 자가 건강 관리 시스템, 자가 건강 관리 기능을 갖는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자가 건강 관리 방법
SK852022A3 (sk) Smart dávkovač liekov, automatizovaný systém personalizovaného dávkovania a distribúcie liekov a spôsob použitia tohto systém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