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214A - 정수기 누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 누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214A
KR20160095214A KR1020150015723A KR20150015723A KR20160095214A KR 20160095214 A KR20160095214 A KR 20160095214A KR 1020150015723 A KR1020150015723 A KR 1020150015723A KR 20150015723 A KR20150015723 A KR 20150015723A KR 20160095214 A KR20160095214 A KR 20160095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oyancy
sensor
water purifi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월드
Priority to KR1020150015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5214A/ko
Publication of KR20160095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는 누수된 물을 담수시키기 위해 정수기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하여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센서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정수기로 제공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누수차단수단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누수차단장치{WATER-LEAKAGE SENSING DEVICE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누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에서 물의 누수 상태를 검출하여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정수기 누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수기 누수 감지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수기 필터의 전,후단에 각각 설치된 저압차단스위치(LPS:Low Pressure Switch) 및 고압차단스위치(HPS:High Pressure Switch)의 스위칭 시간을 이용하여 정수기의 누수를 감지하고, 상기 누수감지에 따라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정수기 누수 감지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근래에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 등이 심각한 수준에 이름에 따라 가정이나 직장에서 수돗물을 식수로 직접 사용하지 않고 정수기를 이용하여 수돗물에서 나온 원수를 정수시킨 후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일반 가정용 및 업소용 뿐만 아니라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 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정수기는 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밸브를 잠궈놓았을 경우에도 정수기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이 항시 가해지고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장기간동안 지속되게 되면, 거의 모든 정수기에서 누수현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이러한 누수현상이 사람들이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심야에 발생될 경우 누수 현상으로 인해 물적, 심적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종래에는 정수기에서의 누수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정수기로의 물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수동식개폐밸브가 사용된 바가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심야시간이나 장시간 외출할 경우 등 필요할 때마다 직접 밸브를 개폐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08299(2004.12.23 공개)에는 저수조에 시수 급수 또는 전해조에 정수 급수 후 또는 파워 온 리셋 이후 일정기간 잔류 유량이 흐른 후에 유량센서가 잔류 유량을 감지하여 누수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 이온 정수기의 누수 방지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누수 방지방법에서는 급수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잔류 유량을 감지하여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급수되는 과정에서의 누수는 감지하기 어려우며, 특히 정수된 물이 배출밸브를 통해 누수되는 경우에는 누수를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정수기에 물이 급수되어 정수되는 과정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계속해서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017531호. (1997.11.0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0007893호. (2000.05.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는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을 집수시켜 담수되는 물의 부력을 통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가 누수 신호를 검출하여 외부로 부터 정수기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켜 누수 현상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는 누수된 물을 담수시키기 위해 정수기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하여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센서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정수기로 제공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누수차단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수차단수단은 상기 정수기 하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설치하여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이 유입공간으로 집수되도록 한 다음 상기 하우징에 형성시킨 개구공에 부력센서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유입공간으로 집수된 물의 부력에 의해 부력센서가 수직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수차단수단은 상기 개구공에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담수량에 맞추어 발생하는 부력을 통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와, 상기 유입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와의 접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접지 신호를 통해 정수기로 원수를 공급하는 제1관로를 개폐시켜 원수 공급 유무를 조절하는 구동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관로에는 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를 통해 밸브의 온/오프를 수행하여 제1관로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구공은 유입공간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공 하단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센서가 개구공에 관통되게 결합하되, 상기 부력센서 외부면에는 제걸림턱과 제2걸림턱 사이에 단턱이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는 누수된 물을 담수시키기 위해 정수기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하여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센서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정수기로 제공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누수차단수단으로 구성하여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을 집수시켜 담수되는 물의 부력을 통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가 누수 신호를 검출하여 외부로 부터 정수기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켜 누수 현상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수차단장치가 설치된 정수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수차단장치가 설치된 정수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정수기 누수차단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누수차단장치가 마련되는 정수기 100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정수기 10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110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 110의 내부 하부는 펌프 120와 복수의 필터 130가 마련되고, 상기 필터 130를 통해 정수된 정수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는 케이스 110의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탱크는 온수탱크와 냉수탱크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에 담수된 냉수 또는 온수의 정수물은 케이스 110 외부에 장착된 취수코크 150를 통해 냉온수를 외부로 취수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취수코크 150는 냉수코크 151와 온수코크 152로 구분된다.
상기의 필터 130, 정수탱크 140 및 취수코크 150는 복수의 관로를 통해 이음된다.
즉, 상기 정수기 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펌프 120로 공급되는 과정, 상기 펌프 120를 통해 압력을 갖는 원수를 필터 130로 공급하여 정수물로 환원시키는 과정 및 정수물을 온수 또는 냉수로 온도변화시켜 저수시키는 정수탱크 140와, 상기 정수탱크 140로를 통해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코크 150를 통해 외부로 취수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수원으로부터 운반된 원수를 이송하는 제1관로 121가 정수기 100 하부에 설치된 펌프 12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관로 121에는 밸브 122가 설치되어 원수의 공급을 유지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 120를 통해 원수가 필터 130로 입수된다.
즉, 정수기 100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필터 130 중 어느 한 개소의 필터 130와 펌프 120는 제2관로 135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필터 130는 침전필터 131, 전처리 카본필터 132, 멤브레인 필터 133 및 후처리 카본필터 134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의 필터 130 들은 연결관으로 상호 순차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침전필터 131는 제2관로 135와 연결되고, 상기 제2관로 135에는 밸브 122가 설치되어 침전필터 131측으로 원수의 공급 유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원수는 복수의 연결관을 통해 침전필터 131, 전처리 카본필터 132, 멤브레인 필터 133 및 후처리 카본필터 134를 거쳐 정수물로 환원된다.
상기 카본필터는 정수탱크 140와 제3관로 141로 연결되어 원수에서 환원된 정수물로 상기 정수탱크 140로 담수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물은 냉수 또는 온수로 온도가 변환된 상태에서 정수탱크 140와 연결된 제4관로 153를 통해 취수코크 150에 연결되어 정수물을 외부로 취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 100는 정수 사용량 및 기간에 따라 정수기 100의 정상적인 정화기능이 계속적으로 수행될수 있도록 수명이 다한 필터 130를 새로운 필터 130로 교환하거나, 상기 정수탱크 140 및 취수코크 150를 청소하여야 하는 유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정수기 100의 유지 관리를 위해 필터 130의 교환 및 구성품의 청소를 위해서 정수탱크 140와 밸브 122, 필터 130, 펌프 120 및 취수코크 150를 연결하는 제1관로 121, 제2관로 135, 제3관로 141, 제4관로 153 및 연결관로 136 등의 일시적으로 분리한 다음 청소 및 교환을 실시하고 난 후 다시 복수의 관로를 해당 구성부품에 연결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때, 제1관로 121, 제2관로 135, 제3관로 141 및 제4관로 153 및 연결관로 136를 해당 구성부품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통해 정수기 100 내부의 부식과 정수물의 손실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수기 100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이를 센싱하여 정수기 100에 원수가 최초 공급되는 시점, 즉 제1관로 121에 설치된 밸브 122를 임의로 오프시켜 원수가 정수기 10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정수기 100 누수 차단장치는 하우징 111과 누수차단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111은 누수된 물을 담수시키기 위해 정수기 100 케이스 110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 111은 복수의 통공 112이 형성되어 정수기 100 내부에서 누수되는 물이 통공 112을 통해 하우징 111의 내부 유입공간 113으로 집수되도록 한다.
즉, 정수기 100의 청소 또는 필터 13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제1관로 121, 제2관로 135, 제3관로 141 및 제4관로 153의 분리 후 조립하는 과정에서 연결 상태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누수의 원인이 된다.
누수되는 물은 정수기 100의 케이스 110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 111의 통공 112을 통해 유입공간 113으로 담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차단수단 200은 케이스 110의 하부에 설치하여 정수기 100에서 누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센서 210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정수기 100로 제공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하우징 111에 형성시킨 개구공 114에 부력센서 210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유입공간 113으로 집수된 물의 부력에 의해 부력센서 210가 수직 상승되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 111의 중앙에 중앙에 개구공 114을 형성하되, 상기 개구공 114은 유입공간 113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공 114 하단부에는 단턱 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공 114에 수직으로 결합시킨 부력센서 210 외부면에는 제1걸림턱 211과 제2걸림턱 212을 형성시키고, 상기 단턱 115이 제1걸림턱 211과 제2걸림턱 21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유입공간 113에 담수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을 통해 부력센서 210가 승하강할 때 제1걸림턱 211과 제2걸림턱 212의 사이 간격 만큼 부력센서 210의 승하강 높이가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정수기 100에서 누수되는 물의 부력 만큼 부력센서 210가 승강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후술 될 누수차단수단 200에 의해 정수기 100로 제공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즉, 상기 누수차단수단 200은 부력센서 210, 센서부 220, 구동부 230로 구성된다.
상기 부력센서 210는 상기 개구공 114에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
입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담수량에 따라 발생하는 부력을 통해 승하강한다.
그리고, 센서부 220는 상기 유입공간 113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 210와의 접지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센서부 220는 리미트 스위치가 적용된다.
즉, 센서부 220에 지렛대 원리로 설치된 레버가 부력센서 210에 의해 회동하여 센서부 220의 몸체부와 접점되면 전기의 흐름 상태를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구동부 230는 상기 센서부 220에 부력센서 210가 접지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정수기 100로 원수를 공급하는 제1관로 121를 개폐시켜 원수 공급 유무를 조절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로 121에는 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122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122에는 상기 구동부 230를 탑재하여 부력센서 210의 접지신호를 통해 구동부 230를 동작시켜 밸브 122가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수행토록 하여 제1관로 121 개폐시킨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수기 100의 청소 또는 필터 13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제1관로 121, 제2관로 135, 제3관로 141 및 제4관로 153의 분리 후 조립하는 과정에서 연결 상태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누수의 원인이 된다.
누수되는 물은 정수기 100의 케이스 110 하부로 떨어져 하우징 111의 통공 112을 통해 유입공간 113으로 담수된다.
담수량이 증가할수록 개구공 114에 내부에 설치된 부력센서 210가 담수된 물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여 부력센서 210가 개구공 114 내부에서 상승한다.
이때, 부력센서 210의 제1걸림턱 211과 제2걸림턱 212이 단턱 115에 의해 상승 높이가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부력센서 210가 상승하면 개구공 114 상부 하우징 111에 설치된 센서부 220와 접지된다.
상기 센서부 220는 부력센서 210의 접지신호를 구동부 230로 인가시켜 상기 구동부 230가 제1관로 121에 설치된 밸브 122를 구동시켜 정수기 100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반대로, 정수기 100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거나, 하우징 111 내부에 담수된 물을 제거하면 부력이 상실되어 부력센서 210는 자중에 의해 개구공 114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부력센서 210와 센서부 220의 접지 상태가 해제되는 신호가 센서부 220로 인가되면 상기 센서부 220는 구동부 230를 구동시켜 밸브 122를 통해 제1관로 121를 밀폐시키 상태를 개방상태로 해제시켜 원수의 공급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는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을 집수시켜 담수되는 물의 부력을 통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가 누수 신호를 검출하여 외부로 부터 정수기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켜 누수 현상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정수기 110 : 케이스
111 : 하우징 112 : 통공
113 : 유입공간 114 : 개구공
115 : 단턱 120 : 펌프
121 : 제1관로 122 : 밸브
130 : 필터 131 : 침전필터
132 : 전처리 카본필터 133 : 멤브레인 필터
134 : 후처리 카본필터 135 : 제2관로
136 : 연결관로 140 : 정수탱크
141 : 제3관로 150 : 취수코크
151 : 냉수코크 152 : 온수코크
153 : 제4관로 200 : 누수 차단장치
210 : 부력센서 211 : 제1걸림턱
212 : 제2걸림턱 220 : 센서부
230 : 구동부

Claims (6)

  1. 누수된 물을 담수시키기 위해 정수기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하여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센서의 동작 신호를 검출하여 정수기로 제공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누수차단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차단수단은,
    상기 정수기 하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설치하여 정수기에서 누수되는 물이 유입공간으로 집수되도록 한 다음
    상기 하우징에 형성시킨 개구공에 부력센서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유입공간으로 집수된 물의 부력에 의해 부력센서가 수직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차단수단은,
    상기 개구공에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담수량에 맞추어 발생하는 부력을 통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와,
    상기 유입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부력센서와의 접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접지 신호를 통해 정수기로 원수를 공급하는 제1관로를 개폐시켜 원수 공급 유무를 조절하는 구동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에는 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를 통해 밸브의 온/오프를 수행하여 제1관로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은 유입공간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공 하단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센서가 개구공에 관통되게 결합하되, 상기 부력센서 외부면에는 제걸림턱과 제2걸림턱 사이에 단턱이 위치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누수 차단장치.
KR1020150015723A 2015-01-31 2015-01-31 정수기 누수차단장치 KR20160095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723A KR20160095214A (ko) 2015-01-31 2015-01-31 정수기 누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723A KR20160095214A (ko) 2015-01-31 2015-01-31 정수기 누수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14A true KR20160095214A (ko) 2016-08-11

Family

ID=5671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723A KR20160095214A (ko) 2015-01-31 2015-01-31 정수기 누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52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31A (ko) 1994-11-14 1996-06-17 김광호 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20020007893A (ko) 2000-07-19 2002-01-29 김승연 인터넷을 이용한 스타 인큐베이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31A (ko) 1994-11-14 1996-06-17 김광호 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20020007893A (ko) 2000-07-19 2002-01-29 김승연 인터넷을 이용한 스타 인큐베이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629B1 (ko) 정수기의 누수감지차단장치
KR20210048149A (ko) 정수기
CN106277206A (zh) 一种净饮机
CN103968229A (zh) 具有信息反馈功能的自动排液装置
KR20200052472A (ko) 유로를 최적화시킨 정수기
CN103086527A (zh) 一种防漏水净水器
RU25119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содержащее регулятор расхода, и фильтр в сборе
KR20130035546A (ko) 직수식 정수기
KR20160095214A (ko) 정수기 누수차단장치
KR101202013B1 (ko) 정수기 직선 급수 유로의 티자형 수도 배관 연결구를 이용한 스탠드 타입 정수기의 다중 누수 차단 구조 및 누수 차단 방법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CN201912809U (zh) 一种净水处理设备
CN105521657A (zh) 一种地埋式油水分离器
KR200416651Y1 (ko)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KR101412890B1 (ko) 정수기용 감압밸브
CN201680998U (zh) 污水预处理装置
KR100726402B1 (ko)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CN208883591U (zh) 一种防冻净水装置
CN208878072U (zh) 一种防冻净水装置
CN208878071U (zh) 防冻净水装置
CN109850994B (zh) 在控制模块与u型滤胆仓之间设置导电触头装置的净水机
KR100813112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유로 개폐장치
KR101116297B1 (ko) 누수 방지형 정수기
CN218268502U (zh) 一种抽油滤油注油设备
KR101660168B1 (ko) 이물질제거용 싸이클론 정수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