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797A - Door loc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oor loc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797A
KR20160091797A KR1020150012422A KR20150012422A KR20160091797A KR 20160091797 A KR20160091797 A KR 20160091797A KR 1020150012422 A KR1020150012422 A KR 1020150012422A KR 20150012422 A KR20150012422 A KR 20150012422A KR 20160091797 A KR20160091797 A KR 20160091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ead bolt
operating means
locking device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혜연
Original Assignee
유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혜연 filed Critical 유혜연
Priority to KR102015001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797A/en
Publication of KR2016009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7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security properties by smoothly preventing, with a hiding body,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which can be exposed during users operation, from being exposed. The door locking device includes: the hiding body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which protrudes from the outside of a door and has an open front end portion where a user input means is installed; and a mortise unit including a dead bolt operation means, which is installed in the door and has a dead bold arranged on one side thereof to be inserted and extracted, and a driving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door, is driven b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means, and locks or unlocks the door by inserting and extracting the dead bolt by operating the dead bolt operation means.

Description

도어 록킹 장치{DOOR LOCKING APPARATUS}{DOOR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 몸체를 통해 사용자 조작시에 누설될 수 있는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의 노출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여 보안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ing apparatus for preventing security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rom being easily leaked during user operation through a covering body .

통상적으로 도어록 등의 잠금장치는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및 전자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계식은 수동으로 잠금(locking)과 해제(unlocking)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전기식은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전자식 잠금장치는 키패드, 지문 인식기 및 카드 리더 등을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최근에 전자식 잠금장치는 사용의 편리함과 신뢰할 수 있는 보안성으로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Generally, a lock device such as a door lock can be classified into a mechanical type, an electric type, and an electronic type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The mechanical type is configured to perform a manual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and the electric type is configured using a solenoid or a motor And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is used for judg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using a keypad, a fingerprint reader, a card reader, etc. Recently,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has been used for convenience and reliable security. It is gradually expanding.

이와 같은 전자식 잠금장치는 출입자의 인증과정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모티스부에 해당되는 록커의 실질적인 잠금 및 해제는 키 록킹 장치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such an electronic locking device,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user is performed electronically, and the actual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er corresponding to the motive portion is mechanically performed by the key locking device.

따라서, 키 록킹 장치는 잠금장치의 해제시(또는 잠금시) 전자적인 부분(인증 부분 및 록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효과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Thus, the keylocking device must be effectively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art (authentication part and locker) when disconnected (or locked) of the locking device.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 록킹 장치의 일예를 도 9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록킹 장치는 실내측부(100)와, 실외측부(200)와, 모티스부(300)를 구비한다.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electronic door locking apparatus is shown in Fig. 9, and its construction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s shown in FIG. 9, 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apparatus includes an inside side portion 100, a room outside side portion 200, and a motice portion 300.

상기 실내측부(100)는 도어(1)의 실내측에 결합되고 모터와 배터리가 내장되는 실내측구동부(110)와, 상기 실내측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내측 핸들(120)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측 핸들(120)에는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 닫는데 사용된다.The indoor side part 100 includes an indoor side driving part 110 coupled to the indoor side of the door 1 and having a motor and a battery built therein and an indoor side handle 120 rotatably coupled to the indoor side driving part . The indoor side handle 120 is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 the room.

상기 실외측부(200)는 실외측 하우징(210)과 실외측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외측 핸들(220)과, 상기 실외측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는 키패드(211)를 가진다. 상기 실외측 핸들(220)은 상기 도어를 열고 닫는데 사용된다. 상기 키패드(211)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입력 수단이다.The room outer side 200 has an outdoor side handle 220 rotatably coupled to the outdoor side housing 210 and the outdoor side housing 210 and a keypad 211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door side housing. The outdoor side handle 220 is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keypad 211 is a user input means used by a user to unlock the door by operating a password.

상기 모티스부(300)는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키패드의 조작에 의해 삽탈되면서 도어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데드볼트(20)와, 상기 실외측 핸들에 의해 작동되면서 도어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래치볼트(70)를 구비한다.The mortise unit 30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1 and includes a dead bolt 2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while being re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pad, And a latch bolt (7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즉, 상기 모티스부(300)는 상기 데드볼트(20)와 상기 실내측구동부(110)에 내장된 모터 사이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제1 작동연결수단과, 상기 래치볼트(70)와 상기 실내측 핸들(120) 및 실외측 핸들(220)을 연결시키는 제2 작동연결수단을 내장하고 있다.That is, the motive portion 300 includes first operation connecting means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dead bolt 20 and a motor built in the indoor side driving portion 110, and a second operation connecting means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latch bolt 70 and the indoor side And a second operatio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handle 120 and the outdoor side handle 220 are incorporat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전자식 도어 록킹 장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상기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중에 상기 정보 자체가 외부인에 의해 쉽게 누설되는 등 비밀번호 등의 정보에 대한 보안이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oor locking device, a keypad for a user to input a password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while the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is inputted through the keypad, the information itself is easily leaked by an outside person, This is a very weak problem.

등록특허 제0756673호 "도어록킹장치"(2007.09.03)Registration No. 0756673 "Door locking device" (2007.09.0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가림 몸체를 통해 사용자 조작시에 누설될 수 있는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의 노출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여 보안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exposure of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which can be leaked during a user's operation through the covering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접근과 함께 사용자 입력수단이 온되어 사용 및 조작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that allows user input means to be turned on with a user's access,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ease of use and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표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자동 개폐 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isplay part so that a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림 몸체 자체를 핸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단순화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ing apparatus which can simplify the structure by using the covering body itself as a handl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는, 도어의 외면에 돌출되면서 선단이 개구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선단의 내부에 사용자 입력수단이 설치되는 가림 몸체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데드볼트가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드볼트 작동수단과, 상기 도어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데드볼트의 삽탈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티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ver body which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front end opened an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a door, A dead bolt operat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door and having a dead bolt removably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nd a dead bolt operating mean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means to operate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And a driving par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by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bol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상기 가림 몸체는, 그 외주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은, 상기 근접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온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hielding body of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sensing the approach of the user, 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turned 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상기 가림 몸체는, 그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에 의한 도어의 잠금이나 잠금의 해제를 서로 다른 색상의 엘이디의 점등을 통해 표시하는 개폐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covering body of the "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isplay part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displaying the locking / unlocking of the door by the dead bolt,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은, 키패드, 터치패드, 지문인식기 및 무선정보 리더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user input means of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f a keypad, a touch pad, a fingerprint reader, and a wireless information rea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상기 모티스부는,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의 하부로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래치볼트를 삽탈시켜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래치볼트 작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록킹 장치는, 상기 가림 몸체와 도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림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가림몸체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을 연결시키는 회전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motive portion of the "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at a lower portion of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and by manually releasing the latch bolt by manual operation, the door is locked or unlocked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latch bolt operating means, wherein the door locking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shielding body and the door, and connects the shielding body and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while coupling the shielding body rotatably to the door ;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가림 몸체와 래치볼트 작동수단을 연결하는 회전로드와, 상기 가림 몸체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외면에 장착되는 원형링과, 상기 가림몸체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원형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rotary connection portion of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rod connecting the shielding body and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a circular ring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And a circular supporting member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ing body and rotatably fitted in the circular r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림 몸체를 통해 사용자 조작시에 누설될 수 있는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의 노출이 원활히 방지되고, 그에 따라 장치 자체의 보안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event exposure of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that can be leaked at the time of a user's operation through the covering body,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of the apparatus itself, .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근과 함께 사용자 입력수단이 온되어 사용 및 조작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input means is turned on with the user's access, and the convenience of use and operation is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개폐표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자동 개폐 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oo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본 발명은, 가림 몸체 자체를 핸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단순화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by allowing the covering body itself to be used as a han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도어 록킹 장치의 일예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종래의 도어 록킹 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1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oor locking apparatus,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bstantial part of a conventional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9;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는 관형의 가림 몸체(10)와, 상기 가림 몸체(10)의 전기신호 상으로 연결되고 도어(D)에 설치되는 모티스부(20)를 포함한다.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shielding body 10 and a motive portion 20 connected to the electric signal of the shielding body 10 and installed on the door D do.

상기 가림 몸체(10)는 도어(D)의 외면에 돌출되면서 선단이 개구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선단의 내부에 사용자 입력수단(11)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가려서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hielding body 1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its front end opened while being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D and a user input means 11 is installed inside the open end thereof. And prevents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rom being exposed.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D)를 열기 위한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은 키패드, 터치패드, 지문인식기 및 무선정보 리더기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user input means 11 can input a password for opening the door D by a user's operation. The user input means 11 may be any one of a keypad, a touchpad, a fingerprint reader, and a wireless information reader.

상기 키패드는 버튼키가 구비되는 공지의 기기이고, 상기 터치패드는 엘시디창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부가되어 상기 엘시디창의 터치에 의해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기기이며, 상기 지문인식기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공지의 기기이고, 상기 무선정보 리더기는 RFID와 같은 저장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RFID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기기이다.The keypad is a well-known device equipped with a button key. The touchpad is a known device that can input a number or the like by touching the LCD window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added to the LCD window,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reader is a well-known devic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storage device such as an RFID to wirelessly rea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상기 가림 몸체(10)는 그 외주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센서(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근접 감지센서(12)는 사용자가 상기 가림 몸체(10)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공지의 감지수단이다.The shielding body 10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12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10 and sensing a user's approach. The proximity sensor 12 is a known sensing means for sensing that the user is close to the covering body 10. [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은 상기 근접 감지센서(12)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온되도록 제어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온시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의 위치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user input means 11 is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proximity sensor 12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user. In this state, the user input means 11 is turned 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ser input means 1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의 온(on)은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에 별도로 설치되는 전등을 온시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이 온된 상태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Here, the user input means 11 may be turned on by supplying power to the user input means 11 so as to be turned on or turning on a lamp installed separately to the user input means 11, And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input means 11 is in an on state.

아울러, 상기 근접 감지센서(12)에 의해 상기 가림 몸체(10)에 대한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되면, 즉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온된 상태로 있는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근접 감지센서(12)는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해 상기 가림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s departure from the covering body 10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12, that is, when the user's approach is not detected, the user input means 11 in the turned-on state is turned off . The proximity sensor 12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ing body 10 to easily detect the approach of the user.

상기 가림 몸체(10)는 그 외주면에 설치되는 개폐표시부(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표시부(13)는 그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엘이디가 내장되고 상기 엘이디가 점등되면서 상기 가림 몸체(10)의 외부로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데드볼트(21a)에 의한 도어(D)의 잠금이나 잠금의 해제를 서로 다른 색상의 엘이디의 점등을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shielding body 10 further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display portion 13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LEDs of different colors are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isplay unit 13 and the LEDs are turned on to display different colors to the outside of the covering body 10. The doors D ) And the release of the lock are displayed by lighting the LEDs of different colors.

예를 들면, 상기 데드볼트(21a)에 의해 상기 도어(D)가 잠긴 상태면 붉은색을 표시하고, 상기 데드볼트(21a)에 의해 상기 도어(D)가 열린 상태면 푸른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D)의 개폐 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개폐표시부(13)는 상기 가림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door D is locked by the dead bolt 21a, a red color is displayed. When the door D is opened by the dead bolt 21a, So that the door D can be easily recognized. Th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13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ing body 10.

상기 모티스부(20)는 상기 도어(D)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데드볼트(21a)가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드볼트 작동수단(21)과, 상기 도어(D)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을 작동시켜 상기 데드볼트(21a)의 삽탈에 의해 상기 도어(D)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구동부(22)를 포함한다.The mortise unit 20 includes a dead bolt operating unit 21 installed inside the door D and having a dead bolt 21a removably installed at one side thereof and a dead bolt operating unit 21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D, A driving unit 22 which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means 11 to actuate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to lock or unlock the door D by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dead bolt 21a, .

상기 모티스부(20)는 상기 도어(D)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기구적인 부품들이 구비되는 공지의 것이다.The motice unit 20 is known in which mechanical parts capable of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D are provided.

여기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은 기구적인 부품의 결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데드볼트(21a)를 도어(D)의 일측면에서 삽탈시키는 기능을 하는 공지의 수단이다. 즉,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21a)가 외측으로 인출되면 상기 도어(D)에 있는 상기 데드볼트(21a)가 문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D)가 잠기게 되고, 반대로 상기 데드볼트(21a)가 상기 도어(D) 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데드볼트(21a)가 문틀에서 이탈되어 상기 도어(D)의 잠금이 해제된다.Here, the deadbolt operating means 21 is a combination of mechanical parts, and is a known means for removing the dead bolt 21a from one side of the door D. That is, when the dead bolt 21a is pulled out by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the dead bolt 21a in the door D is inserted into the door frame so that the door D is locked When the dead bolt 21a is inserted into the door D, the dead bolt 21a is disengaged from the door frame and the door D is unlocked.

상기 구동부(22)는 통상적으로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와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D)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과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The driving unit 22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motor or a solenoid and a battery. The driving unit 22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D and connected to the dead bolt operating unit 21 to drive the driving unit 22.

이와 같은 상기 구동부(22)는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에 의해 조작되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을 작동시키게 된다.The drive unit 22 is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11 via an electric signal and operates the dead bolt operation unit 21 while being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signal operated by the user input unit 11 do.

상기 모티스부(20)는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의 하부로 상기 도어(D)의 내부에 설치되고 래치볼트(23a)가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은 기구적인 부품의 결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볼트(23a)를 도어(D)의 일측면에서 삽탈시키는 기능을 하는 공지의 수단이다.The mortise unit 20 further includes a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installed inside the door D below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and having a latch bolt 23a removably attached thereto .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is a combination of mechanical parts and is a known means for functioning to remove the latch bolt 23a from one side of the door D.

즉,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23a)를 상기 도어(D)에서 삽탈시켜 문틀에 상기 도어(D)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serves to lock or unlock the door D to or from the door frame by manually releasing the latch bolt 23a from the door D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

본 도어 록킹 장치는 상기 가림 몸체(10)와 도어(D)의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연결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연결부(30)는 상기 가림 몸체(10)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도어(D)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가림몸체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door loc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rotation connection part (30) installed between the covering body (10) and the door (D). The rotary connection portion 30 connects the shielding body and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while coupling the shielding body 10 to the door D so as to be rotatable.

즉, 상기 회전연결부(30)에 의해 상기 가림 몸체(10)는 상기 도어(D)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 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23a)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는 핸들의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the shielding body 30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in a state of being rotatably mounted on the door D by the rotation connecting portion 30 so that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can be manually operated so that the shielding body 10 serves as a handle capable of releasing the lock of the latch bolt 23a by rotating the gripping body 10 in a state held by the user.

이와 같은 상기 회전연결부(30)는 상기 가림 몸체(10)와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연결하는 회전로드(31)와, 상기 가림 몸체(10)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D)의 외면에 장착되는 원형링(32)과, 상기 가림몸체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원형링(3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형지지부재(33)를 포함한다.The rotary connection part 30 includes a rotary rod 31 connecting the shielding body 10 and the latch bolt actuating means 23 to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10, And a circular support member 33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and rotatably fitted in the circular ring 32. [

상기 회전로드(31)는 상기 가림 몸체(10)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연결하면서 상기 가림 몸체(10)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에 전달하여 상기 래치볼트(23a)가 상기 도어(D)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rotary rod 31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ielding body 10 to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while connecting the shielding body 10 and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to the latch bolt 23a Can be inserted into the door (D).

상기 원형링(32)은 상기 원형지지부재(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원형지지부재(33)는 상기 가림 몸체(10)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circular ring 32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circular support member 33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circular support member 33 serves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covering body 10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도어(D)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가림 몸체(10)에 접근을 하게 되면, 상기 근접 감지센서(12)를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가림 몸체(10)의 내측에 있는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온시키게 되며, 상기 개폐표시부(13)는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상기 도어(D)가 잠긴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4,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covering body 10 to open the door D, the proximity sensor 12 detects the proximity sensor 12 and detects the inside of the covering body 10 And th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13 is displayed in red so as to indicate that the door D is in a locked stat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가림 몸체(10)의 내측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조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시야는 상기 가림 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볼 수 있지만, 외부인은 상기 가림 몸체(10)에 의해 가려져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볼 수 없게 된다.Then, the user puts his / her finger into the inside of the covering body 10 to operate the user input means 11. At this time, the user's view can see the user input means 11 provided inside the covering body 10, but an outside person can be seen by the covering body 10 to see the user input means 11 I will not.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통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2)가 구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을 작동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21a)가 상기 도어(D)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데드볼트(21a)에 의한 상기 도어(D)의 잠금이 해제된다.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or the like through the user input means 11, the driving unit 22 is driven to operate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to move the dead bolt 21a are inserted into the door D, the door D is unlocked by the dead bolt 21a.

이때, 상기 개폐표시부(13)는 붉은색에서 파란색으로 색상이 변경되면서 상기 도어(D)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13 displays a state in which the door D is unlocked while the color is changed from red to blue.

상기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21a)에 의한 상기 도어(D)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림 몸체(10)를 잡고서 회전시키면 상기 가림 몸체(10)의 회전력이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에 전달되어 상기 래치볼트(23a)가 상기 도어(D)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도어(D)의 잠금이 완전히 해제되어 상기 도어(D)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6, when the door D is unlocked by the dead bolt 21a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holds the covering body 10 and rotates the cover body 10 as shown in FIG. 6, the rotating force of the covering body 10 Is transmitted to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so that the latch bolt 23a is inserted into the door D so that the door D is completely unlocked so that the door D can be opened do.

사용자가 상기 도어(D)를 개방한 후에 상기 가림 몸체(10)를 놓으면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의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가림 몸체(10)가 역회전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When the user releases the covering body 10 after opening the door D, the covering body 10 is reversely rotated by elastic restoration of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인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는 상기 도어(D)에 장착되는 상기 가림 몸체(10)와,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만을 가지는 모티스부(20)로 구성된다.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hielding body 10 mounted on the door D and the motive portion 20 having only the deadbolt actuating means 21 .

즉, 상기 가림 몸체(10)는 상기 도어(D)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이 상기 구동부(22)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21a)가 상기 도어(D)에 삽탈되어 상기 도어(D)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overing body 10 is mounted on the door D and has the user input means 11, and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means 11, The dead bolt 21a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door D while being operated by the door 22 so that the door D can be opened and clos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인 사시도이다.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킹 장치는 상기 도어(D)에 장착되는 상기 가림 몸체(10)와,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과 별도의 핸들이 연결되는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가지는 모티스부(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hielding body 10 mounted on the door D, a separate handle connected to the deadbolt actuating means 21, And a mott portion 20 having a latch bolt actuating means 23.

상기 가림 몸체(10)는 상기 도어(D)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이 상기 구동부(22)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21a)가 상기 도어(D)에 삽탈되어 상기 도어(D)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hielding body 10 is mounted on the door D and has the user input means 11 so that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is operated by the user input means 11 so that the driving means 22 The dead bolt 21a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door D so that the door D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에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래치볼트(23a)가 상기 도어(D)에 삽탈되어 상기 도어(D)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latch bolt 23a is operated by the user holding the handle and rotated so that the latch bolt 23a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door D so that the door D can be opened and clo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가림 몸체
11 : 사용자 입력수단 12 : 근접 감지센서
13 : 개폐표시부
20 : 모티스부
21 : 데드볼트 작동수단 21a : 데드볼트
22 : 구동부
23 : 래치볼트 작동수단 23a : 래치볼트
30 : 회전연결부
31 : 회전로드 32 : 원형링
33 : 원형지지부재
D : 도어
10: Shroud body
11: user input means 12: proximity sensor
13: opening /
20: Mortis
21: dead bolt operating means 21a: dead bolt
22:
23: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a: latch bolt
30:
31: rotating rod 32: circular ring
33: circular support member
D: Door

Claims (6)

도어의 외면에 돌출되면서 선단이 개구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선단의 내부에 사용자 입력수단(11)이 설치되는 가림 몸체(10)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데드볼트(21a)가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드볼트 작동수단(21)과, 상기 도어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을 작동시켜 상기 데드볼트(21a)의 삽탈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구동부(22)를 포함하는 모티스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 장치.
A cover body (10) which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front end opening an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in which a user input means (11) is installed inside the opened front end;
A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installed inside the door and having a dead bolt 21a removably mounted on one side thereof and a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means 11, And a driving part (22) for actuating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to lock or unlock the door by inserting / detaching the dead bolt (21a);
Wherein the door lock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몸체(10)는,
그 외주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센서(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은, 상기 근접 감지센서(12)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온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ing body (10)
Further comprising a proximity sensor (12)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sensing a user's approach,
Wherein the user input means (11) is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a user's approach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 몸체(10)는,
그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21a)에 의한 도어의 잠금이나 잠금의 해제를 서로 다른 색상의 엘이디의 점등을 통해 표시하는 개폐표시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ing body (10)
And an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13)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displaying the lock or unlocking of the door by the dead bolt (21a)
Further comprising: a door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1)은,
키패드, 터치패드, 지문인식기 및 무선정보 리더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put means (11)
A key pad, a touch pad, a fingerprint reader, and a wireless information rea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부(20)는,
상기 데드볼트 작동수단(21)의 하부로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래치볼트(23a)를 삽탈시켜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록킹 장치는,
상기 가림 몸체(10)와 도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림 몸체(10)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가림몸체와 상기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연결시키는 회전연결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tive unit (20)
A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installed inside the door at a lower portion of the dead bolt operating means 21 for manually locking or unlocking the latch bolt 23a by manual operation or releasing the lock, Including,
Wherein the door locking device comprises:
A rotary connection part 30 provided between the shielding body 10 and the door and connecting the shielding body and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while rotatably coupling the shielding body 10 to the door ; Further comprising: a door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do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30)는,
상기 가림 몸체(10)와 래치볼트 작동수단(23)을 연결하는 회전로드(31)와,
상기 가림 몸체(10)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외면에 장착되는 원형링(32)과,
상기 가림몸체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원형링(3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형지지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킹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on connection portion (30)
A rotating rod 31 connecting the shielding body 10 and the latch bolt operating means 23,
A circular ring 32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ing body 10,
A circular support member 33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ing body and rotatably fitted to the circular ring 32,
Wherein the door locking device comprises:
KR1020150012422A 2015-01-26 2015-01-26 Door locking apparatus KR201600917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22A KR20160091797A (en) 2015-01-26 2015-01-26 Door loc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22A KR20160091797A (en) 2015-01-26 2015-01-26 Door loc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97A true KR20160091797A (en) 2016-08-03

Family

ID=5670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422A KR20160091797A (en) 2015-01-26 2015-01-26 Door loc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79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73B1 (en)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Door loc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73B1 (en)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Door loc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913B2 (en) Locking apparatus
CN203405858U (en) Fingerprint coded lock
KR101148892B1 (en) Electronic locks for enhanced security to the Haidian
GB2458889A (en) Door lock having fingerprint reading device, keypad and mechanical locking means
CN106703534B (en) Insertion-core lock
KR101142425B1 (en) Door lock unlocking device
CN103924845A (en) Intelligent door lock capable of being locked outside door and double locked inside door conveniently
CN107100432A (en) A kind of safe-guard door lock panel handle
CN109594887B (en) Anti-picking anti-theft safety door
KR101145971B1 (en)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CN202055624U (en) Outdoor door lock of power equipment
KR20140006513A (en) Door lock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JP4064993B2 (en) Detachable electronic lock device
KR101876476B1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with safty lock
KR20160091797A (en) Door locking apparatus
KR20160040405A (en) Door locking apparatus
KR20160071978A (en) Door locking apparatus
KR20090124616A (en) Complex door safe furniture control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JP4613119B2 (en) Open / close door
KR20090090025A (en) Reduced size digital doorlock having dual locking handle
CN209799603U (en) Intelligent door lock switch mechanism
JP3192625B2 (en) Ball game machine
KR200212695Y1 (en) An electroic door lock
KR101826692B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KR101899455B1 (en) Attached digital auxiliary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