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297B1 - 누수 방지형 정수기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형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297B1
KR101116297B1 KR1020090110423A KR20090110423A KR101116297B1 KR 101116297 B1 KR101116297 B1 KR 101116297B1 KR 1020090110423 A KR1020090110423 A KR 1020090110423A KR 20090110423 A KR20090110423 A KR 20090110423A KR 101116297 B1 KR101116297 B1 KR 10111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solenoid valve
leak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755A (ko
Inventor
이동연
김항종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09011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2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방지형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공급하도록 정수기 케이스의 입수 포트와 정수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입수 포트와 인접한 부위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고 취수 코크에 의한 취수 동작 상태 이외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도록 구성하여 정수기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정수기 내부로 물 공급을 차단하여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량 센서 및 누수 경고 장치를 통해 누수 방지 보완 및 누수 경고 기능을 강화한 누수 방지형 정수기를 제공한다.
누수 방지, 연결 배관, 솔레노이드 밸브, 유량 센서

Description

누수 방지형 정수기{Leak-Pro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누수 방지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를 공급하도록 정수기 케이스의 입수 포트와 정수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입수 포트와 인접한 부위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고 취수 코크에 의한 취수 동작 상태 이외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도록 구성하여 정수기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정수기 내부로 물 공급을 차단하여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량 센서 및 누수 경고 장치를 통해 누수 방지 보완 및 누수 경고 기능을 강화한 누수 방지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 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에서도 수질오염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가정에서나 관공서 등 대다수의 곳에서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를 통해 식수를 음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냉온수기는 일반적으로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토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냉온수기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다. 반면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정수 장치를 통해 정수한 후 토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정수기의 내부에도 냉온수기와 마찬가지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의 내부 구조는 수도 원수를 장치 내부에 연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연결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도 배관을 통해 정수기 케이스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고,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연결 배관을 통해 정수 필터로 유입된다. 정수 필터는 일반적으로 4개 또는 5개가 장착되고 있으며, 각 필터 또한 연결 배관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정수 필터를 통과한 정수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저수조에 유입 저장된 후 취수 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저수조는 냉수조 및 온수조로 구분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기의 내부 구조는 수도 원수를 정수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부품들이 사용되며, 이러한 각 부품들을 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연결 배관 및 연결 부품 들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정수기의 내부에서는 연결 배관 또는 부품들의 노후 등에 의해 정수가 누수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상존해 있다. 즉, 정수기의 내부 구조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밸브 없이 수도 배관으로부터 정수기 내부로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연결 배관의 임의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계속해서 수도 배관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사용자가 수도 중간 밸브를 잠그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누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정수기가 설치된 실내로 물이 넘치게 되어 실내 내장재 및 가구 등이 손상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내부에 기계식 누수 차단 장치 등이 장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계식 누수 차단 장치는 장기간 사용에 따라 오동작 또는 고장 등이 발생하여 누수 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부 정수기에는 다수개의 정수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되고 있으나, 이는 누수 사고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정수 필터에 대한 정수량 조절을 위한 것으로 정수기 내부 배관 및 연결 부품을 통한 누수 발생시 누수를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수를 공급하도록 정수기 케이스의 입수 포트와 정수 필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입수 포트와 인접한 부위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고 취수 코크에 의한 취수 동작 상태 이외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도록 구성하여 정수기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정수기 내부로 물 공급을 차단하여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량 센서에 의해 정수 유량을 판단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정수기 내부에 누수 현상이 발생되고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더 이상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누수 방지 효과를 더욱 보완 강화한 누수 방지형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누수 경고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정수기 내부에 누수 현상이 발생되고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누수 발생 사실을 적극적으로 인식시켜 신속한 보수를 유도할 수 있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입수 포트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 필터; 상기 정수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정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와 취수관으로 연결되며 별도의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취수 코크; 상기 케이스의 입수 포트로부터 상기 정수 필터 및 저수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기 입수 포트와 상기 정수 필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장착되어 개폐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취수 코크를 개방하도록 하는 취수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취수 코크를 폐쇄하도록 하는 차단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차단 신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입수 포트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 필터; 상기 정수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의 내측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정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 동작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볼탑 스위치; 정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와 취수관으로 연결되는 취수 코크; 상기 케이스의 입수 포트로 부터 상기 정수 필터 및 저수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기 입수 포트와 상기 정수 필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장착되어 개폐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만수인 상태에서 상기 볼탑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만수 미만인 상태에서 상기 볼탑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정수 필터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상기 저수조와 인접한 부위에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 버튼 또는 상기 볼탑 스위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는 누수 경고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 버튼 또는 상기 볼탑 스위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누수 경고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수를 공급하도록 정수기 케이스의 입수 포트와 정수 필 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입수 포트와 인접한 부위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고 취수 코크에 의한 취수 동작 상태 이외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도록 구성하여 정수기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정수기 내부로 물 공급을 차단하여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량 센서에 의해 정수 유량을 판단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정수기 내부에 누수 현상이 발생되고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더 이상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누수 방지 효과를 더욱 보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누수 경고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정수기 내부에 누수 현상이 발생되고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누수 발생 사실을 적극적으로 인식시켜 정수기에 대한 신속한 보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개략적인 외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구조는 취수 코크(300)의 작동 방식이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식 정수기 또는 취수 코크(300)의 작동 방식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일반 기계식 정수기 양측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누수 방지형 전자식 정수기가 도시된 것으로, 이러한 전자식 정수기는 정수기의 전면에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취수 버튼(310)이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취수 버튼(310)이 조작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취수 코크(300)가 개방되어 정수가 취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입수 포트(11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정수 필터(F)와,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200)와, 저수조(200)에 연결된 취수 코크(300)와, 각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500)과, 연결 배관(500) 상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40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전면부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취수 버튼(310) 및 취수 코크(300)가 장착되며 취수 코 크(300)의 하부에는 취수 코크(300)로부터 토출된 물이 실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취수 받침대(301)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후면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코드(미도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장착되고, 수도 배관(P)을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수도 원수가 공급되도록 수도 배관(P)과 연결되는 입수 포트(110)가 형성된다. 입수 포트(110)의 내측에는 연결 배관(500)이 연결되어 수도 배관(P)을 통해 공급된 수도 원수가 정수 필터(F)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도 배관(P)과 연결 배관(500)은 동일한 하나의 배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입수 포트(110)의 내외측에 각각 별도로 결합되는 배관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정수 필터(F)는 연결 배관(500)을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통과하며 필터링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케이스(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다. 이러한 정수 필터(F)는 일반적으로 원수에 혼입된 부유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고 냄새를 소취하며 수인성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등의 필터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필터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주로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 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중공사막 필터(UF:Ultra Filter)/역삼투압 필터(Reverse Osmosis), 포스트 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 필터(F)는 정수기의 성능 및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수조(200)는 정수 필터(F)를 통과한 정수가 저장되는 수조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조(210)와 온수조(220)로 분리 형성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 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하나의 저수조(200)와 이에 연결된 별도의 냉수조 및 온수조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지 않고 상온수만 공급하도록 하나의 저수조(2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수조(200)가 냉수조(210)와 온수조(220)로 분리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조(210)와 온수조(220)가 상하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냉수조(210)의 내부에는 분리판(211) 및 온수 연결관(212)이 형성되며, 온수 연결관(212)의 하단에 연결 호스(213)가 결합되어 온수조(220)와 연결된다. 따라서, 냉수조(210)로 공급된 정수는 분리판(211), 온수 연결관(212) 및 연결 호스(213)를 통해 온수조(2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온수조(220)에는 내부의 압력 상승에 따른 증기 배출을 위해 별도의 증기 배출관(223)이 필요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취수 코크(300)는 사용자가 정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장착되며, 정수가 저장된 저수조(200)와 별도의 취수관(222)으로 연결되어 취수 코크(300)의 개방시 저수조(200)로부터 취수관(222)을 통해 정수가 취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취수 코크(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100)의 전면에 장착된 취수 버튼(310)의 조작에 의한 전기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는 전자식 정수기로서, 취수 코크(300)가 솔레노이드 밸브 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취수 버튼(310)을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취수 코크(300)가 개폐되며 취수 코크(300)를 통해 물이 취수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취수 버튼(310)은 취수 버튼(310)을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 취수 코크(300)를 개방하도록 취수 신호를 발생하고 누르는 동작이 해제되면 취수 코크(300)를 폐쇄하도록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배관(500)은 원수 및 정수의 흐름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입수 포트(110)로부터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된 부품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데, 입수 포트(110)로부터 정수 필터(F)로 수도 원수가 공급되도록 입수 포트(110)와 정수 필터(F)를 연결하며, 이때, 정수 필터(F)가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정수 필터(F)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이후 정수 필터(F)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정수가 저수조(200)로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정수 필터(F)와 저수조(200)를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수 포트(110)를 통해 정수기의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수도 원수는 연결 배관(500)을 통해 정수 필터(F)로 공급된 후 정수 필터(F)를 통과하며 필터링되고, 이후 연결 배관(500)을 통해 저수조(200)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사용자에 의해 취수 버튼(310)이 조작되어 취수 코크(300)가 개방되면 저수조(200)에 공급된 정수가 취수 코크(300)를 통해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이와 같은 원수 및 정수의 흐름이 발생되는 전자식 정수기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수 포트(110)와 정수 필터(F)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500) 상에 장착된다. 또한, 제어부(800)는 취수 버튼(310)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폐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사용자가 취수를 위해 취수 버튼(310)을 조작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고, 사용자의 취수 버튼(310) 조작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취수 버튼(310)을 사용자가 누르는 동안 취수 코크(300)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취수 버튼(310)을 사용자가 누르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취수 코크(300)가 개방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고, 취수 버튼(310)을 사용자가 누름 해제하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취수 코크(300)가 폐쇄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사용자가 취수 버튼(310)을 통해 정수를 취수하는 동안에만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고 정수를 취수하지 않는 동안에는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정수기 내부의 연결 배관(500) 또는 연결 부품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폐쇄에 따라 정수기 내부로 물 공급이 차단되므로 계속적인 누수가 방지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위치는 물의 흐름을 따라 정수 필터(F)의 전방 구간에서 입수 포트(110)에 인접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이후 구간에서 발생되는 누수 현상은 연결 배관(500)에 존재하는 물의 누수 이외에는 더 진행되지 않고 방지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정수기에서 발생되는 누수 사고는 정수기 내부의 연결 배관 등에서 누수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연속적으로 수도 원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막대한 손실을 발생하는 누수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 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정수기는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400)를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입수 포트(110) 부분에 장착함으로써, 정수기 케이스(100) 내부의 전 구간에서 발생되는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취수 코크(300)에 의한 취수 동작 시간 이외에는 항상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정수기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정수기 내부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므로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방지된다.
이 경우 최대 누수량은 솔레노이드 밸브(400) 이후 구간에 형성된 연결 배관(5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양에 해당되며, 이 정도 양의 물은 누수되더라도 커다란 누수 사고로 이어지지 않고, 이러한 작은 양의 누수로 인해 사용자가 정수기의 누수를 인식할 수 있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취수 버튼(310)의 조작에 의해 취수 코크(300)를 개방하도록 하는 취수 신호가 발생되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도록 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취수 버튼(310)의 조작에 의해 취수 코크(300)를 폐쇄하도록 하는 차단 신호가 발생되면, 차단 신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되도록 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수기의 동작 특성상 저수조(200)에 저장된 정수의 수위는 만수 상태가 되도록 유지되고, 이러한 만수 상태에서 취수 코크(300)를 통해 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동작 특성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취수 버튼(310)에 의해 차단 신호가 발생함과 동시에 폐쇄되지 않고 저수조(200)의 수위가 만수 상태가 되도록 일정 시간 동안 물이 계속 공급되도록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일정 시간 이후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폐쇄 시점은 정수기의 성능 및 필터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수조(200)의 내부 상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볼탑 스위치(6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볼탑 스위치(600)는 저수조(200)의 수위가 만수가 되면 정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폐쇄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볼탑 스위치(600)는 저수조(200)의 수위에 따라 개폐동작하며 각각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볼탑 스위치(6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도 1 및 도 2와 달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별도의 취수 버튼(310)이 구비되지 않고 취수 코크(300)의 기계적 동작에 의해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기계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이다. 이러한 기계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원수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입수 포트(11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정수 필터(F)와,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200) 와, 저수조(200)의 내부 상단에 장착되는 볼탑 스위치(600)와, 저수조(200)에 연결된 취수 코크(300)와, 각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500)과, 연결 배관(500) 상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40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전술한 전자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와 유사한 구조를 이루므로 여기에서는 전자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케이스(100)의 내부에 정수 필터(F) 및 저수조(200)가 장착되며, 취수 코크(300)는 저수조(200)와 취수관(222)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취수 코크(300)를 조작하면 취수 코크(300)를 통해 정수가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취수 코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타입으로 구성되어 레버를 누르면 정수가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기계적 메카니즘에 의해 취수 코크(300)가 개방되는 형태의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 포트(110)와 정수 필터(F)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500) 상에 입수 포트(11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전기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기계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저수조(200)의 내측 상단에 볼탑 스위치(600)가 장착되어 저수조(200)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저수조(200)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탑 스위치(600)는 저수조(200)의 수위에 따라 개폐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볼탑 스위치(6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수가 저수조(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연결 배관(500)에 연결 결합되어 저수조(200)의 상단에 관통 설치되는 볼탑 파이프(610)와, 볼탑 파이프(6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볼탑 블록(620)과, 볼탑 블록(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레(630)와, 회전 부레(63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스위치(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부레(630)는 부력에 의해 볼탑 블록(62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 부레(630)의 회전에 따라 볼탑 파이프(610)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 스위치(640)은 회전 부레(63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회전 부레(630)가 최대 상승 회전한 경우 저수조(200)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치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볼탑 스위치(600)에 대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저수조(200)에 정수가 유입되어 만수가 되면, 볼탑 스위치(600)의 회전 부레(630)가 상승 회전함으로써, 볼탑 파이프(610)가 폐쇄되어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회전 부레(630)의 일측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640)가 저수조(200)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며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800)는 이러한 볼탑 스위치(600)의 전기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폐되도록 제어한다. 즉, 저수조(200)의 수위가 만수인 상태에서 볼탑 스위치(600)에 의해 전기 신호가 생성되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되도록 제어되고, 저수조(200)의 수위가 만수 미만인 상태에서 볼탑 스위치(600)에 의해 전 기 신호가 생성되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볼탑 스위치(600)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신호는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640)에 의한 전기 신호로 온/오프 방식의 신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사용자에 의해 취수 코크(300)가 조작되어 저수조(200)의 물이 취수된 경우, 저수조(200)의 수위가 만수 미만이 되어 볼탑 스위치(600)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되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볼탑 스위치(600)를 통해 저수조(200)로 물이 공급되어 저수조(200)의 수위가 만수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볼탑 스위치(600)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되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취수 코크(300)를 통한 물의 취수 동작 상태에서만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고, 물의 취수 동작 이외의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항상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정수기 내부에서 물이 누수되더라도 솔레노이드 밸브(400)에 의해 정수기 내부로의 물 공급이 차단되어 계속적인 누수가 방지되는 구조이다. 이는 전술한 전자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와 마찬가지 원리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원리와 관련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동작 상태와 장착 위치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 및 기계식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모두 입수 포트(110)와 인접한 부위에 솔레노이드 밸브(400)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동안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계속적인 누수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정수기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수 필터(F)와 저수조(200)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500) 상에 저수조(200)와 인접한 부위에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 센서(7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800)는 취수 버튼(310) 또는 볼탑 스위치(600)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량 센서(700)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전자식 및 기계식 정수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가 누수 현상을 인식하지 못하고 정수기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계속적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정수기 내부의 임의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이후 구간에 존재하는 물만이 누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수 현상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전자식 정수기의 경우, 사용자가 취수 버튼(310)을 누르게 되면, 저수조(200)로부터 취수 코크(300)로 물이 토출되고, 이와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되면, 연결 배관(500)을 통해 물이 정수기 내부로 공급되는데, 이러한 물은 정수기 내부의 누수 지점에서 일부 또는 전부 누수되어 물 공급량이 감소되어 저수조(200)에 공급되거나 또는 아예 저수조(200)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물 공급량의 감소는 유량 센서(700)에 의해 측정되고, 유량 센서(700)에 의해 측정된 물 공급량의 감소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수 현상을 인식하지 못하고 정수기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정수기는 더 이상의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기계식 정수기의 경우에도, 정수기의 내부 임의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수 코크(300)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200)로부터 취수 코크(300)로 물이 토출되고, 이와 동시에 저수조(200)의 수위가 낮아져 볼탑 스위치(600)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된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전자식 정수기와 마찬가지 동작 과정에 따라 유량 센서(700)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다시 폐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정수기 또한 사용자가 누수 현상을 인식하지 못하고 정수기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에도 더 이상의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누수 방지 기능에 대한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전자식 및 기계식 모두 입수 포트(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솔레노이드 밸브(400)에 의해 정수 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방지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식 정수기의 경우에는 취수 버튼(310)의 동작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폐되도록 제어되고, 기계식 정수기의 경우에는 볼탑 스위치(600)의 전기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폐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장치로 별도의 유량 센서(700)를 저수조(200)의 상단과 인접한 부위에 장착하고, 유량 센서(700)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물이 취수되는 경우에도 솔레노이드 밸브(400)를 개방하지 않고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유량 센서(700)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400)를 개폐하는 구성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정수기의 계속적인 누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는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누수 발생 사실을 적극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누수 경고 장치(900)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수 경고 장치(9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고등이 점멸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경고음이 발생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누수 발생이 인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누수 경고 장치(900)는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취수 버튼(310) 또는 볼탑 스위치(600)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량 센서(700)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누수 경고 장치(900)가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정수기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유량 센서(700)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을 판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폐쇄되도록 동작하여 더 이상의 계속적인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누수 경고 장치(900)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누수 발생 사실을 경고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개략적인 외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형 정수기의 누수 방지 기능에 대한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입수 포트
200: 저수조 300: 취수 코크
400: 솔레노이드 밸브 500: 연결 배관
600: 볼탑 스위치 700: 유량 센서
800: 제어부 900: 누수 경고 장치

Claims (5)

  1. 원수가 공급되도록 일측에 입수 포트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 필터;
    상기 정수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정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와 취수관으로 연결되며 별도의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하는 취수 코크;
    상기 케이스의 입수 포트로부터 상기 정수 필터 및 저수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기 입수 포트와 상기 정수 필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장착되어 개폐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취수 코크를 개방하도록 하는 취수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취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취수 코크를 폐쇄하도록 하는 차단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차단 신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필터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에 상기 저수조와 인접한 부위에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 버튼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는 누수 경고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수 버튼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누수 경고 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형 정수기.
KR1020090110423A 2009-11-16 2009-11-16 누수 방지형 정수기 KR10111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23A KR101116297B1 (ko) 2009-11-16 2009-11-16 누수 방지형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23A KR101116297B1 (ko) 2009-11-16 2009-11-16 누수 방지형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755A KR20110053755A (ko) 2011-05-24
KR101116297B1 true KR101116297B1 (ko) 2012-03-14

Family

ID=4436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423A KR101116297B1 (ko) 2009-11-16 2009-11-16 누수 방지형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2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404B1 (ko) * 1998-12-28 2001-03-02 정휘동 정수기용 자동원수차단장치
KR100502305B1 (ko) 2003-06-17 2005-07-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온 이온 정수기의 누수 방지 방법
KR200428877Y1 (ko) 2006-08-01 2006-10-16 김재봉 정수기 누수 감지장치
KR20090002858A (ko) * 2007-07-04 2009-01-09 이재영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404B1 (ko) * 1998-12-28 2001-03-02 정휘동 정수기용 자동원수차단장치
KR100502305B1 (ko) 2003-06-17 2005-07-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온 이온 정수기의 누수 방지 방법
KR200428877Y1 (ko) 2006-08-01 2006-10-16 김재봉 정수기 누수 감지장치
KR20090002858A (ko) * 2007-07-04 2009-01-09 이재영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755A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629B1 (ko) 정수기의 누수감지차단장치
CN101182048A (zh) 一体式循环净化净水器
CA2630332A1 (en) Recycling of waste water
CN106277206A (zh) 一种净饮机
KR20100084832A (ko) 드레인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얼음정수기
CN106396189A (zh) 一种带水质检测的免安装反渗透纯水机系统
KR101116297B1 (ko) 누수 방지형 정수기
CN202044113U (zh) 饮用水装置及其气液分离件
JP3174016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KR101202013B1 (ko) 정수기 직선 급수 유로의 티자형 수도 배관 연결구를 이용한 스탠드 타입 정수기의 다중 누수 차단 구조 및 누수 차단 방법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JP3831732B2 (ja) 加湿器
CN105668826A (zh) 净饮设备
JP2006328946A (ja) 通水装置
CN212066492U (zh) 一种外置加热装置的储水式净水器
KR101262109B1 (ko) 정수기
KR20120096825A (ko) 정수기의 온수 제어 장치
CN207468384U (zh) 一种家用纯水器
CN205917037U (zh) 一种净水机
KR101987470B1 (ko) 정수기
CN201485292U (zh) 曝气式即时净化型微孔陶瓷净水器
CN211559749U (zh) 一种直饮水机
CN214964631U (zh) 一种基于压力测量组件的水电联动系统
CN101585616B (zh) 曝气式即时净化型中空纤维净水器
JP3175413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