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642A - 돼지사료 급여장치 - Google Patents

돼지사료 급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642A
KR20160092642A KR1020150013271A KR20150013271A KR20160092642A KR 20160092642 A KR20160092642 A KR 20160092642A KR 1020150013271 A KR1020150013271 A KR 1020150013271A KR 20150013271 A KR20150013271 A KR 20150013271A KR 20160092642 A KR20160092642 A KR 20160092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artitions
hopper
bolts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361B1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5001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3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가 담겨지는 받침대의 사료조를 구획하여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조에 담긴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는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와, 상기 호퍼의 사료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사료조가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호퍼의 외곽면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지지하는 분리휀스를 포함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사료가 담겨지는 사료조를 구획시켜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 담겨진 사료를 먹는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를 균등하게 나눠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투쟁방지장치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돼지사료 급여장치{device of supply pig feed}
본 발명은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가 담겨지는 받침대의 사료조를 구획하여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조에 담긴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도록 한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하부에 사료 배출수단을 가지는 호퍼와 그 아래의 용기 즉 받침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물을 먹을 수 있도록 일측에 급수장치를 가지게 됨에 따라 이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한 돼지사료 급여장치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04년 3월 23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2004년 06월 01일자로 등록받은 등록번호 제 20-0352968 호(명칭: 돼지사료 급여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 아래로 점차 단면이 축소되는 경사부와 배출관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배출관에 조립되어 움직이면서 하부로 사료를 토출시키는 사료공급관이 구비되고, 사료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사료공급관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세로봉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사료공급관 하부에 사료급이통이 구비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내측으로 보조배출관이 조립되고, 상기 보조배출관 외측으로 사료공급관 상단부가 끼워져 조립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과 사료공급관의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어떠한 상황에서도 사료공급관 내부로 물이 침투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분에 의한 사료의 변질을막을 수 있으며, 돼지가 항상 원활하게 사료를 토출시키고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사용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인 돼지사료 급여장치에서 받침대의 사료조(혹은 수조)에 사료(혹은 음수)가 담겨지고 나면 여러마리의 가축들이 먹이를 서로 독차지하려고 투쟁하며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가축을 쫓아내게 됨으로서 힘이 약한 가축들은 위축되고 성장이 지연되어 질병에 쉽게 걸릴 수 있는 문제와 함께 물고 있던 사료를 쫓겨나면서 떨어뜨려 사료 허실을 일으키는 문제를 가져온다.
또한 가축중에서 힘이 센 가축의 경우에는 종종 받침대를 혼자 독차지할려고 받침대 위에 드러눕는 경우가 있는 데, 이때에는 가축의 무게로 인해 받침대가 아래로 휘어지는 등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20-0352968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가 담겨지는 받침대의 사료조를 구획하여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조에 담긴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도록 한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투쟁방지장치를 통해 받침대의 사료조를 구획함으로서 공간을 줄여 가축이 드러눕지 못하도록 하여 받침대의 파손을 방지토록 한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투쟁방지장치를 호퍼 둘레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리휀스에 조립 구성하여 휀스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투쟁방지장치의 각 구성품들을 조립형으로 제작하여 적재나 운반시 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출시에도 물류비를 최소화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투쟁방지장치에서 연장된 하부고정대는 사료받침대를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와, 상기 호퍼의 사료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사료조가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호퍼의 외곽면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지지하는 분리휀스를 포함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사료가 담겨지는 사료조를 구획시켜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 담겨진 사료를 먹는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를 균등하게 나눠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투쟁방지장치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체결되는 상부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 1, 2하부브라켓, 상기 제 1, 2칸막이의 제 1, 2하부브라켓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며 그하단은 지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 1, 2칸막이를 지탱하는 제 1, 2하부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양측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및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2칸막이를 지탱하는 제 1, 2하부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링 형태로 중앙에는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그 전, 후방에는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양측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및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2칸막이를 지탱하는 제 1, 2하부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체결되는 상부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및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제 1, 2하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사료가 담겨지는 받침대의 사료조를 구획하여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조에 담긴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투쟁방지장치를 통해 받침대의 사료조를 구획함으로서 공간을 줄여 가축이 드러눕지 못하도록 하여 받침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로, 투쟁방지장치를 호퍼 둘레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리휀스에 조립 구성하여 휀스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네 번째로,투쟁방지장치를 사료받침대와 연결되고 이후, 축사의 바닥부까지 연장되어 고정됨으로서 사료받침대를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축사에 급여장치를 설치시 흔들림없이 튼튼하게 고정됨으로서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 번째로, 투쟁방지장치의 각 구성품들을 조립형으로 제작하여 적재나 운반시 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출시에도 물류비를 최소화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호퍼(10), 상기 호퍼(10) 아래에 위치하며 지면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호퍼(1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가축들이 먹을 수 있도록 담아내는 사료조(13)가 형성된 받침대(12), 상기 호퍼(10)의 내부 공간을 수직으로 가로 지른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호퍼(10)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노브(16)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수직 이동하는 승강로드(14),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에 담겨져 있는 사료를 상기 받침대(12)로 배출시키되, 상기 승강로드(14)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승강로드(14)의 동작으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사료배출관(20) 및 상기 호퍼 및 받침대의 외곽면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 및 받침대가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호퍼 및 받침대를 지지하는 분리휀스(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동작은 조절노브(16)를 동작시켜 승강로드(14)를 위로 일정높이 승강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로드(14)에 연결되어 있는 사료배출관(20)은 위로 상승하며 사료를 호퍼(10) 아래에 설치된 받침대(12)로 떨어져 가축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받침대에는 사료가 담겨지는 사료조를 구획시켜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 담겨진 사료를 먹는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투쟁방지장치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하기에서는 위 투쟁방지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네 가지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하지만 아래에 기술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사상을 이루기 위한 최상의 실시 예를 기술하고 있다 할 것이므로, 상기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100)는 제 1, 2상부지지대(110, 112), 제 1, 2칸막이(120, 122) 및 제 1, 2하부고정대(130, 13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110, 112)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분리휀스(50)에 볼트(116, 118) 체결되는 수단으로서 중앙으로 사료배출관(20)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11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배출관(20)의 전,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휀스(50)에 볼트(116, 118)로 각각 체결되어 진다.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110, 112)의 양단에는 플랜지(110a, 112a)가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110, 112)의 플랜지(110a, 112a) 사이로 제 1, 2칸막이(120, 122)의 상부브라켓(120a, 122a)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124, 126) 체결된다.
상기 제 1, 2칸막이(120, 122)는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2칸막이(120, 122)의 선단에는 상부브라켓(120a, 122a)이 일체 구비되고, 상기 상부브라켓(120a, 122a)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110, 112)의 플랜지(110a, 112a)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124, 126) 체결되며 제 1, 2칸막이는 분리휀스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2상부지지대에 연결 고정되어 진다.
상기 제 1, 2칸막이(120, 122)의 끝단에는 제 1, 2하부브라켓(120b, 122b)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2하부브라켓(120b. 122b)에는 상기 제 1, 2하부고정대(130, 132)의 선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134, 136) 체결되어 진다. 상기 제 1, 2하부고정대(130, 132)의 하단은 밴딩부(130a, 132a)가 직각되게 절곡 구성되고 상기 밴딩부(130a, 132a)는 지면에 밀착되며 제 1, 2칸막이(120, 122)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상기 제 1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100)는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켜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제 1실시 예의 투쟁방지장치(100)는 그 구성품인 제 1, 2상부지지대(110, 112), 제 1, 2칸막이(120, 122) 및 제 1, 2하부고정대(130, 132)가 모두 개별적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설치시에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적재나 운반시 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출시에도 물류비를 최소화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는 제 1, 2상부지지대(210, 212), 제 1, 2칸막이(220, 222) 및 제 1, 2하부고정대(230, 23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210, 212)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분리휀스(50)에 각각 볼트(216, 218) 체결되는 수단으로서 중앙으로 사료배출관(20)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21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배출관(20)의 전,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휀스(50)에 볼트(216, 218)로 각각 체결되어 진다.
상기 제 1, 2칸막이(220, 222)는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210, 212)에서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210, 212)가 상기 분리휀스(50)에 볼트(216, 218)로 체결되고 나면 상기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2하부고정대(230, 232)는 상기 제 1, 2칸막이(220, 222)의 하단에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2칸막이(220, 222)가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키고 나면 그 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밴딩부(230a, 232a)를 지면에 밀착시켜 상기 제 1, 2칸막이(220, 222)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상기 제 2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200)는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켜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특히 상기 제 2실시 예의 투쟁방지장치(200)는 제 1상부지지대(210)와, 제 1칸막이(220) 그리고 제 1하부고정대(230)가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제 2상부지지대(212)와, 제 2칸막이(222) 그리고 제 2하부고정대(232)가 일체로 각각 성형되도록 하여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시 예 3}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300)는 상부지지대(310), 제 1, 2칸막이(320, 322) 및 제 1, 2하부고정대(330, 33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부지지대(310)는 링 형태로 중앙으로는 사료배출관(20)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314)이 형성되도록 제작하며 그 전, 후면은 상기 사료배출관(20)의 전,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분리휀스(50)에 볼트(316, 318)로 각각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2칸막이(320, 322)는 상기 상부지지대(310)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310)가 상기 분리휀스(50)에 볼트(316, 318)로 체결되고 나면 상기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2하부고정대(330, 332)는 상기 제 1, 2칸막이(320, 322)의 하단에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2칸막이(320, 322)가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키고 나면 그 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밴딩부(330a, 332a)를 지면에 밀착시켜 상기 제 1, 2칸막이(320, 322)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게 된다.
상기 제 3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300)는 받침대(12)의 사료조(13)를 구획시켜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를 균등하게 골고루 나눠 먹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특히 상기 제 3실시 예의 투쟁방지장치(300)는 상부지지대(310), 제 1, 2칸막이(320, 322) 그리고 제 1, 2하부고정대(330, 332)가 모두 일체로 성형된 관계로 상부지지대(310)만 분리휀스(50)에 볼트(316, 318) 체결시키는 것만으로 투쟁방지장치(300)의 조립이 완료되어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시 예 4}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투쟁방지장치(40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동일한 구조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410, 412),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410, 412)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410a, 412a),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410, 412)의 플랜지(410a, 412a)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424, 426) 체결되는 상부브라켓(420a, 422a)을 가지며 상기 사료조(13)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420, 422)로 구성하되, 상기 제 1, 2칸막이(420, 422)의 끝단에 제 1, 2하부고정대를 볼트 체결하지 않고, 상기 제 1, 2칸막이(420, 422)의 끝단에 제 1, 2하부브라켓(420b, 422b)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제 1, 2하부브라켓(420b, 422b)을 상기 받침대(12)의 양측면(12a, 12b)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434, 436)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의 투쟁방지장치는 전술한 실시 에들과 같이 제 1, 2하부고정대를 사용하지 않고 제 1, 2상부지지대(410, 412) 및 제 1, 2칸막이(420, 422)만 사용함으로서 구성품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 1, 2칸막이(420, 422)가 제 1, 2하부브라켓(420b, 422b)을 통해 받침대(12)의 양측면(12a, 12b)에 직접 볼트(434, 436) 체결됨으로서 받침대(12)의 처짐현상을 상기 제 1, 2칸막이(420, 422)가 지탱하며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10: 호퍼 12: 받침대
14: 승강로드 20: 사료배출관
50: 분리휀스 100: 투쟁방지장치
110, 112: 제 1, 2상부지지대 120, 122: 제 1, 2칸막이
130, 132: 제 1, 2하부고정대

Claims (5)

  1. 호퍼와, 상기 호퍼의 사료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사료조가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호퍼의 외곽면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지지하는 분리휀스를 포함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사료가 담겨지는 사료조를 구획시켜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 담겨진 사료를 먹는 가축들이 서로 투쟁하지 않고 사료를 균등하게 나눠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투쟁방지장치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체결되는 상부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 1, 2하부브라켓;
    상기 제 1, 2칸막이의 제 1, 2하부브라켓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며 그하단은 지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 1, 2칸막이를 지탱하는 제 1, 2하부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양측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및 ;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2칸막이를 지탱하는 제 1, 2하부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링 형태로 중앙에는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그 전, 후방에는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일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및 ;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일체 연장 형성되며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2칸막이를 지탱하는 제 1, 2하부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쟁방지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휀스에 볼트로 각각 체결 고정되는 제 1, 2상부지지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제 1, 2상부지지대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 체결되는 상부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사료조를 구획하는 제 1, 2칸막이 및 ;
    상기 제 1, 2칸막이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제 1, 2하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20150013271A 2015-01-28 2015-01-28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168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71A KR101683361B1 (ko) 2015-01-28 2015-01-28 돼지사료 급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71A KR101683361B1 (ko) 2015-01-28 2015-01-28 돼지사료 급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642A true KR20160092642A (ko) 2016-08-05
KR101683361B1 KR101683361B1 (ko) 2016-12-06

Family

ID=5671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271A KR101683361B1 (ko) 2015-01-28 2015-01-28 돼지사료 급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3548A (zh) * 2017-11-10 2018-04-06 甘肃农业大学 一种户外牛羊用饲料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968Y1 (ko) 2004-03-23 2004-06-09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장치.
JP2008253162A (ja) * 2007-04-02 2008-10-23 Fujii Shokai:Kk 家畜用給餌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968Y1 (ko) 2004-03-23 2004-06-09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장치.
JP2008253162A (ja) * 2007-04-02 2008-10-23 Fujii Shokai:Kk 家畜用給餌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3548A (zh) * 2017-11-10 2018-04-06 甘肃农业大学 一种户外牛羊用饲料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361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00299A1 (en) Removable and Reconfigurable Perch for Bird Feeder
CN101494972B (zh) 在孵化过程中对幼雏喂食的设备和方法
US3208430A (en) Laying cage structure
ES2325752A1 (es) "deposito de almacenamiento de pienso".
CN103371107A (zh) 家畜同步喂食系统
JP5554355B2 (ja) 飼料供給装置
US9801357B2 (en) Hummingbird fruit fly feeder
KR101683361B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US10448614B1 (en) Animal feeder with removable storage wells
KR20140003703A (ko) 전복 양식용 쉘터
KR102241636B1 (ko)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받침대 분뇨투입 방지장치
US7131395B1 (en) Collapsible mesh feeder
US3249090A (en) Animal feeder
KR101386888B1 (ko)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KR20170133205A (ko)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분리장치
US20220061266A1 (en) Animal Feeding Apparatus
CN204888345U (zh) 一种喂鸡装置
CN210226554U (zh) 零食栈式喂鸟器
JPH0767359B2 (ja) 小動物用飼育ケージ
US20210392853A1 (en) Animal feeder apparatus
CN216492756U (zh) 一种家禽养殖用定时投喂的喂食装置
US5205239A (en) Bird feeding device with squirrel guard
JP4972222B1 (ja) 家禽用給餌装置
US20160014998A1 (en) Animal feeder
CN218163964U (zh) 一种可自动放料的蛋鸡养殖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