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484A -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484A
KR20160093484A KR1020150014583A KR20150014583A KR20160093484A KR 20160093484 A KR20160093484 A KR 20160093484A KR 1020150014583 A KR1020150014583 A KR 1020150014583A KR 20150014583 A KR20150014583 A KR 20150014583A KR 20160093484 A KR20160093484 A KR 2016009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dynamic label
voice
dynamic
p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호
양규태
백명선
임형수
허남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484A/ko
Priority to DE102016101500.8A priority patent/DE102016101500A1/de
Publication of KR2016009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메시지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포함함--를 수신한다. 동적 레이블 메시지 및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해당하는 동적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고,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동적 레이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동적 레이블 정보를 출력하고, 음성 출력 메시지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dynamic label service as voice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service by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서비스가 발전하면서, 사용자는 고정 환경뿐만 아니라 이동 환경에서도 단말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DAB는 라디오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고정 환경을 포함한 이동 환경에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시스템으로, 문자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DAB는 문자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로 동적 레이블 서비스(이하 DLS: Dynamic Label Service)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문자 형태로 전송하여 이를 단말의 문자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청취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DLS는 오디오 프레임에 부가되어 전송이 되며 일반적으로 X-PAD(eXtended Program Associated Data) 형식으로 패킷화 되어 전송된다.
DLS는 최대 8개의 세그먼트로 구성이 되며, 각 세그먼트는 최대 16개의 문자(character) 조합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동적 레이블 메시지는 최대 128개의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문자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자로 출력된다. 이는 FM-RDS(frequency modulation- radio data system) 규격과 유사하며 가수, 가사 및 앨범과 같은 라디오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문자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및 구조화된(structured) 형태의 DLS를 제공하기 위해, 문자 중에 의미 있는 내용(content type)만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DL Plus(Dynamic Label plus, 이하 DLp)라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DLp 서비스에서는 전송되는 문자를 문장이 의미하는 내용(content type)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 DLp 제어 정보를 부가적으로 전송하여,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조화된(classified and categorized)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DLS는 문자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는데, 사용자가 단말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태에서, 화면 상의 문자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AB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상당수가 차량 이용자인 경우가 많은데, 운전 중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관련 정보로의 접근은 운전자의 안전에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운전자가 주의를 할 수 없으므로 정보 이용이 제한적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출력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상기 메시지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 및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해당하는 동적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 중에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에 의하여 지정되는 문자들을 구분하여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로 이루어진 정보와,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토대로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토대로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추가되는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를 토대로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와 상기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조합하여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는 콘텐츠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타입별로 음성 메시지들이 매핑되어 있는 표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회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콘텐츠 타입별로 식별하기 위한 태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X-PAD 방식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는 오디오 패킷 내에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와 함께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이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토대로 하는 정보가 문자로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플러스 서비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상기 메시지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포함함--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 처리부;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 중에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에 의하여 지정되는 문자들을 구분하여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구성하는 부가 정보 태그 처리부;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 메시지 생성을 위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음성 태그 처리부; 및 상기 음성 태그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어 정보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는 동적 레이블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는 콘텐츠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는, 콘텐츠 타입별로 음성 메시지들이 매핑되어 있는 표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회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는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이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화면 구성부; 및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토대로 하는 정보가 문자로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플러스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동적 레이블 플러스 서비스 화면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오디오 방송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문자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인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문자로 출력하면서 음성으로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음성 파일의 재생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차량 이용자인 경우에도,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면서, 또한 대화체 형식으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이용자도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들으면서 오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라디오와 같은 모바일 방송 환경에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프로그램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받음과 동시에 출력된 화면을 통해서 관련 정보를 더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DL(Dynamic Label)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sT(DL speech Tag)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sT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pO(Dynamic Label plus Object)의 컨텐츠 타입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음성 출력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pO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음성 메시지 외에 부가적으로 정의가 가능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음성 부가 출력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서 동적 레이블 서비스(Dynamic Label Service, 이하, DLS 또는 DL 서비스라고 명명됨)는 오디오 서비스에 동기화되어 제공되는 문자(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이다. DL 서비스에서는 오디오 컨텐츠 즉,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아이템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최대 글자 크기(예를 들어, 128 글자 크기)를 가지는 문자 메시지로 구성하여 전송한다.
도 1은 DL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DL 서비스를 통하여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아이템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및 구조화된(structured) 형태의 D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DL Plus(Dynamic Label plus, 이하 DLp) 서비스를 통하여, 문자 중에 의미 있는 내용(content type)만을 선별하여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DLp 서비스에서는 전송되는 문자를 문장이 의미하는 내용(content type)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 DLp 제어 정보를 부가적으로 전송한다. 문자를 콘텐츠 타입별로 식별하기 위한 DLp 제어 정보를 태그로 정의하고, 이 태그를 DL 메시지와 같이 전송하여 문자를 의미가 있는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태그는 DLpT(Dynamic Label plus Tag)라고 명명될 수 있다. DLpT에 의하여 구분되는 문자를 DL plus 객체 라고 하는데, DLpO(Dynamic Label plus Object)라고 명명할 수 있다.
DLp 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측에서는 DLpT를 토대로 DL 서비스에 해당하는 문자 중에 의미 있는 내용만을 선별하여 DLpO를 구성한다. DLpO는 계층적으로 구분되거나 또는 특정 타입별로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표(테이블: table)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DLp 서비스의 화면은 DL 서비스 화면에 비하여, 사용자 예를 들어, DAB 청취자에게 정보의 가독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취자가 목록만을 볼 수 있어 관련 라디오 프로그램 아이템의 부가적인 정보를 보다 더 의미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L plus 객체 즉, DLpO를 음성(또는 소리)으로 출력하여 청취자가 보다 편리하게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DLpO를 대화체 형식으로 음성으로 청취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L 서비스 및 DLp 서비스 기술을 기반으로 DLpO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제어 메시지를 추가적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며, DL 메시지와 같이 전송한다. 수신측에서는 이러한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DLpO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DL 메시지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아이템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며, 오디오 스트림에 부가되어 전송된다. DL 메시지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최대 128 바이트 크기를 갖는 DL 메시지로 구성되며, 설정 주기 예를 들어, 24ms마다 전송되는 오디오 스트림에 부가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DL 메시지의 데이터는 DAB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전송 방식(예를 들어, X-PAD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대 8개까지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DL 서비스 즉, DLS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DL 메시지는 패킷화되어 전송된다. DLS 데이터는 MSC(main service channel) 데이터 그룹의 데이터로 처리되어, X-PAD(X-packet assemble and disassembly) 구조에 따라 패킷화되어 전송된다.
DL 메시지를 콘텐츠 타입별로 식별하기 위한 부가 정보 태그인 DLpT가 DL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DL 메시지에 이어서 전송되는 등의 형태로 부가적으로 전송된다.
DLpT는 DL 메시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DLpT는 예를 들어, DL 메시지 다음에 전송될 수 있는데, 이것은 수신단에서 DLS 또는 DLpS(DL plus service)의 처리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DLpT에 의하여 구분되는 문자인 DL plus 객체 즉, DLpO는 콘텐츠 타입과 해당 문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표(테이블)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DLpO는 콘텐츠 타입 별로 구성되어 제공되거나, 아이템(Item), 정보(Info), 프로그램(Program), 상호 작용(Interactivity)와 같은 카테고리(category)별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DL 서비스는 전체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와의 인터렉션(interaction) 없이 화면에 출력되는데 반하여, DLp 서비스는 DLpO를 토대로 컨텐츠 타입별로 문자를 구분할 수 있어 계층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DLpO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제어 메시지도 DL 메시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음성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DL 메시지 다음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제어 메시지는 DLpO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하며, 이 태그는 DLsT(DL speech Tag)로 명명될 수 있다. DLsT는 DLpO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DLsT는 DLp 메시지와 동일한 방식인 X-PAD로 전송될 수 있으며, 오디오 패킷 내에 DL 메시지 데이터, DLp 데이터와 같이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sT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sT는 패킷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X-PAD로 전송되는 DL 메시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DL 제어 필드(DL command field)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DL 제어 필드에 예를 들어, 최대 4개까지의 DLsT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DLsT는 도 3에서와 같이, 콘텐츠 타입 필드, 이전 음성 메시지(beginning speech message) 필드 및 이후 음성 메시지 (ending speech message) 필드를 포함한다.
콘텐츠 타입 필드는 콘텐츠 타입을 나타낸다. 이전 음성 메시지 필드는 DLpO 앞에 부가될 음성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후 음성 메시지 필드는 DLpO 뒤에 부가될 음성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의 DLsT를 토대로 DLpO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메시지를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DLpO의 컨텐츠 타입별로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들이 지정되어 있는 표(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성 출력표라고 명명함)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DLpO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음성 메시지들 이외에 부가적으로 정의가 가능한 음성 메시지들이 지정되어 있는 표(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성 부가 출력표라고 명명함)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DLp 서비스에 따라 송신되는 DL 메시지가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홍길동의 좋은 세상 이세종의 "인연" "www.mnet.co.kr/sejong/inyeon""이라고 하자. 여기서, "홍길동의 좋은 세상"은 현재(NOW)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내고, "이세종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로서 아티스트를 나타내며, "인연"은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그리고 "www.mnet.co.kr/sejong/inyeon" 은 부가 정보인 해당 프로그램에 연결된 URL 주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DL 메시지에 이어서, 도 4와 같은 형태의 DLpT가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DLpT를 토대로 DL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자로부터 DLpO가 생성된다. DLpT는 도 4에서와 같이, 표의 형태로 구성되면서 콘텐츠 타입별로 문자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 제어 정보 즉, 시작 마커(start marker) 및 길이 마커(length marker)를 포함한다. DLpT의 콘텐츠 타입별 구분 제어 정보에 따라 콘텐츠 타입별 DLpO가 생성된다. 즉, 도 4의 DL 메시지의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타입 "NOW"에 대응하는 DLpO "홍길동의 좋은 세상"이 구성되고, 콘텐츠 타입 "아티스트"에 대응하는 DLpO "이세종의"가 구성되며, 콘텐츠 타입 "타이틀"에 대응하는 "인연", 그리고 콘텐츠 타입 "URL"에 대응하는 DLpO "www.mnet.co.kr/sejong/inyeon" 가 구성된다. 이러한 DLpT를 토대로 4개의 DLpO가 구성될 수 있다. DLpT와 DLpO를 토대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DLp 서비스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DLp 서비스 화면 상에서 위의 각 DLpO들이 계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 DLpO들을 음성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DLsT를 토대로 한 처리가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sT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pO의 컨텐츠 타입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음성 출력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pO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음성 메시지 외에 부가적으로 정의가 가능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음성 부가 출력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5에 예시되어 있듯이, DLsT 1(DL speech Tag 1)은 콘텐츠 타입 필드를 통하여 "NOW"의 콘텐츠 타입을 지정하고 있으며, 이전 음성 메시지 필드를 통하여 DLpO 앞에 부가될 음성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 "0x21"를 지정하고, 또한 이후 음성 메시지 필드를 통하여 DLpO 뒤에 부가될 음성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 "0x46"을 지정하고 있다.
이러한 DLsT 1를 토대로 도 6과 도 7에 예시된 표들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추출하여 음성으로 출력될 전체 문장을 구성한다. 즉, 도 6에서 콘텐츠 타입별 "NOW"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들 중에서, 식별자 "0x21"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 "현재 [~] 프로그램을 청취하고 계십니다"를 토대로, DLpO "홍길동의 좋은 세상"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메시지를 구성한다. 또한, DLpO 뒤에 부가될 음성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 "0x46"를 토대로 도 7에 예시된 음성 부가 출력표로부터 부가적인 음성 출력 메시지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DLsT 1를 토대로 콘텐츠 타입 "NOW"에 대응하는 DLpO "홍길동의 좋은 세상"에 대응하는 최종 음성 출력 메시지 "현재 홍길동의 좋은 세상 프로그램을 청취하고 계십니다. 즐거운 시간 되십시오."가 구성된다. 이후, 최종 음성 출력 메시지는 음성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문자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인 DL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구성하는 문자 중에서, 음성 제어 메시지인 DLsT에 따라 임의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1)는 디지털 라디오 신호 수신부(10), 동적 레이블 서비스(DLS) 처리부(20), 화면 출력부(30), 그리고 음성 출력부(40)를 포함한다.
디지털 라디오 신호 수신부(10)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디지털 라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디지털 라디오 신호 수신부(10)는 튜닝 및 베이스밴드 처리, 역다중화 처리 등을 통하여,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라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특정 서브 채널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서브 채널 데이터는 DLS 처리부(20)로 전달된다.
DLS 처리부(20)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DL 메시지와, DLpO를 구성하기 위한 DLp 제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DLpT, DL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DLsT를 포함한다.
DLS 처리부(2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처리하여, DL 메시지에 대응하는 문자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또한 DL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DLS 처리부(20)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 출력부(30)는 DLS 처리부(20)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형태의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러한 화면 출력부(30)는 문자 형태의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어, LED 디스플레이 등)로 이루어져, 수신된 DL 메시지에 대응하는 문자 정보를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0)는 DLS 처리부(2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0)는 TTS(Text To Speech) 또는 저장된 음성 파일의 재생을 통해 수신된 DL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0)는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DLS 처리부(2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S 처리부(20) 즉,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20)는 도 9에서와 같이, 동적 레이블(DL) 메시지 처리부(21), 부가 정보 태그 처리부(22), 음성 태그 처리부(23), 동적 레이블(DL) 서비스 화면 구성부(24), 동적 레이블 플러스 (DLp) 서비스 화면 구성부(25), 동적 레이블(DL)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26)를 포함한다.
DL 메시지 처리부(21)는 DAB에서 정의하고 있는 DL 메시지를 복호화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라디오 신호 수신부(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로부터, DAB 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X-PAD 구조의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DL 메시지를 복원한다. 그리고 복원된 DL 메시지를 DL 서비스 화면 구성부(24), DLp 서비스 화면 구성부(25), 그리고 DL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26)로 전달한다.
부가 정보 태그 처리부(22)는 DL 메시지를 콘텐츠 타입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부가 정보 태그를 처리한다. 즉, 디지털 라디오 신호 수신부(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로부터 DLp 제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 태그인 DLpT를 획득하고, DLpT를 토대로 DLpO를 생성한다. 부가 정보 태그 처리부(22)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DLpT를 구성하는 DLp 제어(command) 패킷 내의 태그들을 분석하여 복수의 DLp 객체인 DLpO들을 구성한다. 그리고 DLpO들을 DLp 서비스 화면 구성부(25)와 DL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26)로 전달한다.
음성 태그 처리부(23)는 DL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 태그 즉, DLsT를 처리한다. 음성 태그 처리부(23)는 디지털 라디오 신호 수신부(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로부터 DLsT를 획득하고, DLsT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 메시지 생성을 위한 제어 정보를 DL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26)로 제공한다.
DL 서비스 화면 구성부(24)는 복원된 DL 메시지로부터 해당하는 문자들을 토대로 DL 서비스 화면에 출력될 문자 정보를 구성한다.
DLp 플러스 서비스 화면 구성부(25)는 복원된 DL 메시지와 DLpO들을 토대로 DLp 서비스 화면에 출력될 문자 정보를 구성한다.
이러한 DL 서비스 화면 구성부(24)와 DLp 서비스 화면 구성부(25)로부터 출력되는 문자 정보들은 화면 출력부(30)로 제공되며, 화면 출력부(30)를 통하여 DL 서비스 화면과 DLp 서비스 화면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DL 서비스 화면과 DLp 서비스 화면이 계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DL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26)는 음성 태그 처리부(23)로부터 전달되는, DLsT를 처리하여 획득한 제어 정보를 토대로, 복원된 DL 메시지와 DLpO들을 토대로 음성 출력 메시지를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DL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26)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콘텐츠 타입별로 음성 메시지가 대응되어 있는 음성 출력표 및 음성 부가 출력표를 포함할 수 있다.
DL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26)는 DLsT를 처리하여 획득한 제어 정보를 토대로, 음성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DLpO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들을 음성 출력표 및 음성 부가 출력표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음성 메시지들을 토대로 최종 음성 출력 메시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최종 음성 출력 메시지는 음성 출력부(40)로 전달되어 음성으로 출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1)는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특정 서브 채널 데이터를 획득한다(S100). 특정 서브 채널 데이터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DL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DLpT),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DLsT)를 포함한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1)의 DLS 처리부 즉,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2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DLS 및 DLp 서비스를 제공한다.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2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DL 메시지를 복원한다(S110). 예를 들어,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DL 메시지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20)는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즉, DLp 서비스를 위한 제어 데이터인 DLpT을 분석하여 DL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에서 문장이 의미하는 내용(content type)에 따라 구분되는 객체인 DLpO들을 구성한다(S120). 즉,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DLpT를 토대로 DL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을 DLpO들로 구분한다.
또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2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 즉, DL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인 DLsT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DLpO를 음성으로 출력할 음성 출력 메시지를 구성한다(S130). 구체적으로, DLpT를 토대로 생성된 DLpO들에 대한 DLsT를 토대로, 콘텐츠 타입별로 음성 메시지가 대응되어 있는 음성 출력표 및 음성 부가 출력표로부터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들을 획득한다. 그리고 음성 메시지들을 조합하여 최종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음성 출력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20)는 복원된 DL 메시지로부터 해당하는 문자들을 DL 서비스 화면에 출력하고, DLpO들을 DLp 서비스 화면에 출력한다(S140).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서비스 화면들이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표시된다. 그리고 DLpO에 대응하는 최종 음성 출력 메시지를 스피커 등을 통하여 출력한다(S150). 이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DLS 및 DLp 서비스에 따른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인지하면서, 또한 주요 정보들을 스피커 등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상기 메시지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 및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해당하는 동적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 중에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에 의하여 지정되는 문자들을 구분하여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로 이루어진 정보와,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토대로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메시지를 토대로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추가되는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토대로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와 상기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조합하여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출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는 콘텐츠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출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타입별로 음성 메시지들이 매핑되어 있는 표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회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가 생성되는, 출력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콘텐츠 타입별로 식별하기 위한 태그 정보들을 포함하는, 출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X-PAD 방식에 따라 전송되는, 출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는 오디오 패킷 내에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와 함께 포함되어 전송되는, 출력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이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토대로 하는 정보가 문자로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플러스 서비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 방법.
  11.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동적 레이블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상기 메시지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포함함--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적 레이블 메시지 처리부;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 중에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제어 메시지에 의하여 지정되는 문자들을 구분하여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구성하는 부가 정보 태그 처리부;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 메시지 생성을 위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음성 태그 처리부; 및
    상기 음성 태그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어 정보를 토대로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는 동적 레이블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
    를 포함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제어 메시지는 콘텐츠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음성 출력 메시지 구성부는, 콘텐츠 타입별로 음성 메시지들이 매핑되어 있는 표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적인 음성 메시지를 회득하여 상기 음성 출력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레이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들이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화면 구성부; 및
    상기 동적 레이블 플러스 객체들을 토대로 하는 정보가 문자로 표시되는 동적 레이블 플러스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동적 레이블 플러스 서비스 화면 구성부
    를 더 포함하는,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KR1020150014583A 2015-01-29 2015-01-29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KR20160093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583A KR20160093484A (ko) 2015-01-29 2015-01-29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DE102016101500.8A DE102016101500A1 (de) 2015-01-29 2016-01-28 Verfahren zum Ausgeben eines Dynamic Label Service durch Sprache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eines Dynamic Label Service, die dieses verwen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583A KR20160093484A (ko) 2015-01-29 2015-01-29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484A true KR20160093484A (ko) 2016-08-08

Family

ID=5641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583A KR20160093484A (ko) 2015-01-29 2015-01-29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93484A (ko)
DE (1) DE1020161015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583A (ko) 2013-07-30 2015-02-09 주식회사 두레텍 절수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01500A1 (de)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02343B (zh) 一种传输和播放音视频与消息的方法、服务器及终端
JP2021119668A (ja) 受信装置
KR101575632B1 (ko)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82172A1 (en) Data communication with acoustic signal communication
CN101385340B (zh) 广播接收机和用于发送/接收广播节目信息的方法
US10491934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20160093484A (ko) 동적 레이블 서비스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적 레이블 서비스 처리 장치
US20060156373A1 (en) Data reception terminal and mail creation method
JP6137755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83128B2 (en) Coded acoustic signal communication with separate code-associated data communication
JP2004253923A (ja) 情報受信装置
JP6309061B2 (ja) 放送システム
KR100739603B1 (ko)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및 cbs 메시지를 이용한디지털방송데이터 송수신 방법
JP6279140B1 (ja) 受信装置
JP6279063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16032A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09038A1 (ja) 放送システム、端末装置、放送方法、端末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27711B2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92696A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25821A (ja) 受信装置、放送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78418A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59542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34878A1 (en) Simultaneous subtitle closed caption system
JP2018142971A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17740A (ja) 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