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459A - 라이브 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브 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459A
KR20160096459A KR1020150018143A KR20150018143A KR20160096459A KR 20160096459 A KR20160096459 A KR 20160096459A KR 1020150018143 A KR1020150018143 A KR 1020150018143A KR 20150018143 A KR20150018143 A KR 20150018143A KR 20160096459 A KR20160096459 A KR 2016009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meter
solar cel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이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익 filed Critical 이상익
Priority to KR102015001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6459A/ko
Publication of KR2016009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검침이 가능한 라이브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도 계량기를 동영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확인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 전지 모듈; 상기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전원부;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검침원이 영상플레이버튼을 누르면 설정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플레이버튼으로부터 명령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신호 또는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브 검침 시스템{Live type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라이브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도 계량기를 동영상 촬영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즉, 라이브로 원격 검침이 가능한 라이브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도 계량기 검침은 검침원이 각 가정이나 건물, 공장 산업단지에 방문하여 수도 계량기를 검침하고 이를 수작업으로 기록하거나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여 검침을 수행하고 있다. 수도 계량기는 보통 동파 방지를 위하여 옥내, 지하 맨홀, 무거운 철판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검침원 또는 건물 관리 담당자는 옥내 및 지하맨홀에 직접 들어가거나 방문하여 검침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원격지와 계량기를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원격이나 휴대용 단말기 케이블 방식으로 검침을 시행하는 라이브 검침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원격 라이브 검침 시스템은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검침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수도 계량기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직접 검침 방법은 비용 및 정보 관리의 비효율성이 있고, 수도 계량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사생활 침해 및 검침자의 안전사고 등 검침 부담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시행하고 있는 원격 라이브 검침 시스템의 경우에는 데이터의 보관 및 전송에 따른 서버 부담과 송수신기 및 연결케이블의 오작동으로 인한 데이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검침을 시행하는 검침기에 필요한 전력이 있을 경우 대용량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환하거나 상용 AC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전기 요금 부담이 늘어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옥외에 설치되며 수도 계량기를 원격에서 라이브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하는 라이브 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은, 수도 계량기를 동영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확인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 전지 모듈; 상기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전원부;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검침원이 영상플레이버튼을 누르면 설정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플레이버튼으로부터 명령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영상 촬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신호 또는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태양 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태양 전지와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영상 확인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와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또는 NFC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수도 계량기를 동영상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 계량기의 상방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고, 그 하면이 상기 수도 계량기의 확인부 상면과 접촉되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도 계량기의 수직 상방에서 제 1 각도를 가지는 위치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수도 계량기의 수직 상방에서 제 2 각도를 가지는 위치에 투명 창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수도 계량기의 상면은 접착층에 의해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알림용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열선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영상 촬영이 용이하도록 조명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영상 촬영부는 옥내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 확인부는 옥외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확인부 사이에는 전원선 또는 통신선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영상 확인부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외면이 방수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손쉽게 수도 계량기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라이브 검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100)은, 수도 계량기(1)를 동영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0) 및 상기 영상 촬영부(10)에서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인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확인부(30)는 본체(31)와, 태양 전지 모듈(40)과, 전원부(50)와 디스플레이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31)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확인부(3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술된 상기 태양 전지 모듈(40)과 상기 전원부(5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60) 및 상기 제어부(70)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나 케이스들을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상술된 각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는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는 도 2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상술된 구성 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1)의 일측에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상기 태양 전지 모듈(40)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전원부(50)가 설치되어 상기 태양 전지 모듈(40)에서 발생된 전기를 상기 전원부(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 전지 모듈(4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태양 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50)는, 상기 태양 전지와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태양 전지 모듈(40)은 태양으로부터 생성된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지고,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1)의 측면에 설치되거나, 측면 및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태양 전지 모듈(40)은 태양 전지와 집광 렌즈로 이루어져 태양광을 집광시켜 전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태양 전지는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리콘 태양 전지가 사용될 수도 있고, GaAs 태양 전지, CIGS 태양 전지, CdTe 태양 전지,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유기박막형 태양 전지, nano 태양 전지, Quantum dot 태양 전지, 유무기복합형 태양 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태양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50)는 효율적인 전원 제어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전원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부는 임계 전압값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전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임계 전압값은 상기 전원부(50)가 검침에 사용되는 일정 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전압값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100)은 상용 AC 전원의 공급 없이 검침을 시행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전기 요금 부담이 없고,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선이 없으므로 까다로운 절연 처리 및 방수 처리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검침에 사용되는 일정 전력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확인부(30)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60) 및 검침원이 영상플레이버튼(72)을 누르면 설정시간(T)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플레이버튼(72)으로부터 명령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영상 촬영부(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제어신호 또는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T)은 검침원이 상기 수도 계량기(1)의 미세 확인부(2) 및 숫자 확인부(3)를 확인할 수 있는 15초 내지 20초 정도 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검침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하여 상기 수도 계량기(1)의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도의 누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패널일 수 있으며, 적절하게는 4인치 LCD 패널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플레이버튼(72)은 상기 본체(31)의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0)의 영역 내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60)의 일면을 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10)는 옥내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 확인부(30)는 옥외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 촬영부(10)와 상기 영상 확인부(30) 사이에는 전원선 또는 통신선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확인부(30)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외면이 방수처리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옥외에서 검침원이 상기 영상플레이버튼(72)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상기 수도 계량기(1)의 동영상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검침원은 실시간 동영상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옥내에 설치된 상기 수도 계량기(1)를 옥외에서 검침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주택 및 건물 등 옥내에 설치된 계량기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 검침이 가능하여 비용 및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설정시간(T) 동안만 전원이 인가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확인부(30)는, 상기 전원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 단말기(5)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통신 모듈(8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기(1)를 검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검침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기(1)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5)는 수신 받은 상기 수도 계량기(1)의 검침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5)와 상기 통신 모듈(80)은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지그비 통신 및 wifi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80)은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어 검침원의 특정 단말기를 인식한 후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5)와 데이터 송수신을 이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된 단말기를 소지한 검침원만 상기 영상 확인부(30)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어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5)와 상기 통신 모듈(80)은 비접촉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손쉽게 수도 계량기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라이브 검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10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101)은, 영상 촬영부(10) 및 영상 확인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10)는 하우징(11) 및 카메라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확인부(30)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이브 검침 시스템(100)의 영상 확인부(30)와 구성 요소들과 그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카메라 모듈(12)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적당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구조물 일 수 있으며, 그 하면(11a)이 상기 수도 계량기(1)의 확인부 상면(1a)과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2)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수도 계량기(1)를 동영상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 계량기(1)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수도 계량기(1)의 수직 상방에서 제 1 각도(θ1)를 가지는 위치에 상기 카메라 모듈(12)이 설치되고, 상기 수도 계량기(1)의 수직 상방에서 제 2 각도(θ2)를 가지는 위치에 투명 창(11b)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의 하면(11a)과 상기 수도 계량기(1)의 상면(1a)은 접착층(14)에 의해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14)은 실리콘, 접착제 및 양면 테이프 등 다양한 점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촬영부(10)와 상기 수도 계량기(1)는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안정적으로 상기 수도 계량기(1)의 미세 확인부(2) 및 숫자 확인부(3)를 동영상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창(11b)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기(1)를 직접 검침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영상 촬영부(10)의 고장 또는 오작동에도 상기 수도 계량기(1)를 검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수도 계량기(1)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알림용 온도 센서(16) 및 열선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선은 상기 카메라 모듈(12)의 렌즈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카메라 모듈(12)의 동영상 촬영이 용이하도록 조명(18)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이브 검침 시스템(101)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날씨와 시간에 관계없이 정확한 데이터 검침이 가능하며, 계량기가 설치된 옥내 및 확인부가 설치된 옥외 모두에서 데이터 검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영상 확인부(30)는 우체통 및 도로 표시판 주위 등 검침이 쉬운 곳에 설치가 용이하여 검침에 드는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손쉽게 수도 계량기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라이브 검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수도 계량기를 동영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확인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 전지 모듈;
    상기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전원부;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검침원이 영상플레이버튼을 누르면 설정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플레이버튼으로부터 명령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영상 촬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어신호 또는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라이브 검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태양 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태양 전지와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설치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확인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와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지그비 통신 및 wifi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수도 계량기를 동영상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 계량기의 상방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고, 그 하면이 상기 수도 계량기의 확인부 상면과 접촉되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라이브 검침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도 계량기의 수직 상방에서 제 1 각도를 가지는 위치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수도 계량기의 수직 상방에서 제 2 각도를 가지는 위치에 투명 창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수도 계량기의 상면은 접착층에 의해 접촉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알림용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열선이 설치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영상 촬영이 용이하도록 조명이 설치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옥내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 확인부는 옥외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확인부 사이에는 전원선 또는 통신선이 설치되는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확인부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외면이 방수처리 된 것인, 라이브 검침 시스템.
KR1020150018143A 2015-02-05 2015-02-05 라이브 검침 시스템 KR20160096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143A KR20160096459A (ko) 2015-02-05 2015-02-05 라이브 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143A KR20160096459A (ko) 2015-02-05 2015-02-05 라이브 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459A true KR20160096459A (ko) 2016-08-16

Family

ID=5685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143A KR20160096459A (ko) 2015-02-05 2015-02-05 라이브 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64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3061A (zh) * 2020-01-13 2020-05-01 深圳市中南新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3061A (zh) * 2020-01-13 2020-05-01 深圳市中南新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2875B (zh) 用於控制光學可切換窗之設備、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媒體
US20060279423A1 (en) Stand alone surveillance system
JP2019512748A (ja) 表示デバイスと装置
KR102119269B1 (ko) IoT단말용 태양광 인버터 자동탐색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IoT통신모듈, 이를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CN105453418A (zh) 用于识别太阳能面板的位置的方法和装置
KR20160096459A (ko) 라이브 검침 시스템
KR20200117648A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조명관리 서비스 시스템
JP6225084B2 (ja) 防災用品保管庫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防災システム
KR20120137906A (ko) 송유관 보안 시스템
KR102160418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68920B1 (ko) Led 조명이 결합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CA27068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tank level monitoring
CN105657384A (zh) 一种智能猫眼
CN203151662U (zh) 监视器改良结构
KR102136086B1 (ko) 태양광 발전 예측을 위한 기상 정보 획득 장치
CN103686080A (zh) 一种全方向智能监控系统
CN205302386U (zh) 框架结构中的电子信息储存系统
KR102218258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CN220368515U (zh) 一种太阳能供电基站
KR102199090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20150091921A (ko) 독립전원을 구비한 보안 시스템
TWI841940B (zh) 地域適配型環境監測系統
KR101349254B1 (ko) 도화이미지와 지피에스정보가 합성된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수치정보 기준점 업데이트 시스템
KR101043415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을 이용한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영상 정보 제공 방법
CN218103364U (zh) 一种智能抄表装置、自动抄表装置和相关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