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674A - 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674A
KR20160095674A KR1020150016592A KR20150016592A KR20160095674A KR 20160095674 A KR20160095674 A KR 20160095674A KR 1020150016592 A KR1020150016592 A KR 1020150016592A KR 20150016592 A KR20150016592 A KR 20150016592A KR 20160095674 A KR20160095674 A KR 20160095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put
user
inform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2207B1 (en
Inventor
엄신조
전진우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진우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207B1/en
Publication of KR2016009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6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therefor to provide writing inform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part receiving user input forming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model member comprising multiple dots, lines, and surfaces; and a control part forming th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generating a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generating the QR co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to prevent the cod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ndling a dispute over copyright.

Description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 method therefor,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저작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모델 제작 툴을 이용하여 저작한 저작물에 대한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on a work authored by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ing tool, a method therefor,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3차원 모델링(3D modeling)은 컴퓨터 그래픽스의 분야에서 가상의 3차원 공간속에 재현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모델링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된다. 보통 3차원적인 물체는 3차원 선으로 표현되어 나타나며 렌더링 과정을 통해 실제 물체와 비슷한 양감,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2차원 상의 작도를 통해 공간에 선을 그리고 그려진 선을 이어붙이고 공간에 배치하고 이 선들을 다각형의 면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3차원 모델이 만들어진다. 혹은 3차원 상에 수학적으로 표현되는 기하학 도형으로 표현되거나 도형들을 연산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는 특히 이러한 3차원 모델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며 가상공간의 3차원 모델을 통해 실세계의 물체를 묘사하거나 혹은 물리적 환경을 모델링하여 가상환경 속에서 물체의 모습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최근 3차원 모델링은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와 물리적 실험 시뮬레이션, 건축, 디자인 등의 설계 및 예술의 표현 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다. 3D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creating a mathematical model that can be reproduced in a virtual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field of computer graphics. This modeling is stored in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computer. Normally, a three-dimensional object appears as a three-dimensional line and can have a similar feeling and texture to the actual object through the rendering process. Generally, a three-dimensional model is created by constructing a line in space through a construction on a two-dimensional plane, connecting drawn lines and arranging them in a space, and setting the lines as polygonal faces. Or may be represented by a geometric figure that is expressed mathematically on a three-dimensional basis or by calculating figur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computer graphics, it is possible to express such a three-dimensional model efficiently,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scribe a real-world object through a three-dimensional model of a virtual space, or to model a physical environment to create an object in a virtual environment. Recently, 3D modeling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means of designing and expressing arts such as movies, animations, and advertisements, as well as physical experiment simulation, architecture, and design.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5030호 2008년 10월 28일 공개 (명칭: 3D 캐드 도면의 워터마크 삽입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2008-0095030 Published October 28, 2008 (Name: Watermark embedding method in 3D CAD drawing)

본 발명의 목적은 3D 모델 제작 툴을 이용하여 생성된 저작한 저작물에 대한 원 저작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작물 자체에 은닉하고,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 method for the authoring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method, in which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author of the authored work generated using the 3D modeling tool is concealed in the work itself And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는 복수의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인 부재를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입력에 따라 부재를 형성하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며, 생성된 QR 코드가 부재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부재의 내부 면에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the apparatus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of a user forming a member, which is at least one 3D model of a plurality of points, And a control unit for forming a member according to the input, generating a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user, and generating the generated QR co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복수의 부재를 결합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입력에 따라 복수의 부재를 결합시키고, 복수의 부재 내부의 QR 코드에 복수의 부재 상호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input for coupling a plurality of members through an input unit, combines a plurality of members according to an input, and controls a QR code in a plurality of members Information is ad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부재를 수정을 요청하는 입력이 있으면, 수정을 요청하는 입력에 따라 부재를 수정하고, QR 코드에 수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s a member according to an input for requesting modification if there is an input for requesting modification of one member through an input unit and adds information about the modified details to the QR cod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수정에 따라 QR 코드가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면, QR 코드가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정된 부재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QR c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ified member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the controller moves the QR code within the modified memb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ified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부재에 대한 QR 코드의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요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QR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uthentication for a requesting user if there is an input from a user requesting confirmation of a QR code for any one member through an input unit,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인 부재를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입력에 따라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QR 코드가 부재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생성된 QR 코드를 부재의 내부 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comprising: receiving input of a user forming a member, which is at least one 3D model of a plurality of points, lines, Forming a member in accordance with an input; generating a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on a user; and placing a generated QR co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so that the generated QR co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부재를 결합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입력에 따라 복수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부재 내부의 QR 코드에 복수의 부재 상호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n input coupling a plurality of members,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according to an input; And adding information on the association relationshi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어느 하나의 부재를 수정을 요청하는 입력이 있으면, 수정을 요청하는 입력에 따라 부재를 수정하는 단계와, QR 코드에 수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ying a member according to an input for requesting modification if there is an input for requesting modification of any memb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또한, 상술한 QR 코드에 수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후, 수정에 따라 QR 코드가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면, QR 코드가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정된 부재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QR c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ified member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after the step of adding the information on the revised details to the QR code, And a step of moving the moving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어느 하나의 부재에 대한 QR 코드의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요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인증에 성공하면, QR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comprising: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a requesting user when there is an input of a user requesting confirmation of a QR code for a member; And displaying the QR cod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특히,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부재를 생성하면 해당 부재를 디자인한 원 저작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그 후, 해당 부재가 포함된 복수의 부재를 결합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거나, 해당 부재를 수정할 때, 이력과 그에 따른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모두 기록한다. 그리고 오직, 해당 부재를 디자인한 원 저작자만이 QR 코드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작권에 대한 분쟁을 간결하게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specific member is created, information on the original author designing the member is stored, and thereafter, a simulation of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including the member is performed, When making corrections, record both the history and the operator's information. Only the original authors who design the member can read the QR code and conclude the copyright dispute briefly.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designat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재를 3D 모델로 디자인 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3D 저작 툴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부재는 대표적으로,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기둥, 빔, 서까래, 기와 등과 같은 부속품을 예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가 이러한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부속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D 저작 툴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어떠한 3D 모델이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도 1은 사용자가 디자인한 부재(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자인한 부재(10)는 육면체이며, 외형상으로는 육면체의 특징 외에는 다른 정보는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부재(10)에 대한 저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저작 정보를 내부에 은닉한다. 이러한 저작 정보의 은닉은 QR 코드(11)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디자인한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10)의 내부에는 QR 코드(11)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11)는 부재(10)를 최초로 디자인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원 저작자 정보, 부재(10)를 최초 생성한 시간인 저작 시간, 해당 부재(10)의 규격 등을 포함하는 저작 정보를 포함한다. QR 코드(11)가 3D 모델인 부재(10)의 내부에 표시에 표시되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도 3에 사용자가 디자인한 부재(10)의 전개도를 도시하였다. 도 3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11)는 3D 모델의 내부에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11)가 3D 모델인 부재(10) 내부에 표시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해당 부재(10)를 차용하거나, 도용하는 타인은 QR 코드(11)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없다. 또한, 3D 모델이 닫힌 구조이기 때문에 QR 코드(11)의 존재를 알고 있다고 할지라도 3D 모델을 훼손하지 않고서는 QR 코드(11)를 제거할 수 없다. A user can design a member as a 3D model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application can be a 3D authoring tool. In addition, the member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mplified by accessories such as pillars, beams, rafters, tiles, and the like used in buildings. However, th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essories used in such a building, and any 3D model generated using the 3D authoring tool is possibl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er 10 designed by a user. As shown in Fig. 1, the member 10 designed by the user is a hexahedron, and other information other than the feature of the hexahedron is not appa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or information is concealed in order to provide author information about the member 10. The QR code 11 can be used for concealing such authoring informa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er designed by the user. As shown in the figure, a QR code 11 is displayed inside the memb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R code 11 includes original autho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who originally designed the member 10, authoring time at which the member 10 was initially created, And the like. 3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member 10 designed by the user in order to clarify that the QR code 1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side the member 10 which is the 3D model. As shown in the exploded view of Fig. 3, the QR code 11 is displayed inside the 3D model. 1 to 3, since the QR code 11 is displayed inside the member 10 which is a 3D model, the other person borrows or steals the relevant member 10 is basically a member of the QR code 11 I can not tell if it exists. In addition, since the 3D model is closed, even if the existence of the QR code 11 is known, the QR code 11 can not be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3D model.

한편, 전술한 부재(10)는 건축에서 사용되는 부속품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부재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건축물을 생성하는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이러한 시뮬레이션 절차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부재(20, 30, 40)가 로드될 수 있다. 로드된 복수의 부재(20, 30, 40) 각각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21, 31, 41)가 부재(20, 30, 40) 내부에 존재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복수의 부재(20, 30, 40)의 투시도이기 때문에 QR 코드(21, 31, 41)가 표시되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과 같은 작업 중에는 복수의 부재(20, 30, 40)의 QR 코드(21, 31, 41)는 표시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드된 복수의 부재(20, 30, 4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이 완료되면, 복수의 부재(20, 30, 40)의 QR 코드(21, 31, 41)에는 복수의 부재(20, 30, 40) 상호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다. 여기서,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는 부재(20, 30, 40) 상호간에 결합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 결합되는 부재(20, 30, 40)에 대한 식별 정보, 부재(20, 30, 40)를 결합시킨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재(20, 30, 40) 각각의 QR 코드(21, 31, 41)에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QR 코드(21, 31, 41)를 다시 살펴보면, 언제라도 동일하게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그 부재(20, 30, 40) 상호 간에 결합시켜 건축물을 생성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한 은닉하여 보관할 수 있다. 후에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bove-described member 10 is an accessory used in construction, a user can simulate a virtual building using a plurality of members. Figures 4-6 illustrate some of these simulation procedures. A plurality of members (20, 30, 40) can be load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loaded members 20, 30 and 40 is present inside members 20, 30 and 40, as shown in Figs. 4-6. Figs. 4 to 6 show the QR codes 21, 31, and 41 because they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and 40. Fig.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QR codes 21, 31, and 41 of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and 40 are not displayed during an operation such as a s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and 40, which are load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may be combined as shown in Figs. 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information o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40 is added to the QR codes 21, 31, 41 of the plurality of members 20, 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oupling relationship includes information on a part to be coupled to the member 20, 30, 4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joined member 20, 30, 40,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who made the request,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R codes 21, 31, and 41 of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and 40 include QR codes 21, ), You can rejoin the same at any time. Moreover,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who created the building by combining the members 20, 30, and 40 can also be hidden and stored. If a copyright problem occurs later, it can be solved easi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부재를 디자인한 유효한 인증을 얻은 사용자에게 해당 QR 코드(11, 21, 31, 41)에 기록된 정보를 제공할 때, QR 코드 리더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개도를 제공하거나, QR 코드(10)가 표시되도록 투시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효한 인증을 얻은 사용자는 자신이 디자인한 부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vidi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QR codes 11, 21, 31, and 41 to the user who has obtained the valid authentication designing the member, Or provide a perspective view so that the QR code 10 is displayed. Thus, a user who has obtained valid authentication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a member designed by himself / herself.

그러면, 이러한 저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저작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such authoring information will now be described.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패블릿, PDA, 스마트폰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 apparatus that can drive an application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a tablet, a PDL, a smart phone, and the like.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입력부(110)는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입력부(1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문자 키, 숫자 키,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의 각 종 기능은 표시부(12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120)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s key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0.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devices. For example, it may be a combination of a keyboard and a mouse.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a direction key, and the like.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input unit 110 may be performed by the display unit 120. If the display unit 120 can perform all functions, the input unit 110 may be omitted.

표시부(120)는 제어부(140)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메뉴,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20)는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1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receives data for screen display from the control unit 140 and displays the received data on a screen. The display unit 120 visually provides menus, data,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120 outputs a boot screen, an idle screen, a menu screen, and other application screens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formed by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110 may be performed instead.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저장부(130)는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APP)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APP)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저장부(130)는 사용자의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 정보를 일시 혹은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파일 구조 형식 혹은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can be divided into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may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 application (APP),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30 stores an application (AP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rea is an area where user data generated according to use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s stored. Also,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kind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use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30 may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type of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can be stored in a file structure format or a database format, and can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제어부(140)는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processing the data. The controller 14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or the like.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3D 모델인 부재가 최초 생성되면 QR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생성된 QR 코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부재의 내부에 기록한다. 그리고 부재가 수정되거나, 부재가 타 부재와 결합될 때, 해당 동작을 지시한 사용자에 대한 기록, 수정 내역에 대한 정보 혹은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 등을 QR 코드에 추가한다. 제어부(140)는 유효한 인증을 얻은 사용자만 QR 코드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유효한 인증을 얻은 사용자는 오직 최초로 부재를 생성한 사용자이다. 따라서 QR 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통해 최초로 부재를 생성한 사용자, 즉, 저작권자는 저작권을 용이하게 행사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14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a QR code when a member, which is a 3D model, is generated for the first time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control unit 140 records the generated QR code in the inside of the member so as not to be exposed. When the member is modified or the member is combined with another member, information on the record of the user who instructed th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revision history, or information on the association is added to the QR code. The control unit 140 allows the user who has obtained valid authentication to view the QR code. Here, the user who has obtained the valid authentication is only the first user who has created the member. Therefore, the user who created the first member through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QR code, that is, the copyright owner, can easily exercise the copyrigh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Next, a method for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부재를 3D 모델로 생성하기 위하여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에 로그인해야 한다. 제어부(140)는 S1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로그인은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얻는 것이거나,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을 얻는 것이 될 수 있다.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자신의 계정에 따른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기 저장된 복수의 계정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저작 정보 제공 장치(100) 혹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여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nd 8, a user must log in to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o generate a 3D model of a desired member. In step S110,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a login procedur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Such login may be to obtain the use right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or to obtain the use right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n by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For login, the user can input an ID (ID) and a password (PASSWORD) according to his / her accoun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n, the control unit 140 authenticates the user in the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accounts, and permits the use of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or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부재를 3D 모델로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할 것이다. 이러한 입력은 복수의 점, 선, 면 등을 생성하는 입력이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S120 단계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전술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login is completed, the user will make an input for creating the desired member as a 3D model. Such an input may be an inpu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oints, lines, surfaces,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the input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in step S120.

그러면, 제어부(140)는 S130 단계에서 그 입력에 따라 3D 모델인 부재를 형성한다. 예컨대, 이러한 3D 모델은 도 1에 도시한 부재(10)가 될 수 있다. Then, in step S130, the controller 140 forms a member, which is a 3D model, according to the input. For example, such a 3D model may be the member 10 shown in Fig.

부재가 완성되면, 제어부(140)는 S140 단계에서 로그인한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여 QR 코드(11)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11)를 부재(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부재(10)의 내부 면에 생성한다. 여기서, QR 코드(11)는 부재(10)를 최초로 디자인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원 저작자 정보, 부재(10)를 최초 생성한 시간인 저작 시간, 해당 부재(10)의 규격 등을 포함하는 저작 정보를 포함한다. When the member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the QR code 11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of the user who has logged in in step S14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the QR code 1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10, as shown in FIG. 2 and FIG. Here, the QR code 11 is composed of original autho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designing the member 10 for the first time, authoring time at the time when the member 10 is first created, a specification of the member 10,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재 간의 관계를 추가로 QR 코드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members can be additionally recorded in the QR code. Let's take a look at this.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S210 단계에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로그인 절차는 도 8의 S110 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Referring to Figures 4-6 and 9, the user must perform a login procedure to combine the plurality of member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the login procedure in step S210. This login procedure is as described in step S110 of FIG.

로그인이 완료되면, S2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계정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복수의 부재를 로드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로드된 부재들은 표시부(120)이 일 측에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로드된 부재들은 내부에 QR 코드가 기록되어 있으며, 내부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표시되지는 않는다. When the login is completed, a plurality of members created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s account may be load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in step S220. The loaded members are preferably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20. In particular, the loaded members are not displayed externally because QR codes are recorded therein and are recorded therein.

사용자는 로드된 부재 중 복수의 부재를 선택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복수의 부재를 선택하고 결합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S230 단계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복수의 부재를 선택하고 결합시키는 입력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S240 단계에서 복수의 부재를 상호간에 결합한다. 이러한 예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바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20, 30, 40)이 결합되면, 제어부(140)는 S250 단계에서 복수의 부재(20, 30, 40)의 QR 코드(21, 31, 41) 각각에 복수의 부재(20, 30, 40) 상호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여기서,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는 부재(20, 30, 40) 상호간에 결합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 결합되는 부재(20, 30, 40)에 대한 식별 정보, 부재(20, 30, 40)를 결합시킨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부재(20, 30, 40)를 결합시킨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는 원 저작자가 아닐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부재(20, 30, 40) 각각에 상호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QR 코드(21, 31, 41)를 다시 살펴보면, 언제라도 동일하게 다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 부재(20, 30, 40) 상호 간에 결합시켜 건축물을 생성한 저작자에 대한 정보 또한 은닉하여 보관할 수 있다. The user can select and combine a plurality of members among the loaded members. For this purpose, the user can input and select a plurality of members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n, in step S230,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nd combining the plurality of members through the input unit 11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140 combines the plurality of members with each other in step S240. These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in Figs. 4 to 6. Fig. 4 to 6, when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and 40 are couple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QR codes 21 and 31 of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and 40 in step S250. , 41)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40). 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oupling relationship includes information on a part to be coupled to the member 20, 30, 4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joined member 20, 30, 4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who has made the reques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who has joined the members 20, 30, and 40 may not be the original author. As described above, the QR codes 21, 31 and 41 can be rejoined at any time by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embers 20, 30 and 40,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who created the building by combining the members 20, 30, and 40 can also be hidden and stored.

한편, 어느 하나의 부재는 해당 부재를 생성한 사용자 혹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any one member may be modified by a user who created the member or by another user. Let's look at how to do this.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부재를 수정하기 위해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S310 단계에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로그인 절차는 도 8의 S110 단계 및 도 9의 S210 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10 to 13, the user must perform a login procedure to correct the membe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the login procedure in step S310. This login procedure is as described in step S110 of FIG. 8 and step S210 of FIG.

로그인이 완료 후,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로드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S32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로드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S330 단계에서 해당 부재를 로드한다. 로드된 부재의 예가 도 11의 (A)에 도시되었다. 도 11의 (A)는 부재(10)의 사시도이다. 유의할 점은 로드된 부재는 도 11의 (B)의 부재(10)의 투시도에 보인 바와 같이 내부에 QR 코드(11)가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로드된 부재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11)가 내부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표시되지는 않는다. After the login is complete, the user can enter an input to load at least one member. Then,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an input for loading at least one member in step S320, and loads the corresponding member in step S330. An example of the loaded member is shown in Fig. 11 (A). 11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mber 10. Fig. Note that although the loaded member has the QR code 11 recorded therein 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member 10 of FIG. 11 (B), the actually loaded member can be a QR The code 11 is not displayed outside because it is recorded in the inside.

부재(10)가 로드되면 사용자는 부재(10)를 수정하기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S340 단계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부재의 수정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S350 단계에서 부재(10)를 수정한다. 부재가 수정된 예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는 수정된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부재(10)가 수정되었다. When the member 10 is loaded, the user can make an input to modify the member 1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n input requesting modification of the memb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in step S340. Then, the controller 140 corrects the member 10 in step S350. An example in which the member is modified is shown in Fig.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member. As shown, the member 10 has been modifi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그런 다음, 제어부(140)는 S360 단계에서 수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QR 코드(11)에 추가한다. 여기서, 수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는 해당 부재(10)의 원본으로부터 수정한 부분에 대한 정보(예컨대, 3차원 좌표 등), 로그인한 계정에 상응하는 수정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로그인한 계정에 상응하는 수정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따르면, 해당 사용자는 원 저작자가 아닐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140 adds information on the revised details to the QR code 11 in step S360. Here, the information on the revised details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vised part (for exampl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the like) from the original of the member 10, information on the revised user corresponding to the logged-in account, and the like. He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modified user corresponding to the logged in account, the user may not be the original author.

한편, 수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QR 코드(11)에 추가한 후, 제어부(140)는 S370 단계에서 부재의 수정에 따라 QR 코드(11)가 3차원 모델인 부재(10)의 외부로 노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formation on the revised details is added to the QR code 11, the controller 140 causes the QR code 1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10, which is a three-dimensional model, .

상기 판단 결과, QR 코드(11)가 3차원 모델의 외부로 노출되면, 즉,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QR 코드가 노출되면, 제어부(140)는 S380 단계에서 QR 코드(11)가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정된 부재 내부에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예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었다. 도 12 및 도 13은 수정된 부재(10)의 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의 수정에 따라, QR 코드(11)가 3차원 모델인 부재(10)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11)의 위치를 이동시켜 QR 코드(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QR code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 that is, the QR c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ified memb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ified member.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s. 12 and 13. Fig. Figures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modified member 10. As shown in Fig. 12,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member, the QR code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10 which is a three-dimensional model. Therefore, the controller 140 moves the position of the QR code 11 to prevent the QR code 1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판단 결과, QR 코드(11)가 3차원 모델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S390 단계에서 원 위치 그대로 QR 코드를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QR code 1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3D mode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ler 140 maintains the QR code in the original position in step S390.

도 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재(10)의 수정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 또한 QR 코드(11)에 기록한다. 따라서 원 저작자 및 수정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허가 없이 수정한 경우에도 그 기록을 그대로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Fig. 10, information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member 10 is also recorded in the QR code 11. Fig. Therefore, information on the original author and the modified user can be provided. Even if the modification is made without permission, the record can be stored as it is.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QR 코드는 작업 중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QR 코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QR code is not displayed during the operation. This QR code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QR 코드를 보기 위해서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S410 단계에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로그인 절차는 도 8의 S110 단계 및 도 9의 S210 단계 및 도 10의 S310 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2, 3, 11, and 14, a user must perform a login procedure to view the QR cod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the login procedure in step S410. This login procedure is as described in step S110 of FIG. 8, step S210 of FIG. 9, and step S310 of FIG.

로그인이 완료 후,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로드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S42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로드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S430 단계에서 해당 부재를 로드한다. 로드된 부재의 예가 도 11의 (A)에 도시되었다. 도 11의 (A)는 부재(10)의 사시도이다. 유의할 점은 로드된 부재는 도 11의 (B)의 부재(10)의 투시도에 보인 바와 같이 내부에 QR 코드(11)가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로드된 부재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11)가 내부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표시되지는 않는다. After the login is complete, the user can enter an input to load at least one member. Then, the controller 140 receives an input for loading at least one member in step S420, and loads the corresponding member in step S430. An example of the loaded member is shown in Fig. 11 (A). 11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mber 10. Fig. Note that although the loaded member has the QR code 11 recorded therein 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member 10 of FIG. 11 (B), the actually loaded member can be a QR The code 11 is not displayed outside because it is recorded in the inside.

부재가 로드되면 사용자는 QR 코드를 보기 위해 QR 코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S440 단계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QR 코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S450 단계에서 QR 코드에 기록된 부재(10)를 최초 생성한 사용자, 즉, 원 저작자 정보와 현재 로그인한 계정의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Once the member is loaded, the user can make an input requesting to display the QR code to view the QR cod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n input requesting to display the QR code through the input unit 110 in step S440. In step S450, the controller 140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who originally created the member 10 recorded in the QR code, that is, the original author information and the account currently logged in, and performs authentication.

상기 인증에 따라 제어부(140)는 S460 단계에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판별 결과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S480 단계에서 권한이 없음을 알리는 에러를 출력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authentication,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 step S4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fails, the controller 140 outputs an error indicating that the user is not authorized in step S480.

반면, 인증이 성공되면, 제어부(140)는 S470 단계에서 QR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QR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표시하는 방법은 도 2에서 도시한 투시도를 통해 표시하거나, 도 3에 도시한 전개도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 QR 코드만 따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QR 코드 리더기 등을 이용하여 QR 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QR code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so that the QR c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step S470. A method of displaying the QR code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2 or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eveloped view shown in Fig. Other QR codes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separately.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QR code by using a QR code reader or the lik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부재를 생성하면 해당 부재를 디자인한 원 저작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그 후, 해당 부재가 포함된 복수의 부재를 결합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축물을 생성하거나, 해당 부재를 수정할 때, 이력과 그에 따른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모두 기록하며, 오직, 해당 부재를 디자인한 저작권자만이 QR 코드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작권에 대한 분쟁을 간결하게 해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member is created, information on the original author designing the member is stored, and thereafter, through simulations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including the member, , The history and the information on the worker are recorded, and only the copyright holder designing the member can read the QR code to concisely resolve the copyright dispute. .

특히, 기존의 워터마킹과는 상이하게 타인은 저작물(부재)을 마음대로 수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원 저작자에 대한 정보는 계속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언제라도 저작권을 행사할 수 있다. Particularly, unlike conventional watermarking, a person can arbitrarily modify a work (member). However, si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author is still maintained, copyright can be exercised at any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는 3D 모델이며, 그 내부 QR 코드가 생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 등은 3DP(3-dimensional print)의 분야에서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3DP는 표준 용어로 AM(Additive Manufacturing)이다. AM은 3D 모델을 .stl 파일로 변환하고, 슬라이싱(slicing) 과정을 거친 후, 슬라이싱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레이어 별로 프린팅한 후 적층하여 3D 모델을 그대로 제조한다. 만약,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인 부재를 3D 프린팅 하는 경우 내부에 QR 코드 또한 그대로 출력될 것이다. 따라서 3D 프린팅의 출력물에서도 그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Th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3D model, and its internal QR code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effective in the field of 3DP (3-dimensional print). 3DP is AM (Additive Manufacturing) in standard terms. The AM converts the 3D model into an .stl file, and after slicing, prints a plurality of layers formed by the slicing and stacks them, thereby manufacturing the 3D model as it is. If a 3D member, which is a 3D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D-printed, the QR code will be output as it is. Therefore,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can be known from the output of 3D print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program readable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ROM or a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that ar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wir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wires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저작 정보 제공 장치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00: Author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10: input unit
120:
130:
140:

Claims (7)

복수의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인 부재를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며, 생성된 QR 코드가 상기 부재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부재의 내부 면에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An input for receiving an input of a user forming a member which is at least one 3D model of a plurality of points, lines, and faces; And
And a control unit for forming th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generating a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user, and generating the generated QR co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Wherein the apparatus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복수의 부재를 결합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복수의 부재 내부의 QR 코드에 상기 복수의 부재 상호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when receiving an input for coupling a plurality of members through the input unit, joining the plurality of member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and adding information about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members to the QR code inside the plurality of members Wherein the apparatus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부재를 수정을 요청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수정을 요청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부재를 수정하고, 상기 QR 코드에 수정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editing unit modifies the member according to an input requesting the modification and adds information on the revised details to the QR code when there is an input for requesting modification of any one member through the input unit, Apparatus for provid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정에 따라 상기 QR 코드가 상기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QR 코드가 수정된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정된 부재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Wherein when the QR c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ified member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the QR code is moved within the modified memb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ified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부재에 대한 QR 코드의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요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QR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f there is an input from a user requesting confirmation of a QR code for any one member through the input unit, authentication for the requesting user is performed, and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QR code is display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 device for providing author information.
복수의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인 부재를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QR 코드가 상기 부재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생성된 QR 코드를 상기 부재의 내부 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Receiving input of a user forming a member that is at least one 3D model of a plurality of points, lines, and faces;
Forming the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Generating a QR cod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And arranging the generated QR co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so that the generated QR co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제6항에 따른 저작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auth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claim 6 is recorded.
KR1020150016592A 2015-02-03 2015-02-03 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101752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92A KR101752207B1 (en) 2015-02-03 2015-02-03 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592A KR101752207B1 (en) 2015-02-03 2015-02-03 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674A true KR20160095674A (en) 2016-08-12
KR101752207B1 KR101752207B1 (en) 2017-07-04

Family

ID=5671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592A KR101752207B1 (en) 2015-02-03 2015-02-03 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20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030A (en) 2007-04-23 2008-10-2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Watermarking for 3d cad drawing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8284B2 (en) 2001-12-20 2007-01-17 株式会社リコー 3D shape data browsing control device
KR101194680B1 (en) 2012-03-28 2012-10-29 김경태 Decoration having integrally formed image c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030A (en) 2007-04-23 2008-10-2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Watermarking for 3d cad draw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207B1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nsite construction process controlling for liquefied natural gas industry
KR102362311B1 (en) Claiming data from a virtual whiteboard
Wang et al. VR‐embedded BIM immersive system for QS engineering education
US11829686B2 (en) 3D model validation and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305403B2 (en) Creation of a playable scene with an authoring system
US20170153787A1 (en) Injection of 3-d virtual objects of museum artifact in ar space and interaction with the same
US201302960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Theme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20160012160A1 (en) Building model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use
CN105637564A (en)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unknown objects
CN112154438A (en) Multiple users dynamically editing a scene in a three-dimensional immersive environment
US103033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nline documents
US11270037B2 (en) Playback profiles for simulating construction schedules with three-dimensional (3D) models
CN105027039A (en) Reducing latency in ink rendering
JP2009536404A (en) Text editing in 3D graphics
KR101746477B1 (en) Document collabor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simultaneous style editing of objec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52207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EP3188014B1 (en)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graphic cards
US20200363929A1 (en) Text Editing System for 3D Environment
Ayer et al. Development of ecoCampus: a prototype system for sustainable building design education.
US11327706B2 (en) Infrastructure model collaboration via state distribution
JP2016018363A (en) Game program for display-controlling object arranged on virtual space plane
JP202201400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242485A1 (en) Interactive haptic system f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Hansen et al. Augmented Reality for Infrastructure Information: Challenges with information flow and interactions in outdoor environments especially on construction sites
KR202001174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lecting light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augu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