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620A - 이어셋 - Google Patents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620A
KR20160091620A KR1020150011945A KR20150011945A KR20160091620A KR 20160091620 A KR20160091620 A KR 20160091620A KR 1020150011945 A KR1020150011945 A KR 1020150011945A KR 20150011945 A KR20150011945 A KR 20150011945A KR 20160091620 A KR20160091620 A KR 20160091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set
disposed
unit
light emitt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822B1 (ko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해보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보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보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8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어셋에 연결된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동작으로 인해 이어셋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셋이 개시된다.
이어셋의 일 실시예는 제1 마이크 및 제1 스피커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제1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이어폰부, 상기 사용자의 제2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 이어폰부, 상기 제1 몸체부의 끝단과 상기 제2 몸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셋{Earset}
이어셋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셋에 연결된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동작으로 인해 이어셋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셋이 개시된다.
휴대 전화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이어셋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어셋은 마이크와 스피커가 장착된 기기를 말하는데, 이어셋을 사용하면 손이 자유로워지므로, 통화 중에도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종래의 이어셋은 스피커만 사용자의 귓속에 위치하고, 마이크는 귀 밖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통화 시 주변 소음이 마이크로 입력되어, 스피커로 다시 출력되는 하울링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통화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스피커와 마이크를 모두 귓속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서 나오는 소리만을 이용하여 통화를 진행시키고, 귀 밖의 소리는 차단시키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포함하는 이어셋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어셋은 케이블을 통해 휴대 전화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의 특정 지점에는 이어셋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부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처럼 케이블의 중간에 버튼부를 구비하는 경우, 케이블을 감거나 이미 감겨져 있는 케이블을 다시 푸는 동작으로 인해 버튼부와 케이블이 분리되어, 이어셋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2958 (발명의 명칭: 이어셋, 등록일: 2011년 12월 6일)
이어셋에 연결된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동작으로 인해 이어셋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셋이 개시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은 제1 마이크 및 제1 스피커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제1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이어폰부, 제2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제2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 이어폰부, 상기 제1 몸체부의 끝단과 상기 제2 몸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셋은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몸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는 개수, 크기, 발광색, 배치 패턴 및 점등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배치된 연결 단자가 상기 외부 기기에 배치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점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이어셋이 동작하는 경우에 점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상기 외부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어셋은 상기 사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을 입력받는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마이크는 상기 제1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어셋은 상기 제1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어셋은 상기 제1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가 이어셋의 케이블이 아닌 이어셋의 이어폰부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이어셋의 케이블을 자주 감거나 감겨 있는 케이블을 푸는 행위로 인해 이어셋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폰부의 몸체부에 배치된 표시부를 점등시킴으로써, 이어셋의 사용자 및 주변 사람들에게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외형 및 이어셋이 외부 기기에 연결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외형 및 이어셋이 외부 기기에 연결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어셋(10)은 외부 기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셋(10)은 외부 기기(30)로부터 음향 신호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귀에서 나오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기기(3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이어셋(10)은 제1 이어폰부(11), 제2 이어폰부(12), 케이블(13) 및 연결 단자(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어폰부(11)는 사용자의 제1 귀(예를 들어, 왼쪽 귀)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이어폰부(11)는 제1 삽입부(11a) 및 제1 몸체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1a)는 사용자의 제1 외이도(예를 들어, 왼쪽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11a)는 제1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삽입부(11a)의 내부에는 제1 스피커(도 2의 110 참조) 및 제1 마이크(도 2의 120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b)는 제1 삽입부(11a)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1 몸체부(11b)는 제1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b)의 내부에는 버튼부(도 2의 130 참조), 표시부(도 2의 140 참조), 및 제어부(도 2의 150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130) 및 표시부(140)는 제1 몸체부(11b)의 내부에 배치되되, 그 일부가 제1 몸체부(11b)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이어폰부(12)는 사용자의 제2 귀(예를 들어, 오른쪽 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2 이어폰부(12)는 제2 삽입부(12a) 및 제2 몸체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부(12a)는 사용자의 제2 외이도(예를 들어, 오른쪽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삽입부(12a)는 제2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부(12a)의 내부에는 제2 스피커(도 2의 160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2b)는 제2 삽입부(12a)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2 몸체부(12b)는 제2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b)와는 다르게 제2 몸체부(12b)의 내부에는 이어셋(10)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처럼 제2 몸체부(12b)의 내부에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몸체부(12b)의 외형은 제1 몸체부(11b)의 외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몸체부(12b)의 외형은 제1 몸체부(11b)의 외형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면서, 제1 몸체부(11b)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몸체부(11b)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3a)과 제2 몸체부(12b)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3b)은 소정 지점에서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케이블(13)의 끝단에는 연결 단자(14)가 배치된다. 연결 단자(14)는 외부 기기(30)에 배치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셋(10)이 케이블(13)을 통해 외부 기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이어셋(10)은 외부 기기(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외부 기기(30)는 케이블(13)을 통해 이어셋(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기기(30)는 음향 신호나 음성 신호를 이어셋(10)으로 전송하고, 이어셋(10)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기기(30)는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장치로는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 및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외부 기기(3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어, 머리, 손목, 손가락, 팔, 허리, 다리, 또는 발목에 착용될 수 있는 착용형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0)은 제1 스피커(110), 제1 마이크(120), 버튼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 및 제2 스피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피커(110)는 및 제1 마이크(120)는 제1 이어폰부(11)의 제1 삽입부(11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피커(110)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제1 외이도를 따라 고막으로 전달된다. 제1 마이크(120)는 사용자의 귀에서 나오는 음성을 입력받는다. 이처럼 제1 마이크(120)를 제1 이어폰부(11)의 제1 삽입부(11a) 내에 배치하면, 외부의 소음이 제1 마이크(120)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깨끗한 통화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는 제1 이어폰부(11)의 제1 몸체부(11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130)는 이어셋(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부(130)는 사용자의 외부 기기(30)에서 상대방의 외부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로 전화를 거는 통화 시작 버튼, 상대방과의 통화를 종료하는 통화 종료 버튼, 및 통화 음량(音量)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버튼의 종류가 예시된 것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튼부(130)에 구비되는 버튼의 종류는 더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3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명령의 개수는 버튼부(130)에 배치된 버튼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부(130)의 버튼들은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버튼부(13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명령의 개수는 버튼부(130)에 배치된 버튼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버튼부(130)에 배치된 버튼의 조작 패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이 온/오프 버튼으로 구현되는 경우, 버튼이 온되는 시간, 오프되는 시간, 및 사전 지정된 시간 동안 온오프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명령 처리 결과나 이어셋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4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는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경우, 각 발광 다이오드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색 역시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소정 배치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들은 이어셋(10)의 연결 단자(14)가 외부 기기(30)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다. 자동으로 점등된 발광 다이오드들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소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130)에는 발광 다이오드 소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어셋(10)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기기(30)에 설치하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 소등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들은 이어셋(10)의 연결 단자(14)가 외부 기기(30)의 삽입홈에 삽입되더라도, 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어셋(10)이 동작하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들이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어셋(10)의 연결 단자(14)를 외부 기기(30)의 삽입홈에 삽입한 상태로 있다가 이어셋(10)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외부 기기(30)에서 음원을 재생시키면, 발광 다이오드들이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다.
점등된 발광 다이오드들은 이어셋(10)이 동작되는 동안 점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광 다이오드들은 이어셋(10)이 동작하는 동안 점등 패턴에 따라 소등과 점등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발광 다이오드들의 점등 패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어셋(10)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기기(30)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들의 점등 패턴을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요?莫? 버튼부(13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조작하여 발광 다이오드들의 점등 패턴을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사전 지정된 점등 패턴에 따라 점등되도록 하면, 이어셋(10)의 사용자나 사용자 주변의 사람들에게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표시부가 제1 이어폰부(11)의 제1 몸체부(11b)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표시부는 제1 이어폰부(11)의 제1 몸체부(11b)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는 제2 이어폰부(12)의 제2 몸체부(1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부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 크기, 발광색, 배치 패턴 및 점등 패턴은 제2 표시부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 크기, 발광색, 배치 패턴 및 점등 패턴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표시부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와 제2 표시부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는 개수, 크기, 발광색, 배치 패턴 및 점등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어셋(10)의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이어셋(10)이 외부 기기(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한 후, 표시부(140)와 관련된 명령 및 표시부(140)와 관련된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표시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제1 마이크(120)로 입력된 음성을 처리하여, 제1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제1 음성 신호는 외부 기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제2 음성 신호는 제1 스피커(110) 및 제2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주파수 보정부(153), 필터부(154), AD 변환부(155) 및 음성 부호화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보정부(153)는 제1 마이크(120)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하, '기준 주파수 대역'이라 한다)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실험적으로 획득되어 주파수 보정부(15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자 100명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준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준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는 성별 및 연령에 상관 없이 획득될 수도 있고, 성별 및 연령 별로 획득될 수도 있다. 이처럼 기 저장된 기준 주파수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마이크(120)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면, 사용자의 귀에서 나오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 입에서 나오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되므로,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부(154)는 주파수 대역이 보정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음성 신호는 AD 변환부(155)로 제공된다.
AD 변환부(155)는 잡음이 제거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는 음성 부호화부(156)로 제공된다.
음성 부호화부(156)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부호화한다. 부호화된 음성 신호는 외부 기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성 부호화부(156)는 음성 파형 부호화 방식, 보코딩 방식, 및 혼성 부호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음성 파형 부호화 방식은 음성 파형 자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보코딩 방식은 음성 신호의 생성 모델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성 파라미터를 외부 기기(3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혼성 부호화 방식은 파형 부호화 방식과 보코딩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보코딩 방식으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성을 제거하고 특성이 제거된 오차 신호를 파형 부호화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음성 신호를 어떤 방식으로 부호화할 것인지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20)은 제1 스피커(210), 제1 마이크(220), 버튼부(230), 표시부(240), 제어부(250), 제2 스피커(260) 및 제2 마이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1 스피커(210), 제1 마이크(220), 버튼부(230), 표시부(240) 및 제2 스피커(260)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제1 스피커(110), 제1 마이크(120), 버튼부(130), 표시부(140) 및 제2 스피커(16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이어셋(20)의 외형은 도 1에 도시된 이어셋(10)의 외형과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피커(210) 및 제1 마이크(220)는 제1 이어폰부(11)의 제1 삽입부(11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230), 표시부(240) 및 제어부(250)는 제1 이어폰부(11)의 제1 몸체부(11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피커(260)는 제2 이어폰부(12)의 제2 삽입부(12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이크(270)는 사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을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제2 마이크(270)는 이어셋(20)에서 사용자의 귀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마이크(270)는 버튼부(230), 표시부(240) 및 제어부(250)와 함께 제1 이어폰부(11)의 제1 몸체부(11b)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마이크(270)는 제2 이어폰부(12)의 제2 몸체부(12b)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이어셋(20)의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50)는 제1 마이크(220)로 입력된 음성을 처리하여, 제1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제1 음성 신호는 외부 기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50)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제2 음성 신호는 제1 스피커(210) 및 제2 스피커(2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검출부(251), 주파수 보정부(253), 필터부(254), AD 변환부(255) 및 음성 부호화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251)는 제2 마이크(270)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주파수 대역의 정보는 후술될 주파수 보정부(253)로 제공된다.
주파수 보정부(253)는 제1 마이크(220)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부(251)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할 수 있다. 즉, 주파수 보정부(253)는 사용자의 귀에서 나오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한다.
필터부(254)는 주파수 대역이 보정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음성 신호는 AD 변환부(255)로 제공된다.
AD 변환부(255)는 잡음이 제거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는 음성 부호화부(256)로 제공된다.
음성 부호화부(256)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부호화한다. 부호화된 음성 신호는 외부 기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성 부호화부(256)는 음성 파형 부호화 방식, 보코딩 방식, 및 혼성 부호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이어셋
30: 외부 기기
11: 제1 이어폰부
11a: 제1 삽입부
11b: 제1 몸체부
12: 제2 이어폰부
12a: 제2 삽입부
12b: 제2 몸체부
13, 13a, 13b: 케이블
14: 연결 단자

Claims (10)

  1. 제1 마이크 및 제1 스피커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제1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이어폰부;
    제2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제2 외이도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외이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 이어폰부;
    상기 제1 몸체부의 끝단과 상기 제2 몸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이어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이어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몸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는 개수, 크기, 발광색, 배치 패턴 및 점등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이어셋.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배치된 연결 단자가 상기 외부 기기에 배치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점등되는, 이어셋.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이어셋이 동작하는 경우에 점등되는, 이어셋.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상기 외부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되는, 이어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을 입력받는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마이크는 상기 제1 몸체부 또는 상기 제2 몸체부에 배치되는, 이어셋.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되는, 이어셋.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배치되는, 이어셋.
KR1020150011945A 2015-01-26 2015-01-26 이어셋 KR101700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45A KR101700822B1 (ko) 2015-01-26 2015-01-26 이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45A KR101700822B1 (ko) 2015-01-26 2015-01-26 이어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20A true KR20160091620A (ko) 2016-08-03
KR101700822B1 KR101700822B1 (ko) 2017-02-01

Family

ID=5670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945A KR101700822B1 (ko) 2015-01-26 2015-01-26 이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8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4224B2 (en) 2014-06-12 2018-07-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 and formation method of fin-like field effect transistor
WO2019156749A1 (en) * 2018-02-08 2019-08-15 Facebook Technologies, Llc Listening device for mitigating variations between environmental sounds and internal sounds caused by the listening device blocking an ear canal of a user
WO2020045705A1 (ko) * 2018-08-30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080578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080577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298A (ja) * 2000-10-13 2002-04-26 Yamaha Corp マイク装置およびイヤホンマイク装置
KR20110103041A (ko) * 2010-03-12 2011-09-20 윤정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KR101092958B1 (ko) 2011-05-25 2011-12-12 신두식 이어셋
KR101348505B1 (ko) * 2012-07-17 2014-01-07 신두식 이어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298A (ja) * 2000-10-13 2002-04-26 Yamaha Corp マイク装置およびイヤホンマイク装置
KR20110103041A (ko) * 2010-03-12 2011-09-20 윤정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KR101092958B1 (ko) 2011-05-25 2011-12-12 신두식 이어셋
KR101348505B1 (ko) * 2012-07-17 2014-01-07 신두식 이어셋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4224B2 (en) 2014-06-12 2018-07-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 and formation method of fin-like field effect transistor
US10727137B2 (en) 2014-06-12 2020-07-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 and formation method of fin-like field effect transistor
WO2019156749A1 (en) * 2018-02-08 2019-08-15 Facebook Technologies, Llc Listening device for mitigating variations between environmental sounds and internal sounds caused by the listening device blocking an ear canal of a user
US10511915B2 (en) 2018-02-08 2019-12-17 Facebook Technologies, Llc Listening device for mitigating variations between environmental sounds and internal sounds caused by the listening device blocking an ear canal of a user
WO2020045705A1 (ko) * 2018-08-30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US11445284B2 (en) 2018-08-30 2022-09-1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udio equipment
WO2020080578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080577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822B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822B1 (ko) 이어셋
KR101598400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US10510345B2 (en) Hearing aid device with speech control functionality
US6021207A (en) Wireless open ear canal earpiece
CN201197140Y (zh) 无线外放耳机
CN102177730B (zh) 用于拾取用户语音的系统和操作该系统的方法
CN106531165A (zh) 一种便携式智能家居语音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6360633B2 (ja) イヤーカナルマイクを内蔵するブルートゥースイヤーセットとその制御方法
EP2285134A1 (en) Headset
US9628893B2 (en) Method of auto-pausing audio/video content while using headphones
WO2016167878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enhance wearer'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individuals
KR101381289B1 (ko)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KR101744503B1 (ko)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블루투스 이어셋
KR20130115176A (ko) 보이스 코일 채널 및 개별적으로 증폭되는 텔레코일 채널을 갖는 오디오 장치
CN108886653A (zh) 一种耳机声道控制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6170989A (zh) 耳机的识别方法和装置、耳机的控制方法和装置、耳机
US20120114158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JP2005136871A (ja) 電子機器およびペアリング処理方法
KR20170030375A (ko)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블루투스 이어셋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101545147B1 (ko) 매너 통화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CN109511040B (zh) 一种耳语放大方法、装置及耳机
US20120263478A1 (en) Hearing aid system using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s
KR101835349B1 (ko) 좌우 청력 보정 기능을 갖는 이어폰
JP2006005440A (ja) 通話送受信方法および通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