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23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233A
KR20160094233A KR1020150015602A KR20150015602A KR20160094233A KR 20160094233 A KR20160094233 A KR 20160094233A KR 1020150015602 A KR1020150015602 A KR 1020150015602A KR 20150015602 A KR20150015602 A KR 20150015602A KR 20160094233 A KR20160094233 A KR 20160094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drx
license
band
channel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191B1 (ko
Inventor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5001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191B1/ko
Priority to PCT/KR2015/013601 priority patent/WO2016122113A1/ko
Publication of KR2016009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AA(Licensed Assisted Access)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RX 동작 방법은 상기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관한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기반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 단말이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을 비면허(unlicensed) 대역에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lar)는 서비스 지역의 제한, 주파수 및 가입자 수용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개념으로서,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을 여러 개의 작은 셀(cell)단위로 나눠서 공간적으로 주파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셀 내부의 핫스팟(hotspot)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특별히 많은 통신 수요가 발생하고, 셀 경계(cell edge) 또는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전파의 수신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핫스팟, 셀 경계, 커버리지 홀 등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크로 셀(Macro Cell)내에는 스몰 셀(small cell)들, 예를 들어,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릴레이(relay), 중계기(repeater)등이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라 부른다.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매크로 셀은 커버리지(coverage)가 큰 셀(large cell)이고, 펨토 셀과 피코 셀과 같은 스몰 셀은 커버리지가 작은 셀이다.
그러나 무선 통신 트래픽이 급증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소형 셀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다 많은 주파수 확보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기반으로 면허 대역(licensed band) 뿐 아니라 WiFi 대역과 같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의 주파수들을 활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CA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continuous) 또는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단말의 수신회로에 의한 전력소모량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며, 지속적인 수신회로의 동작은 단말의 전력소모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의 전력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를 지원한다. DRX는 단말이 소정 기간(즉, 슬립(sleep) 기간 혹은 비활성(inactive) 시간) 동안 PDCCH(Packet Data Control CHannel)의 모니터링을 멈출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말하며, 단말은 DRX 모드에서 일정한 주기로 활성 시간과 비활성 시간을 반복한다. 여기서, 활성 시간은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시간을 의미하고, 비활성 시간은 PDCCH의 모니터링을 멈추는 시간을 의미한다.
하지만 비면허 대역은 경쟁적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CA가 구성된 경우 기존의 DRX 동작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일 예로, 비활성 시간 동안에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한 경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말은 DRX 동작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이 DRX 동작 중에도 항상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한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면, 단말의 전력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DRX 동작에 대한 정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에 대한 DRX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이용하여 반송파 집성이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을 위한 DRX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방법은 상기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관한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기반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상기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구성하는 구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RF 부 및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이 구성된 경우에도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하는 DRX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위한 DRX 동작을 올바르게 지원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비면허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AA 배치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DRX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DRX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을 위한 타이밍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DRX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DRX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망 구조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FDMA(Single Carrier- 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은 단말에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eNB), 피코 기지국(pico-eNB), 홈기지국(Home eN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2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cell)은 상향 및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이 항상 쌍(pair)으로 존재한다.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은 현재 단말(10)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기지국을 의미하고, 타겟 기지국(Target BS, 22)은 단말(10)이 소스 기지국(21)과의 무선 베어러를 끊고 새롭게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하려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간의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또한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S(Evolved Packet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MME/S-GW(30)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DN-GW(40)이 사용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라고도 하며, 상향링크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라고도 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 방식으로서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CA)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CA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Cell: primary serving cell)과 부서빙셀(SCell: secondary serving 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Non-Access Stratum)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빙셀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AA 배치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낸다.
매크로(macro) 셀과 마이크로(micro) 셀의 단순한 셀 분할로는 증가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그리고 무선 릴레이 등의 스몰 셀들이 데이터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몰 셀은 매크로 셀에 비해 작은 지역에 대하여 서비스하기 때문에 단일 단말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는 쓰루풋(Throughput) 측면에서 매크로 셀에 비하여 유리하다. 하지만, 무선 통신 트래픽이 급증함에 따라 쓰루풋 향상을 위하여 보다 많은 주파수 확보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면허 대역(licensed band) 뿐 아니라 WiFi 대역과 같은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주파수들을 활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면허 대역의 통신 기법의 지원 하에 비면허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LAA(License Assisted Access)라 함은 면허 대역 또는 스펙트럼(spectrum)에서 동작하는 주서빙셀의 보조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서빙셀들에 대한 CA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법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LAA는 LTE 면허 대역을 앵커(anchor)로 하여,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CA를 이용하여 하나로 묶는 기술이다. 이 경우 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 중 하나가 주서빙셀로 사용되고 비면허 대역내 서빙셀들은 항상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은 CA를 통해서만 활성화되고 단독으로는 LTE 통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면허 대역으로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기지국이 상황에 따라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을 CA로 결합하여 면허 대역의 트래픽(traffic)을 비면허 대역으로 오프로딩(offloading)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다양한 LAA 배치 시나리오들이 도시되어 있다. 각 시나리오에서 면허 반송파(licensed carrier) 및 비면허 반송파(unlicensed carrier)의 수는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시나리오 1은 면허 반송파인 F1(frequency 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이 반송파 집성(CA)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은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될(non-co-located) 수 있고,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나리오 2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외에(without macro cell coverage)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이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스몰 셀#1과 상기 스몰 셀#2은 서로 동일장소에 배치될(co-located) 수 있고, 따라서 서로 이상적 백홀을 가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나리오 3은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1이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가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1은 서로 이상적 또는 비이상적(non-ideal) 백홀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상기 스몰 셀#2는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및 co-located)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나리오 4는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이 있고, 스몰 셀#1과 스몰 셀#2이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1은 서로 이상적 또는 비이상적(non-ideal) 백홀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상기 스몰 셀#2은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및 co-located)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1이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된 경우, 상기 매크로 셀(F1), 상기 스몰 셀#1(F2) 및 상기 스몰 셀#2(F3) 간에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비면허 대역은 경쟁적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CA가 구성된 경우 기존의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일 예로, 단말의 비활성 시간(inactive time) 동안에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한 경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말은 DRX 동작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이 DRX 동작 중에도 항상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한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면, 단말의 전력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이 LAA 기반으로 CA를 수행할 때, 비면허 대역에서의 개선된 DRX 동작 방법이 요구된다.
도 3,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RX 동작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DRX 동작에 관련된 구체적인 파라미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을 위한 타이밍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면허 대역에서 하나의 주서빙셀(PCell)과 하나의 제1 부서빙셀(SCell#1)이 구성되고, 비면허 대역에서 하나의 제2 부서빙셀(SCell#2)이 구성된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에서의 주서빙셀, 부서빙셀의 개수 및 조합의 시나리오들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부서빙셀(SCell#1 및 SCell#2)은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 상태로 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2)은 현재 활성화 상태임을 가정한다.
시간 축 상에서 하나의 시스템 프레임(system frame)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두 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의 전력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불연속 수신(DRX)을 지원한다. DRX는 단말이 소정 기간(슬립(sleep) 기간 혹은 비활성(inactive) 시간) 동안 PDCCH의 모니터링을 멈출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말한다.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DRX 모드에서 일정한 사이클로 활성 시간과 비활성 시간을 반복하는데, 이를 DRX 동작(operation)이라 한다. 여기서, 활성 시간은 PDCCH(Packet Data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시간을 의미하고, 비활성 시간은 PDCCH의 모니터링을 멈추는 시간을 의미한다. 단말의 입장에서 볼 때, 단말은 활성 시간 동안에는 PDCCH를 모니터링하고 비활성 시간 동안에는 모니터링을 중지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LAA를 기반으로 CA가 구성된 경우 면허 대역내의 DRX 동작은 면허 대역 내 서빙셀(PCell 및 SCell#1)들은 항상 동일한 활성 시간구간을 가지는 공통(common) DRX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DRX 파라미터의 측면에서 볼 때, 단말단위의 DRX 파라미터들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단말에는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DRX 파라미터들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면허 대역에 적용되는 제1 DRX 파라미터들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게 적용되는 제2 DRX 파라미터들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DRX 파라미터들과 제2 DRX 파라미터들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먼저 면허 대역에서의 DRX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DRX 사이클은 16개의 서브프레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활성 시간과 비활성 시간은 각각 2개의 서브프레임 구간과 14개의 서브프레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활성 시간 동안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인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해당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채널 별 전력제어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는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PUCCH-RNTI, TPC-PUSCH-RNTI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을 위한 자원할당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는 SPS-RNTI를 기반으로 스크램블링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PDCCH의 모니터링은 DRX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DRX에 관한 파라미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해준다. 단말은 상기 RNTI들 이외에 SI(System Information)-RNTI, P(Paging)-RNTI 등의 식별자들로 스크램블링된 PDCCH에 대한 모니터링 관련 동작은 상기 DRX 동작과는 무관하다.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에서 DRX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다면, DRX 동작에 기반하여 PDCCH에 대한 불연속적인(discontinuous)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만일 DRX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상기 PDCCH에 대한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불연속적인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정해진 특정한 서브프레임(도 3에서 서브프레임 #0 및 #1)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의미하고, 연속적인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RRC 계층에서는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몇 개의 타이머(timer)들을 관리한다. DRX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에는 지속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 Timer), DRX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 Timer) 등이 있다. 이 밖에 DRX 동작을 제어하는 파라미터로서 장기 DRX 사이클(longDRX-Cycle), DRX 개시 오프셋(drxStartOffset)이 있고, 기지국은 선택적으로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drxShortCycleTimer)와 단기 DRX-사이클(shortDRX-Cycle)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하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process)마다 HARQ 왕복시간(RTT: Round Trip Time) 타이머가 정의된다.
DRX 개시 오프셋은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을 규정한 값이다.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는 단말이 단기 DRX 사이클을 따라야 하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HARQ RTT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하향링크 HARQ 재전송이 기대되는 구간 이전의 최소 서브프레임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지속구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이 시작될 때 시작된다. 즉, 지속구간 타이머의 시작시점은 DRX 사이클의 시작시점과 일치한다. 지속구간 타이머는 매 PDCCH 서브프레임마다 값이 '1'씩 증가하여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미리 설정된 만료 값과 같아지는 때에 만료된다.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상기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지속구간 타이머는 유효하게 진행된다.
DRX 비활성 타이머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시점부터 이후 수신될 PDCCH의 성공적인 복호를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시간이다. DRX 비활성 타이머는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에서 HARQ 최초 전송에 대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때에 시작 또는 재시작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이전에 수신된 HARQ 프로세스 데이터의 복호가 실패하였을 때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재전송이 기대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연속적인 수의 최대값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타이머이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재전송 수신을 위한 것이므로 상기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재전송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을 정의한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당 HARQ 프로세스 내 데이터의 복호가 성공하지 못한 상태인 경우에 시작된다.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인 동안을 활성 시간으로 정의하고 해당 HARQ 프로세스에서 재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은 물론 다른 PDCCH들에 대한 모니터링할 수 있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설정은 RRC 계층의 MAC-MainConfig 메시지 내 관련 파라미터에 의해서 정의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각 HARQ 프로세스 별로 운용될 수 있다.
단말은 DRX 사이클이 구성되면, 활성 시간 동안 PDCCH 서브프레임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PDCCH 서브프레임이라 함은 PDCCH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활성 시간은 단말이 깨어있는 모든 구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상술한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및 DRX 재전송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가 진행 중일 때 활성 시간이 된다. 또한, PUCCH를 통해 스케줄링 요청이 보내지거나 펜딩(pending)된 경우에도 활성 시간이 되며, 펜딩된 HARQ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승인이 발생하고 해당 HARQ 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활성 시간이 된다. 또한, 단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프리엠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후에 단말의 C-RNTI로의 새로운 전송을 지시하는 PDCCH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도 활성 시간이 된다. DRX 사이클 중 활성 시간이 아닌 시간은 비활성 시간(Inactive time)이라 할 수 있다. 활성 시간은 웨이크 업(wake up) 구간이라 불릴 수 있고, 비활성 시간은 슬립(sleep) 구간이라 불릴 수 있다.
또한, 단말은 DRX가 구성된 경우 각 서브프레임에서 DRX 명령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가 수신되면 지속구간 타이머와 DRX 비활성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또한, DRX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DRX 명령 MAC 제어 요소가 수신되면, 단기 DRX 사이클을 사용하고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거나, 장기 DRX 사이클을 사용한다. 단말은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장기 DRX 사이클을 사용한다. 만일, 단기 DRX 사이클 또는 장기 DRX 사이클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지속구간 타이머를 시작한다.
한편, 비면허 대역은 기지국 또는 단말이 경쟁을 기반으로 채널 접속 기회를 획득하는 과정을 허용한다. 경쟁 기반의 채널 접속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비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접속(access) 메커니즘(mechanism)은 다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접속 메커니즘은 기회적(opportunistic) 채널 접속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 등의 무선 통신 장치는 해당 채널을 사용하기 전에 CCA(Clear Channel Assessment) 또는 ECCA(Extended 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한다. 이는 다른 RLAN(Radio Local Area Network) 시스템들과 동일 채널에서 동시에 발생하는(concurrent) 전송을 피하기(avoid) 위해서이다. 여기서 CCA 또는 ECCA는 해당 채널에 대한 에너지 스캔 또는 탐지(detection)을 통하여 해당 채널이 채널간섭 또는 점유 또는 채널비점유 상태인지, 즉 해당 채널이 비지(busy) 상태인지 아이들(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와 같은 채널 접속 매커니즘은 LBT(Listen Before Talk) 또는 반송파 감지(CS: Carrier Sense) 등으로 불릴 수 있다.
LBT 프로토콜 하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해당 채널에서 측정된 에너지를 기반으로 해당 채널이 전송을 위하여 가용한지(available) 여부를 결정한다. LBT는 프레임 기반(Frame Based) 또는 로드 기반(Load Based)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 프레임 기반의 LBT를 위한 타이밍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LBT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CCA, 확장(Extended) CCA, 채널 점유시간(channel occupancy time), 아이들 기간(idle period), CCA 에너지 탐지 임계(energy detection threshold)와 같은 파라미터들이 정의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동작 채널(operating channel)에서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아이들 기간의 끝(end)에서 (E)CCA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는 아이들 기간 내에서 (E)CCA 수행 시간만큼 (E)CCA 체크를 수행함으로써 채널의 점유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이전 CCA 수행을 통해 점유한 채널상에서 해당 장치를 위해 의도된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한 경우, 최대 채널 점유시간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다시 (E)CCA를 수행하지 않고 관리(management) 및 제어 프레임들(예를 들어 ACK 및 Block ACK 프레임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면허 대역에서의 경쟁적 채널 획득 메카니즘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DRX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왜냐하면 면허 대역 내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경쟁적 채널 획득 동작이 없으므로 해당 채널을 기지국이 획득했음을 단말에게 알릴 필요가 없다. 그러나 비면허 대역에서는 기지국이 채널획득여부를 알리기 위한 시그널링이 없다면, 단말은 기지국의 하향링크 채널 획득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 수신동작으로 인한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면허 대역에서의 DRX 동작은 기지국이 채널을 획득한 사실을 단말에 알려주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지국은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단말에게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알려주는 정보를 채널 획득 지시자라 칭한다.
일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채널 획득 지시자로서 프리엠블(preamble) 또는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에서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지시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프리엠블 또는 참조 신호를 통해 묵시적으로 채널의 획득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프리엠블 또는 참조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채널 획득 지시자로서 인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단말은 프리엠블 또는 참조 신호를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수신할 경우 이를 채널 획득 지시자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채널 획득 지시자의 전송/수신 시점 측면과 관련하여, 채널 획득 지시자는 기지국의 (E)CCA 구간 내 평가를 통해 채널획득으로 인한 (E)CCA 구간 종료 시점부터 상기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해당 서브프레임 종료시점 구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 또는 단말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시간 구간 중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가 점유하는 시간 구간은, 동일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 내 장비에 의한 점유를 막기 위해, 상기 구간 전체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면허 대역에서 운용 중인 프레임 구조, 또는 OFDM 심볼구간 등 고려하여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서빙셀 내 가용 주파수 대역 내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가 점유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체가 될 수도 있고, 전체에 대한 상기 면허 대역에서 운용 중인 프레임 구조, 또는 OFDM 심볼구간 등 고려한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일 측면에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지국이 시스템 프레임 #1(system frame #1) 내의 서브프레임 #1(sub-frame #1)의 첫번째 슬롯에서 (E)CCA를 수행하여 채널을 획득한 경우, 기지국은 해당 서브프레임 #1(sub-frame #1)의 두번째 슬롯에서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을 통해 채널 획득 지시자(프리엠블 또는 RS 등)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을 통해 채널 획득 지시자로 약속된 프리엠블, RS 등을 수신하면, 기지국이 해당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E)CCA 구간 종료 시점부터 해당 서브프레임(sub-frame #1)의 종료시점 구간에서는 해당 단말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의 채널 획득 시점을 인지하기 전의 모든 활성화된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부서빙셀)들은 활성화 이후 모든 서브프레임들에서 비활성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단말은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기 전까지는 항상 DRX 동작과 관련된 RNTI로 스크램블링되어 있는 (E)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단말은 상기 비활성 시간동안 채널 획득 지시자(프리엠블 또는 RS 등)에 대한 모니터링은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E)PDCCH는 DMRS를 기반으로 PDSCH 전송과 유사하게 빔포밍(beamforming) 테크닉이 적용된 제어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이다. 이는 MIMO 테크닉을 기반으로 하는 제어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로 사용되기도 한다. PDCCH는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인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PUCCH-RNTI, TPC-PUSCH-RNTI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RNTI를 기반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EPDCCH(Extended PDCCH)는 EPDCCH로 가용한 자원요소의 개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그리고 공용 DCI에 대한 코딩률(coding rate) 등을 기반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은 프레임 기반 LBT을 통해 ECCA를 수행하는 기지국의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기지국이 내부적으로 결정한 고정프레임주기(Fixed Frame Period)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채널점유시간 내 일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정한 채널 획득 지시자 모니터링 파라미터들을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면허대역을 통해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 모니터링 파라미터들은 DRX와 별개로 단말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상기 DRX 동작과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 모니터링 동작은 동시에 운용될 수 없는 것을 가정한다.
다른 측면에서, LAA 형태로 운용되는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은 면허 대역의 서빙셀들(PCell 및 SCell #1)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과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말은 채널 획득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에 대한 지속구간 타이머(on duration timer)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획득 구간 정보는 프리엠블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고, 독자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프리엠블이 아닌 다른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에 대해 DRX 동작을 적용할 시점에 대한 정보 즉, 백 오프(Back-off)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백 오프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프리엠블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수도 있고, 독자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프리엠블이 아닌 다른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백 오프 시간으로서 2개의 서브프레임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엠블을 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를 통해 시스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1에서 수신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에 대해서는 시스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4부터 DRX 파라미터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4부터 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백 오프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 모니터링 파라미터 중 하나로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은 상기 채널 획득 시점을 기반으로 활성 시간으로 천이하기 위해 지속구간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해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에 대한 drxStartOffset 값을 변경하거나 단기 사이클 및/또는 장기 사이클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drxStartOffset 및 단기/장기 사이클 값은 지속구간 타이머를 시작하는 조건을 아래의 수식과 같이 결정한다.
단기 사이클인 경우: [(SFN * 10) + subframe number] modulo (shortDRX-Cycle) = (drxStartOffset) modulo (shortDRX-Cycle)
장기 사이클인 경우: [(SFN * 10) + subframe number] modulo (longDRX-Cycle) = drxStartOffset
여기서, SFN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다. 상기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파라미터들은 경쟁 기반의 채널 획득 구간이 끝나는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도 3에서 sub-frame #1)부터 적용되거나, 백 오프 시점 이후(도 3에서 sub-frame #4)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은 상기 채널 획득 시점을 기반으로 활성 시간으로 천이하기 위해 DRX 비활성 타이머를 시작하는 조건에 채널 획득 지시자의 수신이 추가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파라미터들은 경쟁 기반의 채널 획득 구간이 끝나는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도 3에서 sub-frame #1)부터 적용되거나, 백 오프 시점 이후(도 3에서 sub-frame #4)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EPDCCH를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에서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DRX 동작은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DRX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는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이 시스템 프레임 #1 내의 서브프레임 #1(sub-frame #1)의 첫번째 슬롯에서 (E)CCA 체크를 수행하여 채널을 획득한 경우의 DRX 동작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해당 서브프레임 #1(sub-frame #1)의 두번째 슬롯의 첫번째 OFDM 심볼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을 통해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을 통해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면, 비면허 대역 내 해당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는 EPDCCH(Extended PDCCH)일 수 있다. 단말은 상기 EPDCCH를 수신하기 위하여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기 전의 모든 활성화된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을 활성화 이후 모든 서브프레임들에서 활성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DRX 동작을 통해 모니터링 해야 하는 RNTI로 스크램블링되어 있는 E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E)CCA 구간 종료 시부터 또는 해당 서브프레임(sub-frame #1)의 두번째 슬롯부터 해당 단말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LAA 형태로 운용되는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은 면허 대역의 서빙셀들(PCell 및 SCell #1)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과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는 비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획득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획득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에 대한 지속구간 타이머(on duration timer)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획득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DRX 시작 오프셋 단기 사이클 및/또는 장기 사이클의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PDCCH 또는 EPDCCH를 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에서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DRX 동작은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DRX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이 시스템 프레임 #2 내 서브프레임 #5(sub-frame #5)의 첫번째 슬롯에서 (E)CCA 체크를 수행한 경우의 DRX 동작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 #5)의 다음 서브프레임(sub-frame #6)에서 면허 대역의 주서빙셀(PCell) 또는 부서빙셀(SCell #1)을 통해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는 일 예로,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로서 PDCCH가 주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는 PDCCH 및 EPDCCH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면허 대역의 주서빙셀(PCell) 또는 부서빙셀(SCell #1)을 통해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면, 비면허 대역 내 해당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의 비면허 대역 내 채널획득 시점을 인지하기 전의 모든 활성화된 상기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부서빙셀)들에 대하여 활성화 이후 모든 서브프레임들에서 비활성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기 전까지는 DRX 동작과 관련된 RNTI로 스크램블링되어 있는 (E)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해 비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면허 대역에 대한 활성 시간이더라도 비면허 대역에 대해서는 비활성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DRX 동작에 의해 정의되는 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에 대한 활성 시간과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에 대한 활성 시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이 비면허 대역 내 채널 획득을 인지한 이후부터 채널획득 구간동안에는 LAA 형태로 운용되는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 #2)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과 면허 대역의 서빙셀들(PCell 및 SCell #1)에 대한 활성 시간은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단말은 서브프레임 #6을 통해 수신된 (E)PDCCH를 확인한 후에야 기지국이 상기 비면허 대역 내 해당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E)PDCCH를 복호하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이 상기 서브프레임 #6 이전에 완료될 수 없다. 따라서 (E)CCA 구간 종료 시점(채널획득 시점)부터 해당 서브프레임(sub-frame #6)의 종료시점 구간에는 상기 비면허 대역 내 해당 채널을 통해 기지국이 전송하는 (E)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한편, 단말이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실패한 경우, 재전송 수신을 위해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DRX 재전송 타이머를 시작하여 활성 시간으로 천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면허 대역 내 채널 획득이 실패한 경우, 해당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면허 대역에서의 활성 시간 여부와 상관없이 연속적인 비활성 시간을 가지는 경우, DRX 동작과 관련된 타이머들이 상기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을 기준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통해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의 자원들을 운용하고 있으며, 최초 또는 재전송이 수신되었으나 PDSCH내에 포함된 데이터의 복호가 실패하고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 내 채널 획득이 실패하여 기지국이 해당 서빙셀을 통해 재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물리계층 내 서빙셀 운용을 통해 해당 서빙셀 내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재전송 데이터를 다른 서빙셀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란, 기지국에 의해 DL SCC를 통해 PDCCH1를 전송하고, PDCCH1에 의해 지시되는 PDSCH1는 SDL (Supplement DownLink: TDD에서 DL subframe만 존재하는 구성) 의 UC (Unlicensed carrier)를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이와 같이 PDCCH와 PDSCH가 서로 다른 서빙셀상에서 전송되는 동작을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라 한다.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위해 상기 PDCCH1 내에 상기 PDCCH1과 상응하는 PDSCH1이 존재하는 서빙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기지국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하기 위해 RRC 재구성 절차를 통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받는 서빙셀 구성정보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는 서빙셀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 구성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SDL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CCA나 DCS를 통해 점유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SDL UC를 점유한 것으로 가정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교차 반송파 HARQ 동작이란, 기지국이 DL SCC를 통해 PDCCH1를 전송하고, PDCCH1이 지시하는 PDSCH1을 SDL의 U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PDSCH1을 수신한 뒤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실패하면 UL PCC를 통해 HARQ 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은 HARQ NACK을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는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해 SDL의 UC를 계속하여 사용 가능한지(즉, 점유가 가능한지)를 확인해야 한다.
SDL UC의 점유가 지속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기지국은 SDL의 UC(즉 현재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자신의 서빙셀)를 계속 사용하여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을 수행하되, 이와 함께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SDL의 UC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PDCCH2를 단말로 전송한다. 또는 단말이 UC내 SDL이 점유되어 있음을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점유 지시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경우,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SDL의 UC임을 추가적인 시그널링 없이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HARQ NACK에 의한 PDSCH의 재전송이 SDL의 UC에서 수행됨을 인지하고, SDL의 UC에서 PDSCH2를 수신한다.
하지만, SDL UC의 점유가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즉,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점유 지시자 등을 수신하지 못하여 단말이 기지국의 SDL UC의 점유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 기지국은 스케줄링 서빙셀로서 설정된 부서빙셀(DL SCC)을 통해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을 수행하되, 이와 함께 PDSCH2가 전송되는 서빙셀이 DL SCC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PDCCH2를 DL SCC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 또는 단말이 UC내 SDL이 점유되어 있음을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점유 지시자 등을 수신하지 못해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은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SDL UC 구성정보 내에 포함된 비 점유 시 재전송 서빙셀 정보를 통해 스케줄링 서빙셀로서 설정된 부서빙셀(DL SCC)을 통해 PDSCH의 재전송(즉, PDSCH2의 전송)이 수행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HARQ NACK에 의한 PDSCH의 재전송이 DL SCC에서 수행됨을 인지하고, DL SCC에서 PDSCH2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언급된 1비트의 플래그는, PDSCH 재전송을 위한 서빙셀 지시를 지시하는 것으로, 일 예로, 0으로 설정되는 경우, DL SCell (UC)을 지시하고, 1로 설정되는 경우, 스케줄링 서빙셀#0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위해 RRC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링 서빙셀)을 지시하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 반송파 HARQ이 적용되는 경우, 면허 대역 내의 서빙셀을 통해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을 통해 전송되었던 데이터의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면허 대역 내의 서빙셀들의 상태를 활성 시간으로 천이 시켜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을 포함한 채널이 기지국에 의해 획득되지 못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더라도 HARQ RTT 타이머 및 DRX 재전송 타이머의 동작은 유지하여야 한다. 단, 상기 타이머들의 동작으로 인한 활성 시간은 비면허 대역 내 서빙셀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다음과 같은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관한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이하, LAA 구성 정보라 함)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구성할 수 있다(S810). 일 예로, 상기 LAA 구성 정보는 면허 대역의 주서빙셀을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RRC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비면허 대역의 SCell 구성 정보는, 비면허 반송파가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밴드 및 센터 캐리어 정보 등 포함될 수 있다. 이는 EARFCN값을 통해서 유도되므로 상기 EARFCN 값이 부서빙셀 구성 정보에 포함되어, 해당 부서빙셀이 어느 주파수밴드 어느 센터 캐리어에 해당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비면허 대역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S820), 하향링크에 대한 (E)CCA 구간이 종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830).
여기서, 일실시예로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프리엠블 또는 참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엠블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종료구간까지는 단말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은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 대해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수신하기 전까지 비활성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을 통한 (E)PDCCH의 모니터링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채널 획득 지시자에 대한 모니터링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리엠블은 비면허 대역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DRX 동작을 적용할 시점에 대한 정보, 채널 획득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채널 획득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지속구간 타이머의 값을 변경하거나, 단기 사이클 타이머 또는 장기 사이클 타이머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와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의 다음 슬롯에 상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는 EPDDCH일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면, (E)CCA 구간이 종료되었으며 해당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기 전까지 활성화된 비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E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E)CCA 구간 종료 시점부터 또는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두번째 슬롯부터 단말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LAA 형태로 운용되는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은 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과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는 비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획득 구간 정보, DRX 동작을 적용할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획득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지속구간 타이머, 단기 사이클 타이머 및/또는 장기 사이클 타이머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 면허 대역의 서빙셀(예를 들어, 주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는 PDCCH 또는 EPDCCH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해 수신되므로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은 활성화 이후 비활성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 대해서는 (E)PDCCH의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서빙셀들에 대한 DRX 타이머와 면허 대역에 구성된 서빙셀들에 대한 DRX 타이머는 공통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DRX 동작을 위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관한 구성 정보(LAA 구성 정보)를 면허 대역의 주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LAA 구성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RRC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LAA 구성정보는 새로운 부서빙셀(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새로운 부서빙셀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서빙셀 집합에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추가하는 경우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DRX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다(S910). 상기 DRX 파라미터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들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을 구분하지 않고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RRC 메시지는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게 적용되는 다른 DRX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X 파라미터는 지속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 DRX 비활성 타이머(drxInactivity Timer), DRX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 Timer), 장기 DRX 사이클(longDRX-Cycle), DRX 개시 오프셋(drxStartOffs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E)CCA 구간 동안 CCA 체크를 수행하고,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하는 경우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 내에 LAA 형태로 운용되는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해 프리엠블 또는 참조 신호 등을 전송하거나,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의 바로 다음 슬롯의 첫번째 OFDM 심볼부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을 통해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에게 (E)CCA 구간이 종료되었으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다(S920).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A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10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00)을 포함한다.
각 단말(1000)은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010), 프로세서(processor, 1120) 및 메모리(memory, 1030)를 포함한다.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010)는 프로세서(102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010)는 기지국(1100)으로부터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LAA 구성 정보, DRX 파라미터, 채널 획득 지시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본 명세서에 따른 LAA 구성 정보, DRX 파라미터, 채널 획득 지시자 등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020)의 요구에 따라 프로세서(1020)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20)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따른 모든 단계가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0)는 구성부(1021), 인식부(1022), 제어부(1023) 및 DRX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부(1021)는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구성 정보(LAA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구성한다.
인식부(1022)는 LAA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기반으로 (E)CCA 구간이 종료되었으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식한다.
제어부(1023)는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동작을 제어한다.
DRX 처리부는 RRC에 의해 포함된 DRX 파라미터들을 확인하여, DRX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DRX 처리부는 면허 대역 서빙셀의 DRX 파라미터와, 구별된 비면허 대역 서빙셀의 DRX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관리 운용하여 DRX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RX 처리부는 구성부(1021)로부터 확인된 부서빙셀에 따라, 공통 DRX 파라미터를 적용할지, 구별된 DRX 파라미터를 적용할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구성된 부서빙셀 정보에 따라 DRX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말해, DRX 처리부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 장기 DRX 사이클, DRX 개시 오프셋 등을 적용하거나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해 동일한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 장기 DRX 사이클, DRX 개시 오프셋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기지국(1100)으로부터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 비면허 대역 상의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프리엠블 또는 참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종료구간까지는 단말(1000)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1023)는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 대해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수신하기 전까지 비활성 시간을 유지하도록 DRX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23)는 단말(1000)이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을 통한 (E)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에 대한 모니터링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리엠블은 비면허 대역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DRX 동작을 적용할 시점에 대한 정보, 채널 획득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23)은 상기 채널 획득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지속구간 타이머의 값을 변경하거나, 단기 사이클 타이머 또는 장기 사이클 타이머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단말(1000)의 DRX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와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기지국(1100)으로부터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의 다음 슬롯에 상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는 EPDDCH일 수 있다. RF부(1010)에서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가 수신되면, 인식부(1022)는 (E)CCA 구간이 종료되었으며 해당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23)는 (E)CCA 구간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기 전까지 활성화된 비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E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E)CCA 구간 종료 시점부터 또는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두번째 슬롯부터 단말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LAA 형태로 운용되는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은 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 대한 DRX 관련 타이머들과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는 비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획득 구간 정보, DRX 동작을 적용할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23)는 상기 물리계층 제어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획득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지속구간 타이머, 단기 사이클 타이머 및/또는 장기 사이클 타이머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 면허 대역의 서빙셀(예를 들어, 주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는 PDCCH 또는 EPDCCH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해 수신되므로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은 활성화 이후 비활성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들에 대해서는 (E)PDCCH의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서빙셀들에 대한 DRX 타이머와 면허 대역에 구성된 서빙셀들에 대한 DRX 타이머는 공통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100)은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110), 프로세서(1120) 및 메모리(1130)를 포함한다.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110)는 프로세서(112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12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지국(1100)의 동작은 프로세서(1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LAA 구성 정보와 DRX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비면허 대역에 대한 CCA 체크를 수행하여 채널을 획득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120)는 LAA 구성 정보 생성부(1121), DRX 파라미터 생성부(1122) 및 채널 획득부(1123)을 포함한다. LAA 구성 정보 생성부(1121)와 DRX 파라미터 생성부(1122)에서 생성되는 LAA 구성 정보 및 DRX 파라미터는 RF부(1110)를 통해 단말(1110)로 RRC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DRX 파라미터 생성부(1122)는 면허 대역 서빙셀의 DRX 파라미터와, 구별된 비면허 대역 서빙셀의 DRX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관리 운용하기 위한 DRX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DRX 파라미터 생성부(1122)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 장기 DRX 사이클, DRX 개시 오프셋 등을 설정하거나 면허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해 동일한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 장기 DRX 사이클, DRX 개시 오프셋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채널 획득부(1123)은 (E)CCA 구간 동안 CCA 체크를 수행하여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한다. 비면허 대역의 채널이 획득되는 경우, RF부(1110)는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종료 시점 내에 LAA 형태로 운용되는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해 프리엠블 또는 참조 신호 등을 전송하거나,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의 바로 다음 슬롯의 첫번째 OFDM 심볼부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E)CCA 구간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을 통해 비면허 대역에 구성된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포함하는 물리계층 포함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00)은 상술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수신하면 (E)CCA 구간이 종료되었으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획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1)

  1.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관한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기반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RX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프리엠블(preamble) 또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블 또는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DRX 동작을 적용할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는,
    지속구간 타이머(on duration timer), 단기 사이클 타이머(short cycle timer) 및 장기 사이클 타이머(long cycle tim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는,
    상기 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와는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slot)의 다음 슬롯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는,
    경쟁 기반 채널 획득 구간의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 상기 면허 대역의 서빙셀을 통해 전송되는 물리계층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와 상기 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DRX 타이머는 공통적으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X 동작 방법.
  11. 면허(licensed) 대역의 서빙셀과 비면허(unlicensed) 대역의 서빙셀 간에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 대한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기반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구성하는 구성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부; 및
    상기 채널 획득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50015602A 2015-01-30 2015-01-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32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602A KR102321191B1 (ko) 2015-01-30 2015-01-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PCT/KR2015/013601 WO2016122113A1 (ko) 2015-01-30 2015-12-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602A KR102321191B1 (ko) 2015-01-30 2015-01-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233A true KR20160094233A (ko) 2016-08-09
KR102321191B1 KR102321191B1 (ko) 2021-11-03

Family

ID=5654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602A KR102321191B1 (ko) 2015-01-30 2015-01-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1191B1 (ko)
WO (1) WO2016122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14199A2 (pt) 2018-01-10 2020-12-01 Idac Holdings, Inc. método para uso em uma unidade de transmissão/recepção sem fio, unidade de transmissão/recepção sem fio, e, gnb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543A (ko) * 2008-03-25 2010-12-3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반송파 시스템들에서 신속한 반송파 할당
KR20140080280A (ko) *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nct를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05458A (ko) * 2013-07-04 201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복수 연결 지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543A (ko) * 2008-03-25 2010-12-3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반송파 시스템들에서 신속한 반송파 할당
KR20140080280A (ko) *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nct를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05458A (ko) * 2013-07-04 201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복수 연결 지원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3862 *
3GPP R2-1437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113A1 (ko) 2016-08-04
KR102321191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333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executing beam recovery,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same
US1183137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formation reporting
US202201168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88410A1 (en) Beam Management with DRX Configuration
KR1019675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Msg3 전송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8297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0383102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PDCCH monitoring in a carrier aggregation with at least one SCell operating in an unlicensed spectrum and a device therefor
KR1021713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792792B (zh) 在drx配置或者重新配置之后的pdcch监测
US10645751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DRX timer in a carrier aggregation with at least one SCell operating in an unlicensed spectrum and a device therefor
JP6174249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RU2687958C2 (ru)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CN113711529B (zh) 涉及监视下行链路控制信道的用户设备
US10306438B2 (en) Operating method of M2M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21631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6121637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20220150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Control Channel Information
WO2016121665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9894610B2 (en) Method for monitoring on du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JP2017208584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23211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JP2017208583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20200103234A (ko) Scg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2080309A1 (ja) 通信システム
US20230345390A1 (en) Procedures of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nd transmission for network controlled repeaters (n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