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972A -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 - Google Patents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972A
KR20160093972A KR1020150014931A KR20150014931A KR20160093972A KR 20160093972 A KR20160093972 A KR 20160093972A KR 1020150014931 A KR1020150014931 A KR 1020150014931A KR 20150014931 A KR20150014931 A KR 20150014931A KR 20160093972 A KR20160093972 A KR 20160093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strut
fixing member
frame
ceil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874B1 (ko
Inventor
김영주
권용장
이석
원종운
김학성
이호석
양근율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상기 천장팬은 구동부, 허브부 및 날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천장에 고정되어 하부를 향해 구동축이 연장되고, 상기 허브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은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일단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허브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허브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스트럿 및 상기 스트럿을 커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CEILING FAN WITH STRUT}
본 발명은 천장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고나 실내 등의 천장에 고정되어 사용되며, 스트럿과 허브의 체결강도를 향상시키는 천장팬에 관한 것이다.
천장팬은 천장에 형성되어 실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내는 공기 유동을 통해 유해한 공기는 배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팬(High-volume low-speed fan: HVLS fan)을 사용하여 물류창고, 동물축사 등과 같은 대형 공간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천장팬은 제자리에서 오랜 시간동안 회전하며 원심력에 노출된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기존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스트럿과 블레이드 또는 스트럿과 허브간에 파손이나 이탈이 발생되기 쉽다. 또한, 스트럿의 파손 또는 이탈에 의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스트럿과 허브간의 결합구조를 강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126715호는 팬의 블레이드 구간을 팬 허브에 고정시켜 고온 및 빠른 회전 속도에서도 높은 인장 강도를 보장하는 고정 수단을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 특허공개 2013-0189109호는 블레이드의 통기성능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 될 수 있는 팬 블레이드에 관한 발명으로서, 기존의 스크류 결합과는 다른 장시간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구조를 개선한 천장팬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천장팬의 장기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트럿과 허브의 연결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럿과 허브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천장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장팬은 구동부, 허브부 및 날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천장에 고정되어 하부를 향해 구동축이 연장되고, 상기 허브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은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일단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허브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허브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스트럿 및 상기 스트럿을 커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럿은 고정부재 및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 형성되어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허브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부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럿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돌출면 및 제2 돌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면은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 돌출면은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돌출면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돌출면들과 접촉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트럿의 끝단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1 및 제2 돌출면들이 형성하는 각과 동일한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스트럿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허브부는 허브베이스, 허브커버 및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베이스는 상기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럿이 삽입 및 고정되며, 상기 허브커버는 상기 허브베이스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허브베이스 및 상기 허브커버를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천장팬은 날개부가 천천히 오랜 시간 동안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원심력을 삽입부와 밀착하는 고정부재의 측면이 상기 지지면 및 접촉면과 유격이 없이 맞물리면서 상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천장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원심력의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고정부재가 삽입부에 삽입되면서, 고정부재의 측면과 넓은 면적에 걸쳐 밀착되는 지지면이 블레이드의 장시간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허브베이스를 이탈하려는 힘을 상쇄하고 고정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허브베이스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는 기존의 스크류를 통한 결합과 달리 블레이드 및 스트럿의 무게를 다각형의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므로 천장팬의 구동에 따른 내구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제2 돌출면은 허브베이스가 회전하는 경우 제2 돌출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원심력을 전달하는 힘이 넒은 면적에 분산되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원심력을 제2 돌출면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의 제1 돌출면은 도 6의 제1 돌출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지지면과 접촉하지만 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고정부재의 지지력이 증가하며 최소한의 면적으로 스트럿이 허브베이스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를 절감이 가능하고, 경량화가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팬의 사각형의 형상을 형성하는 고정부재는 삽입부에 삽입되고, 제1 내지 제3 돌출면들은 각각 지지면,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에 접촉하며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부재는 도 7의 고정부재와 달리 보다 넓은 면적으로 삽입부와 접촉하고 있으며, 제2 돌출면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제3 돌출면을 통해 추가적으로 분산시키므로 고정부재의 파손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부 및 허브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허브부 및 날개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허브부 및 날개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허브부 및 날개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트럿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부 및 허브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허브부 및 날개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허브부 및 날개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허브부 및 날개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천장팬(100)은 허브부(200), 구동부(300) 및 날개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부(200)는 허브베이스(210), 허브커버(220) 및 스크류(23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00)는 모터(310) 및 모터커버(320)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400)는 스트럿(410), 블레이드(420) 및 제1 고정공(430)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베이스(210)는 제1 공간(211), 제2 고정공(212) 및 삽입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럿(410)은 프레임(411), 고정부재(412) 및 제2 공간(413)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213)는 지지면(213a) 및 접촉면(213b)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천장팬(100)은 상단에 상기 구동부(300)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허브부(200)가 결합되며 상기 허브부(200)의 주위에 복수의 상기 날개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날개부(400)는 대형 팬(High-volume low-speed fan: HVLS fan)을 사용하여 물류창고, 동물축사 등과 같은 대형 공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HVLS fan은 일반적으로 천장팬으로 사용되고, 소수는 기둥에 형성되어 사용된다. 상기 HVLS fan은 거주지에 설치되는 직경 91~132cm의 천장팬들과 달리 직경 243~731cm의 크기로 형성되고, 거주지에 설치되는 작은 천장팬들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대형 팬(High-volume low-speed fan: HVLS fan)으로 불린다.
상기 HVLS fan은 축사, 곡식창고, 도매창고, 대형 쇼핑몰, 스케이트장 및 헬스클럽 등 대형장소에서 사용되고, 실내 온도와 습기를 유지하기 위해 온도 및 공기 조절기술(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과 연계해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상기 HVLS fan과 같은 천장팬은 제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회전하며 원심력에 노출된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기존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스트럿과 블레이드 또는 스트럿과 허브간에 파손이나 이탈이 발생되기 쉽다. 또한, 스트럿의 파손 또는 이탈에 의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스트럿과 허브간의 결합구조를 강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천장팬(100)에서는 상기 허브부(200)를 축으로 오랜 시간 회전하는 상기 날개부(400)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스크류 결합이 아닌 상기 허브부(200)에 삽입되는 방법을 통해 상기 허브부(200)와 상기 날개부(400)를 결합할 필요가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베이스(210)는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기 허브커버(220)는 중앙이 뚫려있는 환의 형상으로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허브커버(2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베이스(210)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모터(310)의 구동으로 상기 허브베이스(2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허브베이스(210)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기 날개부(400)의 상기 스트럿(410)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블레이드(420)가 상기 스트럿(410)을 둘러싸며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410)과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상부를 상기 허브커버(220)가 커버하고, 상기 스크류(230)가 상기 허브커버(220) 및 상기 허브베이스(210)를 관통하며 체결된다.
상기 모터커버(320)는 상기 모터(310)의 상부와 하부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고, 상부는 천장에 고정되어 상기 천장팬(100)을 지지한다. 상기 모터커버(320)의 측면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모터(310)의 장시간 구동에 의한 발열을 감소시키고, 하부는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중앙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모터(310)를 커버한다.
상기 블레이드(420)는 상기 허브베이스(210)와 결합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상기 스트럿(410)을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상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제1 고정공(430)이 형성되어 스크류결합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420)와 상기 스트럿(41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420)는 비행기 날개나 평평한 판의 형태로 일단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보통 나무, 합판, 철,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의 재료로 가공된다. 상기 블레이드(420)는 여름에는 회전하며 상기 블레이드(420)의 하부로 공기를 이동시켜 하부의 공기를 시원하게 하고, 겨울에는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으로 하부의 차가운 공기를 상기 블레이드(420)를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부의 따뜻한 공기를 하부로 이동시켜 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트럿(410)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412)가 형성되어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상기 삽입부(21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412)는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411)은 상기 고정부재(412)의 타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4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삽입부(213)는 상기 고정부재(412) 및 상기 고정부재(412)와 결합된 상기 프레임(411)의 일부분이 형성하는 구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허브베이스(210)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213a)은 상기 고정부재(412)와 상기 프레임(411)이 연결되는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과 밀착하게 되고, 상기 접촉면(213b)은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중앙을 향해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들과 밀착하게 된다.
상기 허브베이스(210)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412)의 양쪽 모서리에서 일정한 거리 및 각도로 상기 프레임(411)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411)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411)의 타단은 일정한 너비를 형성하며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모서리를 지나 외부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삽입부(213)는 상기 고정부재(412)와 동일한 다각형의 구조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412)가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들 중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외부를 향하는 측면은 상기 지지면(213a)과 밀착하며 삽입되고,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중앙을 향하는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들은 상기 접촉면(213b)과 밀착하며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허브커버(220)가 상기 허브베이스(210), 상기 고정부재(412) 및 상기 프레임(411)의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스크류(230)가 상기 허브베이스(210)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고정공(212)을 상기 허브커버(220)를 관통하여 체결되면 상기 허브부(200) 및 상기 날개부(400)가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기 천장팬(100)은 상기 날개부(400)가 천천히 오랜 시간 동안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원심력을 상기 삽입부(213)와 밀착하는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이 상기 지지면(213a) 및 상기 접촉면(213b)과 유격이 없이 맞물리면서 상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천장팬(10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원심력의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412)가 상기 삽입부(213)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과 넓은 면적에 걸쳐 밀착되는 상기 지지면(213a)이 상기 블레이드(420)의 장시간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상기 허브베이스(210)를 이탈하려는 힘을 상쇄하고 상기 고정부재(412)의 파손을 방지하는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공간(211)은 상기 삽입부(213) 사이에 대칭되는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며 하부로 함몰하여 형성되어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무게는 감소시키고, 강도는 유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간(413)은 상기 스트럿(410) 상에서 특정한 패턴을 나타내는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들 사이의 공간들이 함몰하여 상기 제2 공간(413)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5의 스트럿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411)은 제3 고정공(411a)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12)는 제1 돌출면(412a) 및 제2 돌출면(412b)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411)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411) 및 상기 고정부재(412)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3 고정공(411a)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3 고정공(411a)은 상기 스트럿(410)의 상기 프레임(411)이 상기 블레이드(4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420)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상기 제1 고정공(430)과 수직으로 이어져 스크류체결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420)와 상기 스트럿(410)이 결합된다.
상기 제2 돌출면(412b)은 상기 고정부재(412)의 일단 측면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럿(410)이 상기 삽입부(213)에 삽입되면, 상기 접촉면(213b)과 밀착하며 결합된다. 상기 제1 돌출면(412a)은 상기 제2 돌출면(412b)에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411)을 향해 대각선으로 연장되며 형성된다. 상기 제1 돌출면(412a)은 상기 삽입부(213)의 상기 지지면(213a)과 밀착하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돌출면(412b) 및 상기 제1 돌출면(412a) 각각은 상기 접촉면(213b) 및 상기 지지면(213a)과 각각 유격없이 접촉하여 상기 블레이드(420)가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원심력을 상기 지지면(213a) 및 상기 접촉면(213b)의 넓은 면적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상기 고정부재(412) 및 상기 삽입부(213)의 파손 및 상기 고정부재(412)의 이탈 가능성을 현저히 줄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500)은 허브베이스(510) 및 스트럿(520)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천장팬(1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천장팬(500)은 허브베이스(510) 및 스트럿(520)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베이스(510)는 삽입부(511)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럿(520)은 고정부재(521)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511)는 지지면(511a) 및 접촉면(511b)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521)는 제1 돌출면(521a) 및 제2 돌출면(521b)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521)는 삼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511)는 상기 고정부재(521) 및 상기 프레임(41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삼각형의 일측면에서 상기 허브베이스(510)의 모서리를 향해 상기 프레임(411)의 너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허브베이스(510)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521) 및 상기 고정부재(521)의 일측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411)의 일부분은 상기 삽입부(511)에 유격없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521)는 상기 허브베이스(510)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상기 고정부재(521)의 모서리들이 각각의 모서리들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411)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돌출면(5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면(521a)에서 상기 허브베이스(510)의 중앙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돌출면(521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돌출면(521b)은 상기 허브베이스(510)의 중앙으로 일정한 거리로 연장되고, 대칭되어 연장되는 상기 제2 돌출면(521b)과 상기 고정부재(521)의 일단에 형성되는 모서리에서 만나서 삼각형의 상기 고정부재(521)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돌출면(521a)은 도 6의 상기 제1 돌출면(412a)과 달리 면적의 크기가 작지만, 상기 제1 돌출면(521a)과 상기 제1 돌출면(521a)과 연결되는 상기 프레임(411)의 측면과 직각을 형성한다. 반면 상기 제2 돌출면(521b)은 도 6의 상기 제2 돌출면(412b) 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더 큰 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돌출면(521b)은 상기 허브베이스(5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면(521b)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면(511b)의 원심력을 전달하는 힘이 넒은 면적에 분산되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상기 원심력을 상기 제2 돌출면(521b)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면(521a)은 도 6의 상기 제2 돌출면(412b)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지지면(511a)과 접촉하여 최소한의 면적으로 상기 스트럿(520)이 상기 허브베이스(5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521)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를 절감이 가능하고, 경량화가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팬(600)은 허브베이스(610) 및 스트럿(620)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천장팬(1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천장팬(600)은 허브베이스(610) 및 스트럿(620)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베이스(610)는 삽입부(611)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럿(620)은 고정부재(621)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611)는 지지면(611a), 제1 접촉면(611b) 및 제2 접촉면(611c)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621)는 제1 돌출면(621a), 제2 돌출면(621b) 및 제3 돌출면(621c)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621)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11)는 상기 고정부재(621) 및 상기 프레임(41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일측면에서 상기 허브베이스(610)의 모서리를 향해 상기 프레임(411)의 너비로 연장되는 구조의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허브베이스(610)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621) 및 상기 고정부재(621)의 일측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411)의 일부분은 상기 삽입부(611)에 유격없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621)는 상기 허브베이스(610)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상기 고정부재(621)의 모서리들이 각각의 모서리들을 향해 일정한 거리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411)에 결합되면서 측면에 상기 제1 돌출면(6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돌출면(621b)은 상기 제1 돌출면(621a)으로부터 수직으로 전환되어 일정거리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 돌출면(621c)은 상기 제2 돌출면(621b)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62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 돌출면(621a)은 도 5의 상기 제1 돌출면(521a)과 동일하게 면적이 작고, 상기 제1 돌출면(621a)과 상기 프레임(411)의 측면과 직각을 형성하며 결합된다. 반면, 상기 제2 돌출면(621b)은 상기 제1 돌출면(621a)보다 길고 넒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돌출면(621c)의 측면 역시 길고 넒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621)는 상기 삽입부(611)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돌출면들(621a, 621b, 621c)은 각각 상기 지지면(611a), 제1 접촉면(611b) 및 제2 접촉면(611c)에 접촉하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621)는 도 7의 상기 고정부재(521)와 달리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삽입부(611)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면(521b)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상기 제3 돌출면(621c)의 추가 형성으로 분산시키므로 상기 고정부재(621)의 파손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621)는 상기 스트럿(620) 및 상기 스트럿(620)을 둘러싸는 상기 블레이드(420)의 재질이 강도가 높고 무거울 경우 직사각형의 넓은 상부 면적으로 상기 허브베이스(610)와 상기 허브커버(220) 사이에서 상기 날개부(400)의 무게를 지지하는 효과가 도 7의 상기 고정부재(521)보다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천장팬(100)은 상기 날개부(400)가 천천히 오랜 시간 동안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원심력을 상기 삽입부(213)와 밀착하는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이 상기 지지면(213a) 및 상기 접촉면(213b)과 유격이 없이 맞물리면서 상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천장팬(10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원심력의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412)가 상기 삽입부(213)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부재(412)의 측면과 넓은 면적에 걸쳐 밀착되는 상기 지지면(213a)이 상기 블레이드(420)의 장시간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상기 허브베이스(210)를 이탈하려는 힘을 상쇄하고 상기 고정부재(4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베이스(210)의 상기 삽입부(213)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재(412)는 기존의 스크류를 통한 결합과 달리 상기 블레이드(420) 및 상기 스트럿(410)의 무게를 다각형의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므로 상기 천장팬(100)의 구동에 따른 내구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천장팬(500)의 상기 제2 돌출면(521b)은 상기 허브베이스(5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면(521b)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면(511b)의 원심력을 전달하는 힘이 넒은 면적에 분산되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상기 원심력을 상기 제2 돌출면(521b)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면(521a)은 도 6의 상기 제2 돌출면(412b)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지지면(511a)과 접촉하지만 상기 프레임(411)의 측면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부재(521)의 지지력이 증가하며 최소한의 면적으로 상기 스트럿(520)이 상기 허브베이스(5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521)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를 절감이 가능하고, 경량화가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팬(600)의 사각형의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재(621)는 상기 삽입부(611)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돌출면들(621a, 621b, 621c)은 각각 상기 지지면(611a), 제1 접촉면(611b) 및 제2 접촉면(611c)에 접촉하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621)는 도 7의 상기 고정부재(521)와 달리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삽입부(611)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면(521b)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상기 제3 돌출면(621c)을 통해 추가적으로 분산시키므로 상기 고정부재(621)의 파손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의 고정부재를 고정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삽입부에 삽입하여 결합력을 강화하고 내구성을 높이는 천장팬은 창고나 실내 등의 천장에 고정된 팬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500, 600 : 천장팬 200 : 허브부
210, 510, 610 : 허브베이스 220 : 허브커버
230 : 스크류 300 : 구동부
310 : 모터 320 : 모터커버
400 : 날개부 410, 520, 620: 스트럿
420 : 블레이드 430 : 제1 고정공

Claims (8)

  1. 천장에 고정되어 하부를 향해 구동축이 연장된 구동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은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허브부; 및
    일단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허브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허브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스트럿 및 상기 스트럿을 커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천장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일단에 형성되어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허브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트럿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면; 및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돌출면을 연결하는 제2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돌출면들과 접촉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트럿의 끝단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1 및 제2 돌출면들이 형성하는 각과 동일한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스트럿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는,
    상기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럿이 삽입 및 고정되는 허브베이스;
    상기 허브베이스 상단을 커버하는 허브커버; 및
    상기 허브베이스 및 상기 허브커버를 체결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팬.
KR1020150014931A 2015-01-30 2015-01-30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 KR10173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31A KR101731874B1 (ko) 2015-01-30 2015-01-30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31A KR101731874B1 (ko) 2015-01-30 2015-01-30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72A true KR20160093972A (ko) 2016-08-09
KR101731874B1 KR101731874B1 (ko) 2017-05-04

Family

ID=5671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931A KR101731874B1 (ko) 2015-01-30 2015-01-30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3517A (zh) * 2018-05-25 2018-09-14 江苏噶小环境科技有限公司 高效双轮毂吊扇
KR101953095B1 (ko) * 2018-07-31 2019-03-04 (주)돌핀 에어컨디셔너의 기류 확산 장치
KR102183304B1 (ko) * 2020-06-19 2020-11-26 서금남 다양한 폭으로 구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송풍 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41Y1 (ko) * 2001-12-14 2002-04-03 진-이 지안 블레이드 브래킷과 모터 케이싱이 결합된 천장 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3517A (zh) * 2018-05-25 2018-09-14 江苏噶小环境科技有限公司 高效双轮毂吊扇
KR101953095B1 (ko) * 2018-07-31 2019-03-04 (주)돌핀 에어컨디셔너의 기류 확산 장치
KR102183304B1 (ko) * 2020-06-19 2020-11-26 서금남 다양한 폭으로 구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송풍 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74B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874B1 (ko) 스트럿을 포함하는 천장팬
US20130336790A1 (en) High Volume Low Speed Fan
KR101297469B1 (ko) 팬 블레이드와 그 개조체
EP3081876B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US20180156229A1 (en) Series fan structure
US20080003063A1 (en) Enhanced axial air mover system with floor edge
US20090226309A1 (en) Enhanced axial air mover system with alignment
KR20130106737A (ko) 압축기 고정구조체
CN102892275A (zh) 风扇组合
US10641292B2 (en) Ventilating fan and frame structure thereof
US6159093A (en) Powered exhaust fan
JP2008151497A (ja) 天井型空気調和機
CN204669158U (zh) 电机冷却装置及带该电机冷却装置的测功机
CN107806672B (zh) 空调的室外单元
US20070098544A1 (en) Device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a fan assembly
CN109469633A (zh) 吊扇
CN204853859U (zh) 风道组件及立式空调器
CN106194844A (zh) 复合式风扇
JP5735871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ァン装置
US20120230819A1 (en) Fan frame
WO2010087152A1 (ja) 遠心式送風機、及び空気調和装置
US20070009364A1 (en) Blade for ceiling fan
CN101854790B (zh) 散热装置
JP2017062087A (ja) 空気調和装置
TWI618480B (zh) 串聯風扇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