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676A -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676A
KR20160092676A KR1020150013343A KR20150013343A KR20160092676A KR 20160092676 A KR20160092676 A KR 20160092676A KR 1020150013343 A KR1020150013343 A KR 1020150013343A KR 20150013343 A KR20150013343 A KR 20150013343A KR 20160092676 A KR20160092676 A KR 2016009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terminal
image
video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328B1 (ko
Inventor
추광운
장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그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그널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그널이엔씨
Priority to KR102015001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3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및 정맥인식 등의 인증과, 아이디 및 암호 또는 카드번호 등을 통한 인증 등, 2중 인증을 통해 단말기를 활성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단말기 사용중 특정 물체 또는 문구 등을 보안 위배사항으로 지정하여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고, 보안위배 사항은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Security system of image terminal based on things acknowledgement}
본 발명은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및 정맥인식 등의 인증과, 아이디 및 암호 또는 카드번호 등을 통한 인증 등, 2중 인증을 통해 단말기를 활성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보안 위배사항으로 지정된 특정 물체 또는 문구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안 위배사항은 실시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1인당 하나씩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 상황은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준 반면에, 예를 들어 영상통화를 통한 사생활 노출 및 기타 유출되어서는 안 될 요소들이 유출되어 본의 아니게 피해를 입는 등 각종 보안에는 오히려 취약해지는 문제점도 노출하였다.
영상 보안 통화 관련 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00-0056222호가 있다.
이 기술은, VoIP 영상보안통화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보안통화 방법에 관련된 기술로, VoIP 영상보안통화 단말기는 수신측 단말기와의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외부 서버와의 협상을 통해 시그널링 보안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안 메커니즘에 따라 시그널링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시그널링 매니저, 및 수신측 단말기와의 VoIP 영상보안통화를 지원하는 모듈로서, 암호키를 생성하고 수신측 단말기와의 협상을 통해 미디어 암호 알고리즘을 결정한 후, 사용자의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한 영상패킷을 암호화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미디어 매니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암호의 전송 및 인증에 따라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보안 개념이 일부 가미된 기술이기는 하나, 오늘날 급속하게 보급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영상통화를 통해 노출 또는 유출되는 영상 및 각종 소재들을 방지하는데는 부족한 기술이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0-005622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에 등록된 지문, 얼굴, 홍채 및 정맥 등의 인체 특성과 아이디 및 암호, 카드정보 등을 기초로 단말기를 활성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사용시 특정 물체 또는 문구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하며, 이를 계속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한,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통해 유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은, 영상전화기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지문, 얼굴, 홍채 및 정맥 인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증을 통해 활성화되고, 아이디와 암호 및 카드정보의 병행 인증 또는 선택 인증을 통해 활성화되어 사용가능하도록 된 영상단말기; 및 영상단말기를 통해 전송되어서는 안 될 특정 물체 또는 문구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업데이트하며, 보안위배 영상이 영상단말기를 통해 외부단말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위배 영상은, 외부단말기의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이미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위배 영상은, 외부단말기의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다른 이미지와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위배 영상은, 경고 이미지로 대체되어 외부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위배 영상은, 보안 위배 메시지로 대체되어 영상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 위배사항이 추가되면 이를 기존 데이터에 추가하고, 벡터값을 추출하여 이를 단말기에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 위배사항은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체는, 3차원 이미지와 3축 Angle값을 이용한 인식학습을 통해 각 물체의 다양한 평면 변경에 따른 이미지로 저장되고, 이를 지능화시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 따르면, 사전에 등록된 인체 특성 및 인증 수단들을 기초로 단말기를 2중으로 인증하여 활성화함으로써, 단말기의 정당한 소유자에 의한 사용만 가능하게 되어, 고유 정보 유출 및 범죄에의 이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기 사용시 특정 물체 또는 문구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하며, 이를 계속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중 개인 또는 단체의 중요한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의 영상단말기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의 서버의 상세 제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서 사용자 2중 보안 등록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서 사용자 2중 보안 인증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서 사용자 2중 보안 등록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서 보안이 필요한 물체 및 문구 이용 흐름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의 영상 검출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의 패턴인식학습 알고리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은,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및 정맥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단말기를 활성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안이 필요한 사항, 예를 들어, 특정 물체(사람 포함)나 문자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단말기 사용시 입력되는 영상을 검색하게 된다.
상기 지문, 얼굴, 홍채 및 정맥 인식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안을 필요로 하는 특정 물체나 문자 등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 관리된다.
상기 특정 물체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자는 기본적인 문자를 비롯하여 이모티콘, 캐릭터 등 이미지 종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순 문자뿐만 아니라, 그 문자가 포함된 문장 또는 문구일 수도 있다.
보안을 필요로 하여 외부로 유출되어서는 안 될 영상 또는 문자 등은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업데이트되면 벡터값을 추출하여 이를 단말기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안에 위배된 내용은 단말기에 저장하여 이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고, 보안 위배 여부를 확인하여 추가적인 보안 대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안을 필요로 하는 물체에 대한 인식 학습을 통해 각 물체의 다양한 평면 변경에 따른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지능화시켜 단말기가 데이터베이스상에 등록되는 물체 정보에 추가로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은, 영상단말기(100)와, 서버(200)로 구성된다.
영상단말기(100)는, 보안을 필요로 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특정물체 또는 문자 등이 화면으로 보여지거나 또는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이다.
도 2에 도시된 영상단말기(100)와 서버(200)의 상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키입력부(120), 카드정보입력부(130), 영상입력부(140), 영상표시부(150), 송수화부(160), 통신부(170)로 구성된다.
제어부(110)는 영상단말기를 통해 외부단말기(300)에 전송되는 영상에 대한 보안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이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으로, 영상단말기의 활성화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아이디와 암호 등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키입력부(120)는 누르는 버튼식 또는 직접 글자를 써서 입력하는 쓰기식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카드정보입력부(130)는 영상단말기의 2중 보안을 위하여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아이디와 암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인식함으로써 영상단말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카드정보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연월일, cvc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식함에 따라 영상단말기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영상입력부(140)는 영상단말기 사용시 영상단말기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사물) 등을 영상으로 입력하는 수단이다. 영상은 정지 영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한 가지 물체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물체일 수도 있다. 이들 여러 개 물체는 정지 물체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부(150)는 상기 영상입력부(140)를 통해 단말기에 입력되는 물체를 영상으로 외부에 표시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영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 영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한 가지 물체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물체일 수도 있다. 이들 여러 개 물체는 정지 물체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송수화부(160)는 사용자가 상기 아이디와 암호, 필요시 카드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활성화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는 수단이다.
통신부(170)는 단말기를 이용한 단순 통화 또는 영상통화시 도 2에 도시된 외부단말기(300)에 대해 전송되는 영상 또는 대화 내용 등을 인터페이스하는 수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제어부(210), 사용자 아이디 및 암호(220),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및 정맥인식(230), 통화 로그 전송 수신(240), 보안위배영상(250), 물체인식학습(260) 등으로 구성되어, 각각 필요한 정보 저장 및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영상단말기(100)의 사용시 외부단말기(300)에 유출되어서는 안 될 영상 또는 문자 등의 전송을 방지하는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의 동작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서 사용자 2중 보안 등록 흐름도이다.
사용자 인증등록 절차가 시작되면, 전원을 온한다.(S1)
사용자 등록 메뉴에 진입한다.(S2)
사용자 인증 등록방법을 결정한다.(S3)
사용자 인증 등록방법에는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정맥인식 중 택일하도록 한다. 이들 중 둘 이상으로 인증될 수 있도록 등록해도 무방하다.
사용자 인증 등록방법에서 네 가지 인증방법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이 결정되면(S3), 이를 등록한다.(S4) 등록내용은 서버(200)의 제어부(210)를 통해 저장부(230)에 저장 관리된다.
서버(200)는 상기 지문, 얼굴, 홍채 및 정맥 인식 데이터 이외에 사용자 아이디와 암호도 별도로 저장부(220)를 통해 저장 관리한다.
사용자 인증 등록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S5), 그 결과에 따라 종료하거나 또는 스텝S3로 되돌아가 사용자 인증 등록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방법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에서 사용자 2중 보안 인증 흐름도로써, 도 5에 도시된 지문, 얼굴, 홍채 및 정맥인증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을 통해 활성화된 영상단말기(100)의 사용을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영상단말기(100)를 사용 개시하면, 전원을 온한다.(S1)
영상단말기(100)의 키입력부(120)를 통해 아이디와 암호 또는 카드정보 입력부(130)를 통해 카드정보를 입력한다.(S2)
상기 스텝 S2에서 아이디와 암호 외에 카드정보를 동시에 입력하여 이들 입력된 정보들이 모두 부합되는 경우에만, 영상단말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아이디와 암호 또는 카드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입력하여 이 정보가 부합되면 영상단말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이러한 동작 흐름을 모두 스텝 S2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지문, 얼굴, 홍채 및 정맥 인증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증 및 상기 아이디와 암호 또는 카드정보 인증에 따른 2중 인증이 완료되는지에 따라(S3) 스텝 S2로 되돌아가서 아이디와 암호 또는 카드정보 입력 동작을 다시 하거나 스텝 S4로 나아가게 된다.
스텝 S4에서는 상기 스텝들에서 2중 보안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영상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영상전화 또는 사용자 메뉴에 따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송수화부(160)를 통해 외부단말기(300)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하고, 영상통화시 주변에 위치한 정지 물체 또는 움직이는 물체가 영상입력부(140)를 통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입력되면, 영상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되면서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단말기(300)로 전송되는 것이다.
스텝 S5에서는 상기 스텝 S4에서 사용된 내역을 확인하게 된다. 스텝 S5에서 확인된 사용 내역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면서 추가 보안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위한 전제조건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동작 흐름에 따라 영상단말기(100)의 2중 보안 인증에 기초하여 영상단말기(100)의 사용시 외부로 유출되어서는 안 될 물체 또는 문구 등의 등록 및 이에 따른 보안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 도 7이다.
영상단말기(100)의 사용이 개시된다.(S1)
보안에 위배되어 외부로 전송되어서는 안 될 물체 또는 문자 등을 입력한다.(S2)
스텝 S2에서 입력되는 물체 또는 문자 등은 서버(200)의 제어부(210)를 통해 보안위배영상(250)에 저장 관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영상단말기(100)를 통한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경우,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캡쳐되는 영상 또는 문구 등을 보안위배영상(250)에 저장된 바를 기초로 비교 분석한다.(S3) 이러한 비교 분석은, 물체의 형상 분석, 문자 인식을 통한 보안 문구 분석 등이 될 수 있다.
스텝 S3에서의 분석결과, 위배사항이 없을 경우 영상단말기(100)를 정상동작시킨다.(S4)
반면에 위배사항이 있을 경우, 스텝 S5로 나아가서 보안에 위배되는 물체 또는 문구의 형상에 대한 이미지를 변형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이미지 훼손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훼손에 따르면 외부단말기(300)를 통해 정상적인 물체 또는 문구 등의 파악이 곤란하므로 매우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훼손 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위배 경고 이미지 또는 문구를 외부단말기(300), 즉 수화자의 단말기에 표시하거나, 영상단말기(100), 즉 송화자의 단말기에 보안 위배 메시지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안 위배 사항, 즉 물체 또는 문구 등은 서버(200)의 제어부(210)를 통해 보안위배영상(250)에 저장 관리된다.(S6)
보안위배영상 관련 사항은 관리자에 전달되어(S7), 사후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8)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에 따르면, 사용자가 영상단말기(100)를 사용 중 외부 유출이 되면 안 되는 물체 또는 문구를 등록하여 영상통화시나 문자 전송시 이를 전송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서버에 이를 추가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등록되는 내용이 추가되면 이를 기존 데이터에 추가하고, 벡터값을 추출하여 이를 단말기에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실행한다. 또한 보안에 위배된 내용은 저장 후 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보안 위배 여부를 확인토록 함으로써 추가 보안 대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안과 관련된 내용은 특정 물체 및 문구로 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안 문구를 검출하고, 또한 사전 등록된 물체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를 검출한다.
보안과 관련된 사항은 초기의 기본 등록 내용에 더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리자의 사업 혹은 업무 진행에 따라 추가되는 사항이 계속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미 등록된 보안 관련 내용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보안 내용을 서버 혹은 공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와 관련된 벡터값을 추출한 후, 이를 각 영상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안 관련 물체 또는 문구에 대한 검출기능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보안을 필요로 하는 물체에 대한 평면적인 구조가 아닌 3차원 이미지와 3축 Angle 값을 같이 입력하는 인식학습을 통해 각 물체의 다양한 평면 변경에 따른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지능화시켜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작을 도시한 것이 도 8이다.
물체 데이터를 입력한다.(S1)
상기 입력된 물체에 관련된 다양한 위치에 따른 이미지를 저장한다.(S2)
이를 다양한 이미지로 등록된 물체에 연관하여 등록한다.(S3)
서버 또는 단말기를 통해 이를 확인한다.(S4)
스텝 S4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서버로부터 각 단말기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거나(S5), 단말기로부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S6)
물체 또는 문구 등을 검출하는 동작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영상이 캡쳐되면, 영상에 포함된 특정 물체 등이 추출된다, 추출된 물체는 사람 또는 동물의 얼굴일 수도 있고, 사물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분석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얼굴이 추출되면, 얼굴 벡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얼굴 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
물체 분석은 종이, 문자 또는 기타 여러 가지 제한되지 않은 종류일 수 있다.
종이 또는 문자이면, 예를 들어 종이에 기록된 긴 문구 또는 짧은 문자 등을 비교하여 이러한 문구 등이 보안 위배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동작한다.
상기에서 추출되는 것이 종이 또는 문자 이외의 경우에는 이것이 보안에 관련된 물체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 흐름에 따라 추출된 것이 보안 위배된 것일 경우에는, 이를 보안위배영상으로 저장 관리하고, 이를 외부단말기(300)에는 훼손된 영상 등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영상 훼손 이외에 경고 문구를 전송할 수도 있고, 다른 물체 영상을 오버랩 시킬 수도 있다.
패턴인식 학습 알고리즘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바를 토대로, 학습할 물체 영상이 캡쳐되면, 이미지 마스터 아이디 및 서브 아이디를 지정하여 이를 이미지 변환 및 엣지 변환 등을 통해 특징점을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들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벡터값을 추출하여 이를 데이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동작 흐름이 초기학습 과정이다.
반면에, 감독학습은, 학습할 물체 영상이 캡쳐되면, 이를 이미지 변환 및 엣지 변환하고, 특징점을 추출하여 벡터값을 추출하는 것은 초기학습과 유사하다. 이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페턴을 비교하고, 물체 아이디를 표시한 후, 감독자가 판단하게 된다.
100 : 영상단말기
200 : 서버
300 : 외부단말기

Claims (8)

  1. 영상전화기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지문, 얼굴, 홍채 및 정맥 인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증을 통해 활성화되고, 아이디와 암호 및 카드정보의 병행 인증 또는 선택 인증을 통해 활성화되어 사용가능하도록 된 영상단말기; 및
    상기 영상단말기를 통해 전송되어서는 안 될 특정 물체 또는 문구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업데이트하며, 보안위배 영상이 영상단말기를 통해 외부단말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위배 영상은
    외부단말기의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이미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위배 영상은
    외부단말기의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다른 이미지와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위배 영상은
    경고 이미지로 대체되어 외부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위배 영상은
    보안 위배 메시지로 대체되어 영상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위배사항이 추가되면 이를 기존 데이터에 추가하고, 벡터값을 추출하여 이를 단말기에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위배사항은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3차원 이미지와 3축 Angle값을 이용한 인식학습을 통해 각 물체의 다양한 평면 변경에 따른 이미지로 저장되고, 이를 지능화시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KR1020150013343A 2015-01-28 2015-01-28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KR10170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43A KR101708328B1 (ko) 2015-01-28 2015-01-28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43A KR101708328B1 (ko) 2015-01-28 2015-01-28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676A true KR20160092676A (ko) 2016-08-05
KR101708328B1 KR101708328B1 (ko) 2017-02-20

Family

ID=5671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343A KR101708328B1 (ko) 2015-01-28 2015-01-28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0415A (zh) * 2017-11-24 2018-05-29 江西智梦圆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和掌静脉识别的身份比对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222A (ko) 1999-02-18 2000-09-15 정몽규 인슐레이터 고정장치
KR20100128091A (ko) * 2009-05-27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선 감시 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과 관제 서버 및 단말기
KR20110105458A (ko) * 2010-03-19 2011-09-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얼굴 인식 시스템의 학습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15956B1 (ko) * 2013-01-03 2013-10-08 오드컨셉 주식회사 영상정보 기반 보안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101394597B1 (ko) * 2012-05-09 2014-05-27 김명훈 얼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보안장치와 영상보안시스템 및 얼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보안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222A (ko) 1999-02-18 2000-09-15 정몽규 인슐레이터 고정장치
KR20100128091A (ko) * 2009-05-27 201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선 감시 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과 관제 서버 및 단말기
KR20110105458A (ko) * 2010-03-19 2011-09-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얼굴 인식 시스템의 학습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4597B1 (ko) * 2012-05-09 2014-05-27 김명훈 얼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보안장치와 영상보안시스템 및 얼굴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보안방법
KR101315956B1 (ko) * 2013-01-03 2013-10-08 오드컨셉 주식회사 영상정보 기반 보안시스템 및 보안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0415A (zh) * 2017-11-24 2018-05-29 江西智梦圆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和掌静脉识别的身份比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328B1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8952A1 (en) Facial recognition systems for enhanced security in vehicles and other devices
TWI543012B (zh) 一種移動終端的身份驗證方法和移動終端
WO2017075952A1 (zh) 智能门锁的控制方法和装置及智能门控系统
KR101769119B1 (ko) 정크 데이터 일치여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EP4273820A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using biometric recognition coupled with tag authentication
KR20100056688A (ko) 휴대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에 기반하여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820805B (zh) 一种用户身份识别卡信息防盗的方法及装置
CN105592146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终端
KR20160050841A (ko) 출입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042802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인증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5359848B2 (ja) Icカード認証システム、icカード認証方法
KR101941966B1 (ko) 패턴 인식 기반의 출입 제어를 위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US10558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mode to user device
CA2956070C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CN106716429A (zh) 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937200B1 (ko) 앱을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KR101602483B1 (ko)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KR101163709B1 (ko)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JP2009215722A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330113B1 (ko) 자릿값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708328B1 (ko)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CN107403088A (zh) 一种密码识别的方法以及装置
CN109308404A (zh) 盖印人身份验证方法、终端及印章系统
CN106650368A (zh) 加密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TW201546643A (zh) 情境保全方法及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