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752A -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752A
KR20160091752A KR1020150012256A KR20150012256A KR20160091752A KR 20160091752 A KR20160091752 A KR 20160091752A KR 1020150012256 A KR1020150012256 A KR 1020150012256A KR 20150012256 A KR20150012256 A KR 20150012256A KR 20160091752 A KR20160091752 A KR 2016009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category
search
categories
de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652B1 (ko
Inventor
이운재
김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5001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로부터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 하는 검색어 수신부;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키워드 분석부;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와 모두 관련된 제3 카테고리를 검출하는 카테고리 검출부;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와 상기 복합어 사이의 연관성 및 상기 복합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합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순위 결정부; 상기 복합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검출하는 검색 결과 검출부; 및 상기 검색 결과 중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가 상단에 표시되도록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검색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중요 카테고리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형성되면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매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원하는 장소까지 상품을 배송 받는 것은 온라인 쇼핑의 큰 장점이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전자 상거래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과정을 거쳐 원하는 상품을 지정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7-000595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기초로 카테고리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 하는 검색어 수신부;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키워드 분석부;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와 모두 관련된 제3 카테고리를 검출하는 카테고리 검출부;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와 상기 복합어 사이의 연관성 및 상기 복합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합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순위 결정부; 상기 복합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검출하는 검색 결과 검출부; 및 상기 검색 결과 중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가 상단에 표시되도록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은 상기 제1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키워드만을 포함하는 검색어의 입력의 빈도수과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를 함께 포함하는 검색어의 입력의 빈도수를 비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는 상기 복합어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에 대한 클릭율, 구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순위 결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와 상기 복합어 사이의 연관성 및 상기 복합어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에 대한 클릭율, 및 구매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합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위 결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성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중 적어도 2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대표 카테고리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 하는 단계;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와 모두 관련된 제3 카테고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와 상기 복합어 사이의 연관성 및 상기 복합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복합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복합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검색 결과 중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가 상단에 표시되도록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기초로 카테고리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검색 화면의 일 예이다.
도 9는 순위 결정부(14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딜 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쇼핑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카테고리, 상품명, 가격 정보, 상세 이미지 정보, 사이즈 정보, 판매자 정보, 배송 정보, 색상 정보, 원산지 정보, 상품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딜 정보는 판매자가 등록하거나 관리자가 등록하게 되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판매할 개별 상품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도 복수의 딜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판매 상품을 분류하는 단위를 말하며, 상위 카테고리, 하위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카테고리는 패션/뷰티, 쇼핑, 지역, 여행/레저, 문화 등 일 수 있고, 패션/뷰티의 하위 카테고리는 여성의류, 남성의류, 패션잡화, 뷰티, 스포츠패션, 해외 배송을 포함할 수 있고, 쇼핑의 하위 카테고리는 스포츠, 식품, 출산/유아동, 생활/주방, 홈데코/취미, 도서/문구, 가전/디지털을 포함하고, 지역의 하위 카테고리는 전국, 서울, 인천/경기, 대구/부산, 대전/광주, 강원/제주를 포함하고, 여행/레저의 하위 카테고리는 해외여행, 해외항공권, 호텔, 리조트, 펜션/캠핑, 레저/입장권, 국내여행, 제주여행, 프리미엄을 포함하고, 문화의 하위 카테고리는 뮤지컬/연극, 콘서트/클래식, 체험/전시/아동, 영화/스포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200),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카테고리별 딜 정보를 제공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관리자에 의해 추천된 복수의 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딜 정보에 대한 클릭수, 구매 빈도수를 기반으로, 각 딜 정보에 대한 클릭율, 구매율을 산출하고, 클릭율 및 구매율을 각 딜 정보의 카테고리와 매칭시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반영하거나, 상기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검색 결과 중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테고리가 먼저 표시될 수 있도록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복합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검색자의 니즈를 반영하고, 좀더 많은 구매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 히스토리, 검색 히스토리, 클릭 히스토리 등과 같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방문한 사용자의 검색, 구매, 클릭 이력을 저장 관리 할 수 있다. 구매 히스토리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구매한 이력에 대한 것으로, 전체 구매 이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히스토리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검색된 이력에 대한 것으로, 전체 검색 이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릭 히스토리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클릭된 이력에 대한 것으로, 딜 정보에 대한 클릭, 딜 정보 중 상세 정보에 대한 클릭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히스토리, 검색 히스토리, 클릭 히스토리는 사용자별, 날짜별, 월별, 시간별, 계절별로 저장 관리 될 수 있다. 구매 히스토리, 검색 히스토리, 클릭 히스토리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지역 등을 기초로 분석되고, 저장 관리 될 수 있다. 구매 히스토리, 검색 히스토리, 클릭 히스토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뿐만 아니라, 외부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서버,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핑 서비스 뿐만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포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외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포스팅, 덧글 등의 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검색어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 (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2)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검색어 수신부(140), 키워드 분석부(141), 카테고리 검출부(142), 순위 결정부(143), 딜 정보 검색부(144), 검색 화면 제공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들(2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획득된 만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검색어 수신부(14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 받는다. 특히, 검색어는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복합어 일 수 있다.
키워드 분석부(141)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검출하는데, 상기 검색어에 포함되는 2 이상의 키워드들을 분석한다. 키워드 분석부(141)는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상기 제1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히스토리를 기초로 분석한다. 여기서, 검색 히스토리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을 통해 검색된 검색어의 이력을 말하며, 제1 키워드 또는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 중에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검색어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의 실시간 변동을 반영하기 위해서, 소정의 기간 동안의 검색어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즉, 최근 1달, 최근 1일 내에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검색어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인 ‘냉장고 바지’에 대한 검색 빈도수가 1일 또는 일주일 사이에 급증한 것으로 검색되면, ‘냉장고 바지’라는 상품이 새롭게 출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냉장고 바지’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때, ‘냉장고’ 및 ‘바지’를 따로 검색하기 보다는 결합된 ‘냉장고 바지’에 대한 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즉, 키워드 분석부(141)를 통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어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들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히스토리를 기초로 제1 키워드, 제2 키워드를 개별적으로 반영한 검색 결과를 생성하거나,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모두 반영한 검색 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전통적으로는 고유 명사인 2 이상의 단어를 결합한 키워드가 새로운 고유 명사화 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검색어를 분석할 수 있다.
키워드 분석부(141)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이외의 소셜 네트워크 서버,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 등에서 상기 검색어의 출현빈도를 수신 받고, 상기 검색어의 출현빈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는 키워드 분석부(141)는 기 설정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과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의 출현 빈도수 사이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등급으로 표현할 수 있다. 테이블은 출현 빈도수에 대한 연관성 정도를 매핑 시켜 저장할 수 있다.
카테고리 검출부(142)는 검색어와 관련된 카테고리, 또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딜 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를 검출한다. 카테고리 검출부(142)는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3 카테고리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색어가 ‘냉장고 바지’라면, 제1 키워드인 냉장고와 관련된 전자제품을 제1 카테고리로 검출하고, 제2 키워드인 바지와 관련된 의류를 제2 카테고리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바지와 관련된 의류를 제3 카테고리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색어가 ‘김치 냉장고’라면, 김치와 관련된 식품을 제1 카테고리로 검출하고, 냉장고와 관련된 전자제품을 제2 카테고리로 김치 냉장고와 관련된 전자제품 등을 제3 카테고리로 검출할 수 있다.
카테고리 검출부(142)는 키워드와 관련된 카테고리로서,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딜 정보와 대응 되는 카테고리를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카테고리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뽀로로’와 관련된 카테고리는 ‘뽀로로’를 포함하는 딜 정보의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즉, ‘뽀로로’를 포함하는, 여행 상품, 인형, 음료수, 신발, 이유식기, 장난감, 교구 등이 ‘뽀로로’와 관련된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또한 ‘김치’와 관련된 카테고리는 ‘김치’를 포함하는 딜 정보의 카테고리가 될 수 있고, 좀더 구체적으로는 ‘김치’를 포함하는 김치, 김치 만두, 김치 찌개 등의 카테고리인 식품, 김치 냉장고의 카테고리인 전자제품 등이 ‘김치’와 관련된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순위 결정부(143)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순위가 가장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한다. 여기서, 카테고리의 순위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중요도를 말하며, 즉, 상기 검색어에 대응시켜 연관성, 정확도의 정도를 포함한다. 순위 결정부(143)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에 대한 클릭수, 구매 빈도수, 클릭율, 구매율 등을 포함하는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김치 냉장고’에 대한 식품, 전자제품, 가구의 카테고리 중에서 클릭율, 또는 구매율이 높은 전자제품을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는 딜 정보에 대한 구매 관련 이력을 말하며, 클릭수, 구매 빈도수, 검색수에 대한 클릭수의 비율인 클릭율, 클릭수에 대한 구매 빈도수의 비율인 구매율, 구매 분포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순위 결정부(143)는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뉴스, 광고, Tv 프로그램, 연예인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순위가 가장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한다.
특히, 순위 결정부(143)는 검색어에 대한 최근 이력, 최근 정보 등을 더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위 결정부(143)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에 대해서, 시간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고려한 구매 히스토리를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평균 구매율(또는 클릭율)은 50퍼센트이고, 최근 일주일 간의 구매율(또는 클릭율)이 80퍼센트라면, 최근 구매율(또는 클릭율)에 더 높은 가중치를 주기 위해서, 최근 일주일 간의 구매율(또는 클릭율)과 평균 구매율(또는 클릭율)에 각각 2, 1의 가중치를 둘 수 있다.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 평균하면, 제1 카테고리의 구매율은 (0.8*2+0.5*1)/3 = 0.7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순위 결정부(143)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성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중 적어도 2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대표 카테고리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순위 결정부(143)는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딜 정보 검색부(144)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거나,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딜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검색어와 관련된 딜 정보는 상기 검색어와 동일한 상품에 대한 딜 정보, 상기 검색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상품에 대한 딜 정보, 상기 검색어와 동일한 상품에 대한 딜 정보, 상기 검색어와 대체 가능한 상품에 대한 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김치 냉장고와 대응되는 딜 정보는 김치 냉장고에 대한 딜 정보, 김치 냉장고와 함께 비치될 수 있는 가구에 대한 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김치와 대응되는 딜 정보는 김치 자체에 대한 딜 정보, 김치 만두에 대한 딜 정보, 김치 찌개에 들어 가는 참치캔에 대한 딜 정보, 김치 재료가 될 수 있는 채소에 대한 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딜 정보 검색부(144)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
검색 화면 제공부(145)는 상기 딜 정보 중에서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검색 화면을 구성하고,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딜 검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천 딜 검색부는 검색 결과와 함께, 추천 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딜 정보는 상기 검색어를 검색한 사용자들의 구매 히스토리, 상기 검색어를 검색한 사용자들의 검색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검색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귀’를 검색한 사용자가 ‘기저귀’ 이후의 후속적으로 검색한 단어를 분석하여,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지는 검색어인 ‘물티슈’를 검출한 경우라면, ‘물티슈’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추천 딜로 제공할 수 있다. ‘기저귀’를 검색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가장 많이 구매한 상품으로 A 유아 의류, B 물티슈, C 유아 세제가 검색된 경우라면, A 유아 의류, B 물티슈, C 유아 세제와 대응되는 딜 정보들을 추천 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센싱부(210), 통신부(220), 출력부(230) 및 제어부(240), 사용자 입력부(250), A/V(Audio/Video) 입력부(260), 메모리(2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센싱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센싱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 속도 정보 및 이동 시간 정보 등을 획득하여, 변경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21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212), 온/습도 센서(213), 적외선 센서(214), 자이로스코프 센서(215), 위치 센서(예컨대, GPS)(216), 기압 센서(217), 근접 센서(21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2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싱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울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방향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의 시간 길이 및 사용자 입력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201)와 다른 사용자 단말기(202)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부(221), 이동 통신부(222), 방송 수신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22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22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2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가 방송 수신부(22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출력부(230)에는, 디스플레이부(231)와 음향 출력부(232), 진동 모터(2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1)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31)를 통해 사용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3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3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23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32)는 통신부(22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23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쇼핑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출력되는 배경음,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발생되는 효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23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23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23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발생되는 효과음,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작을 수행한 결과 변경되는 이미지)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23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센싱부(210), 통신부(220), 출력부(230), 사용자 입력부(250), A/V 입력부(260), 메모리(27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5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5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V(Audio/Video) 입력부(2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61)와 마이크로폰(2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6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24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2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6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2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2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6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제어부(2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복수의 메뉴,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70)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7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의 길이 및 유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2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2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2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271), 터치 스크린 모듈(272), 알림 모듈(2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271)은, 게임 애플리케이션 별로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2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2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2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273)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알림 모듈(273)은 디스플레이부(23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23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23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검색어 수신 단계(S110), 키워드 분석 단계(S120), 카테고리 검출 단계(S130), 카테고리의 순위 결정 단계(S140), 딜 정보 검색 단계(S150), 검색 화면 제공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 받는다. 상기 검색어는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복합어 일 수 있다. S12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검출하는데, 상기 검색어에 포함되는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분석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상기 제1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히스토리를 기초로 분석한다.
S13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어와 관련된 카테고리, 또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딜 정보와 관련된 카테고리를 검출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3 카테고리를 검출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키워드와 관련된 카테고리로서,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딜 정보와 대응 되는 카테고리를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카테고리로 검출할 수 있다.
S14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순위가 가장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한다.
S15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
S16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딜 정보 중에서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검색 화면을 구성하고,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2 이상의 키워드의 각 카테고리 사이의 동일성을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와 상이한 경우에 대해서 각각 다른 동작을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색어 수신 단계(S210), 연관성 산출 단계(S215), 카테고리 검출 단계(S220), 카테고리 간의 동일성 판단 단계(S225), 최종 카테고리 검출 단계(S230), 딜 정보 검색 단계(S235), 카테고리 순위 결정 단계(S240), 카테고리별 딜 정보 검색 단계(S245), 검색 화면 제공 단계(S250)를 포함한다.
S21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한다.
S215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의 산출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22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를 검출한다. 키워드와 관련된 카테고리의 개념은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225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카테고리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특히, S225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카테고리와 제2 카테고리가 이종 카테고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카테고리의 동일성을 판단하는데, 카테고리의 범위, 또는 카테고리의 상위 개념, 카테고리의 하위 개념 등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카테고리와 제2 카테고리 사이에 상하 관계가 있거나,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가 동일한 경우,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가 상이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 외의 경우에 대해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카테고리가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카테고리가 패션이고, 제2 카테고리가 의류인 경우, 제2 카테고리가 제1 카테고리의 하위 개념이므로,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는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S230에서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가 동일하다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카테고리의 범위 및 제2 카테고리의 범위를 비교하여, 더 좁은 범위를 가지는 카테고리를 최종 카테고리로 검출한다. S235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최종 카테고리와 매칭되는 딜 정보를 검색한다. 더 좁은 범위의 카테고리를 최종 카테고리로 검출함으로써,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더 적은 딜 정보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쇼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가 상이한 경우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겠다.
S24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가 상이한 경우, 각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한다.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245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딜 정보들을 검색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딜 정보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카테고리별로 검색할 수도 있다.
S25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화면을 제공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표시되도록 하고, 카테고리의 표시 순서를 카테고리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검색어 수신 단계(S310), 키워드 분석 단계(S320), 카테고리 검출 단계(S330), 중요 카테고리 선별 단계(S340), 딜 정보 검출 단계(S350), 딜 정보 제공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S320, S330은 S110, S120, S13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34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에 대한 클릭수, 구매 빈도수, 클릭율, 구매율 등을 포함하는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한다.
S35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
S36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딜 정보 중에서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검색 화면을 구성하고,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은 도 7에 도시된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화면(700)은 검색어 입력창(701), 상위 카테고리 메뉴 바(702), 딜 정보 표시 화면(703)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 입력창(701)은 화면의 일 부분에 표시되거나,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나타났다 사라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수단으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검색어 입력창에 자신이 검색하고 싶은, 구매하고 싶은 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를 입력한다. 검색어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 입력차(701)에 대한 마우스의 커서의 위치에 따라 검색어 입력창(701)의 하단에 실시간 검색 순위, 핫이슈 단어, 관리자가 설정한 키워드 등을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더 표시하는 창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위 카테고리 메뉴 바(702)는 화면의 일 부분에 표시되거나,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나타났다 사라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에게 카테고리 별 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제공된다. 즉, 상위 카테고리 메뉴 바(702)를 통해, 사용자는 전체 카테고리, 패션뷰티 카테고리, 쇼핑 카테고리, 지역 카테고리, 여행레저 카테고리, 문화 카테고리 별로 딜 정보를 분류해서 볼 수 있다. 상위 카테고리 메뉴 바(702)에 대한 마우스의 커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 메뉴 바가 더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딜 정보 표시 화면(703)은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딜 정보를 아이콘 배열, 리스트 배열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공되는 검색 화면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냉장고 바지’에 대한 검색 결과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검색 결과 화면은 검색어 입력창(801), 배열 순서 선택창(802), 검색 결과 표시 창(803), 추천 상품 표시 창(80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열 순서 선택창(802)은 딜 정보의 배열 순서를 선택하는 수단으로 제공되며, 화면의 일 부분에 표시되거나,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나타났다 사라지는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순서는 정확도순, 낮은 가격순, 높은 가격순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배열 순서에 관계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중요 카테고리에 대한 딜 정보를 최우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표시 창(803)은 ‘냉장고 바지’에 대한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된 의류에 대한 딜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결과와 함께, 동일한 검색어를 검색한 사람들이 추가적으로 검색하거나, 추가적으로 구매한 상품에 대한 딜 정보를 추천 정보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정보를 더 보여줄 수 있다.
도 9는 순위 결정부(14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순위 결정부(144)는 데이터 입력부(1440), 검출부(1441), 제1 분배부(1442), 제1 합산부(1443), 가중치 산출부(1444), 제2 분배부(1445), 제2 합산부(1446), 중요도 산출부(1447)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440)는 상기 제1 상품의 제1 딜 정보의 제1 클릭수 및 상기 제1 상품의 제2 딜 정보의 제2 클릭수를 입력 받거나, 저장부(130)로부터 전달 받는다.
검출부(1441)는 상기 제1 딜 정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 카테고리 그룹 및 상기 제2 딜 정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카테고리 그룹을 검출한다.
제1 분배부(1442)는 상기 제1 클릭수를 상기 제1 카테고리 그룹의 카테고리별로 분배하고, 상기 제2 클릭수를 상기 제2 카테고리 그룹의 카테고리별로 분배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딜 정보의 제1 클릭수가 1002회이고, 상기 제1 딜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카테고리 그룹으로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제3 카테고리가 검출되면, 클릭수는 총 카테고리의 수로 나누어 각 카테고리별로 분배된다. 즉, 제1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1002/3 = 334회, 제2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1002/3 = 334회, 제3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1002/3 = 334회로 분배된다. 또한, 제2 클릭수가 500회이고, 상기 제2 딜 정보와 대응되는 제2 카테고리 그룹으로 제1 카테고리, 제3 카테고리가 검출되면, 클릭수는 총 카테고리의 수로 나누어 각 카테고리별로 분배된다. 즉, 제1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500/2 = 250회, 제3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500/2 = 250회로 분배된다.
제1 합산부(1443)는 상기 제1 클릭수를 분배한 클릭수 및 상기 제2 클릭수를 분배한 클릭수 중 동일 카테고리에 대한 클릭수를 합산하여, 제1 카테고리별 클릭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배부(1442)를 통해, 제1 카테고리의 클릭수가 제1 딜 정보의 클릭수를 분배한 334회 및 제2 딜 정보의 클릭수를 분배한 250회를 합산하여 총 584회로 산출된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584회로 산출된다.
가중치 산출부(1444)는 제1 클릭수 및 제2 클릭수를 합산한 제3 클릭수에 대한 상기 제1 카테고리별 클릭수의 비를 산출하여 카테고리별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3 클릭수는 1502회이며, 상기 제1 카테고리의 가중치는 제3 클릭수에 대한 제1 카테고리의 클릭수의 비 이므로, 584/1502=0.38, 제2 카테고리의 가중치는 334/1502 = 0.22, 제3 카테고리의 가중치는 584/1502 = 0.38로 결정된다.
제2 분배부(1445)는 상기 제1 클릭수 및 상기 제2 클릭수를 상기 카테고리별 가중치를 기준으로 재 분배한다. 예를 들어, 제2 분배부(1445)를 통해, 제1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제1 클릭수에 대해서 가중치를 적용한 1002 * 0.38 = 380.76 및 제2 클릭수에 대해서 가중치를 적용한 500 * 0.38 = 190으로 분배된다. 제3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제1 클릭수에 대해서 가중치를 적용한 1002 * 0.38 = 380.76 및 제2 클릭수에 대해서 가중치를 적용한 500 * 0.38 = 190으로 분배된다.
제2 합산부(1446)는 상기 제1 클릭수를 재 분배한 클릭수 및 상기 제2 클릭수를 재 분배한 클릭수 중 동일 카테고리에 대한 클릭수를 합산하여, 제2 카테고리별 클릭수를 다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2 합산부(1446)를 통해, 제1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570.76회가 된다. 제3 카테고리의 클릭수 역시 570.76회가 된다. 제2 카테고리의 클릭수는 1002 *0.22 = 220.44회가 된다.
중요도 산출부(1447)는 상기 제3 클릭수에 대한 상기 제2 카테고리별 클릭수의 비를 산출하여 카테고리별 중요도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카테고리별 클릭수는 상기의 과정과 같이 산출되며, 상기 제2 카테고리별 클릭수를 기초로, 제1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의 중요도는 제2 카테고리의 중요도 보다 높게 된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2개의 딜 정보와 대응되는 3개의 카테고리를 예로 들었으나, 동일한 상품에 대한 딜 정보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수 역시 제한이 없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300: 통신망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 하는 검색어 수신부;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상기 제1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히스토리를 기초로 분석하는 키워드 분석부;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와 모두 관련된 제3 카테고리를 검출하는 카테고리 검출부;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순위 결정부;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검색하는 딜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 중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가 상단에 표시되도록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검색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은
    상기 제1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키워드만을 포함하는 검색어의 입력의 빈도수과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를 함께 포함하는 검색어의 입력의 빈도수를 비교함으로써, 산출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는
    상기 복합어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에 대한 클릭율, 구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순위 결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와 상기 복합어 사이의 연관성 및 상기 복합어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에 대한 클릭율, 및 구매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합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 결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성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중 적어도 2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대표 카테고리로 선택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5.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2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 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색어에 포함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을 상기 제1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히스토리를 기초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와 관련된 제2 카테고리,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와 모두 관련된 제3 카테고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딜 정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를 중요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색 결과 중 상기 중요 카테고리에 속하는 딜 정보가 상단에 표시되도록 검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 사이의 연관성은
    상기 제1 키워드 또는 상기 제2 키워드만을 포함하는 검색어의 입력의 빈도수과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를 함께 포함하는 검색어의 입력의 빈도수를 비교함으로써, 산출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어에 대한 구매 히스토리는
    상기 복합어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에 대한 클릭율, 결제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순위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와 상기 복합어 사이의 연관성 및 상기 복합어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딜 정보에 대한 클릭율, 결제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합어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의 순위를 결정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간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성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중 적어도 2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대표 카테고리로 선택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9.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5항 내지 제8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12256A 2015-01-26 2015-01-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0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56A KR101707652B1 (ko) 2015-01-26 2015-01-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56A KR101707652B1 (ko) 2015-01-26 2015-01-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52A true KR20160091752A (ko) 2016-08-03
KR101707652B1 KR101707652B1 (ko) 2017-02-16

Family

ID=5670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256A KR101707652B1 (ko) 2015-01-26 2015-01-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687B1 (ko) * 2020-04-14 2021-02-10 노상호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KR102486487B1 (ko) * 2022-05-18 2023-01-10 신지수 사용자를 위한 상품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957A (ko) 2005-07-05 2007-01-11 (주)인베스트클럽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KR20090000813A (ko) * 2007-04-04 2009-01-08 엔에이치엔(주) 구매 전환률을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123347A (ko) * 2009-05-15 2010-11-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0271869A (ja) * 2009-05-20 2010-12-02 Yahoo Japan Corp 商品検索装置
KR20120063720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펀진 복수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복수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957A (ko) 2005-07-05 2007-01-11 (주)인베스트클럽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KR20090000813A (ko) * 2007-04-04 2009-01-08 엔에이치엔(주) 구매 전환률을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123347A (ko) * 2009-05-15 2010-11-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0271869A (ja) * 2009-05-20 2010-12-02 Yahoo Japan Corp 商品検索装置
KR20120063720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펀진 복수 검색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복수 검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687B1 (ko) * 2020-04-14 2021-02-10 노상호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KR102486487B1 (ko) * 2022-05-18 2023-01-10 신지수 사용자를 위한 상품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52B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5374B2 (en) Multilevel silhouettes in a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US10726438B2 (en) Personalized contextual coupon engine
US20180018396A1 (en) Consumer self-profiling gui, analysis and rapid information presentation tools
US20180204244A1 (en) Reverse brand sorting tools for interest-graph driven personalization
US102423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product recommendation
US201800330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advertising
US9043296B2 (en) System of providing suggestions based on accessible and contextual information
US20080004951A1 (en) Web-based targeted advertising in a brick-and-mortar retail establishment using online customer information
US20140278992A1 (en) Ad blocking tools for interest-graph driven personalization
WO2012030672A1 (en) Size mapping in a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KR101707660B1 (ko) 연관 검색어를 이용한 관심사 카테고리 기반 이커머스 시스템
JP6368372B2 (ja) 製品アベイラビリティ通知
Song et al. Eye-tracking and social behavior preference-based recommendation system
US11562409B2 (en) Shoppable ads with query relevant offers
KR101707652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6975474A (zh) 一种推荐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1616958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26155A (ko)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대여 아이템 선호도 자동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64893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4335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80848B1 (ko) 이탈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5030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u et al. More focus on what you care about: Personalized top reviews set
JP68249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3313545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